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335B1 -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335B1
KR101532335B1 KR1020130117389A KR20130117389A KR101532335B1 KR 101532335 B1 KR101532335 B1 KR 101532335B1 KR 1020130117389 A KR1020130117389 A KR 1020130117389A KR 20130117389 A KR20130117389 A KR 20130117389A KR 101532335 B1 KR101532335 B1 KR 101532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late
bucket
hook 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8963A (ko
Inventor
임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17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335B1/ko
Publication of KR2015003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08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charging treatment chambers, e.g. furnaces, kilns,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in Conveyer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크 걸이대에 후크가 체결되는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장치는 후크 걸이대로부터 상기 후크가 진입하여 수용되는 위치 아래로 이격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동하여 상기 후크의 진입시 접촉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플레이트 및 상기 후크 걸이대에 상기 후크의 체결시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이동을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방법은 후크의 진입 전에 후크 플레이트의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후크의 진입에 의한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이동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후크 진입 전의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초기 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감지 위치에서, 상기 후크 플레이트가 이탈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hook hanging confirmation}
본 발명은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크 걸이대에 후크가 체결되는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산업 현장에서 제품을 적재 또는 출고하는 과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후크(hook) 장치는 그 형태 및 구성이 다양하고 작동에 있어서도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후크 장치는 예를 들어, 크레인 등에 매달려 무거운 물체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후크 장치는 보통 직접적으로 이동 대상물을 걸거나 와이어 등의 매개 부재를 사용해서 이동 대상물을 거는 후크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코크스 건식 소화(CDQ: Coke Dry Quenching) 설비는 코크스 오븐에서 압출된 적열 코크스를 건식 방식으로 냉각시키는 설비이다.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는 적열 코크스가 장입되는 챔버를 포함하며, 챔버의 상부에는 버켓 크레인이 설치된다.
버켓은 전차와 연결된 운반차에 탑재된 채 대기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버켓은 버켓 크레인에 의해 수직으로 들어올려져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상부로 이동된 버켓은 버켓 크레인의 주행에 따라 챔버 상부로 이동된 후, 크레인의 권하 구동에 의해 아래로 하강되어 장입 위치인 챔버 상단으로 내려지게 된다. 이러한 주행 과정을 거쳐 적열 코크스가 담긴 버켓을 챔버 상단으로 이동시켜, 적열 코크스의 장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적열 코크스의 장입이 완료되면 상기 주행의 역순으로 버켓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코크스 건식 소화 공정에서 운반차에 탑재된 버켓이 버켓 크레인에 의해 수직으로 들어 올려지기 위하여는 버켓에 두 개의 후크 걸이대를 설치하고, 상기 후크 걸이대에 버켓 크레인의 후크를 걸어 상기 버켓 크레인의 권상 구동에 의해 버켓을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버켓 크레인의 후크를 버켓의 후크 걸이대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후크의 끼임이나 후크 걸이대로부터 이탈하여 정상적으로 걸리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버켓 크레인의 권상 동작에서 발생하는 후크의 끼임, 쏠림 또는 간격 불량 등에 의하여 버켓의 후크 걸이대로부터 후크가 이탈되고, 나머지 하나의 후크 걸이대에만 후크가 체결되어 버켓이 기울어지게 된다. 이 경우 버켓 크레인의 와이어 절단, 운반차의 손상 및 버켓의 이탈 등에 의한 설비의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가 이를 수동 조작하거나 또는 고장 부위를 보수하는 등의 작업 과정에서 니어 미스(near miss)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일본공개특허 제1996-277087호에서는 버켓 현수구 분리 방지 기구 및 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상기 기재된 버켓 현수구 분리 방지 기구 및 방법은 버켓의 현수구에 구비된 후크 걸이대로부터 후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 걸이대의 일단부의 외경을 축소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이미 후크 걸이대에 진입한 후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후크가 후크 걸이대에 정상적으로 진입하여 체결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제2001-354388호에서는 후크 착탈 감지 제어 기구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상기 기재된 후크 착탈 감지 제어 기구는 후크의 일측에 후크 걸이대에 접촉하여 회동하는 가동부를 설치하여 후크의 착탈을 감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후크의 일측에 가동부를 설치하는 경우, 후크와 후크 걸이대가 직접 접촉하여 체결되는 버켓 크레인에 의한 권상 동작 전에 후크가 후크 걸이대에 먼저 정상적으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결을 위해 이동하는 후크의 일측에 가동부를 설치하여 상기 가동부의 회동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없고, 상기 별도 설치된 가동부로 인하여 후크의 체결을 간섭하여 후크 걸이대에 후크가 정상적으로 걸리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JP 1996-277087 A JP 2001-354388 A
