KR102455291B1 -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291B1
KR102455291B1 KR1020210190084A KR20210190084A KR102455291B1 KR 102455291 B1 KR102455291 B1 KR 102455291B1 KR 1020210190084 A KR1020210190084 A KR 1020210190084A KR 20210190084 A KR20210190084 A KR 20210190084A KR 102455291 B1 KR102455291 B1 KR 102455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racket
gang form
con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화
Original Assignee
다성알앤이 주식회사
이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성알앤이 주식회사, 이경화 filed Critical 다성알앤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0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외벽에 결합된 갱폼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갱폼 탈락과 추락을 방지하고, 갱폼을 안전하게 인양 및 이격시킬 수 있는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는, 일단이 갱폼의 내측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타측에 삽입되는 콘볼트와; 최상단이 상기 브라켓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는 상기 콘볼트에 최상단이 결합되는 앙카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콘볼트의 상단은 상기 브라켓에 걸려 하강이 저지되고, 상기 앙카볼트가 삽입 배치된 위치에서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콘볼트를 상기 앙카볼트로부터 해제하였을 때 상기 앙카볼트의 최상단은 콘크리트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 GANG FORM FALLING PREVENTION AND SAFETY APPARATUS }
본 발명은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외벽에 결합된 갱폼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갱폼 탈락과 추락을 방지하고, 갱폼을 안전하게 인양 및 이격시킬 수 있는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의 아파트나 빌딩 또는 상가 등과 같은 높은 건물을 신축함에 있어 외벽면을 대부분 콘크리트 타설방법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이 건물의 외벽면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철재,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내측 거푸집(일명 유로폼, 알폼)과 외측 거푸집(일명 갱폼)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갱폼은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스틸폼과 작업발판 및 핸드레일 등이 설치된 케이지와 외벽의 내측 거푸집과 외측에 형성되는 스틸폼을 고정하는 고정볼트 등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갱폼은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갱폼 하나당 대략 3-4톤 정도의 무게를 가지며, 약 9m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대형 구조물로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갱폼은 건설현장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끌어올릴 수 있는데, 갱폼에는 고정용 볼트, 내부품, 갱폼을 묶어주는 타이볼트 등이 갱폼의 크기에 따라 적게는 20여개 많게는 100여개가 있어서, 타워크레인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관계로, 먼저 소수의 고정볼트만을 제외한 나머지 타이볼트, 고정볼트들을 제거한 후 타워크레인의 후크를 인양고리에 걸고 그 후에 나머지 타이볼트, 고정볼트를 모두 제거한다.
그런 다음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갱폼을 직상방으로 끌어올리게 된다.
그러나, 갱폼을 위로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타워크레인의 후크를 갱폼의 인양고리에 결합하기 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일부 타이볼트, 고정볼트를 남겨두고 나머지 타이볼트, 고정볼트를 해제해야 하는데,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제거하지 말아야 할 타이볼트, 고정볼트까지 모두 제거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럴 경우 갱폼의 자중 또는 풍압에 의해 갱폼이 추락하게 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갱폼을 인양시키기 전에 갱폼을 건물외벽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건물외벽의 바깥쪽 발판으로 나가서 남겨둔 소수의 타이볼트, 고정볼트를 또 풀고 들어오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이때 타워크레인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안전사고로 이어져 인명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갱폼을 건물외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갱폼에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아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는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에 매설된 앙카볼트가 콘크리트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갱폼의 분리 후 돌출된 앙카볼트를 절단하는 작업을 또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91897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외벽에 장착된 갱폼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갱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갱폼의 분리가 용이하며, 갱폼의 분리 후 앙카볼트를 절단하는 작업 등이 불필요하여 작업시간 및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는, 일단이 갱폼에 결합되고, 하면이 콘크리트가 형성될 부위의 상부에 배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타측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삽입되는 콘볼트와; 콘크리트가 형성될 부위의 안쪽에 배치되고, 최상단을 구성하는 일단이 상기 브라켓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콘볼트에 최상단이 결합되는 앙카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콘볼트의 상단은 상기 브라켓에 걸려 하강이 저지되고, 상기 앙카볼트는 타단이 콘크리트가 형성될 부위의 안쪽에 배치되면서 내부거푸집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갱폼의 상하방향 이동시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 상기 콘볼트 및 앙카볼트는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앙카볼트가 삽입 배치된 위치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콘볼트를 상기 앙카볼트로부터 해제하였을 때 상기 앙카볼트의 최상단은 콘크리트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상기 앙카볼트의 타단은 상기 콘크리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볼트의 안쪽에는 하방향으로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볼트의 상단은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콘볼트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끼움홈의 내측면은 상기 앙카볼트의 최상단과 나사결합된다.
