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767A -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 Google Patents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767A
KR20100006767A KR1020080067127A KR20080067127A KR20100006767A KR 20100006767 A KR20100006767 A KR 20100006767A KR 1020080067127 A KR1020080067127 A KR 1020080067127A KR 20080067127 A KR20080067127 A KR 20080067127A KR 20100006767 A KR20100006767 A KR 20100006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contact
plate
elevato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1008B1 (ko
Inventor
남윤수
이재섭
김상철
박해균
윤태준
강연철
Original Assignee
이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섭 filed Critical 이재섭
Priority to KR1020080067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0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6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47B2021/0364Keyboard and monito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M)의 자동 수납이 가능한 컴퓨터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모니터(M)가 출입되는 개구부(52a)를 갖는 상판(52) 및 이 상판(52)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판(54)으로 이루어진 본체(50);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개구부(52a)로 상기 모니터(M)를 노출시키거나 본체(50)의 하부에 수납시키는 엘리베이터(60); 상기 엘리베이터(60)에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M)가 안착된 상태로 승강하는 승강판(PL); 상기 승강판(PL)이 연결된 상기 엘리베이터(6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엘리베이터(60)를 견인하면서 승강시키는 구동부재(70) 및; 상기 구동부재(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동부재(70)에 의해 작동하는 엘리베이터(60)에 의해 모니터가 승강하므로 모니터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본체의 개구부로 노출시키거나 본체에 수납하여 은폐시킬 수 있다.
컴퓨터, 모니터, 승강, 자동, 수납

Description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 MONITOR AUTOMATIC COLLECTION TYPE DESK FOR COMPUTER }
본 발명은 컴퓨터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컴퓨터의 모니터를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책상의 하부에 수납시키거나 책상의 상부로 노출시키는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은, 평상시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승강장치를 통해 책상의 하부에 모니터를 수납하여 은폐시킨다. 하지만, 모니터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 승강장치를 통해 모니터를 책상의 상부로 노출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시에만 모니터가 책상의 일부분을 차지하므로, 평상시에는 책상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첨부된 도 1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된 등록제 603792호(명칭: 컴퓨터 책상)에 개시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의 사시도이다. 즉,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13)에 연결된 와이어(12)가 선택적으로 정회전이나 역회전되는 윈치식 구동모터(11)의 구동축(11a)에 와인딩되거나 인출되면서 이동판(13)을 승강시킨다. 이때, 이동판(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막대식 가이드레일(15)을 따라 승강한다. 이에 따라, 이동판(13)은 상부에 모니터(M)가 안착된 받침판(14)과 함께 승강하면서, 모니터(M)를 상판(1)의 개구부(1a)로 노출시키거나 상판(1)의 하부에 수납시킨다. 따라서, 모니터(M)는 필요에 따라 상판(1)의 상부로 노출되거나 상판(1)의 하부에 수납되면서 은폐된다.
한편, 모니터(M)는 노출시 개구부(1a)를 폐쇄하는 개폐판(1b)을 상부로 밀면서 노출된다. 이때, 개폐판(1b)은 힌지고정된 일측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a)를 개방한다. 따라서, 모니터(M)는 개구부(1a)를 통해 상판(1)의 상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다. 물론, 개폐판(1b)은 모니터(M)가 상판(1)의 하부로 하강할 경우 다시 편축회전하면서 개구부(1a)를 폐쇄한다. 이렇게, 개폐판(1b)이 개구부(1a)를 폐쇄하므로, 사용자는 모니터(M)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판(1)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면상 미설명부호 2 및 3 은 상판(1)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측판이고, SW는 구동모터(11)를 정회전이나 역회전으로 구동시키는 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종래기술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시에만 모니터(M)가 상판(1)의 상부로 노출되므로, 평상시에는 책상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컴퓨터용 책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승강시 모니터(M)가 흔들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구성요소 및 부품들의 구조가 종래보다 간단하게 구성되고, 모니터를 승강시키는 와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니터의 일부분을 구속시켜서 고정할 수 있는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은, 모니터가 출입되는 개구부를 갖는 상판 및 이 상판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개구부로 상기 모니터를 노출시키거나 본체의 하부에 수납시키는 엘리베이터; 상기 엘리베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가 안착된 상태로 승강하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이 연결된 상기 엘리베이터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엘리베이터를 견인하면서 승강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은, 구동부재에 의해 작동하는 엘리베이터에 의해 모니터가 승강하므로 모니터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본체의 개구부로 노출시키거나 본체에 수납하여 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및 구동부재의 정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및 구동부재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은, 모니터(M)가 출입되는 개구부(52a)를 갖는 상판(52) 및 이 상판(52)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판(54)으로 이루어진 본체(50)를 포함한다.