본 발명은 후크 걸이대에 후크가 체결되는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가 정상적으로 체결되지 않아 설비 고장에 따른 안전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장치는, 후크 걸이대에 후크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후크 걸림 확인 장치로서, 상기 후크 걸이대로부터 상기 후크가 진입하여 수용되는 위치 아래로 이격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동하여 상기 후크의 진입시 접촉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플레이트; 및 상기 후크 걸이대에 상기 후크의 체결시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이동을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위치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표시부의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수신된 위치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후크의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샤프트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일 단부가 결합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의 위치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후크의 진입 전의 상기 송출부의 위치에 대향 배치되어 위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송출부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자석 검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후크의 진입 완료 후까지의 상기 송출부의 각각의 위치에 대향 배치되어 각각의 위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에 의한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상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상기 후크 플레이트 및 상기 표시부는 적열 코크스가 장입되는 버켓의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는 적열 코크스가 장입되는 버켓이 안착되는 운반차의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방법은, 후크 걸이대에 후크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후크 걸림 확인 방법으로서, 상기 후크의 진입 전에 후크 플레이트의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후크의 진입에 의한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이동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후크 진입 전의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초기 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감지 위치에서, 상기 후크 플레이트가 이탈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후크의 진입 완료시까지 상기 후크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이동을 각각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후크의 진입 완료시까지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감지 위치에, 상기 후크 플레이트가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에 의하면, 후크 체결시 상기 후크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후크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후크 걸이대에 후크가 체결되는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에서 송출되는 후크 플레이트의 위치 신호를 감지부에 의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신호를 연산하여 후크의 체결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육안에 의하지 아니하고서도 후크의 체결 상태를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후크 진입 전의 후크 플레이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후크가 진입되는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후크 진입 완료 후까지의 후크 플레이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후크가 정상적으로 진입 완료되는지를 순차적으로 판단함으로써 후크의 체결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이로부터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서 버켓을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은 후크 체결시 상기 후크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후크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후크 걸이대에 후크가 체결되는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서 버켓을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적열 코크스가 수용된 버켓(30)의 이동 경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코크스 오븐(미도시)에서 압출된 적열 코크스는 운반차(20)에 탑재된 버켓(30)에 담기고, 운반차(20)에 연결되는 전차(10)에 의해 운반차(20)가 운반차 주행 레일을 따라 움직여 버켓 크레인(40)의 대기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버켓(30)은 버켓 크레인(40)에 의해 권상되어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챔버(50) 상부로 이동되고, 버켓(30)은 챔버(50) 상단에 배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적열 코크스를 챔버(50) 내부로 장입시킨다. 이와 같은 순서를 통해 적열 코크스의 장입이 완료되면 버켓(30)은 상기 순서를 역순으로 진행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후크 걸림 확인 장치는 코크스 오븐으로부터 압출한 적열 코크스가 수용된 버켓(30)을 버켓 크레인(40)의 대기 위치에서 권상하는 경우 버켓(30) 및 상기 버켓(30)을 탑재하는 운반차(2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샤프트(100), 후크 플레이트(200) 및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을 나타내는 표시부(300)는 버켓(30)의 상부 양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300)로부터 송출된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부(400) 및 제어부는 운반차(20)의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A). 그러나, 후크 걸림 확인 장치가 사용되는 곳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크(1)를 이용하여 이동 대상물에 부착된 후크 걸이대(5)에 체결할 수 있는 모든 분야에서 상기 후크 걸림 확인 장치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장치는 후크 걸이대(5)로부터 상기 후크(1)가 진입하여 수용되는 위치 아래로 이격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00), 상기 샤프트(100)에 연동하여 상기 후크(1)의 진입시 접촉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플레이트(200) 및 상기 후크 걸이대(5)에 상기 후크(1)의 체결시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을 나타내는 표시부(300)를 포함한다.