상기 콘볼트는 상기 브라켓의 관통공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콘볼트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볼트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에 삽입 배치되는 탄성재질의 오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콘볼트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콘볼트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콘볼트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갱폼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프링은 상단이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형성된 제1걸림턱에 걸려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콘볼트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제2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콘볼트의 상승시 상기 스프링은 압축된다.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콘볼트의 상승시 상기 콘볼트가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스토퍼에 의해 상기 콘볼트의 하강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콘볼트의 끼움홈에서 상기 앙카볼트의 최상단은 분리 이탈된 상태에 놓여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건물외벽에 장착된 갱폼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갱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갱폼의 분리가 용이하며, 갱폼의 분리 후 앙카볼트를 절단하는 작업 등이 불필요하여 작업시간 및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이 갱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함으로서, 브라켓의 하부에서 철근의 배근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콘볼트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콘볼트를 분리한 상태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콘볼트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볼트의 분리과정을 도시한 과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의 구조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콘볼트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콘볼트를 분리한 상태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과, 콘볼트(30)와, 앙카볼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갱폼(10)은 거푸집과 작업대로 이루어지고, 건물외벽에 설치되며, 상부에 갱폼인양고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갱폼(10)은 상기 갱폼인양고리(11)에 크레인 등에 연결된 후크가 체결되어 크레인에 의해 승강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20)은 일단이 상기 갱폼(10)의 내측에 결합되고, 하면이 콘크리트가 형성될 부위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20)의 타단에는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넓은 판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20)의 타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볼트(30)는 상기 브라켓(20)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1)에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콘볼트(30)의 상단은 상기 관통공(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콘볼트(30)의 상단에는 볼트머리가 형성되고, 볼트머리가 형성된 상기 콘볼트(30)의 상단은 상기 브라켓(20)에 걸려 하강이 저지된다.
이러한 상기 콘볼트(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0)의 관통공(21)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물론 상기 콘볼트(30)는 상기 관통공(21)에 완전 분리가 아닌 상기 관통공(21)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앙카볼트(40)는 콘크리트가 형성될 부위의 안쪽에 배치되고, 최상단을 구성하는 일단이 상기 브라켓(20)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앙카볼트(40)의 최상단 즉 일단은 상기 브라켓(20)의 타단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콘볼트(30)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앙카볼트(4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 또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콘볼트(30)와 상기 앙카볼트(40)가 체결되는 구조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볼트(30)의 안쪽에 하방향으로 개방된 끼움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홈(31)에 상기 앙카볼트(40)의 최상단이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볼트(30)가 상기 관통공(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볼트(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끼움홈(31)의 내측면은 상기 앙카볼트(40)의 최상단과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콘볼트(30)는 상기 관통공(21)에 단순히 삽입된 상태일 뿐, 별도의 나사와 같은 체결구조를 갖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앙카볼트(40)는 타단이 콘크리트가 형성될 부위의 안쪽에 배치되면서 콘크리트의 하부 부분과 접하는 내부거푸집과 이격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콘볼트(30)와 앙카볼트(40)가 결합되고, 상기 콘볼트(30)가 상기 브라켓(20)에 결합됨으로서, 상기 갱폼(10)의 상하방향 이동시 상기 브라켓(20)에 결합된 상기 콘볼트(30) 및 앙카볼트(40)는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설치 및 작업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갱폼(10)을 설치하고, 상기 갱폼(10)의 안쪽에는 건물외벽을 형성하고자 하는 내부거푸집(유로폼)을 설치한다.
