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970Y1 - 농업용 레일 작업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레일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970Y1
KR200252970Y1 KR2020010022066U KR20010022066U KR200252970Y1 KR 200252970 Y1 KR200252970 Y1 KR 200252970Y1 KR 2020010022066 U KR2020010022066 U KR 2020010022066U KR 20010022066 U KR20010022066 U KR 20010022066U KR 200252970 Y1 KR200252970 Y1 KR 200252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elevating
vertical
work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향
김성호
Original Assignee
배종향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향, 김성호 filed Critical 배종향
Priority to KR2020010022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97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류축과 가이드 레일을 통해 승강판을 승강시켜 승강시 요동을 방지 할 수 있는 농업용 레일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레일을 타고 전,후진 될 수 있도록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전,후방 이동바퀴와, 이 이동바퀴의 전후방에 장착되어 작업기를 양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양측 이동바퀴가 포함되는 통상의 농업용 레일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는, 프레임 내부에 수직으로 장착된 수직모터와, 이 수직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는 수직 스크류축과, 이 수직 스크류축에 체결되어 승강되며 상부 양측에 롤러를 가지는 승강대, 및 승강대를 감싸며 잡아주는 수직고정대로 이루어진 승강 작동부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는 링크 조립체를 통해 프레임과 연결되는 승강판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판의 전단 양측과 프레임의 전방 양측 사이에는 상기 롤러에 감겨 승강판이 승강될 수 있도록 이중의 와이어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레일 작업기{Electric pipe rail trolley}
본 고안은 온실 또는 과수원 등에 작물 재배시 사용되는 농업용 레일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축과 가이드 레일을 통해 승강판을 승강시켜 승강판의 승강시 요동을 방지 할 수 있는 농업용 레일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 작업기라 함은, 온실 및 과수원 바닥에 다수열로 장착되어 있는 레일을 타고 이동하면서 작업자를 승강시키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레일 작업기를 개량한 것으로서, 먼저 종래의 레일 작업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종래의 레일작업기를 나타낸 것으로,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레일을 타고 전,후진 될 수 있도록 레일 이동바퀴(101)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레일 이동바퀴(101)의 전후방에는 작업기가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양측 이동바퀴(102)가 장착되어 있고, 프레임(100)의 상측에는 유압실린더(200)를 통해 승강되는 승강판(300)이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승강판(300)의 하부에는 승강판(300)의 승강과정에서 승강판(300)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링크로 구성된 링크조립체(40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레일 작업기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먼저, 프레임(1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레일 이동바퀴(101)를 구동부를 통해 회전시켜 작업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 프레임(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200)를 작동시켜 작물의 높이와 상응되는 높이로 승강판(300)을 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레일 작업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단일의 유압실린더를 통해 승강판을 승강시킴에 따라서, 승강판의 승강시 심한 요동과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유압실린더의 로드 길이의 한계로 인하여 승강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유압실린더에 유체를 절환밸브를 통해 공급,배출 함으로서, 최초의 속도로 인하여 상승 또는 하강 순간에 충격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승강판을 승강시킬 수 있을 정도로 유체실린더의 용량을 크게 하여야 함으로서,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는 충전전지의 소모량이 과대해짐에 따라 수시로 레일 작업기를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또 별도의 안정장치가 없어 유압실린더가 파열될 경우에는 승강판의 하강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레일을 따라 이동됨에 있어서, 승강판의 무게중심이 변경될 경우에는 작업기 전체가 전도되는 등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스크류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승강판을 승강시키고 승강판의 전방에 별도의 가이드레일을 장착함으로서, 승강판의 승강시 요동과 소음을 방지하고자 하는 농업용 레일작업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크류축의 길이와 상응되게 승강판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정함에 따라서, 승강판의 승강 높이를 충분히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초기에는 천천히 한 후, 점차적으로 높임으로서, 승강판의 상승 또는 하강의 초기순간에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또 모터를 사용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종래 유압실린더의 사용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목적도 있다.