후크 걸이대(5)는 버켓(30)의 상부 양 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버켓(30)의 상부 양 측면에는 상호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3)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3)에 후크 걸이대(5)의 양 단부가 고정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후크 걸이대(5)가 설치되는 위치, 형태 및 개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샤프트(1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의 형상을 가지며, 후크 걸이대(5)로부터 후크(1)가 진입하여 수용되는 위치 아래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샤프트(100)는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크(1) 진입시에 샤프트(100)에 결합되는 후크 플레이트(200)가 후크(1)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경우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후크 플레이트(200)는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샤프트(100)에 결합되고, 후크(1) 진입시 상기 후크(1)와 접촉하기 위한 일정 면적의 접촉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크 플레이트(200)를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 구조물의 형상으로 하는 경우 후크(1)의 진입 및 수용 공간을 제약하지 않게 되나,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크(1) 체결시 접촉하여 회전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300)는 후크(1) 체결시 회전하는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걸이대(5)가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3)에 양 단부가 고정되어 설치되는 경우, 후크 플레이트(200)는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3)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 위치를 작업자가 확인하거나 또는 감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을 외부로 나타내는 표시부(300)에 의하여 작업자는 후크 플레이트(200)가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후크(1)가 체결되는 상태를 판단하고,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표시부(300)는 원거리에 있는 작업자가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에 따른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장치는 상기 표시부(300)가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의 위치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표시부(300)의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부(400) 및 상기 감지부(400)에서 수신된 위치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후크(1)의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1)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후크 걸이대(5)와 후크(1)의 체결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방법에서는 고온 상태에서의 높은 복사열에 의해 후크 걸이대(5)가 설치되는 버켓(30)에 가까이 접근하기가 어렵고, 육안으로 체결 상태를 확인하므로 체결 상태의 정확한 판단이 어려웠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후크(1) 진입시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에 따라 표시부(300)는 후크 플레이트(200)의 위치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감지부(400)는 표시부(300)에서 송출되는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 상태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감지된 후크 플레이트(200)의 위치 신호를 연산하여, 후크(1)가 정상적으로 진입하였는지 등의 체결 상태를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 위치에 따라 판단하여, 버켓 크레인(40)의 권상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표시부(300)는 샤프트(100)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일 단부가 결합되는 회전바(320) 및 상기 회전바(320)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320)의 위치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340)를 포함할 수 있고, 감지부(400)는 후크(1)의 진입 전의 상기 송출부(340)의 위치에 대향 배치되어 위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회전바(3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샤프트(100)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일 단부가 상기 샤프트(100)에 결합된다. 도면에서 회전바(320)는 후크 플레이트(200)와 일정 각도 차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회전바(320)는 일 단부가 샤프트(100)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송출부(340)는 회전바(320)가 샤프트(100)와 결합되는 일 단부의 반대 방향 즉, 상기 회전바(320)의 타 단부에 결합된다. 송출부(340)는 회전바(320)의 위치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회전바(320)의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샤프트(100)에 의하여 연동 회전하는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후크(1)가 후크 걸이대(5)에 진입함에 따라 후크 플레이트(200)는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고, 회전바(320) 또한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바(320)의 위치 신호에 의하여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에 따른 위치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감지부(400)는 후크(1)가 후크 걸이대(5)에 진입하기 전의 송출부(340)의 위치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송출부(340)의 위치 신호를 수신한다. 즉, 후크(1)가 후크 걸이대(5)에 진입함에 따라 후크 플레이트(200) 및 회전바(320)는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고, 후크(1) 진입 전 송출부(340)의 위치에 대향 배치되는 감지부(400)의 감지 범위를 이탈하게 되어 후크(1)의 진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바(32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송출부(340)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을 포함한 송출부(340)의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부(400)는 자석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송출부(340)와 감지부(400)가 적정한 검출 거리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고 터치식 감지, 광전식 감지 또는 유도식 감지 등 송출부(340)의 위치 신호를 감지부(400)가 수신하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감지부(400)는 복수 개가 설치되어 후크(1) 진입 완료 후까지의 송출부(340)의 각각의 위치에 대향 배치되어 각각의 위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감지부(400)를 복수 개로 설치하는 경우, 체결을 위해 후크(1)가 후크 걸이대(5)에 진입하는 정도에 따른 송출부(340) 및 후크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후크(1)의 체결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후크 플레이트(200)는 후크(1)가 후크 걸이대(5)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후크(1)와 접하여 이동하고, 후크(1)가 후크 걸이대(5)에 진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후크 걸림 확인 장치는 후크(1) 진입시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500)는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후크 플레이트(200)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500)가 설치되는 위치도 후크 플레이트(200)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에 의하여 후크 플레이트(200)에 복원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별도의 설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샤프트(100)에 설치 가능한 토션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후크 걸림 확인 장치는 후크(1)가 진입하기 전에 상기 탄성부(500)의 복원력에 의하여 후크 플레이트(200)가 초기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샤프트(100)에 결합되는 후크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스토퍼(600)가 위치하여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스토퍼(600)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크 플레이트(200)가 초기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다.
