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661B1 -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661B1
KR101788661B1 KR1020160013981A KR20160013981A KR101788661B1 KR 101788661 B1 KR101788661 B1 KR 101788661B1 KR 1020160013981 A KR1020160013981 A KR 1020160013981A KR 20160013981 A KR20160013981 A KR 20160013981A KR 101788661 B1 KR101788661 B1 KR 10178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connection line
housing
line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824A (ko
Inventor
곽철우
이순이
Original Assignee
곽철우
이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철우, 이순이 filed Critical 곽철우
Priority to KR1020160013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6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줄이 설치된 바다에서 조수간만의 차이가 발생하여 해수면의 수위가 바뀌어도 연결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면과 연결되는 제1 연결줄과 해수면의 부유체와 연결되는 제2 연결줄을 포함하는 연결줄에 있어서 제1 연결줄과 제2 연결줄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절유닛을 구비하여 해수면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기 조절유닛이 하우징내에서 승하강운동을 하여 제1 연결줄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 연결줄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LINE TENSION MAINTENANCE DEVICE}
본 발명은 연결줄이 설치된 바다에서 조수간만의 차이가 발생하여 해수면의 수위가 바뀌어도 연결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면과 연결되는 제1 연결줄과 해수면의 부유체와 연결되는 제2 연결줄을 포함하는 연결줄에 있어서 제1 연결줄과 제2 연결줄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절유닛을 구비하여 해수면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기 조절유닛이 하우징내에서 승하강운동을 하여 제1 연결줄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 연결줄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중림, 즉 바다숲은 해양 수중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해양 환경을 정화하며, [0005] 각종 어패류의 산란장과 성육장을 제공하여 해양 생태계의 일차 생산자로서 그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내 연안 어장에서 무성했던 미역, 다시마, 감태, 모자반 의 다년생 해조류 군락이 고수온, 저염분, 해양오염, 조식성 동물의 과다 섭생 등으로 생태계가 파괴되어 갯녹음 현상(즉, 백화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그 피해면적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나친 해안선 개발, 항만 공사, 레저 활동, 수중 관람 등으로 인한 해조 군락의 훼손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갯녹음 현상(즉, 백화현상)이 발생된 해역에서는 수산자원의 고갈을 물론 부영양화도 촉진되어 이를 인위적으로 회복시키려는 노력 없이는 자연적인 치유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위적으로 바다숲을 조성하여 복원하려는 기술들이 검토되고 있는 실정인데, 본 발명의 고안자 역시 과거 여러 기술들을 고안해서 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080239호(2011.10.31)『해조류이식체 및 상기 해조류이식체를 이용한 바다숲조성방법』, 등록특허 제10-1213463호(2012.12.12)『포자 보호가 강화된 바다숲 조성장치』, 등록특허 제10-1161782호(2012.06.26)『바다숲 조성을 위한 포자이식장치』등을 들 수 있다.
바다숲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씨(협의 개념의 포자)를 바다숲에 뿌려 발아가 이루어져 성장하여 성체가 되면서 바다숲을 조성시키는 방법과, 바다숲에 처음부터 다 자란 성체를 이식시켜 성체(成體)에서부터 포자방출을 유도하여 바다숲을 조성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작업성이나 효과면에서는 후자가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성체를 이식해 옴에 있어 제10-1080239호와 같이 성체 이식을 위한 이식체를 별도 마련하여 마련된 이식체에 성체를 이식한 후 이를 바다에 투하하여 바다숲을 조성할 수 있고, 또는 등록특허 제10-1213463호나 등록특허 제10-1161782호와 같이 성체 이식을 위한 이식체를 별도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로프에 성체를 고정시킴으로써 성체를 이식시켜 바다숲을 조성할 수 있다. 물론, 작업성이나 효과면에서는 후자가 더 바람직하다.