또 승강 작동부에 승강대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는 센서를 장착함으로서, 승강대가 한계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한계이하으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또 프레임의 하부에는 전도방지수단을 장착함으로서, 프레임이 경사질 경우에 레일을 잡아주어 작업기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레일을 타고 전,후진 될 수 있도록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전,후방 이동바퀴와, 이 이동바퀴의 전후방에 장착되어 작업기를 양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와 연결되어 있는 양측 이동바퀴가 포함되는 통상의 농업용 레일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는, 프레임 내부에 수직으로 장착된 수직모터와, 이 수직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는 수직 스크류축과, 이 수직 스크류축에 체결되어 승강되며 상부 양측에 롤러를 가지는 승강대, 및 승강대를 감싸며 잡아주는 수직고정대로 이루어진 승강 작동부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는 링크 조립체를 통해 프레임과 연결되는 승강판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판의 전단 양측과 프레임의 전방 양측 사이에는 상기 롤러에 감겨 승강판이 승강될 수 있도록 이중의 와이어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레일 작업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작동부의 안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레일의 연결상태와 손잡이부를 나타낸 일부 분 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전,후방 이동바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전도 방지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종래의 레일 작업기를 나타낸 전체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11 : 구동부
12 : 걸림대
121 : 힌지
13 : 전자석
14 : 인장스프링
15 : 수평 수은스위치
2 : 전,후방 이동바퀴
21 : 브라켓
22 : 원판 디스크
23 : 돌출부
231 : 원호부
3 : 양측 이동바퀴
4 : 승강 작동부
41 : 수직모터
411 : 회전축, 412 : 전력 제어부
42 : 승강대
421 : 롤러, 422 : 캡너트, 423 : 자석센서
43 : 수직 스크류축
44 : 수직고정대, 441 : 이중 감지센서
5 : 승강판
51 : 링크조립체
511 : 링크, 512 : 힌지, 513 : 롤러
6 : 와이어
7 : 손잡이부
71 : 수직기대
72 : 수평대
721 : 조작부
8 : 가이드레일
81 : 고정 가이드레일
82 : 승강 가이드레일
9 : 베어링
10 : 레일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레일 작업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의 하부에 레일(10)을 타고 전,후진 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구동부(11)와 연결되어 있는 전,후방 이동바퀴(2)와, 이 이동바퀴(11)의 전후방에장착되어 작업기를 양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11)와 연결되어 있는 양측 이동바퀴(3)가 포함되는 통상의 농업용 레일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전방에는 수직모터(41)의 회전을 통해 승강되며 상부 양측에 롤러(421)를 가지는 승강대(42)가 포함되는 승강 작동부(4)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의 상측에는 링크 조립체(51)를 통해 프레임(1)과 연결되고 알루미늄판을 절곡하여 구성되는 승강판(5)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판(5)의 전단 양측과 프레임(1)의 전방 양측 사이에는 상기 롤러(421)에 감겨 승강판(5)이 승강될 수 있도록 이중의 와이어(6)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작동부의 안전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승강 작동부(4)는 상기 프레임(1)의 전방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의 내부에 수직으로 장착된 수직모터(41)와, 이 수직모터(41)의 회전축(411)과 연결되어 프레임(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직 스크류축(43)과, 이 수직 스크류축(43)의 외경을 감싸며 장착되어 수직 스크류축(43)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대(42)와, 승강대(42)의 외측을 감싸며 수직으로 세워지고 하단이 프레임(1)의 상면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대(4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승강작동부(4)의 승강대(42)의 하단에는 캡너트(422)가 장착되어 이 캡너트(422)에는 상기 수직 스크류축(43)이 체결됨에 따라서, 스크류축(43)의 회전을 통해 승강대(42)가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모터(41)에는 초기에 전력을 감소시켜 공급하여 회전속도를줄이고 일정시간의 경과한 후 정상전원을 흘려보내 회전속도를 정상속도로 바꾸는 전력 제어부(412)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대(42)의 하부 일측에는 자석센서(423)가 장착되고, 상기 승강대(42)를 감싸는 수직 고정대의 일측 상,하부에는 상기 자석센서(423)와 연동되어 제어부를 통해 수직모터(41)의 전원을 차단하는 이중 감지센서(441)가 장착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레일의 연결상태와 손잡이부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8)은, 안쪽이 개방되어 있고 프레임(1;도1참조)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 가이드레일(81)과, 이 고정가이드 레일(81)의 