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617B1 - 전동식 리프터 - Google Patents

전동식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617B1
KR101745617B1 KR1020160001677A KR20160001677A KR101745617B1 KR 101745617 B1 KR101745617 B1 KR 101745617B1 KR 1020160001677 A KR1020160001677 A KR 1020160001677A KR 20160001677 A KR20160001677 A KR 20160001677A KR 101745617 B1 KR101745617 B1 KR 101745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main body
vertical
screw shaft
vertical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산전
Priority to KR102016000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를 이용한 이동이 가능하고, 무거운 적재물을 안정된 자세에서 높은 곳으로 쉽게 들어 올리는 전동식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탑재된 배터리를 동력으로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바퀴를 구비하는 한편 균형물을 탑재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된 채로 상하 이동되는 수직 이동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 이동대를 본체에 설치된 모터로 회전되며 상하 이동시키는 수직 나사축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이동대의 전방에 결합된 채로 상하 이동되는 포크대를 구비하고, 상기 포크대의 후방 하측과 본체의 상측에 고정된 채로 수직 이동대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라켓에 걸쳐지는 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포크대에는 상하로 한 쌍의 포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전방 모서리에는 모터로 구동되는 회전 나사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나사축에는 받침대를 결합시키되 상기 받침대는 바퀴와 지지대로 받쳐지고 좌우 회동되는 한편 위치 고정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동식 리프터{Electromotive lifter}
본 발명은 배터리를 이용한 이동이 가능하고, 무거운 적재물을 안정된 자세에서 높은 곳으로 쉽게 들어 올리는 전동식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무게가 나가는 중량물을 적층 보관하기 위해서는 지게차와 같은 차량이나 호이스트 등의 기구를 사용하게 되나, 지게차를 이용하는 경우는 지게차를 운전하는 기술자를 필요로 하는 한편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고, 호이스트를 이용하는 경우는 중량물의 적층이 쉽지 않고 작업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공장의 내부나 창고에서와 같이 평편하고 안정된 공간에서 활용하는 경우는 지게차를 이용하는 것보다 모터를 사용하는 리프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곳으로의 이동 및 중량물을 들어 올리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국내 특허등록 10-1161955호나 특허등록 10-1361106호 및 특허등록 10-1060497호 등과 같은 리프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지게차와 같이 포크부로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경우,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리프터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포크부로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 무게 중심이 포크부로 쏠리기 때문에 포크부가 본체의 상측에서 이동되게 하거나, 포크부와 이격되어 무게중심을 잡기위한 별도의 중량물을 탑재시켜야 하는 것으로, 포크부가 본체의 상측에서 상하 이동되게 하는 경우는 리프터의 이동에 제한을 받는 한편 포크부의 하측에 위치한 본체로 인하여 중량물의 이동에 방해를 받는 문제가 있고, 포크부와 이격되어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경우는 리프터의 무게 상승과 함께 길이가 길어져 회전과 이동에 방해를 주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161955호(2012.06.26.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361106호(2014.02.04.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060497호(2011.08.24.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0-0090248호(1995.09.12. 등록)
본 발명은 금형과 같은 무거운 중량물을 다층으로 적재하거나 이동시키는 경우, 지게차를 이용하면 별도의 지게차 구입과 함께 전문적인 운전 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동식 리프터를 사용함에 있어서, 포크부로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 무게 중심의 쏠림으로부터 리프터가 전복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포크부의 이동거리를 크게 하여 안정되면서도 빠르게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탑재된 배터리를 동력으로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바퀴를 구비하는 한편 균형물을 탑재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된 채로 상하 이동되는 수직 이동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 이동대를 본체에 설치된 모터로 회전되며 상하 이동시키는 수직 나사축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이동대의 전방에 결합된 채로 상하 이동되는 포크대를 구비하고, 상기 포크대의 후방 하측과 본체의 상측에 고정된 채로 수직 이동대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라켓에 걸쳐지는 체인을 구비하고, 상기 포크대에는 상하로 한 쌍의 포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전방 모서리에는 모터로 구동되는 회전 나사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나사축에는 받침대를 결합시키되 상기 받침대는 바퀴와 지지대로 받쳐지고 좌우 회동되는 한편 위치 고정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직 이동대의 상하 이동거리보다 두 배의 거리를 포크대가 이동되게 하고, 포크부에 중량물을 싣고 올릴 때 받침대를 펼쳐서 포크부의 하측에서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동력에 의해 자주식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문 운전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포크부로 중량물을 들어 올리게 되어 지게차와 같이 작업의 간편함이 제공되며, 