본체(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52a)가 덮개판(52a')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판(52a')은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에 의해 개구부(52a)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판(52a')은 경첩을 중심으로 파선과 같이 편축회전하면서 개구부(52a)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M)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52a)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승강판(PL)상에 안착되어 승강하면서 개구부(52a)로 노출되거나 본체(50)의 하부에 수납되면서 은폐된다. 즉, 승강판(PL)은 본체(50)의 하부에서 승강하면서 모니터(M)를 승강시킨다.
또 한편, 모니터(M)는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볼트(92) 및 너트(94)로 구성된 유동방지부재(90)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다. 즉, 유동방지부재(90)는 모니터(M)의 유동을 방지한다.
여기서, 전술한 스터드볼트(92)는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M)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절곡형성되고, 양단부가 승강판(PL)을 관통한다. 그리고, 너트(94)는 확대도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볼트(92)의 단부에 체결되어 스터드볼트(92)의 단부를 승강판(PL)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러한 너트(9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너트로 구성된 록너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60); 승강판(PL) 및; 구동부재(70);를 더 포함한다.
엘리베이터(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개구부(52a)로 모니터(M)를 노출시키거나 본체(50)의 하부에 수납시키도록, 본체(50)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제각기 설치되는 가이드봉(62) 및; 상기 구동부재(70)에 일부분이 연결되어 구동부재(7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봉(62)을 따라 승강하고, 상기 승강판(PL)이 고정되는 승강브래킷(64);으로 구성된다. 즉, 엘리베이터(60)는 가이드봉(62) 및 승강브래킷(64)으로 구성된다.
가이드봉(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이 상판(61) 및 하판(69)에 제각기 고정됨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러한 상판(61)은 본체(50)에 고정되고, 하판(69)은 지면이나 바닥판(69')에 고정된다. 따라서, 가이드봉(62)은 상판(61) 및 하판(69)에 의해 수직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승강브래킷(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이루는 수평판(64a) 및 이 수평판(64a)에 볼팅으로 고정되는 랙(64b)으로 구성된다. 이때, 랙(64b)은 도시된 바와 같이 'ㄱ'과 같이 절곡된 한쌍의 금속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판(PL)은 도시된 바와 같이 랙(64b)에 안착되어 볼팅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승강판(PL)은 랙(64b)을 통해 승강브래킷(64)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즉, 승강판(PL)은 엘리베이터(60)에 연결된다. 물론, 승강판(PL)은 엘리베이터(60)의 승강작동에 의해 승강한다.
구동부재(70)는 승강판(PL)이 연결된 엘리베이터(6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엘리베이터(60)를 견인하면서 승강시킨다. 이러한 구동부재(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62)의 하부에 위치하고, 드럼(72a)을 갖는 모터식 윈치(72); 상기 윈치(72)의 드럼(72a)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승강브래킷(64)에 고정되어, 드럼(72a)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승강브래킷(64)을 견인하여 승강시키는 와이어(74) 및; 상기 가이드봉(62)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74)가 터닝되는 아이들러(76);로 구성된다. 즉, 구동부재(70)는 윈치(72); 와이어(74) 및; 아이들러(76);로 구성된다.
드럼(72a)은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72)에 연결된 일단부의 반대편측 타단부에 플랜지(72a')가 형성된다. 이러한 플랜지(72a)는 드럼(72a)에 와인딩된 와이어(74)가 드럼(72a)의 타단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와이어(7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제각기 드럼(72a)의 플랜지(72a) 및 승강브래킷(64)에 고정된다. 따라서, 와이어(74)는 드럼(72a)에 감기면서 승강브래킷(64)을 견인하여 상승시키고, 드럼(72a)에서 풀리면서 승강브래킷(64)을 하강시킨다.