또한, 후크 걸림 확인 장치는 후크 플레이트(200)의 상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의 상단에 설치되는 롤러(700)에 의해, 후크(1)의 진입시 또는 공정 종료 후 후크(1)의 배출시에 상기 후크(1)와 후크 플레이트(200)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장치의 작동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방법은 상기 후크(1)의 진입 전에 후크 플레이트(200)의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S100), 상기 후크(1)의 진입에 의한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을 감지하는 과정(S200) 및 상기 후크(1) 진입 전의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의 초기 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감지 위치에서,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가 이탈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300)을 포함한다.
도 4 (a)는 후크 걸이대에 후크가 진입하기 전의 후크 플레이트 및 표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a)를 참조하면, 후크(1)가 후크 걸이대(5)에 진입하기 전의 후크 플레이트(200)는 후크(1)의 진입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후크 걸이대(5)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스토퍼(600)에 의하여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 송출부(340) 또한,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와 연동되는 회전바(320)에 결합되어, 송출부(340)의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감지부(400)는 상기 송출부(340)의 초기 위치에 대향 배치되어 송출부(340)의 위치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S100).
도 4 (b)는 후크 걸이대에 후크가 진입하는 중의 후크 플레이트 및 표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b)를 참조하면, 후크(1)가 후크 걸이대(5)에 진입을 시작하면 후크 플레이트(200)는 상기 후크(1)와 접촉하여 샤프트(100)를 축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샤프트(100)에 의하여 연동되는 회전바(320)에 결합되는 송출부(340)도 이동한다. 따라서, 감지부(400)는 후크(1)의 진입시 후크 플레이트(200)가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감지한다(S200).
또한,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후크(1) 진입 전의 후크 플레이트(2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감지 위치에서,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가 이탈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송출부(340)는 후크 플레이트(200)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송출부(340)의 초기 위치에 대향 배치되는 감지부(400)의 감지 범위를 이탈하게 되고, 감지부(400)는 이탈되는 송출부(340)의 위치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감지부(400)가 이탈되는 송출부(340)의 위치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연산하여 후크 걸이대(5)로 후크(1)가 진입하였다는 판단을 한다(S400).
후크(1)가 후크 걸이대(5)를 이탈하여 상기 후크 걸이대(5)에 정상적으로 진입하지 않는 경우, 후크 플레이트(200)는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송출부(340)는 상기 송출부(340)의 초기 위치에 대향 배치된 감지부(400)의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게 되고, 감지부(400)는 이탈되지 않은 송출부(340)의 위치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이탈되지 않은 송출부(340)의 신호를 감지부(400)가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는 후크 걸이대(5)에 후크(1)가 진입하지 않았다는 판단을 하고(S400), 경고음 등의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S700).