수직 이동대의 이동 높이보다 두 배의 거리를 포크부가 이동하게 되어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고, 특히, 포크부에 중량물이 올려질 경우 받침대를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전방으로 쏠리는 무게중심을 받쳐줌으로써 안정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주식 이동과 빠른 승하강이 보장되는 한편 본체의 상부에서 포크부가 이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지게차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된 포크부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여 좁은 곳에서도 이용이 가능하고, 상하로 설치된 두 개의 포크부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낮은 높이와 높은 높이의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포크대 상하 이동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포크부 회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받침대 펼침 상태를 보인 실시예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받침대 펼핌 상태를 보인 요부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받침대 회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받침대 고정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요부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래칫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도
본 발명은 자주식 이동이 가능하고, 포크부를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중량물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되 포크부에 중량물에 얹혀질 때 포크부의 전방하측으로 쏠리는 무게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문 운전 인력이 없어도 작동이 가능하고, 배터리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빠른 승하강이 가능하며, 포크부에 중량이 가해지더라도 안정된 동작이 가능한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본체(10)는 배터리(14)를 내장시키되 하측으로 바퀴(11)를 설치하여 바닥에서의 안정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원격조정에 의해 바퀴(11)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하되 전방 또는 후방의 바퀴는 콘트롤러(12)를 이용하여 원격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본체(10)의 후방에는 균형물(13)을 탑재하여 포크부(31)(32)에 중량이 가해질 때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본체(10) 전방에는 수직 이동대(20)를 설치하되 상기 수직 이동대(20)는 본체(10)에 전,후,좌,우로는 빠지지 않고 상하로만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 나사축(50)의 회전 방향과 량에 따라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직 이동대(20)의 후방에 돌출된 나사캡(21)은 본체(10)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나사축(50)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 나사축(50)은 배터리(14)의 동력을 받는 모터(15)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수직 나사축(50)의 회전에 따라 나사캡(21)이 상하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직 이동대(20)가 본체(10)에 결합된 상태로 상하 이동된다.
수직 나사축(50)은 고정된 상태에서 모터(15)에 의해 회전되고, 나사캡(21)은 수직 나사축(50)에 끼워진 상태에서 수직 나사축(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나사캡(21)이 본체(10)의 전방에 상하로만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 이동대(20)에 고정되기 때문에 수직 나사축(50)의 회전에 따라 수직 이동대(20)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직 이동대(20)의 전방에는 포크대(30)가 상하로만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포크대(30)의 후방 하측과 본체(10)의 전방 상측으로 체인(60)을 연결하되 상기 체인(60)은 수직 이동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자유 회전되는 스프라켓(25)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수직 이동대(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포크대(30)도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포크대(30)는 체인(60)의 결합에 의해 수직 이동대(20)의 상하 이동거리보다 두 배의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포크대(30)에는 상하로 한 쌍의 포크부(31)(32)를 설치하되 각각의 포크부(31)(32)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측의 포크부(31)는 포크대(30)에 설치된 걸쇠(33)에 의해 세워진 채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부의 포크부(32)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거나 포크대(30)의 후방으로 완전히 젖혀지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하측의 포크부(31)를 사용하는 경우는 비교적 낮은 위치로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이고 이때에는 상측의 포크부(32)를 후방으로 젖혀서 사용하고, 상측의 포크부(32)를 사용하는 경우는 비교적 높은 위치로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이고, 이때에는 하측의 포크부(31)를 걸쇠(33)로 고정시켜 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포크부(31)(32)는 모터(40)에 의해 회전되고 포크대(30)에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 나사축(41)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모터(40)로 수평 나사축(41)을 회전시킴에 따라 포크부(31)(3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게 조절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10)의 전면 모서리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모터(7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나사축(70)을 설치하되 상기 회전 나사축(70)은 수직 나사축(50)과 비교할 때 설치 위치와 길이에서 확연한 차이를 갖게 된다.