내부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안쪽이 개방되어 있는 승강 가이드레일(8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5)의 전방 일측에는 승강판(5)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가이드레일(82)의 내부에 삽입되는 베어링(9)이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판(5)의 전방에는 양측에 수직기대(71)와 이 수직기대(71)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대(72) 및 상기 수직기대(71)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롤러(421)를 감싸는 보호대(73)를 포함하는 손잡이부(7)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전,후방 이동바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로서, 상기 전,후방 이동바퀴(2)는 회전축에 삽입되는 원통형 브라켓(21)과 이 원통형 브라켓(21)의 외측에 장착되는 원판 디스크(22)가 일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브라켓(21)과 원판 디스크(22)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레일(10)의 외면이 선접촉이 되게 함은 물론 레일(10)이 원판 디스크(22)의 내면과 밀착되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쪽의 원호부(231)를 가지는 돌출부(23)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전도 방지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프레임(1)의 전,후방 이동바퀴(2)가 각각 장착되는 회전축의 중간에는 레일(10)에 걸릴 수 있도록 양측으로 벌어지는 양측 걸림대(12)가 힌지(121)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양측 걸림대(12)의 내측에는 서로 극성을 달리하는 전자석(13)과 인장스프링(14)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전자석(14)은, 프레임(1)이 기울어질 경우에 상기 양측에 걸림대(12)가 레일(10)을 잡아 줄 수 있도록 프레임(1)에 장착되어 있고 전원과 연결되어 있는 수평 수은스위치(15)와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조립체(51)는 중간과 양 끝단이 서로 연결되는 다수 링크(511)들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최상단의 2개소의 링크(511)중 하나의 링크(511) 상단은 힌지(512)를 통해 상기 승강판(5)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링크(511) 상단에는 승강판(5)의 하면을 타고 이동되는 롤러(513)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511)중 최하단의 2개소의 링크(511)중 하나의 링크(511) 하단은 상기 프레임(1)에 힌지(512)를 통해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링크(511) 하단에는 프레임(1)의 상면을 타고 이동되는 롤러(513)가 장착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721'은 작업자가 작업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7)에 장착되는 '조작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작업자가 작업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먼저 손잡이부(7)에 장착되어 있는 조작부(721)를 조작하여 프레임(1) 내부의 구동부(11)를 작동시킴에 따라 전,후방 이동바퀴(2) 또는 양측 이동바퀴(3)를 회전시킴으로서, 작업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전,후방 이동바퀴(2)는 온실 또는 과수원 하부에 다수열로 장착되어 있는 레일(10)을 타고 이동되며, 상기 양측 이동바퀴(3)는 작업기의 레일위치를 바꾸고자 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기를 구성하는 승강판(5)의 높이를 조정할 경우에는, 먼저 조작부(721)의 작동을 통해 프레임(1)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는 수직모터(41)를 동작시켜 프레임(1)의 외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승강 작동부(4)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수직모터(41)를 통해 수직 스크류축(43)을 정 회전시키게 되면 수직 스크류축(43)에 장착되어 있는 승강대(42)가 상승되게 되며, 반대로 상기 수직모터(41)를 통해 스크류축(43)을 역회전시키게 되면 수직 스크류축(43)에 장착되어 있는 승강대(5)가 하강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승강대(42)의 하단에는 수직 스크류축(43)이 체결될 수 있도록 캡너트(422)가 장착됨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스크류축(43)의 정,역 회전에 따라 승강대(42)가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승강대(42)가 승강을 반복하는 순간에는, 승강대(42)의 하부에 장착된 자석센서(423)와 수직 고정대(441)의 상,하부에 장착된 이중 감지센서(441)가 작동됨으로서, 한계높이 이상으로 승강판(5)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판(5)의 추락을 막을 수 있음은 물론, 한계 이하로 승강판(5)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에 무리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42)가 상승되거나 하강되게 되면, 승강대(42)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421)도 함께 승강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롤러(421)에 감겨진 와이어(6)의 길이는 한정되어 있음에 따라 롤러(421)가 상승될 경우에는 와이어(6)의 일단이 고정된 승강판(5)이 상승되게 되고, 반대로 롤러(421)가 하강될 경우에는 와이어(6)의 일단이 고정된 승강판(5)이 하강되게 되는 것이다.
