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803B1 - 크레인용 후크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후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803B1
KR102383803B1 KR1020200047478A KR20200047478A KR102383803B1 KR 102383803 B1 KR102383803 B1 KR 102383803B1 KR 1020200047478 A KR1020200047478 A KR 1020200047478A KR 20200047478 A KR20200047478 A KR 20200047478A KR 102383803 B1 KR102383803 B1 KR 102383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hook
crane
sensing unit
transf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450A (ko
Inventor
김보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7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80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40Crane hooks formed or fitted with load measuring or indic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용 후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용 후크 장치는 래들에 구비된 래들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이부가 구비된 후크몸체와, 상기 걸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래들 걸림돌기의 걸림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걸이부의 일측 면에 설치되고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래들 걸림돌기의 걸림 동작 시에 상기 래들 걸림돌기에 의해 눌려서 하강하게 구비되는 하중전달판과, 상기 하중전달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래들 걸림돌기의 걸림 동작 시에 상기 하중전달판과 접촉되어 상기 래들 걸림돌기의 걸림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인용 후크 장치{HOOK APPARATUS FOR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용 후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래들의 안착 상태를 쉽고 정확하게 확인 가능한 크레인용 후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 등에서 사용하는 천장크레인과 후크의 구조 특성상, 천장 크레인 운전실이 있는 거더의 반대편 후크는 운전실과 거리가 멀고 래들(ladle)에 의해 가려진다. 이로 인해 후크의 걸림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워서 래들 권상 중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4411호(2000.09.15. 등록, 발명의 명칭: 크레인 후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표시부의 표시만으로 크레인의 운전자가 래들 걸림고리가 후크몸체에 구비된 걸이부의 정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래들의 인양 중에 래들의 낙하나 전도로 인한 대형 조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천장 크레인 운전자의 육체적, 정신적 작업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장치는 래들에 구비된 래들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이부가 구비된 후크몸체와, 상기 걸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래들 걸림돌기의 걸림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걸이부의 일측 면에 설치되고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래들 걸림돌기의 걸림 동작 시에 상기 래들 걸림돌기에 의해 눌려서 하강하게 구비되는 하중전달판과, 상기 하중전달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래들 걸림돌기의 걸림 동작 시에 상기 하중전달판과 접촉되어 상기 래들 걸림돌기의 걸림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하중전달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이부의 일측 면에 결합되며, 상기 센서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하중전달판을 탄성지지하며, 상기 하중전달판의 하강 시에 압축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중전달판은 상면에 상기 래들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안착부가 형성된 전달판본체와, 상기 전달판본체에 관통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관통되고 상기 걸이부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홀과 함께 상기 하중전달판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게 구비되는 지지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하중전달판이 상기 센서부재에 접촉되면 발광하도록 구비된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에 결합되고, 상기 감지부를 커버하게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이용하면, 표시부의 표시만으로 크레인의 운전자가 래들 걸림고리가 후크몸체에 구비된 걸이부의 정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래들의 인양 중에 래들의 낙하나 전도로 인한 대형 조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천장 크레인 운전자의 육체적, 정신적 작업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속하게 래들의 안착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장치에 래들이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용 후크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용 후크 장치의 좌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용 후크 장치의 걸림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크레인용 후크 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강공정에서 고온의 용융 금속물을 담는 용기인 래들(20)(ladle)이 사용된다. 이러한 래들(20)은 높은 온도와 상당한 무게로 인해 크레인을 이용하여 공정에서 공정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은 제강공정에서 래들(20)에 의한 이송이 필요한 모든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래들(20)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송하기 위해 외주면에 래들 걸림돌기(21)(트러니언, trunnion)가 돌출 형성된다. 래들 걸림돌기(21)는 래들(20)의 외주면에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래들(20)을 크레인으로 이송하기 위해 크레인에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100)가 사용된다. 크레인용 후크 장치(100)는 래들(20)의 양쪽에 걸리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장치(100)에 래들(20)이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용 후크 장치(10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용 후크 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용 후크 장치(100)의 좌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용 후크 장치(100)는 후크몸체(110)와, 감지부(130)와,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후크몸체(110)는 래들(20)에 구비된 래들 걸림돌기(21)가 걸리는 걸이부(113)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후크몸체(110)는 본체부(111)와, 본체부(111)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크레인의 래들 빔(10)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부(112)와, 본체부(11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래들(20)이 걸릴 수 있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걸이부(113)의 형상은 래들 걸림돌기(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걸이부(113)의 형상은 도시된 일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걸이부(113)가 걸릴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걸이부(113)에 설치되고, 래들 걸림돌기(21)의 걸림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래들 걸림돌기(21)의 걸림 상태는, 후크가 래들(20)을 인양하고 있는지 여부와, 래들(20)을 인양하고 있는 경우 래들 걸림돌기(21)가 걸이부(113)의 정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또한 표시부(150)는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50)는 래들 걸림돌기(21)가 걸이부(113)의 정위치에 안착된 경우, 이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50)의 종류에는 한정이 없고,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다면 발광, 소리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30)는 하중전달판(131)과 센서부재(136)를 포함한다.
