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463Y1 -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463Y1
KR200331463Y1 KR20-2003-0024751U KR20030024751U KR200331463Y1 KR 200331463 Y1 KR200331463 Y1 KR 200331463Y1 KR 20030024751 U KR20030024751 U KR 20030024751U KR 200331463 Y1 KR200331463 Y1 KR 200331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nion
fixed
hook
ladle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섭
임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2003-0024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4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4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with lifting beams, e.g. slewable beams, carrying load-engaging elements, e.g. magnets,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티밍래들(2)의 트러니언(3)이 걸려지는 크레인 후크(1)의 후크부(1a)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봉(13)과; 상기 승강봉(13)을 상기 고정대(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탄력지지하게 설치되는 스프링(14)과; 상기 승강봉(13)의 상단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트러니언(3)의 걸림동작시 하강되는 수평지지대(15)와; 상기 수평지지대(15)의 타단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견인와이어로프(19);및 상기 후크부(1a)의 상측으로 후크(1)의 측면에 피봇고정되며, 피봇고정부(30a)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아암(31)(32)이 형성되고, 좌,우측 아암(31)(32)의 단부에 표시부(33)(34)가 형성되며, 일측 아암에 상기 견인와이어로프(19)가 고정되어 피봇고정부(30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걸림확인레버(3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트러니언의 플랜지(3a)가 후크부(1a)의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는 정상적인 걸림상태에서만 작동되고 주변의 온도 또는 래들의 경동시와 같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운전자가 트러니언의 걸림상태를 항상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APPARATUS FOR JUDGING HANGING ON TRUNNION OF TEEMING LADLE}
본 고안은 용강의 티밍래들을 취급하는 용강기중기의 크레인후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후크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티밍래들의 트러니언의 걸림상태를 운전자가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밍래들의 트러니언(Trunnion)에 크레인 후크를 걸어주는 작업은 신호자의 수신호에 의해 의존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티밍래들의 트러니언은 신호자의 눈높이보다 3M 이상 높게 위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티밍래들에 수납되어 있는 1,600℃이상의 고온인 용강은 고열과 강한 빛을 발산하기 때문에 신호자는 근거리에 접근하지 못한 상태에서 크레인의 후크측으로 트러니언을 유도하게 된다. 이때 크레인의 후크가 트러니언에 가까이 접근하는 상태에서는 반대측 트러니언은 신호를 보내는 작업자의 시야가 방해되어지는 사각(死角)때문에 보이지 않게 됨으로써 신호자가 정확한 걸림상태를 판별하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고소에 설치된 운전실의 운전자의 경우에는 티밍래들에 수납된 용강에서 강한 빛이 발산되어 트러니언이 래들에 의해 시야를 방해받기 때문에 권상도중에 일단 정지상태에서 와이어로프의 텐션 및 레벨 발란스에 의해 걸림상태를 간접적으로 느끼면서 걸림동작을 실시하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주조용 용강이 되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트러니언에 후크가 끼여있는 상태로 응고됨으로써 래들의 트러니언과 크레인의 후크가 분리되지 않게 되어 연속주조 작업을 중단해야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확인 장치의 일례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 후크의 중앙 메탈부(100)에 구멍을 뚫어 리미트 검출장치(200)를 삽입하여 후크와 트러니언의 체결시 접점이 형성됨으로써 걸림상태를 확인하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 바, 이러한 확인 장치의 경우에는 후크 중앙부에 구멍 가공시에 후크의 정격하중이 감소되어 절단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으며, 슬래그 배제를 위해 래들 경동시 리미트 검출장치가 손상되거나, 마모로 인해 검출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트러니언의 플랜지 부위가 리미트 검출장치의 설치위치에 걸리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걸림상태로 검출하는 검출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2는 크레인 후크의 