특히 등록특허 제10-1213463호에서도 포자줄에 외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강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 부하가 걸린 포자줄만이 절단되도록 하는 절단부재가 구비되어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목적과 일응 공통되는 부분이 인정된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1213463호에 개시된 절단부재 및 이러한 절단부재를 로프에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 일부분만이 절단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절단부재를 설치해야한다는 한계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521630호 "씨드뱅크용 포자줄 설치 어셈블리"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등록특허는 특히 국내 서해안과 같이 조수간만의 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수면의 수위가 매일매일 변경되고, 이에 따라 해수면에 떠 있는 부유체의 높낮이가 변화됨에 따라 연결줄이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은 이렇게 수위변화에 따라 연결줄이 느슨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해저면과 연결되는 제1 연결줄과, 부유체와 연결되는 제2 연결줄을 포함하는 연결줄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줄과 제2 연결줄을 연결하도록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되는 조절유닛이 구비되되, 상기 조절유닛이 하우징의 통공을 따라 승하강하여 조수간만의 차에 의한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제1 연결줄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조절유닛을 연결하되, 조절유닛이 하강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탄성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유닛은 본체와, 제2 연결줄이 연결되는 연결부 및 하우징의 통공을 관통하는 이동축으로 구성되고, 제1 연결줄의 타단에 무게추를 구성하여 연결줄이 느슨해지면 상기 탄성유닛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절유닛이 하강한 후, 무게추에 의해 제1 연결줄의 타단이 하강하여 제1 연결줄의 장력이 다시 상승되는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는
해저면과 연결되는 제1 연결줄과, 해수면의 부유체와 연결되는 제2 연결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줄;
상기 제1 연결줄이 감기는 감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감개부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2 연결줄이 고정되되, 상기 하우징의 통공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여 상기 제1 연결줄의 장력을 유지하는 조절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는 연결줄을 해저면에 연결되는 제1 연결줄과 해수면의 부유체에 연결되는 제2 연결줄로 구성하되, 이 연결줄들을 연결하는 하우징과 조절유닛을 구비하고, 이 조절유닛에 의해 해수면의 조수간만의 차이로 인하여 연결줄이 느슨해지는 경우, 자연스럽게 연결줄의 장력을 다시 상승시켜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장소에 바다숲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해수면이 낮아져 연결줄이 느슨해지면, 탄성유닛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유닛이 하강하고, 이 때 상기 제1 연결줄의 타단이 무게추에 의해 하강함에 따라 다시 제1 연결줄의 장력이 상승하여 장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해수면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항상 연결줄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가 구비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의 투영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의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해수면에 떠 있는 부유체(A1)와 해저면을 연결하여 바다숲을 조성하기 위하여 연결줄(10)이 설치되어 있는데, 특히 국내 서해안지역 등 조수간만의 차가 큰 경우에는 수위의 변화에 따라 부유체(A1)의 높이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해저면과 연결되는 연결줄(10)이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줄(10)의 장력 유지 장치(A)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줄(10)을 해저면과 연결되는 제1 연결줄(11)과, 해수면의 부유체(A1)와 연결되는 제2 연결줄(13)로 구성하고, 이러한 제1 및 제2 연결줄(13)을 서로 연결하며, 제1 연결줄(11)이 느슨해지면 이를 다시 팽팽하게 만들기 위한 하우징(20)과 조절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하우징(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20)은 평면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내부에 내삽부(21)가 형성되도록 양측에 외벽(23)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23)을 연결하는 연결부(25)가 구비되며, 이러한 양측 외벽(23)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외벽(23) 사이를 연결하는 봉 형상의 감개부(27)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제1 연결줄(11)이 감기개 되고, 상기 외벽(23)에는 상기 감개부(27)를 기준으로 감개부(27) 일측에 통공(2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통공(231)은 상기 감개부(27)를 감싸는 형상의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조절유닛(30)이 부드럽게 승하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감개부(27)에는 제1 연결줄(11)이 감기개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연결줄(11)의 일단(111)은 해저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줄(11)의 타단(113)에는 일정 중량의 무게추(115)가 체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1 연결줄(11)이 상기 감개부(27)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상기 하우징(20)에는 장력을 연결줄(1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유닛(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절유닛(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자 형상을 이루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 상부에(도 2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를 특정하도록 한다.) 제2 연결줄(13)이 연결되는 체결부(37)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31) 하부에는 이동축(35)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31)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날개부(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날개부(33)가 상기 하우징(20)의 외벽(23)을 감쌀 수 있도록 외벽(23) 외측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축(35)은 상기 본체(31) 하단에서 날개부(33)를 서로 연결하되, 상기 하우징(20)의 통공(23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31)의 상부에는 체결부(37)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37)에는 해수면의 부유체(A1)와 연결되는 제2 연결줄(13)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유닛(30)이 구비된 하우징(20)의 상부방향으로는 제2 연결줄(13)이 연결되고, 하부방향으로는 제1 연결줄(11)이 연결되어 부유체(A1)와 해저면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결줄(11)에는 기 등록된 특허[등록번호 10-1521630호]의 포자줄 연결장치가 구비되어 바다숲을 조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연결줄(11)과 제2 연결줄(13)로 이루어지는 연결줄(10)이 느슨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유닛(30)이 통공(231)을 따라 승하강 운동을 함에 따라 특히 제2 연결줄(13)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다.
