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019Y1 -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019Y1
KR200420019Y1 KR2020060008668U KR20060008668U KR200420019Y1 KR 200420019 Y1 KR200420019 Y1 KR 200420019Y1 KR 2020060008668 U KR2020060008668 U KR 2020060008668U KR 20060008668 U KR20060008668 U KR 20060008668U KR 200420019 Y1 KR200420019 Y1 KR 200420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bar
crane hook
wire rope
crane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민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8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0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 후크에서 와이어 로프를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와이어 로프의 인출동작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조는 와이어 로프가 진입가능하도록 개구된 크레인 후크의 진입구측에 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텐션 바와, 그 텐션 바가 회전되는 경로를 따라 크레인 후크의 내주면에 요홈지게 형성되는 요홈부와, 그 텐션 바와 요홈부 사이에 마련되어 그 텐션 바의 하부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된다.
그 텐션 바의 다른 실시예로는, 크레인 후크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부의 경로를 따라 텐션 바가 슬라이딩 이동방식으로 수직으로 승강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레인 후크의 진입부에 위치하는 텐션 바가 와이어 로프에 중량물이 연결될 때에만 선택적으로 회전 동작되고, 중량물의 무게가 없어질 때에는 다시 텐션 바가 원래의 수평위치로 복귀되어 와이어 로프를 수평 이동시켜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SUPPORT STRUCTURE FOR A WIRE-ROPE IN CRANE HOOK}
도 1은 일반적인 천정 크레인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크레인 후크 110 : 요홈부
115 : 걸림턱 210 : 텐션 바
215 : 힌지축 220 : 스프링부재
300 : 와이어 로프
본 고안은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레인 후크에 매달려 결속되는 와이어 로프의 하중 변화에 따라 와이어 로프의 인출 동작이 용이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중량물을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서, 그 기능 및 형태에 따라 탑형크레인, 천정크레인, 지브(jib)크레인등으로 분류된다.
여기서는 천정 크레인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되, 종래 천정 크레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에 근접되게 설치되고 좌,우 및 전,후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크레인 본체(12)와, 그 크레인 본체(12)에 설치된 모터(미도시)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는 로프 드럼(14)과, 로프 드럼(14)과 크레인 시브(15)에 권회되는 와이어 로프(17)와, 와이어 로프(17)의 승강에 따라 연동되도록 크레인 시브(15)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후크(16)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크레인은 모터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 로프(17)가 로프 드럼(14)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와이어 로프(17)의 권상 및 권하에 의해 후크(16)가 승강 이동하게 되고, 그 후크(16)에 구조물이 걸려진 다음에 상,하로 승강 및 좌,우 이동되어 타 설비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터의 동력이 축을 통하여 횡행 차륜에 전달되어 횡행 차량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와이어 로프(17)는 각각의 크레인 시브(15)와 연결되어 로프 드럼(14)에 고정되어 있으며, 모터의 동력을 로프 드럼(14)이 받아 회전하므로 와이어 로프(17)를 로프 드럼(14)에서 권회시키게 된다.
기존의 크레인 후크는 와이어 로프를 걸어서 인양하는 과정에서 크레인 후크로부터 와이어 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레인의 후크의 진입부에 잠금장치가 마련된 것이 있다.