한편, 드럼(72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74)가 관통되는 관통공(78a)이 형성된 캡(78)에 의해 보호된다. 이러한 캡(78)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72a)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어, 드럼(72a)을 차폐하면서 와이어(74)가 드럼(72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8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컨트롤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확대도 포함) 승강브래킷(64)에 부착되고, 상부로 돌출되는 접촉자(82')를 가지며, 이 접촉자(82')의 접촉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70)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상승리밋스위치(82); 상기 상승리밋스위치(82)와 함께 상기 승강브래킷(64)에 부착되고, 하부로 돌출되는 접촉자(82')를 가지며, 이 접촉자(82')의 접촉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70)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하강리밋스위치(84) 및; 상기 가이드봉(62)의 상부 및 하부에 제각기 설치되어, 상기 승강브래킷(64)의 승강에 의해 상기 상승리밋스위치(82) 및 하강리밋스위치(84)의 접촉자(82')와 제각기 접촉하면서, 상승리밋스위치(82) 및 하강리밋스위치(84)를 작동시키는 접촉구(86);로 구성된다. 즉, 컨트롤러(80)는 상승 및 하강리밋스위치(82, 84), 접촉구(86)로 구성된다.
상승 및 하강리밋스위치(82, 8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브래킷(64)에 약간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부착된다. 상승 및 하강리밋스위치(82, 84)는 돌출된 접촉자(82')가 제각기 상부 및 하부를 향하므로 접촉자(82')가 서로 상반된 상태를 이룬다.
접촉구(8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판(61) 및 하판(69)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판재로 구성한다. 물론, 접촉구(8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61) 및 하판(69)의 일측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접촉구(86)는 접촉자(82')와 경사접촉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자(82')와 접촉되는 부분에 경사면(86a)이 형성된다.
한편, 도면상 미설명부호 SW는 구동부재(70)의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의 작동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책상은 스위치(SW)가 상승으로 조작될 경우 구동부재(70)의 윈치(72)에 장착된 모터가 정회전하면서 드럼(72a)을 정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와이어(74)는 드럼(72a)에 와인딩되면서 타단을 통해 엘리베이터(60)의 승강브래킷(64)을 상부로 견인한다. 이때, 와이어(74)는 일부분이 아이들러(76)에 감긴상태로 드럼(72a)에 와인딩된다. 따라서, 승강브래킷(64)은 랙(64b)에 장착된 승강판(PL)과 함께 가이드봉(62)을 따라 상승한다. 물론, 승강판(PL)의 상승에 의해 모니터(M)는 상승하여 본체(50)의 개구부(52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컨트롤러(80)는 모니터(M)가 노출될 정도로 승강브래킷(64)이 상승할 경우, 상승리밋스위치(82)의 접촉자(82')가 접촉구(86)의 경사면(86a)에 접촉된다. 이때, 접촉자(82')는 경사면(86a)에 의해 약간 휘어지면서 상승리밋스위치(82)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상승리밋스위치(82)의 중단에 의해 구동부재(70)의 윈치(72)는 작동이 중단된다.
이와 반대로, 스위치(SW)가 하강으로 조작될 경우 구동부재(70)의 윈치(72)에 장착된 모터가 역회전하면서 드럼(72a)을 역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와이어(74)는 일부분이 아이들러(76)에 감긴상태로 드럼(72a)에서 풀린다. 이때, 승강브래킷(64)은 자중에 의해 가이드봉(62)을 따라 하강한다. 따라서, 승강브래킷(64)은 랙(64b)에 장착된 승강판(PL)과 함께 하강한다. 물론, 승강판(PL)의 하강에 의해 모니터(M)는 하강하여 본체(50)의 내측으로 수납된다.
컨트롤러(80)는 모니터(M)가 수납이 완료될 정도로 승강브래킷(64)이 하강할 경우, 하강리밋스위치(84)의 접촉자(82')가 가이드봉(62)의 하부에 마련된 접촉구(86)의 경사면(86a)에 접촉된다. 이때, 접촉자(82')는 경사면(86a)에 의해 약간 휘어지면서 하강리밋스위치(84)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하강리밋스위치(84)의 중단에 의해 구동부재(70)의 윈치(72)는 작동이 중단된다.