상기 갱폼(10)의 안쪽에 장착된 상기 브라켓(20)의 타단에 상기 콘볼트(3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콘볼트(3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31)에 상기 앙카볼트(40)를 결합시킴으로서, 상기 앙카볼트(40)를 상기 브라켓(20)에 고정시킨다.
위와 같이 상기 앙카볼트(40)를 상기 콘볼트(30)에 결합하여 설치를 완료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카볼트(40)의 타단은 콘크리트가 형성될 부위의 안쪽에 배치되면서 내부거푸집과 이격되어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갱폼(10)은 다른 구성에 의해 낙하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앙카볼트(40)를 고정시키고 나면, 상기 앙카볼트(40)가 삽입 배치된 위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을 한다.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갱폼과 건물외벽을 결합시키고 있는 타이볼트, 고정볼트 등을 제거하여 결합을 해제시킨다.
이때, 갱폼과 건물외벽을 결합시키고 있는 타이볼트, 고정볼트 등을 모두 제거하여도,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에 끼워진 상기 콘볼트가 상기 앙카볼트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앙카볼트가 콘크리트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갱폼은 낙하됨이 없이 건물외벽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 후 크레인의 후크를 갱폼인양고리(11)에 체결한다.
그런 다음, 작업자가 상기 콘볼트(30)를 회전시켜 상기 콘볼트(30)를 상기 앙카볼트(40)로부터 해제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콘볼트(30)는 상기 앙카볼트(40)하고만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콘볼트(30)를 회전시켜 상기 콘볼트(30)를 상기 앙카볼트(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콘볼트(30)를 상기 앙카볼트(40)로부터 분리하여 해제시키게 되면, 상기 앙카볼트(40)의 최상단은 콘크리트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있지 않게 되고, 상기 앙카볼트(40)의 타단은 상기 콘크리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콘크리트의 상부로 돌출된 앙카볼트(40)를 절단할 필요가 없다.
상기 콘볼트(30)의 해제로 인해, 갱폼은 크레인에 의해 지지된다.
그 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갱폼(10)을 인양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볼트(30)를 해제하기 전까지 갱폼(10)은 상기 브라켓(20), 콘볼트(30) 및 앙카볼트(40)를 통해 콘크리트의 측면이 아닌 상면을 통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갱폼(10)이 외풍 등에 의해 흔들림없이 더욱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콘볼트(30)를 상기 앙카볼트(40)로부터 분리하면, 곧바로 갱폼(10)을 건물 외벽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갱폼(10)의 분리 작업이 용이하고, 앙카볼트(40)가 콘크리트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앙카볼트(40)를 절단하는 작업 등이 불필요하여 작업시간 및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의 구조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토퍼(23)를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1스토퍼(23)는 상기 콘볼트(30)가 상기 관통공(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볼트(30)가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23)는 상기 관통공(21)에 삽입된 상기 콘볼트(30)가 임의로 상기 관통공(21)의 상방향으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스토퍼(23)는 다양한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 상기 제1스토퍼(23)를 상기 관통공(21)의 내측면에 삽입 배치되는 탄성재질의 오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콘볼트(30)가 상기 관통공(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오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스토퍼(23)는 상기 콘볼트(3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콘볼트(30)가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제1스토퍼(23)에 의해 상기 콘볼트(30)가 상기 관통공(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토퍼(23)에 의해 상기 앙카볼트(40)와 체결된 콘볼트(3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앙카볼트(40)가 정해진 위치에 그대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콘볼트(3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상기 콘볼트(30)를 회전시킨 후 상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콘볼트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볼트의 분리과정을 도시한 과정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0)이 상기 갱폼(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브라켓(20)을 상기 갱폼(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이유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부위에 철근(횡근, 종근)을 배근하거나 배근되었을 경우, 철근과 상기 브라켓(20)이 서로 간섭되어 장애가 될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20)을 회전시켜 철근을 용이하게 배근하고, 철근의 배근이 완료되면 브라켓(20)을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20)의 일단은 상기 갱폼(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콘볼트(30)는 상기 브라켓(20)에 형성된 관통공(2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관통공(21)의 상부에는 