먼저 제1 연졀줄의 일측은 해저면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무게추(115)가 구비되며,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감개부(27)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나란이 위치하는 제1 연결줄(11)의 양 단부는 상기 통공(231)을 관통하는 조절유닛(30)의 이동축(35) 좌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해저에서 유속이나 높이 변화 등이 발생하여 조절유닛에 영향을 주어 상기 조절유닛의 이동축(35)이 통공(231)을 따라 상승하면(이동축(35)이 승강점(231A)에 위치하면), 이에 따라 제1 연결줄(11)이 상기 감개부(27)와 이동축(35) 사이에 끼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하우징(20)의 외측에는 상기 조절유닛(30)의 날개부(33)를 감싸는 커버부재(29)를 고정하여 상기 조절유닛(30)이 수직방향을 유지한채 승하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20)과 조절유닛(30)을 연결하는 탄성유닛(40)이 더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우징(20)의 내삽부(21)의 일측에는 제1 고정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유닛(30)의 내측 상부에는 제2 고정부(3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유닛(40)의 양단부가 상기 제1 고정부(211) 및 제2 고정부(31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유닛(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조절유닛(30)은 상기 통공(231)을 따라 하강되는 상태(이동축(35)이 하강점(231B)에 위치하는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본 발명은 해수면의 수위변화에 따라 연결줄(10)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그 작동원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부유체(A1)와 해저면을 연결하는 연결줄(10)이 팽창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부유체(A1)의 부력에 의하여 제2 연결줄(13)과 연결된 조절유닛(30)은 상승하려는 힘을 받고, 이에 따라 해저면과 연결된 제1 연결줄(11)이 감긴 하우징(20)의 통공(231)을 따라 조절유닛(30)이 상승된 상태(이동축(35)이 승강점(231A)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여 제1 연결줄(11)을 고정함으로서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수위가 낮아지면 부유체(A1)의 높이가 저하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2 포자줄 또는 제1 포자줄 또는 이들 모두가 느슨해지게 된다.
이렇게 포자줄이 느슨해지면 상기 탄성유닛(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조절유닛(30)은 통공(23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하강하게 되고(이동축(35)이 하강점(231B)에 위치하는 상태), 이렇게 하강하면, 상기 감개부(27)를 감싸는 제1 연결줄(11)을 고정하는 힘이 사라지게 된다.
이렇게 힘이 사라지면, 상기 제1 연결줄(11) 타단(113)에 구비되는 무게추(115)의 중력에 의하여 당겨져, 그 반대측(제1 연결줄(11)의 일단(111))이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다시 제1 연결줄(11)의 장력이 상승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렇게 제1 연결줄(11)의 장력이 상승하면 다시 부유체(A1)의 부력에 의해 조절유닛(30)은 통공(231)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이동축(35)이 승강점(231A)에 위치하는 상태), 이에 따라 다시 제1 연결줄(11)이 고정됨으로서 연결줄(10)이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조수간만의 차와 상관없이 바다숲을 조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는 무게추(115)는 추, 납 등을 비롯한 중량을 부여할 수 있는 부재를 통칭하는 것이고, 상기 연결줄(10)은 와이어, 줄 등으로 이용되거나, 해저면과 부유체(A1)에는 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줄(13)이 이러한 와이어에 각각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장력 유지 장치 A1 : 부유체
10 : 연결줄 11 : 제1 연결줄
111 : 일단 113 : 타단
115 : 무게추 13 : 제2 연결줄
20 : 하우징 21 : 내삽부
211 : 제1 고정부 23 : 외벽
231 : 통공 231A : 승강점
231B : 하강점 25 : 연결부
27 : 감개부 29 : 커버부재
30 : 조절유닛 31 : 본체
311 : 제2 고정부 33 : 날개부
35 : 이동축 37 : 체결부
40 : 탄성유닛

Claims (4)

  1. 해저면과 연결되는 제1 연결줄과, 해수면의 부유체와 연결되는 제2 연결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줄;
    상기 제1 연결줄이 감기는 감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감개부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제2 연결줄이 고정되되, 상기 하우징의 통공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여 상기 제1 연결줄의 장력을 유지하는 조절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조절유닛을 연결하는 탄성유닛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줄의 타단에는 무게추가 더 구비되어,