중앙(100)에 수은접점(300)에 의해 레벨을 감지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이 수은을 이용한 확인 장치의 경우에는 크레인 후크(110,120)를 티밍래들(400)의 트러니언(410)에 걸어주는 과정에서 서로 부딪히면서 충격이 발생되어 충격에 의해 수은이 유동되어 접점을 형성함으로써 오경보를 송출하는 문제가 있고, 용강(용선)의 전도열에 의해 수은의 높이가 상승되어 접점을 형성함으로써 오경보를 송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래들의 경동시나 트러니언의 걸림동작시에도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강(용선)의 전도열에 무관하게 트러니언의 걸림동작을 검출을 정확하게 실시하도록 한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확인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확인 장치의 다른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 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장치의 일실시예가 설치되어 걸림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크레인 후크 1a ; 후크부
3 ;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3a ; 트러니언의 플랜지
10 ; 고정대 13 ; 승강봉
14 ; 스프링 15 ; 수평지지대
16 ; 회전롤러 17 ; 상하텐션조절봉
19 ; 견인와이어로프 30 ; 걸림확인레버
30a; 피봇고정부 31,32 ; 좌,우측 아암
33,34 ; 표시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티밍래들의 트러니언이 걸려지는 크레인 후크의 후크부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을 상기 고정대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탄력지지하게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승강봉의 상단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트러이언의 걸림동작시 하강되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타단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견인와이어로프;및 상기 후크부의 상측으로 후크의 측면에 피봇고정되며, 피봇고정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아암이 형성되고, 좌,우측 아암의 단부에 표시부가 형성되며, 일측 아암에 상기 견인와이어로프가 고정되어 피봇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걸림확인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단부에는 트러니온과 접촉되는 회전롤러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지지대의 타단에는 상단이 상기 견인와이어로프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견인와이어로프가 상기 걸림확인레버를 지지하는 텐션력을 조절하기 위한 상하텐션조정봉이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 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 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장치의 일실시예가 설치되어 걸림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티밍래들의 트러니언이 걸려서 견인되어지는 크레인 후크(1)의 후크부(1a)의 일측면에 고정대(10)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대(10)에는 상하부 스토퍼(11)(12)가 형성된 승강봉(13)이 관통설치되어 있으며, 고정대(10)의 상부 스토퍼(11)와 고정대(13)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14)이 개재되어 있다.
승강봉(13)의 상단에는 수평지지대(15)의 일단이 고정설치되어 있어 수평지지대(15)의 일단에는 회전롤러(16)가 장착되어 있고, 수평지지대(15)의 타단에는 외주면에 나사부(17a)가 형성된 상하텐션조절봉(17)이 관통설치되어 있다. 상하텐션조절봉(17)의 상단에는 고정견인클립(18)에 의하여 견인와이어로프(19)가 결합되어 있고, 하단은 또 다른 고정대(20)에 승강가능하게 관통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견인와이어로프(19)는 보호커버(21)가 복개되어 있다.
크레인 후크(1)의 후크부(1a) 상측에는 후크(1)의 측면에 피봇고정되어 피봇고정부(30a)의 좌우측으로 좌,우측 아암(31)(32)이 형성되고, 좌,우측 아암(31)(32)의 단부에는 표시바(33)(34)가 형성된 걸림확인레버(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좌측 아암(31)에는 견인와이어로프(19)의 상단이 연결고리(22)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티밍래들의 트러니언이 크레인 후크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봉(13)이 압축코일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승강봉(13)의 하부 스토퍼(12)가 고정대(10)의 저면과 밀착된 상태로 상승되어 승강봉(13)의 상단에 결합된 수평지지대(15)가 상승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확인레버(30)는 피벗고정부(30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후크(1)의 측면에 형성된 스토퍼(1b)에 의해 회전이 규제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티밍래들(2)의 트러니언(3)을 크레인 후크가 견인하여 권상시키면 트러니언의 플랜지(3a)가 회전롤러(16)를 눌러주어 수평지지대(15)가 하강된다.