제1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볼트(30)의 하부 둘레에는 제2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걸림턱(32)이 형성된 상기 콘볼트(30)가 상기 관통공(21)에 삽입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콘볼트(30)는 볼트머리부를 분리하여 조립한 후 용접 등을 통해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관통공(21)의 내부에는 스프링(24)이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24)은 상단이 상기 제1걸림턱(22)에 걸려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제2걸림턱(32)에 걸려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콘볼트(30)는 항상 하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0)에 대한 상기 콘볼트(30)의 상승시 상기 스프링(24)은 상기 관통공(21)의 내부에서 압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20)에 대한 상기 콘볼트(30)의 상승시 상기 콘볼트(30)가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제2스토퍼(3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2스토퍼(33)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스토퍼(33)는 상기 콘볼트(30)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핀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프링(2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콘볼트(30)의 끼움홈(31)은 상기 앙카볼트(40)의 최상단과 접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콘볼트(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끼움홈(31)은 상기 앙카볼트(40)의 최상단과 나사 결합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작업과정은 아래와 같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0)을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철근을 용이하게 배근하고, 철근의 배근이 완료되면 브라켓(20)을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 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볼트(30)와 상기 앙카볼트(40)를 결합시킨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의 양생 완료 후, 상기 콘볼트(30)를 상기 앙카볼트(40)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콘볼트(3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콘볼트(30)는 회전하면서 상기 스프링(24)을 압축시키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콘볼트(30)와 상기 앙카볼트(40)와의 나사결합이 해제되었을 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볼트(30)를 외력에 의해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 스프링(24)은 압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스토퍼(33)를 이용하여 상기 콘볼트(30)의 하강을 저지시키게 되면, 상기 콘볼트(30)의 끼움홈(31)에서 상기 앙카볼트(40)의 최상단은 분리 이탈된 상태에 그대로 놓여지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의 구조도이다.
제4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20)이 상기 갱폼(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브라켓(20)이 상기 갱폼(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볼트(30)가 상기 관통공(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오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스토퍼(23)는 상기 콘볼트(30)가 상기 관통공(21)으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브라켓(2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20)을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브라켓(20)과 철근의 간섭없이 철근의 배근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 제2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갱폼, 11 : 갱폼인양고리,
20 : 브라켓, 21 : 관통공, 22 : 제1걸림턱, 23 : 제1스토퍼, 24 : 스프링,
30 : 콘볼트, 31 : 끼움홈, 32 : 제2걸림턱, 33 : 제2스토퍼,
40 : 앙카볼트,

Claims (9)

  1. 일단이 갱폼에 결합되고, 하면이 콘크리트가 형성될 부위의 상부에 배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타측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삽입되는 콘볼트와;
    콘크리트가 형성될 부위의 안쪽에 배치되고, 최상단을 구성하는 일단이 상기 브라켓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콘볼트에 최상단이 결합되는 앙카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콘볼트의 상단은 상기 브라켓에 걸려 하강이 저지되고,
    상기 앙카볼트는 타단이 콘크리트가 형성될 부위의 안쪽에 배치되면서 내부거푸집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갱폼의 상하방향 이동시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 상기 콘볼트 및 앙카볼트는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앙카볼트가 삽입 배치된 위치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콘볼트를 상기 앙카볼트로부터 해제하였을 때 상기 앙카볼트의 최상단은 콘크리트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상기 앙카볼트의 타단은 상기 콘크리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볼트의 안쪽에는 하방향으로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볼트의 상단은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콘볼트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끼움홈의 내측면은 상기 앙카볼트의 최상단과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콘볼트는 상기 브라켓의 관통공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콘볼트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볼트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에 삽입 배치되는 탄성재질의 오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콘볼트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콘볼트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콘볼트가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6.