    해수면이 낮아져 연결줄이 느슨해지면, 상기 탄성유닛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절유닛이 통공을 따라 하강하고, 상기 제1 연결줄의 타단이 무게추에 의해 하강함으로서 다시 제1 연결줄의 장력이 상승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하우징을 감싸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연결줄이 연결되는 체결부,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통공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이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통공은
    상기 감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곡선형 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
KR1020160013981A 2016-02-04 2016-02-04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 KR10178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981A KR101788661B1 (ko) 2016-02-04 2016-02-04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981A KR101788661B1 (ko) 2016-02-04 2016-02-04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24A KR20170092824A (ko) 2017-08-14
KR101788661B1 true KR101788661B1 (ko) 2017-10-20

Family

ID=6014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981A KR101788661B1 (ko) 2016-02-04 2016-02-04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6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019Y1 (ko) 2006-03-31 2006-06-30 현대제철 주식회사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KR200438901Y1 (ko) 2007-03-15 2008-03-10 진홍수 줄기작물의 줄기내림장치
KR101437475B1 (ko) 2014-05-22 2014-09-16 대한민국 해수면 변동에 따른 로프의 신축기능이 부여된 수하양식장치
KR101521630B1 (ko) 2015-03-25 2015-05-21 곽철우 씨드뱅크용 포자줄 설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019Y1 (ko) 2006-03-31 2006-06-30 현대제철 주식회사 크레인 후크의 와이어 로프 지지구조
KR200438901Y1 (ko) 2007-03-15 2008-03-10 진홍수 줄기작물의 줄기내림장치
KR101437475B1 (ko) 2014-05-22 2014-09-16 대한민국 해수면 변동에 따른 로프의 신축기능이 부여된 수하양식장치
KR101521630B1 (ko) 2015-03-25 2015-05-21 곽철우 씨드뱅크용 포자줄 설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24A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2903A (en) Sea cage fish farming system
EP3209124B1 (en) Submersible cage for aquaculture and method of adjusting the depth of said cage
KR101701341B1 (ko) 해조류 이식용 바
KR102146159B1 (ko) 이중 부력체와 복수재질의 그물망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Chaput et al.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 dynamics of Atlantic salmon (Salmo salar) from the Miramichi River, New Brunswick, Canada
NO343577B1 (en) Tank for fishfarming
KR20090128736A (ko)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JP2007135429A (ja) 水中植生工法及び水中植生施設
KR101788661B1 (ko) 연결줄의 장력 유지 장치
CN112471028B (zh) 东海大黄鱼放流野外驯养系统
Defingou et al. PHAROS4MPAs-a review of solutions to avoid and mitigate environmental impacts of offshore windfarms
WO2021021928A1 (en) Fish pen for open sea aquaculture
KR102533222B1 (ko) 부구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바다숲 조성장치
EP1528855A1 (en) Fish enclosure
KR20210025008A (ko) 외해 양식장
Verreault et al. American eel movements, growth, and sex ratio following translocation
JP2007105002A (ja) 外来魚採捕装置
KR101788591B1 (ko) 바다숲 조성을 위한 연결 와이어의 장력 유지장치
Whitfield et al. Importance of marine-estuarine-riverine connectivity to larvae and early juveniles of estuary-associated fish taxa
NO343634B1 (no) Merdsystem med bølgekompensering
KR102262159B1 (ko) 그물 구조물
NO344247B1 (no) Merdsystem med ramme for en innhegning
KR20200079458A (ko) 해파리 대량발생 방지를 위한 유영형 해파리 유생 확산 방지막
CN110313428B (zh) 大型成品鱼养殖网箱
JP2017063761A (ja) 海藻を防御する人工藻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