그 크레인 후크용 잠금장치는 통상적으로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으로 크레인 후크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록킹구가 설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에는 작업자가 와이어 로프를 크레인 후크에 걸거나 빼내는 작업에서 록킹구와 후크 사이에 손이 끼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작업자가 이를 모르는 상황에서 크레인을 인양하면서 더 큰 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중량물의 이송이 완료된 후에는, 크레인 후크로부터 와이어 로프를 이탈시키기 위한 과정중에 록킹구에 의해 내측으로 록킹 결합된 와이어 로프를 해제하기 위해 크레인 후크의 입구를 개폐하는 록킹구를 젖혀서 입구를 개방시킨 후에 와이어 로프를 입구측으로 들어올려 크레인 후크로부터 이탈시키는 번거로운 과정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중량물의 이송이 완료된 후에 와이어 로프를 크레인 후크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크레인 후크의 내주면을 따라 요홈 형태로 형성되는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에 설치되며 와이어 로프측에 중량물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 하강되도록 승강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텐션 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요홈부가 크레인 후크의 내주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텐션 바의 일단부가 상기 요홈부의 일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기 텐션 바의 하부면과 크레인 후크의 내주면 사이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텐션 바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요홈부가 크레인 후크의 내주면을 따라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텐션 바의 양단부가 요홈부의 양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텐션 바의 하부면과 상기 요홈부의 내주면에 개재되도록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요홈부의 단부에 상기 텐션 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간섭되는 위치에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의 일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조는 고리 형태의 크레인 후크(100)의 내주면 형상을 따라 대응되게 요홈지게 형성되는 요홈부(110)와, 그 요홈부(110)의 내부에 마련된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수용되며 하부면이 스프링부재(2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텐션 바(21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승강수단은 텐션 바(210)의 일단부가 요홈부(110)의 내주면 일측과 힌지축(215)으로 축결합되고, 그 텐션 바(210)의 하부면과 요홈부(110)의 바닥면 사이에 스프링부재(220)가 개재 설치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그 텐션 바(210)는 바(BAR) 형태로 구성되어 일단부가 힌지축(215)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고, 타단부가 요홈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자유단 형태로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그 스프링부재(220)는 일단부가 텐션 바(210)의 하부면과 접촉되고, 타단부가 요홈부(110)의 중앙에 위치하는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텐션 바(210)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요홈부(110)의 타측 단부에는 텐션 바(210)의 단부와 간섭되도록 걸림턱(115)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텐션 바(210)의 타단부가 요홈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 걸림턱(115)은 생략가능하며, 그 생략될 경우에는 스프링부재(220)의 단부가 텐션 바(210)의 하부면과 용접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에서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의 일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는, 평상시(와이어 로프(300)에 중량물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는 중량물과 연결된 와이어 로프(300)를 크레인 후크(100)의 내측으로 걸어서 와이어 로프(300)를 텐션 바(210)의 상부면에 접촉시키면, 그 중량물의 하중이 와이어 로프(300)를 통해 텐션 바(210)측에 전달되어 텐션 바(210)의 타단부가 스프링부재(220)의 탄성 지지력을 벗어나 하측으로 하강된다.
이때, 텐션 바(210)의 일단부가 힌지축(215)에 의해 축결합되어 있으므로, 중량물의 하중이 작용하는 타단부측이 요홈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와이어 로프(300)가 요홈부(110)의 내부 중앙으로 위치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후에 크레인을 상승 동작시키면, 크레인 후크(100)에 걸려 있는 와이어 로프(300)를 통해 중량물의 하중이 텐션 바(210)에 전달되므로, 와이어 로프(300)가 크레인 후크(100)의 중앙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되어 안정감있게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크레인의 하강동작에 의해 중량물의 이송이 완료된 후에는, 와이어 로프(300)측에 작용하는 중량물의 하중이 제거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텐션 바(210)가 다시 원 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을 갖는다.
이때, 그 스프링부재(220)의 탄성력을 텐션 바(210)의 타단부를 상측으로 밀어서 힌지축(215)을 중심으로 시계바늘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후에 회전되는 텐션 바(210)의 타단부는 요홈부(110)의 걸림턱(115)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간섭된다.
또한, 와이어 로프(300)는 그 텐션 바(210)의 상부면에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로프(300)의 회전에 따라 같이 상승하게 되어 크레인 후크(100)의 입구측에 거의 수평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 후크(100)의 입구측에 위치한 와이어 로프(300)를 당겨서 손쉽게 크레인 후크(10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크레인 후크(100)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300)가 중량물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는 힌지축(215)을 중심으로 텐션 바(210)가 시계바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크레인 후크(100)측에 와이어 로프(300)가 견고하게 걸린 상태로 중량물의 안전한 인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반면에 와이어 로프(300)측에 중량물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프링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텐션 바(21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동작되어 와이어 로프(300)의 인출작업이 용이하도록 크레인 후크(100)의 입구측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조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 구성요소는 동일하나, 그 승강수단에서 힌지축(215)이 생략되고 요홈부(110)가 크레인 후크(100)의 내주면 형상을 따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게 수직으로 형성되고, 그 요홈부(110)내에 바 형태의 텐션 바(210)가 승강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그 텐션 바(210)와 요홈부(110) 사이에 스프링부재(220)가 개재되어 텐션 바(210)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된 것이다.