하중전달판(131)은 걸이부(113)의 일측 면에 설치되고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래들 걸림돌기(21)의 걸림 동작 시에 래들 걸림돌기(21)에 의해 눌려서 하강하게 구비된다.
크레인용 후크 장치(1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상 한 쌍의 크레인용 후크 장치(100)의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내측이라 하고, 내측의 반대 방향을 외측이라 한다. 이때 하중전달판(131)은 후크몸체(110)의 걸이부(113)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중전달판(131)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래들 걸림돌기(21)가 걸이부(113)에 걸리는 걸림 동작 시에 하중전달판(131)은 래들 걸림돌기(21)에 의해 눌려서 하강할 수 있다. 즉 걸림 동작 시에 걸이부(113)의 정위치에 안착되는 경우, 래들 걸림돌기(21)는 걸이부(113)와 함께 하중전달판(131)에도 걸릴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하중전달판(131)은 래들 걸림돌기(21)가 걸리지 않는 경우 무하중 상태가 되어 상승된 본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하중전달판(131)은 래들 걸림돌기(21)가 걸린 경우 래들 걸림돌기(21)에 의해 하중이 작용하여 하강할 수 있다.
센서부재(136)는 하중전달판(131)의 하부에 구비되고, 래들 걸림돌기(21)의 걸림 동작 시에 하중전달판(131)과 접촉되어 래들 걸림돌기(21)의 걸림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재(136)는 하중전달판(131)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하중전달판(131)과 접촉 또는 비접촉됨으로써, 래들 걸림돌기(21)의 걸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래들(20)이 후크 장치에 인양되지 않거나, 래들 걸림돌기(21)가 걸이부(113)의 정위치에 안착되지 않은 경우, 센서부재(136)는 하중전달판(131)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서부재(136)는 래들(20)의 비정상적인 걸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반면 래들(20)이 후크 장치에 인양되고, 래들 걸림돌기(21)가 걸이부(113)의 정위치에 안착된 경우, 하중전달판(131)에 하중이 작용하여 하강하고, 센서부재(136)는 하중전달판(131)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서부재(136)는 래들(20)의 정상적인 걸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재(136)는 표시부(150)와 연결될 수 있고, 래들(20)의 정상적인 걸림 상태를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를 표시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센서부재(136)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장치(100)를 이용하면, 표시부(150)의 표시만으로 크레인의 운전자가 래들(20) 걸림고리가 후크몸체(110)에 구비된 걸이부(113)의 정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래들(20)의 인양 중에 래들(20)의 낙하나 전도로 인한 대형 조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천장 크레인의 운전자의 육체적, 정신적 작업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속하게 래들(20)의 안착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 즉 종래에는 크레인의 하부에서 래들(20)의 걸림고리의 안착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신호하는 신호수를 배치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신호수 배치가 불필요하고, 운전자가 표시부(150)에 의해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감지부(130)는 지지대(137)와 탄성부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37)는 하중전달판(131)의 하부에 설치되고 걸이부(113)의 일측 면에 결합되며, 센서부재(136)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37)는 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137)는 걸이부(113)의 외측 면에 고정될 수 있고, 센서부재(136)는 지지대(137)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135)는 지지대(137)에 설치되고 하중전달판(131)을 탄성지지하며, 하중전달판(131)의 하강 시에 압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35)는 하중전달판(131)의 하측을 향하는 면과 지지대(137)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하중전달판(131)을 하측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35)는 하중전달판(131)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하중전달판(131)은 센서부재(136)에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하중전달판(131)이 래들 걸림돌기(21)에 의해 하강하면, 하중전달판(131)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중전달판(131)과 센서부재(136)가 접촉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후 래들 걸림돌기(21)가 제거되면, 탄성부재(135)는 하중전달판(131)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35)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탄성부재(135)의 종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하중전달판(13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하중전달판(131)은 전달판본체(132)와 가이드홀(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판본체(132)는 상면에 래들 걸림돌기(2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안착부(132a)가 형성된다. 안착부(132a)는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래들 걸림돌기(21) 및 걸이부(113)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133)은 전달판본체(132)에 관통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홀(133)은 전달판본체(132)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홀(133)은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1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감지부(130)는 지지핀부재(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핀부재(134)는 가이드홀(133)에 관통되고 걸이부(113)에 고정되며, 가이드홀(133)과 함께 하중전달판(13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핀부재(134)는 하중전달판(131)에 관통되고 걸이부(113)의 외측면에 고정됨으로써, 하중전달판(131)을 걸이부(113)의 외측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핀부재(134)는 가이드홀(133)에 삽입되어 가이드홀(133)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므로, 가이드홀(133)과 함께 하중전달판(13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지지핀부재(134)는 하중전달판(131)을 걸이부(113)의 외측면에 결합시키는 역할과, 하중전달판(13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커버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40)는 걸이부(113)에 결합되고 감지부(130)를 커버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140)는 걸이부(113)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수용 공간에 하중전달판(131)과 센서부재(136) 및 탄성부재(135)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재(140)는 감지부(130)를 보호하되, 하중전달판(131)과 래들 걸림돌기(21)의 걸림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재(140)는 하중전달판(131)의 안착부(132a)에 대응되게 가운데 영역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커버부재(14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140)는 감지부(13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됨으로써, 걸림 동작시나 래들(20)의 인양 시에 감지부(13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50)는 발광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재(150)는 상기 하중전달판(131)이 상기 센서부재에 접촉되면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재(150)는 센서부재(136)로부터 걸림 상태 감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점등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도 4 참조), 센서부재(136)로부터 걸림 상태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5 참조). 