상기 회전 나사축(70)에는 하측으로 고정된 상태로 회전만 되는 지지링(73)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지지링(73)에는 지지대(75)를 힌지 고정시키고, 상기 회전 나사축(70)의 상측에는 이동 나사캡(72)을 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이동 나사캡(72)에는 받침대(74)를 힌지 결합시키며, 상기 받침대(74)에는 하측으로 바퀴(76)를 고정시키는 한편 받침대(74)의 중간 부위는 힌지로 결합된 지지대(75)로 받쳐지게 결합한다.
상기 지지링(73)에는 지지대(75)를 힌지 결합시키는 한편 일측으로 고정구멍(77)을 형성하고, 본체(10)의 모서리 부위에는 동일 원주상으로 수 개의 고정구멍(8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돌기(80)를 형성하며, 지지링(73)을 회전시켜 고정구멍(77)(81)을 일치시킨 후 고정핀(82)을 박음으로써 받침대(74)의 좌우 회동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 나사캡(72)은 회전 나사축(70)의 회전시 상하 이동하면서 받침대(74)를 펼치거나 접어주게 되고, 지지대(75)는 받침대(74)가 펼쳐지거나 접어질 때 받침대(74)의 하측을 받쳐주게 되며, 상기 받침대(74)는 펼쳐진 상태에서 좌우측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받침대(74)가 펼쳐지거나 접혀진 상태에서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지링(73)의 고정구멍(77)과 고정돌기(80)의 고정구멍(81)을 일치시킨 후 고정핀(82)을 박아주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수직 나사축(50)을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93)를 이용하여 수직 이동대(2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수직 이동대(20)가 본체(10) 및 포크대(30)와 결합되는 구조는 전술된 바와 같으나, 수직 이동대(20)의 상하측으로 롤러(91)(92)를 설치하는 한편 롤러(91)(92) 사이는 지그재그 형태로 와이어(93)를 걸어주되 상기 와이어(93)는 본체(10)에 설치되는 모터(90)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게 하며, 상기 와이어(93)의 선단은 스프링이 내재된 래칫(94)에 고정시키되 상기 래칫(94)은 수직 이동대(20)에 고정된 채로 와이어(93)가 긴장되면 본체(10)에 설치되는 래칫기어(95)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와이어(93)가 끊어지면 래칫(94)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래칫기어(95)에 치합되게 한다.
즉, 본 발명은 모터(90)로 와이어(93)를 감거나 풀음에 따라 수직 이동대(20)를 상하 이동시키되 상기 와이어(93)의 선단에는 와이어(93)가 긴장될 때 본체(10)에 형성된 래칫기어(95)에 이탈된 상태가 되는 래칫(94)을 당기면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수직 이동대(20)의 상하 이동에 문제가 없으나, 만약에 와이어(93)가 끊어지는 경우에는 와이어(93)의 긴장이 해소되고, 이로 인하여 래칫(94)을 당겨주지 못하여 래칫(94)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래칫(94)이 회전하면서 래칫기어(95)에 물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와이어(93)의 절단이 이루어지더라도 수직 이동대(20)의 상하 이동이 중단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11)를 이용하여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바퀴(11)는 배터리(14)의 동력을 받아 이동하게 되며, 상기 바퀴(11)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구동과 공지된 장치인 조향장치는 콘트롤러(12)를 이용하여 원격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콘트롤러(12)를 이용한 원격 조작이 가능하며, 이러한 원격 조작 장치와 배터리(14)의 동력을 이용한 바퀴(11)의 회전과 모터(15)(40)(71)의 회전 제어는 당 업계의 공지된 기술이다.