한편, 접촉자(82')는 경사면(86a)과 경사접촉하므로 약간만 휘어지고 꺽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접촉자(82')는 접촉구(86)와의 무리한 접촉이 방지된다. 물론, 접촉자(82')의 무리한 접촉이 방지됨에 따라 상승 및 하강리밋스위치(82, 84)는 수명이 연장된다.
다른 한편, 엘리베이터(60)는 컨트롤러(80)의 접촉자(82')가 접촉구(86)에 근접할 경우 승강브래킷(64)이 저속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될 경우 접촉자(82')는 승강브래킷(64)의 저속작동으로 인하여 접촉구(86)와 급작 스럽게 접촉하지 않고 서서히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60)는 급작스럽게 정지하지 않고 서서히 정지한다. 만약, 접촉자(82')가 접촉구(86)와 급작스럽게 접촉한다면, 엘리베이터(60)는 상승 및 하강리밋스위치(82, 84)의 급작스런 오프(OFF) 작동으로 인하여 갑자기 상승이나 하강을 중단한다. 이때, 모니터(M)는 엘리베이터(60)의 급작스러운 중단에 의해 승강판(PL)상에서 유동하면서 덜컹거린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60)는 사용자의 신체나 이물질이 개구부(52a)에 삽입될 경우 즉시 작동이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60)는 개구부(52a)에 신체나 이물질이 삽입됨에 따라, 승강판(PL)에 모니터(M)의 무게 보다 무거운 부하가 발생할 경우 구동부재(70)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동부재(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책상이 복수개로 구성될 경우 책상의 수량에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구동부재(70)는 미도시된 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해 한꺼번에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개의 책상은 한꺼번에 모니터(M)를 상판(52)의 상부로 노출시키거나 상판(52)의 하부로 수납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책상은, 구동부재(70)에 의해 작동하는 엘리베이터(60)에 의해 모니터(M)가 승강하므로 모니터(M)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본체(50)의 개구부(52a)로 노출시키거나 본체(50)에 수납하여 은폐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및 구동부재의 정면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및 구동부재의 배면사시도.

Claims (8)

  1. 모니터(M)의 자동 수납이 가능한 컴퓨터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M)가 출입되는 개구부(52a)를 갖는 상판(52) 및 이 상판(52)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판(54)으로 이루어진 본체(50);
    상기 본체(5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개구부(52a)로 상기 모니터(M)를 노출시키거나 본체(50)의 하부에 수납시키는 엘리베이터(60);
    상기 엘리베이터(60)에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M)가 안착된 상태로 승강하는 승강판(PL);
    상기 승강판(PL)이 연결된 상기 엘리베이터(6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엘리베이터(60)를 견인하면서 승강시키는 구동부재(70); 및
    상기 구동부재(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하는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60)는,
    상기 본체(50)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제각기 설치되는 가이드봉(62); 및
    상기 구동부재(70)에 일부분이 연결되어 구동부재(7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봉(62)을 따라 승강하고, 상기 승강판(PL)이 고정되는 승강브래킷(64);을 포함하는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70)는,
    상기 가이드봉(62)의 하부에 위치하고, 드럼(72a)을 갖는 윈치(72);
    상기 윈치(72)의 드럼(72a)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승강브래킷(64)에 고정되어, 드럼(72a)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승강브래킷(64)을 견인하여 승강시키는 와이어(74); 및
    상기 가이드봉(62)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74)가 터닝되는 아이들러(76);를 포함하는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72a)은,
    상기 와이어(74)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자유단측 단부에 플랜지(7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74)가 관통되는 관통공(78a)이 형성되고, 상기 드럼(72a)을 감싸면서 와이어(74)가 드럼(72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78);을 더 포함하는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승강브래킷(64)에 부착되고, 상부로 돌출되는 접촉자(82')를 가지며, 이 접촉자(82')의 접촉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70)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상승리밋스 위치(82);
    상기 상승리밋스위치(82)와 함께 상기 승강브래킷(64)에 부착되고, 하부로 돌출되는 접촉자(82')를 가지며, 이 접촉자(82')의 접촉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70)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하강리밋스위치(84); 및