수평지지대(15)의 하강동작에 의해 수평지지대(15)의 일단에 결합된 승강봉(13)이 압축코일스프링(14)을 압축하면서 하강되고 동시에 상하텐션조정봉(15)이 하강되면서 견인와이어로프(19)를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견인와이어로프(19)가 걸림확인레버(30)의 좌측 아암(31)을 잡아당기게 되어 걸림확인레버(30)는 피봇고정부(30a)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수평지지대(15)는 승강봉의 상부 스토퍼(11)가 고정대(10)에 의해 규제되는 위치까지만 하강되므로 걸림확인레버(30)는 견인와이어로프(19)에 의해 도 4b에서와 같이 수평상태가 되는 위치까지만 회전된 상태에서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걸림확인레버의 양측 표시부(33)(34)는 크레인 후크(1)에서 벗어난 상태이기 때문에 도 5에서와 같이, 크레인 후크(1)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운전자(4)도 티밍래들(2)의 트러니언(3)의 걸림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는 티밍래들의 트러니언의 플랜지가 후크부의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는 정상적인 걸림상태에서만 작동되고 주변의 온도 또는 래들의 경동시와 같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운전자가 트러니언의 걸림상태를 항상 정확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티밍래들(2)의 트러니언(3)이 걸려지는 크레인 후크(1)의 후크부(1a)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봉(13)과;
    상기 승강봉(13)을 상기 고정대(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탄력지지하게 설치되는 스프링(14)과;
    상기 승강봉(13)의 상단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트러니언(3)의 걸림동작시 하강되는 수평지지대(15)와;
    상기 수평지지대(15)의 타단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견인와이어로프(19); 및
    상기 후크부(1a)의 상측으로 후크(1)의 측면에 피봇고정되며, 피봇고정부(30a)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아암(31)(32)이 형성되고, 좌,우측 아암의 단부에 표시부(33)(34)가 형성되며, 일측 아암에 상기 견인와이어로프(19)가 고정되어 피봇고정부(30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걸림확인레버(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5)의 일단부에는 트러니언의 플랜지(3a)와 접촉되는 회전롤러(16)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5)의 타단에는 상단이 상기 견인와이어로프(19)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견인와이어로프(19)가 상기 걸림확인레버(30)를 지지하는 텐션력을 조절하기 위한 상하텐션조정봉(17)이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KR20-2003-0024751U 2003-07-31 2003-07-31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KR200331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751U KR200331463Y1 (ko) 2003-07-31 2003-07-31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751U KR200331463Y1 (ko) 2003-07-31 2003-07-31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463Y1 true KR200331463Y1 (ko) 2003-11-01

Family

ID=4933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751U KR200331463Y1 (ko) 2003-07-31 2003-07-31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46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706B1 (ko) * 2013-01-25 2014-09-26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사용후핵연료 용기 인양장치
KR101528035B1 (ko) * 2013-09-11 2015-06-12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의 후크 체결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532335B1 (ko) * 2013-10-01 2015-06-29 주식회사 포스코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
KR20210129450A (ko) * 2020-04-20 2021-10-28 현대제철 주식회사 크레인용 후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706B1 (ko) * 2013-01-25 2014-09-26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사용후핵연료 용기 인양장치
KR101528035B1 (ko) * 2013-09-11 2015-06-12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의 후크 체결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532335B1 (ko) * 2013-10-01 2015-06-29 주식회사 포스코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
KR20210129450A (ko) * 2020-04-20 2021-10-28 현대제철 주식회사 크레인용 후크 장치
KR102383803B1 (ko) * 2020-04-20 2022-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크레인용 후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1463Y1 (ko)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US4213019A (en) Overhead door cable safety device
JPS6017753B2 (ja) 動力駆動昇降機用の落下自動防止装置
WO1999008956A1 (en) Cable slack detector
JP2005255294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1648590B1 (ko) 호이스팅 또는 페잉 아웃 이동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기울어짐 가능한 케이블 쉬리브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
KR101930750B1 (ko) 크레인 점검 장치 및 방법
US5314082A (en) Sensing device for indicating improper orientation of a hoist lifting line
KR100760566B1 (ko)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
US4206940A (en) Handling hook assembly
JP3158650U (ja) トング式吊具
KR100711808B1 (ko) 고온 조업용 오토 통의 자동제어장치
KR200420019Y1 (ko)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KR102383803B1 (ko) 크레인용 후크 장치
CN111847280A (zh) 拔销装置、起重机以及拔销方法
CN218520841U (zh) 曳引绳松绳防护装置
CN216808006U (zh) 一种超限自动保护的叉车铲斗装置
JP2006240796A (ja) フォークリフト
JP2002030623A (ja) 高さ制限装置
US4247086A (en) Lance hoisting and skull detecting apparatus for basic oxygen steelmaking furnaces
CN217025089U (zh) 一种具有防脱槽报警装置的桥式起重机
JP5426836B2 (ja) クレーン制御装置
KR200424720Y1 (ko) 고온 조업용 오토 통의 자동제어장치
CN212245960U (zh) 一种钢丝绳防跳槽报警装置及起重机小车
JP2005212534A (ja) 作業艇フック装置および揚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