본 발명은 본체(10)의 전방으로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포크부(31)(32)를 설치하고, 이와 대향된 위치의 본체(10)에 균형물(13)을 설치함으로써 균형을 이루도록 하되 포크부(31)(32)에 올려진 중량물로 인하여 리프터(100)가 전도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받침대(74)를 이용하여 포크부(31)의 하측에서 무게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본체(10)의 전방으로는 수직 이동대(20)가 상하 이동만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수직 이동대(20)에는 포크대(30)가 상하 이동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본체(10)에 수직 이동대(20)가 결합되는 것과 수직 이동대(20)에 포크대(30)가 결합되는 구조는 기존 지게차의 결합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본 발명은 수직 이동대(20)가 수직 나사축(50)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배터리(14)의 동력을 받아 모터(15)에서 수직 나사축(50)을 회전시키게 되면, 수직 나사축(50)에 끼워지고 수직 이동대(20)에 고정된 나사캡(21)이 상하 이동하면서 수직 이동대(20)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수직 이동대(20)의 상측에는 양쪽으로 공회전되는 스프라켓(25)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25)에는 체인(60)이 결합되며, 상기 체인(60)의 일측은 본체(10)의 상측에 고정되고, 체인(60)의 타측은 포크대(30)의 후방 하측에 고정되는 것이어서, 수직 이동대(20)가 상하 이동됨에 따라 포크대(30)도 수직 이동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수직 이동대(20)의 상하 이동거리보다 포크대(30)의 상하 이동거리가 두 배가 된다.
즉, 수직 나사축(50)의 회전으로 수직 이동대(20)가 이동하는 거리의 두 배 만큼 포크대(30)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포크대(30)의 신속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포크대(30)에는 상하로 한 쌍의 포크부(31)(32)를 설치하되 상기 포크부(31)(32)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는 한편 좌우로 이동하여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포크부(31)(32)가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 나사축(41)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수평 나사축(41)의 양쪽 나사산 방향이 대칭이 될 때 모터(40)로 수평 나사축(41)을 회전시킴에 따라 포크부(31)(32)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게 되는 것으로, 들어 올리는 중량물의 부피에 따라 포크부(31)(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한편, 포크부(31)(32)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측의 포크부(31)는 후방으로 회동한 후 걸쇠(33)로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측의 포크부(31)를 세운 상태에서는 아무런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고, 상측의 포크부(32)를 후방으로 회동하면 젖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측의 포크부(31)를 펼쳐서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 상측의 포크부(32)는 방해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하로 두 개의 포크부(31)(32)를 설치하는 이유는 중량물을 낮게 들어 올릴 때는 하측의 포크부(31)를 사용하고, 중량물을 높게 들어 올릴 경우는 상측의 포크부(32)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낮은 높이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는 상측 포크부(32)를 젖힌 상태에서 하측 포크부(31)를 펼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높은 높이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는 하측 포크부(31)를 젖힌 후 걸쇠(33)로 걸어주고, 상측 포크부(32)를 펼쳐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용도에 맞는 작업 이루어지는 한편 포크부(31)(32)가 두 개를 사용하더라도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포크부(31)(32)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 무게중심이 포크부(31)(32)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전면 모서리 부위에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받침대(74)를 설치함으로써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는 받침대(74)를 펼쳐서 무게를 받치도록 하고, 중량물을 들어 올리지 않을 때는 받침대(74)를 접어주도록 하며, 상기 받침대(74)는 본체(10)의 전방에서 측면으로 이동시켜 고정되게 함으로써 보다 많은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본체(10)의 전면 모서리 부위에 회전 나사축(70)를 설치하여 모터(71)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회전 나사축(70)에는 나사 결합방식으로 이동하는 이동나사캡(72)을 결합시키는 한편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지지링(73)을 끼워주며, 상기 이동 나사캡(72)에는 받침대(74)를 힌지 결합시키는 한편 지지링(73)에는 지지대(75)를 힌지 결합시키고, 상기 받침대(74)의 중간에는 지지대(75)를 힌지 결합시키는 한편 받침대(74)의 선단에는 바퀴(76)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전 나사축(70)을 회전시키면 이동 나사캡(72)이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되고, 이동 나사캡(72)의 이동에 따라 받침대(74)가 세워지거나 펼쳐지게 되며, 상기 받침대(74)에 결합된 지지대(75)는 자연스럽게 받침대(74)의 중간을 받쳐주게 된다.
이동 나사캡(72)이 상부로 이동하면 받침대(74)가 세워지면서 지지대(75)가 접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바퀴(76)가 바닥에서 떨어지게 되고, 이동 나사캡(72)이 하부로 이동하면 받침대(74)가 펼쳐지면서 지지대(75)도 펼쳐지게 되고, 바퀴(76)는 바닥에 닿게 된다.