    상기 가이드봉(62)의 상부 및 하부에 제각기 설치되어, 상기 승강브래킷(64)의 승강에 의해 상기 상승리밋스위치(82) 및 하강리밋스위치(84)의 접촉자(82')와 제각기 접촉하면서, 상승리밋스위치(82) 및 하강리밋스위치(84)를 작동시키는 접촉구(86);를 포함하는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구(86)는,
    상기 접촉자(82')와 접촉되는 부분에 경사면(86a)이 형성되어, 접촉자(82')와 경사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M)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모니터(M)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절곡형성되고, 양단부가 상기 승강판(PL)을 관통하는 스터드볼트(92); 및
    상기 스터드볼트(92)의 단부에 체결되어 스터드볼트(92)의 단부를 상기 승강판(PL)에 고정하는 너트(94);를 포함하는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KR1020080067127A 2008-07-10 2008-07-10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KR101021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127A KR101021008B1 (ko) 2008-07-10 2008-07-10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127A KR101021008B1 (ko) 2008-07-10 2008-07-10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767A true KR20100006767A (ko) 2010-01-21
KR101021008B1 KR101021008B1 (ko) 2011-03-09

Family

ID=4181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127A KR101021008B1 (ko) 2008-07-10 2008-07-10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0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270B1 (ko) * 2010-10-11 2012-06-14 (주)청도산업 자동 티브이 출몰장치
KR101160685B1 (ko) * 2010-09-02 2012-06-28 곽수만 모니터 오토리프트
CN105768554A (zh) * 2016-05-30 2016-07-20 苏州速腾电子科技有限公司 笔记本电脑放置架
CN109276024A (zh) * 2018-11-09 2019-01-29 中山市中泰龙办公用品有限公司 可升降收纳线路系统及升降办公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751B1 (ko) * 2013-03-08 2014-11-26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다수 개의 배치모드 제어가 가능한 모니터 승하강장치
KR101386561B1 (ko) 2013-07-24 2014-04-24 (주)청도산업 컴퓨터 책상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KR102604143B1 (ko) * 2023-05-26 2023-11-17 이재섭 진동 저감 디스플레이 승하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855A (ja) * 2001-10-29 2003-05-07 Itoki Co Ltd パソコンデスク
KR100772635B1 (ko) * 2005-05-31 2007-11-02 한규동 테이블용 디스플레이 승강장치 및 그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85B1 (ko) * 2010-09-02 2012-06-28 곽수만 모니터 오토리프트
KR101154270B1 (ko) * 2010-10-11 2012-06-14 (주)청도산업 자동 티브이 출몰장치
CN105768554A (zh) * 2016-05-30 2016-07-20 苏州速腾电子科技有限公司 笔记本电脑放置架
CN109276024A (zh) * 2018-11-09 2019-01-29 中山市中泰龙办公用品有限公司 可升降收纳线路系统及升降办公台
CN109276024B (zh) * 2018-11-09 2023-12-29 广东中泰家具集团有限公司 可升降收纳线路系统及升降办公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008B1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008B1 (ko) 모니터 자동수납식 컴퓨터용 책상
US6237781B1 (en) Device for elevating articles for storage within a garage
KR101405496B1 (ko) 무대용 리프트
JP2011174362A (ja) 二段式駐輪装置
KR100603792B1 (ko) 컴퓨터 책상
JP2001328797A (ja) 収納用昇降装置
CA3063414C (en) A lifting cabinet and device thereof
KR101581881B1 (ko)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KR100890103B1 (ko) 천정 출몰형 콘센트
JP4634531B1 (ja) 二段式駐輪装置
KR200390795Y1 (ko) 컴퓨터 책상
JP6658581B2 (ja) 昇降機能付スイッチギヤ
JP480414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類のクライミング工法におけるトップシーブ装置
JP2010265647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4046419B2 (ja) ディスプレイを内蔵する机
CN215076457U (zh) 自动提升柜
JP3956451B2 (ja) 照明ポール
JPH0310983A (ja) 浮遊ごみ回収装置
CN110088030A (zh) 用于对竖井门解除闩锁的装置
CN213976746U (zh) 一种墙板安装用便于安装的起吊装置
JPH04166555A (ja) 可動式天井収納庫
JPH0246589Y2 (ko)
JP4543229B2 (ja) 車椅子用昇降機
KR960001508Y1 (ko) 주차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JP411582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