즉 와이어(6)의 일단은 승강판(5)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으며 와이어(6)의 중간은 상기 롤러(421)에 감겨져 있음에 따라서 롤러(421)의 승강과 더불어 승강이 가능한 승강판(5)이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5)은 롤러(421)의 이동거리(L)의 2배 거리(L2)가 이동됨으로서 승강판(5)의 승강높이(약2.5미터)를 최대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승강판(5)이 승강되는 순간에 프레임(1)의 전방에는 승강판(5)의 전방을 잡아주어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8)이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서, 승강판(5)의 승강시 요동과 이때 발생되는 요동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8)은 프레임(1)에 고정되는 고정가이드 레일(81)과 이고정 가이드레일(81)의 내부에 장착되는 승강 가이드레일(82)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판(5)의 전방에는 상기 승강가이드 레일(82)을 내부에서 이동되는 베어링(9)이 고정됨으로서 승강판(5)의 승강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모터(41)에는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412)가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서, 승강판(5)의 작동시점에서는 수직 스크류축(43)의 회전속도가 느리게 됨으로서, 작동 초기에 승강판(5)에 가해지는 충격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을 타고 작업기가 이동되는 순간에 작업기 전체가 기울어지게 되면, 프레임(1)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수평 수은스위치(15)가 경사를 감지하여 온(ON)상태를 유지하고, 이와 동시에 프레임(1)의 하부 양측에 대칭되게 장착된 양측 걸림대(12)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는 전자석(14)에 전원이 인가되어 걸림대(12)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걸림대(12)의 양단의 걸림부가 레일을 감싸게 됨에 따라 프레임(1)을 포함하는 작업기의 전도를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작업기가 수평상태를 다시 유지하게 되면, 상기 수평 수은스위치(15)가 오프(OFF)상태를 유지함에 따라서, 걸림대(12)의 내측 사이에 장착된 인장스프링(14)의 복원력을 통해 걸림대(12)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기술적 구성은 농업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모든 공업용 및 운송용등의 승강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크류축을 통해 승강판을 승강시킴에 따라서 승강시 요동을 방지함으로서 추락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을 감소시켜 양질의 레일작업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크류의 길이와 상응되게 승강판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정함에 따라 승강판의 승강 높이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서,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승강 초기에는 승강 속도를 줄인 후 속도를 점차적을 높임으로서, 승강판의 상승 또는 하강의 초기순간에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모터를 사용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킴에 따라 종래 유압실린더의 사용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막음으로서, 레일 작업기내에 장착되어 있는 충전지의 충전 주기를 길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대가 한계이상으로 상승되거나 한계이상으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안전사고와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프레임이 레일 상에서 전도되는 것을 막아 레일 이동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1)

  1. 프레임(1)의 하부에 장착되어 레일을 타고 전,후진 될 수 있도록 구동부(11)와 연결되어 있는 전,후방 이동바퀴(2)와, 이 이동바퀴(11)의 전후방에 장착되어 작업기를 양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11)와 연결되어 있는 양측 이동바퀴(3)가 포함되는 통상의 농업용 레일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전방에는 수직모터(41)를 통한 수직 스크류축(43)의 회전을 통해 승강되며 상부 양측에 롤러(421)가 구비된 승강대(42)가 포함되는 승강 작동부(4)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의 상측에는 링크 조립체(51)를 통해 프레임(1)과 연결되는 승강판(5)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판(5)의 전방 양측과 프레임(1)의 전방 양측 사이에는 상기 롤러(421)에 감겨 승강판(5)이 승강될 수 있도록 이중의 와이어(6)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레일 작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동부(4)는, 프레임(1) 내부에 수직으로 장착된 수직모터(41)의 회전축(411)과 연결되어 프레임(1)의 외부로 돌출되는 수직 스크류축(43)과, 이 수직 스크류축(43)에 체결되어 승강되며 상부 양측에 롤러(421)를 가지는 승강대(42), 및 이 승강대(42)를 감싸며 잡아주고 프레임(1)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대(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레일 작업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동부(4)의 승강대(42)의 하단에는 캡너트(422)가 장착되어 이 캡너트(422)에는 승강대(42)를 승강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모터(41)의 회전축(411)과 연결된 수직 스크류축(43)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레일 작업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42)의 하부 일측에는 자석센서(423)가 장착되고, 상기 승강대(42)을 감싸는 수직 고정대의 일측 상,하부에는 상기 자석센서(423)와 연동되어 제어부를 통해 수직모터(41)의 전원을 차단하는 이중 감지센서(441)가 추가로 각각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작업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모터(41)에는 초기에 전력을 감소시켜 공급하여 회전속도를 줄이고 일정시간의 경과한 후 정상전원을 흘려보내 회전속도를 정상속도로 바꾸는 전력 