이 같이 받침대(74)가 펼쳐져 바퀴(76)가 지면을 받친 상태로 지지대(75)가 받침대(74)를 지지하여 무게를 견디는 경우, 안정되게 견디지 못하고 많은 중량을 감당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74)는 본체(10)의 전면 양측면으로 벌려주어 안정된 받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나사캡(72)은 회전 나사축(70)에 끼워진 상태로 좌우 회동이 가능하고, 지지링(73)도 자연스러운 회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퀴(76)가 본체(10)의 전방 외측에서 받쳐줄 수 있도록 벌려줄 수 있으며, 이때, 받침대(74)를 고정시켜야만 움직이지 않고 안정된 받침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본체(10)에 고정구멍(8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고정돌기(80)를 설치하고, 지지링(73)에는 회동시 고정구멍(81)과 겹쳐지는 고정구멍(77)을 형성한 후 필요한 만큼 받침대(74)의 회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고정구멍(77)(81)을 일치시킨 후 고정핀(82)을 박음으로서 받침대(74)가 회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무게를 받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리프터(100)의 이동시는 받침대(74)를 접어서 바퀴(76)가 지면에서 떨어진 상태가 되게 하고,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경우는 받침대(74)를 펼쳐서 바퀴(76)가 지면에 닿도록 하되 본체(10)의 전방 좌우측으로 틀어서 받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되게 중량물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수직 나사축(50)을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93)를 이용하여 수직 이동대(2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수직 이동대(20)가 본체(10) 및 포크대(30)와 결합되는 구조는 전술된 바와 같으나, 수직 이동대(20)의 상하측으로 롤러(91)(92)를 설치하는 한편 롤러(91)(92) 사이는 지그재그 형태로 와이어(93)를 걸어주되 상기 와이어(93)는 본체(10)에 설치되는 모터(90)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게 하며, 상기 와이어(93)의 선단은 스프링이 내재된 래칫(94)에 고정시키되 상기 래칫(94)은 수직 이동대(20)에 고정된 채로 와이어(93)가 긴장되면 본체(10)에 설치되는 래칫기어(95)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와이어(93)가 끊어지면 래칫(94)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래칫기어(95)에 치합되게 한다.
즉, 본 발명은 수직 이동대(20)를 상하 이동시키는 와이어(93)가 끊어지는 경우에는 와이어(93)의 긴장이 해소되고, 이로 인하여 래칫(94)을 당겨주지 못하여 래칫(94)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래칫(94)이 회전하면서 래칫기어(95)에 물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와이어(93)의 절단이 이루어지더라도 수직 이동대(20)의 상하 이동이 중단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와이어(93)가 끊어지지 않는 경우는 래칫(94)이 당겨진 상태에서 래칫기어(95)에 치합되지 못하게 되어, 정상적이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10 : 본체 11 : 바퀴
14 : 배터리 15 : 모터
20 : 수직 이동대 25 : 스프라켓
30 : 포크대 31,32 : 포크부
33 : 걸쇠 40 : 모터
41 : 수평 나사축 50 : 수직 나사축
60 : 체인 70 : 회전 나사축
72 : 이동 나사캡 73 : 지지링
74 : 받침대 75 : 지지대
77 : 고정구멍 80 : 고정돌기
81 : 고정구멍 82 : 고정핀
90 : 모터 91,92 : 롤러
93 : 와이어 94 : 래칫
95 : 래칫기어 100 : 리프터

Claims (4)

  1. 배터리(14)와 균형물(13) 및 원격조정용 콘트롤러(12)가 탑재되고 저면으로 이동용 바퀴(11)가 설치된 본체(1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측으로 공회전되는 스프라켓(25)이 설치되는 수직 이동대(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모터(15)에 의해 회전되는 수직 나사축(50)을 설치하되 상기 수직 나사축(50)에는 수직 이동대(20)의 후방이 결합되어 수직 나사축(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수직 이동대(20)가 상하 이동되게 하고,
    상기 수직 이동대(20)의 전방으로 수직 이동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되는 포크대(30)를 구비하고,
    상기 포크대(30)의 후방 하측과 본체(10)의 전방 상측에는 체인(60)을 고정하되 상기 체인(60)은 수직 이동대(20)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라켓(25)에 걸리게 하고,