따라서, 실시 예에 따른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경우, 상기 후크 걸림 확인 방법에 의하여 버켓(3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후크 걸이대(5)에 후크(1)가 진입하는지 여부를 각각 확인할 수 있게 되고, 후크 걸이대(5)를 이탈하여 후크(1)가 정상적으로 진입하지 않는 경우 발생하는 와이어 절단, 운반차(20)의 손상 및 버켓(30)의 이탈 등 설비 고장에 따른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방법은 상기 후크(1)의 진입 완료시까지 상기 후크(1)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을 각각 감지하는 과정(S500) 및 상기 후크(1)의 진입 완료시까지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감지 위치에,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가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c)는 후크 걸이대에 후크가 진입 완료한 후의 후크 플레이트 및 표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c)를 참조하면, 후크(1)가 후크 걸이대(5)에 진입을 시작한 후에, 후크 플레이트(200)는 후크(1)의 진입 완료시까지 상기 후크(1)와 접촉하여 샤프트(100)를 축으로 계속 회전한다. 감지부(400)는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와 연동하는 송출부(340)의 각각의 위치에 대향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감지부(400)는 상기 후크(1)의 진입 완료시까지 송출부(340)의 위치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을 감지한다(S500).
또한, 제어부는 상기 순차적으로 감지된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후크 진입 완료시까지 후크 플레이트(200)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감지 위치별로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가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후크 걸이대(5)에 후크(1)가 정상적으로 진입이 완료되었다는 판단을 하기 위한 최종 감지 위치는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나, 예를 들어 상기 최종 감지 위치는 후크(1)의 진입에 의하여 후크 플레이트(200)가 최대로 회전 이동하는 위치를 최종 감지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정상적으로 후크(1) 진입이 완료되는 경우, 후크 플레이트(200)는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500)에 의하여 후크(1)와 접촉하여 후크 플레이트(200)가 최대로 회전한 최종 위치를 유지하고, 송출부(340) 또한 이에 대응하는 최종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가 최대로 회전한 최종 위치에 대응하는 최종 감지 위치에 상기 후크 플레이트(200)가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후크(1)가 정상적으로 체결이 완료되었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S600).
보다 상세하게는, 후크(1) 진입 완료시에 상기 송출부(340)는 후크 플레이트(200)의 최종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송출부(340)의 최종 위치에 대향 배치되는 감지부(400)의 감지 범위 내로 진입하게 되고, 감지부(400)는 최종 위치에 진입된 송출부(340)의 위치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감지부(400)가 최종 위치에 진입된 송출부(340)의 위치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연산하여 후크 걸이대(5)에 후크(1)가 정상적으로 체결이 완료되었다는 판단을 한다(S700).
도 4 (d)는 후크 걸이대에 후크가 체결되어 권상시에 후크 플레이트 및 표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d)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상기한 과정에 의하여 후크 걸이대(5)에 후크(1)가 정상적으로 체결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버켓 크레인(40)에 의하여 후크(1)를 권상하고, 적열 코크스가 담긴 버켓(30)을 챔버(50) 상단으로 이동시켜 적열 코크스의 장입을 실시하게 된다.
반면에, 후크(1)의 끼임 등으로 후크 걸이대(5)에 후크(1)가 정상적으로 진입 완료되지 않는 경우, 후크 플레이트(200)는 상기한 최종 위치에 진입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송출부(340)는 상기 송출부(340)의 설정된 최종 위치에 대향 배치된 감지부(400)의 감지 범위 내로 진입하지 못하게 되고, 감지부(400)는 상기 최종 위치에 진입하지 않은 송출부(340)의 위치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설정된 최종 위치에 진입하지 않은 송출부(340)의 신호를 감지부(400)가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는 후크 걸이대(5)에 후크(1)가 정상적으로 체결되지 않았다는 판단을 하고, 경고음 등의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S70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 걸림 확인 방법에 의하면, 후크(1)가 진입한 후에도 후크(1)가 정상적으로 진입이 완료되었다는 판단을 하기 위한 최종 감지 위치까지의 후크 플레이트(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후크(1)가 정상적으로 진입 완료되는지를 순차적으로 판단함으로써 후크(1)의 체결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 후크 5: 후크 걸이대
10: 전차 20:운반차
30: 버켓 40: 버켓 크레인
50: 챔버 100: 샤프트
200: 후크 플레이트 300: 표시부
320: 회전바 340: 송출부
400: 감지부 500: 탄성부
600: 스토퍼 700: 롤러

Claims (13)

  1. 버켓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후크 걸이대에 후크의 진입 및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후크 걸림 확인 장치로서,
    상기 버켓의 상부 양 측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후크 걸이대의 양 단부가 고정되도록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
    상기 후크 걸이대로부터 상기 후크가 진입하여 수용되는 위치 아래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후크의 진입시 상기 후크와 일정 면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샤프트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플레이트;
    상기 샤프트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게 일 단부가 결합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의 위치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서의 후크 플레이트의 이동을 외부로 나타내는 표시부;
    상기 후크의 진입 전부터 진입 완료 후까지의 상기 송출부의 각각의 위치에 대향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어, 각각의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수신된 위치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후크의 진입 및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후크 걸림 확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자석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후크 걸림 확인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후크 걸림 확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후크 걸림 확인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에 의한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후크 걸림 확인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 플레이트의 상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후크 걸림 확인 장치.