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갱폼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프링은 상단이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형성된 제1걸림턱에 걸려 지지되고 하단이 상기 콘볼트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제2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콘볼트의 상승시 상기 스프링은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콘볼트의 상승시 상기 콘볼트가 하강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스토퍼에 의해 상기 콘볼트의 하강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콘볼트의 끼움홈에서 상기 앙카볼트의 최상단은 분리 이탈된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9. 청구항3 또는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갱폼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20210190084A 2021-12-28 2021-12-28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2455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084A KR102455291B1 (ko) 2021-12-28 2021-12-28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084A KR102455291B1 (ko) 2021-12-28 2021-12-28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291B1 true KR102455291B1 (ko) 2022-10-18

Family

ID=8380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084A KR102455291B1 (ko) 2021-12-28 2021-12-28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2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34Y1 (ko) * 2004-04-10 2004-06-30 주식회사 신영 콘크리트 거푸집용 세파타이
KR200436632Y1 (ko) * 2006-12-08 2007-09-13 이인희 거푸집용 간격 유지장치의 체결구조
KR100918970B1 (ko) 2009-05-21 2009-09-29 주식회사 삼인공영 앙카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추락방지용 갱폼
KR20090120829A (ko) *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갱폼 추락 방지장치
KR102327935B1 (ko) * 2021-09-10 2021-11-17 석창호 갱폼추락방지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534Y1 (ko) * 2004-04-10 2004-06-30 주식회사 신영 콘크리트 거푸집용 세파타이
KR200436632Y1 (ko) * 2006-12-08 2007-09-13 이인희 거푸집용 간격 유지장치의 체결구조
KR20090120829A (ko) *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갱폼 추락 방지장치
KR100918970B1 (ko) 2009-05-21 2009-09-29 주식회사 삼인공영 앙카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추락방지용 갱폼
KR102327935B1 (ko) * 2021-09-10 2021-11-17 석창호 갱폼추락방지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286B1 (ko)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0918970B1 (ko) 앙카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추락방지용 갱폼
KR100892615B1 (ko)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0822712B1 (ko) 갱폼 낙하 방지를 위한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구조
KR10104202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중고리 장치 및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KR20190066241A (ko) 안전고리 일체형 갱폼 안전장치
KR101941885B1 (ko) 철골 구조물
KR101519197B1 (ko) 엘리베이터 개구부 추락 방지망
KR102455291B1 (ko)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2327935B1 (ko) 갱폼추락방지 안전장치
CN112177309A (zh) 一种用于建筑电梯井内的组装式防护平台
JP6166870B2 (ja) 柱の立設方法、及び柱
KR100835613B1 (ko) 매립형 갱폼 추락 방지 장치
KR101188431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KR101587908B1 (ko) 인양 고리 장치
JP6661142B1 (ja) 吊り足場
KR101492774B1 (ko)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
KR101991906B1 (ko) 상하 커버를 구비한 갱폼 안전장치
KR102276294B1 (ko)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KR102665909B1 (ko) 갱폼 인양 안전장치
KR20220005272A (ko) 갱폼 낙하방지 안전장치
KR100982277B1 (ko) 갱폼 추락 방지장치
KR20220005273A (ko) 갱폼용 체결조립체
KR20220037656A (ko)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2599396B1 (ko) 갱폼의 안전 인양을 위한 자동 해체장치 및 이를 갖는 갱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