    상기 포크대(30)에는 상하로 한 쌍의 포크부(31)(32)를 구비하되 상기 포크부(31)(32)는 후방으로 젖혀지게 설치하고,
    본체(10)의 전방 모서리에는 모터(71)로 구동되는 회전 나사축(70)을 설치하되 상기 회전 나사축(70)에는 상측으로 이동 나사캡(72)을 끼우는 한편 하측으로 지지링(73)을 끼우고,
    상기 이동 나사캡(72)에는 받침대(74)를 힌지로 결합시키는 한편 지지링(73)에는 지지대(75)를 힌지로 결합시키되 상기 받침대(74)의 중간 하측에 지지대(75)가 힌지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지지링(73)에 형성된 고정구멍(77)과 본체(10)에 형성된 고정돌기(80)에 뚫린 고정구멍(81)을 일치시킨 후 고정핀(82)을 꽂아 고정시키되 상기 받침대(74)와 지지대(75)는 본체(10)의 전방 외측으로 회동시킨 후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포크대(30)는 수직 이동대(20)에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 나사축(41)에 결합시키되 수평 나사축(41)의 나사는 양쪽으로 대칭되게 형성하고, 상기 수평 나사축(41)을 회전시키는 모터(40)를 구동시켜 포크부(31)(32) 사이의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터.
  4. 제1항에 있어서, 포크대(30)의 상하측으로 구비된 포크부(31)(32)는 후방으로 회동되게 하되 상측의 포크부(32)는 후방으로 회동되어 수평 상태로 놓이게 되고, 하측의 포크부(31)는 세워진 상태로 회동된 후 걸쇠(33)로 걸어서 회동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리프터.
KR1020160001677A 2016-01-06 2016-01-06 전동식 리프터 KR101745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677A KR101745617B1 (ko) 2016-01-06 2016-01-06 전동식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677A KR101745617B1 (ko) 2016-01-06 2016-01-06 전동식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617B1 true KR101745617B1 (ko) 2017-06-09

Family

ID=5922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677A KR101745617B1 (ko) 2016-01-06 2016-01-06 전동식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5819A (zh) * 2017-12-14 2018-05-18 王炯炜 一种用于无人仓储物流的全自动机械化上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7057A (ja) * 2012-09-03 2014-03-17 Unicarriers Corp 電動式リフト装置およびこの電動式リフト装置を使用したフォークリフ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7057A (ja) * 2012-09-03 2014-03-17 Unicarriers Corp 電動式リフト装置およびこの電動式リフト装置を使用したフォークリフ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5819A (zh) * 2017-12-14 2018-05-18 王炯炜 一种用于无人仓储物流的全自动机械化上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0110B2 (ja) 保管用設備、並びに特にこの設備用の倉庫ラック及び荷役機械
US7227322B2 (en) Hoist with detachable power and control unit
US8985344B2 (en) Storage system
CN204497630U (zh) 一种用于断路器和瓷瓶的高兼容性翻转车
US10233056B1 (en) Grasp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rolling racks
KR101745617B1 (ko) 전동식 리프터
CN218088476U (zh) 一种用于房屋建筑施工的安全升降机
KR20100062062A (ko) 물품 운반용 대차
KR20100006767A (ko)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JP2016196362A (ja) ローダ
JP2013083128A (ja) 昇降式足場装置
KR102279414B1 (ko)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CN115339495A (zh) 一种用于电器搬运的多轴向移动装置
KR101701592B1 (ko) 계단용 카트의 적재부
JP6544794B2 (ja) 昇降式上下二段駐輪装置
KR20130036871A (ko) 하역용 운반기구
JP5574373B2 (ja) 荷受台昇降装置
CN215326574U (zh) 吊装组件
JP5612865B2 (ja) 電動昇降式収納庫ユニット
KR200433361Y1 (ko) 전동식 리프트
JP2014226508A (ja) 昇降収納装置
KR101416543B1 (ko) 접이식 대차형 인양장치
CN215326572U (zh) 吊装装置
CN215711239U (zh) 一种产品吊装设备
JP3205852U (ja) トラック荷台用ハシゴ及びその収納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