  10.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상기 후크 플레이트 및 상기 표시부는 적열 코크스가 장입되는 버켓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후크 걸림 확인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는 적열 코크스가 장입되는 버켓이 안착되는 운반차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후크 걸림 확인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117389A 2013-10-01 2013-10-01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 KR101532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389A KR101532335B1 (ko) 2013-10-01 2013-10-01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389A KR101532335B1 (ko) 2013-10-01 2013-10-01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963A KR20150038963A (ko) 2015-04-09
KR101532335B1 true KR101532335B1 (ko) 2015-06-29

Family

ID=5302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389A KR101532335B1 (ko) 2013-10-01 2013-10-01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3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0354B (zh) * 2015-05-14 2018-05-04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挂吊到位提示机构
CN106395613B (zh) * 2016-11-30 2018-02-06 国家电网公司 一种导线吊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646A (ko) * 1998-12-23 2000-07-15 신현준 자기센서를 이용한 크레인 위치검출장치
JP2001354388A (ja) * 2000-06-14 2001-12-25 Mitsubishi Heavy Ind Ltd レードルフック着脱検知式制御機構
KR200331463Y1 (ko) * 2003-07-31 2003-11-01 주식회사 포스코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646A (ko) * 1998-12-23 2000-07-15 신현준 자기센서를 이용한 크레인 위치검출장치
JP2001354388A (ja) * 2000-06-14 2001-12-25 Mitsubishi Heavy Ind Ltd レードルフック着脱検知式制御機構
KR200331463Y1 (ko) * 2003-07-31 2003-11-01 주식회사 포스코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963A (ko)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43000B (zh) 电梯系统
CN104995125A (zh)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TWI636933B (zh) Automatic warehouse and automatic warehouse control method
KR101532335B1 (ko)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
CN105084161A (zh) 一种电梯
CN104507848A (zh)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CN110422761A (zh) 一种正面吊集装箱防脱轨自动控制系统及方法
CN112573353B (zh) 一种空轨动车吊具及控制系统、控制方法
KR20130069769A (ko) 스태커/리클레이머의 트리퍼 연결/분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14166909A (ja) 船舶荷役方法及び船舶荷役装置
CN101284539A (zh) 机械绳索升降机线缆的感应传感器的监控装置
WO2022236903A1 (zh) 一种可视自动装卸物流运输车及其自动装卸自动报警方法
KR101310836B1 (ko) 선박용 접안장치
KR101114930B1 (ko) 코크스 오븐의 석탄 장입 높이 측정 장치
JP3236828U (ja) コンベヤシステムの張力測定ユニット
CN206615931U (zh) 熔化炉炉盖的吊装装置及熔化炉系统
KR101245513B1 (ko) 감지장치 및 센서가 부착된 후크로 작동하는 무인크레인
JP4887987B2 (ja) 天井走行台車の移載機位置決め装置
KR102383803B1 (ko) 크레인용 후크 장치
JP6736439B2 (ja) 天井クレーン設備
JP3835186B2 (ja) バラ荷重量物搬送容器の整備状態及び操作性の判定方法
KR101719041B1 (ko) 자동 이송장비의 사전 경고시스템
KR101673272B1 (ko) 이동방향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처리방법
JP2015222127A (ja) コンテナー搬送設備及びコンテナー搬送制御方法
JPH06282328A (ja) コイル端垂れ下りの自動検知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