다만 발광부재(150)의 발광(점등) 방식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발광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재(150)는 센서부재(136)와 하중전달판(131)의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발광부재(150)는 래들 빔(10)의 상부에 경광등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가 크레인 운전 중에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발광부재(150)의 설치위치는,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재(150)는 운전실의 조작 판넬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이용하면, 표시부의 표시만으로 크레인의 운전자가 래들 걸림고리가 후크몸체에 구비된 걸이부의 정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래들의 인양 중에 래들의 낙하나 전도로 인한 대형 조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천장 크레인의 운전자의 육체적, 정신적 작업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속하게 래들의 안착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래들 빔 20: 래들
21: 래들 걸림돌기 100: 크레인용 후크 장치
110: 후크몸체 111: 본체부
112: 연결부 113: 걸이부
130: 감지부 131: 하중전달판
132: 전달판본체 132a: 안착부
133: 가이드홀 134: 지지핀부재
135: 탄성부재 136: 센서부재
137: 지지대 140: 커버부재
150: 표시부, 발광부재

Claims (5)

  1. 래들에 구비된 래들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이부가 구비된 후크몸체;
    상기 걸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래들 걸림돌기의 걸림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걸이부의 일측 면에 설치되고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래들 걸림돌기의 걸림 동작 시에 상기 래들 걸림돌기에 의해 눌려서 하강하게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래들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안착부가 형성된 전달판본체를 구비하는 하중전달판;
    상기 하중전달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래들 걸림돌기의 걸림 동작 시에 상기 하중전달판과 접촉되어 상기 래들 걸림돌기의 걸림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센서부재; 및
    상기 걸이부에 결합되고, 상기 감지부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감지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하중전달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이부의 일측 면에 결합되며, 상기 센서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하중전달판을 탄성지지하며, 상기 하중전달판의 하강 시에 압축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전달판은 상기 전달판본체에 관통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관통되고 상기 걸이부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홀과 함께 상기 하중전달판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게 구비되는 지지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하중전달판이 상기 센서부재에 접촉되면 발광하도록 구비된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5. 삭제
KR1020200047478A 2020-04-20 2020-04-20 크레인용 후크 장치 KR102383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478A KR102383803B1 (ko) 2020-04-20 2020-04-20 크레인용 후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478A KR102383803B1 (ko) 2020-04-20 2020-04-20 크레인용 후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450A KR20210129450A (ko) 2021-10-28
KR102383803B1 true KR102383803B1 (ko) 2022-04-05

Family

ID=7823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478A KR102383803B1 (ko) 2020-04-20 2020-04-20 크레인용 후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8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463Y1 (ko) * 2003-07-31 2003-11-01 주식회사 포스코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182Y1 (ko) * 1992-11-12 1995-04-24 박득표 용강래들 트러니언 핀(Trunnion Pins)의 후크(Hook) 걸림상태 검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463Y1 (ko) * 2003-07-31 2003-11-01 주식회사 포스코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450A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6862B2 (ja) クレーン及び関連する操作方法
CN104995125B (zh)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CN104507848B (zh) 起重机及相关操作方法
KR20140147392A (ko)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철강 코일 그립퍼
KR102383803B1 (ko) 크레인용 후크 장치
US4273243A (en) Lift centering device
US4499971A (en) Material handling vehicle having improved chain monitoring
CN101730655A (zh) 提升吊钩
US20210214191A1 (en) Improved pipe spreader
KR101287341B1 (ko) 안전과 편의기능을 강화한 선박 판넬블록 용접로봇용 프레임 장치
CN216549513U (zh) 一种自动升降平台防坠落装置
KR20060106314A (ko) 레이들 이동감지장치
KR101930750B1 (ko) 크레인 점검 장치 및 방법
KR20120004281A (ko) 감지장치 및 센서가 부착된 후크로 작동하는 무인크레인
JP2015081193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3427052B2 (ja) 着床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コンテナクレーン
KR101532335B1 (ko) 후크 걸림 확인 장치 및 확인 방법
KR200331463Y1 (ko) 티밍래들의 트러니언 걸림상태 확인장치
KR20160100061A (ko) 추락 방지 기능을 갖는 통키
KR950003182Y1 (ko) 용강래들 트러니언 핀(Trunnion Pins)의 후크(Hook) 걸림상태 검지장치
CN219489354U (zh) 一种阴极铜抓取专用夹具
CN212581805U (zh) 导焦系统及用于焦罐的提升机构
KR200260906Y1 (ko) 천정기중기의 슬래브 낙하 방지장치
KR200265063Y1 (ko) 후크 크레인용 와이어 고정장치
KR200270189Y1 (ko) 와이어 로우프 기울림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