제어부(411)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레일 작업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는 안쪽이 개방되어 있는 고정 가이드레일(81)과 이 고정가이드 레일(81)의 내부에 장착되어 승강되며 안쪽이 개방되어 있는 승강 가이드레일(82)로 구성된 가이드레일(8)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판(5)의 전방 일측에는 승강판(5)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가이드레일(82)의 내부에 삽입되는 베어링(9)이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레일 작업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5)의 전방에는 양측에 수직기대(71)와 이 수직기대(71)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대(72) 및 상기 수직기대(71)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롤러(421)를 감싸는 보호대(73)를 포함하는 손잡이부(7)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레일 작업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조립체(51)는 중간과 양 끝단이 서로 연결되는 다수 링크(511)들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최상단의 2개소의 링크(511)중 하나의 링크(511) 상단은 힌지(512)를 통해 상기 승강판(5)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링크(511) 상단에는 승강판(5)의 하면을 타고 이동되는 롤러(513)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511)중 최하단의 2개소의 링크(511)중 하나의 링크(511) 하단은 상기 프레임(1)에 힌지(512)를 통해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링크(511) 하단에는 프레임(1)의 상면을 타고 이동되는 롤러(513)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레일 작업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5)은 알루미늄판을 절곡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레일 작업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이동바퀴(2)는 회전축에 삽입되는 원통형 브라켓(21)과 이 원통형 브라켓(21)의 외측에 장착되는 원판 디스크(22)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브라켓(21)과 원판 디스크(22)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레일의 외면이 선접촉되고 원판 디스크(22)의 내면과 마찰을 막을 수 있도록 안쪽의 원호부(231)를 가지는 돌출부(2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레일 작업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전,후방 이동바퀴(2)가 각각 장착되는 회전축의 중간에는 레일(10)에 걸릴 수 있도록 양측으로 벌어지는 양측 걸림대(12)가 힌지(121)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양측 걸림대(12)의 내측에는 서로 극성을 달리하는 전자석(13)과 인장스프링(14)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전자석(14)은 프레임(1)이 기울어질 경우에 상기 양측에 걸림대(12)가 레일(10)을 잡아 줄 수 있도록 프레임(1)에 장착되어 있고 전원과 연결되어 있는 수평 수은스위치(15)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레일 작업기.
KR2020010022066U 2001-07-20 2001-07-20 농업용 레일 작업기 KR200252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66U KR200252970Y1 (ko) 2001-07-20 2001-07-20 농업용 레일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66U KR200252970Y1 (ko) 2001-07-20 2001-07-20 농업용 레일 작업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910A Division KR20030008896A (ko) 2001-07-20 2001-07-20 농업용 레일 작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970Y1 true KR200252970Y1 (ko) 2001-11-17

Family

ID=7306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066U KR200252970Y1 (ko) 2001-07-20 2001-07-20 농업용 레일 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9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9565A (zh) * 2019-01-02 2019-03-08 成都华日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可远程遥控天线垂直举升的微型联动装置
KR102400095B1 (ko) 2022-01-29 2022-05-18 김성호 농업용 레일 리프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9565A (zh) * 2019-01-02 2019-03-08 成都华日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可远程遥控天线垂直举升的微型联动装置
KR102400095B1 (ko) 2022-01-29 2022-05-18 김성호 농업용 레일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84987B1 (en) Retractable counterweight for straight-boom aerial work platform
JP4297145B2 (ja) 移載装置
JP2008074543A (ja) 移載装置における昇降台の取付構造
JP6455203B2 (ja) クローラクレーンのカーボディウエイト支持装置
JP2007302408A (ja) 移動式リフター
KR20030008896A (ko) 농업용 레일 작업기
CN108974459A (zh) 一种新型袋装纸尿裤翻转整理系统
KR200252970Y1 (ko) 농업용 레일 작업기
CN112720407B (zh) 辅助轮升降机构及轮式机器人
JP2002370896A (ja) プロジェクター用昇降装置
CN110821989B (zh) 一种提升机防坠落装置
JP2001328797A (ja) 収納用昇降装置
CN115724371A (zh) 一种无人驾驶叉车
JP2572947B2 (ja) リフター
JP2005145571A (ja) 昇降装置
KR200461757Y1 (ko)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CN211110914U (zh) 一种具有高效搬运功能的叉车倾翻架结构
CN209210902U (zh) 翻包平台锁包装置
JPH0659923B2 (ja) 倉庫用クレーンの昇降キャレッジ駆動装置
JP4416181B2 (ja) 架空送電線のねじれ防止ダンパーの取外し機
JP4213538B2 (ja) パレットチェンジャー
JP3783136B2 (ja) 昇降装置
CN217734794U (zh) 一种高空防护的吊篮构件
CN218807104U (zh) 一种包装系统用包装袋改向机构
JPH0711793A (ja) 多段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