또, 그 요홈부(110)의 타측 단부에는 텐션 바(2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 림턱(115)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텐션 바(210)의 양단부가 요홈부(110)의 양측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그 승강동작은 텐션 바(210)측에 중량물의 하중이 전달되는 지의 유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중량물의 인양을 위한 와이어 로프가 크레인 후크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탄성 지지되는 구조로 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중량물의 하중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 와이어 로프가 크레인 후크의 입구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와이어 로프 인출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손가락이 와이어 로프와 크레인 후크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크레인 후크의 내주면에 요홈 형태로 형성되는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에 설치되며 와이어 로프측에 중량물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 하강되도록 승강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텐션 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요홈부가 크레인 후크의 내주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텐션 바의 일단부가 상기 요홈부의 일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기 텐션 바의 하부면과 크레인 후크의 내주면 사이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텐션 바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요홈부가 크레인 후크의 내주면을 따라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텐션 바의 양단부가 요홈부의 양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텐션 바의 하부면과 상기 요홈부의 내주면에 개재되도록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의 단부에 상기 텐션 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간섭되는 위치에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KR2020060008668U 2006-03-31 2006-03-31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KR200420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68U KR200420019Y1 (ko) 2006-03-31 2006-03-31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68U KR200420019Y1 (ko) 2006-03-31 2006-03-31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019Y1 true KR200420019Y1 (ko) 2006-06-30

Family

ID=4176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668U KR200420019Y1 (ko) 2006-03-31 2006-03-31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0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661B1 (ko) 2016-02-04 2017-10-20 곽철우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
CN108792929A (zh) * 2018-09-07 2018-11-13 重庆海装风电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吊钩组件及吊装设备
KR20230047831A (ko) 2021-10-01 2023-04-10 화정준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661B1 (ko) 2016-02-04 2017-10-20 곽철우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
CN108792929A (zh) * 2018-09-07 2018-11-13 重庆海装风电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吊钩组件及吊装设备
KR20230047831A (ko) 2021-10-01 2023-04-10 화정준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1751B1 (en) Lifting hook with a safety latch and capable of being provided with automatic load release function
KR200420019Y1 (ko)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KR101976378B1 (ko) 구조적인 안전성을 갖는 샤클
JP3158650U (ja) トング式吊具
KR101109812B1 (ko) 천장 기중기의 쉬브 기구
KR101245513B1 (ko) 감지장치 및 센서가 부착된 후크로 작동하는 무인크레인
JP6039011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30031018A (ko) 운반 장치
JPH1095590A (ja) 荷吊下げ装置
KR200355684Y1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안전장치
JP2006008410A (ja) 荷役用ハンガー
JPS5848318Y2 (ja) つかみ装置
JP4036704B2 (ja) シリンダ吊り具
JP3382540B2 (ja) 吊り具
KR200366335Y1 (ko) 크레인 후크의 연결구조
CN215626198U (zh) 管片吊具的卡爪锁定装置及管片吊具
JPH07247004A (ja) ボックスパレット
KR200391027Y1 (ko) 크레인 후크의 잠금장치
KR200254184Y1 (ko) 섬유질 로프 권상기구
SU1240722A1 (ru) Крановый захват-кантователь
KR200386081Y1 (ko) 크레인용 중추 리미트의 결합구조
JPH07488Y2 (ja) 防風雪柵展開格納装置
RU2245291C2 (ru) Грузо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рюком-самоотцепом и самооткрывающимся затвором при снятии груза
JP2005119767A (ja) 吊り具
JPH0213596A (ja) クレーンのト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