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22457A1 -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22457A1
WO2023022457A1 PCT/KR2022/012157 KR2022012157W WO2023022457A1 WO 2023022457 A1 WO2023022457 A1 WO 2023022457A1 KR 2022012157 W KR2022012157 W KR 2022012157W WO 2023022457 A1 WO2023022457 A1 WO 20230224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crete block
reinforcing bar
column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21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주)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주 filed Critical (주)유주
Publication of WO20230224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224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5/00Joining caissons, sinkers, or other units to each other under wat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block structure installed on land or on the sea to form various structures, in particular, concrete structures installed underwater such as docking facilities for ports, sofa structures installed on the coast, and breakwaters, It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block structure installed underwater or on the surface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concrete structure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such as a platform for wind power generation.
  • Underwater concrete structures are install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docking facilities for ports, sofa structures installed on the coast, and breakwaters.
  • the large caisson construction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withstand large waves, but since a large caisson with a very large structure must be manufactured on land, transported to the installation point, and then installed underwater,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costs are very high, and various constraints This is a lot.
  •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a method of forming a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by stacking small concrete blocks in several stages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 the present inventor propose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55805 "Construction method of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and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registered on January 15, 2014) to form a concrete pillar inside the waterproof membrane and to the concrete pillar Therefore, a technology was proposed to ensure that the upper concrete block and the lower concrete block have structural integrity so that the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can have sufficient structural stability even in the waves caused by a large typhoon.
  •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column may become a weak point when the concrete block structure receives a strong force from the s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further improve the prior art.
  • the offshore concrete structure may be a concrete structure that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such as a platform for wind power generation, or a concrete structure that is submerged in water for purposes such as breakwaters and anchors.
  • large concrete structures are generally manufactured in a caisson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since the concrete pillar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crete block body by means of a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the pillar, the stiffness of the entire concrete block structure by the concrete pillar is greatly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concrete block body and a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a column extending upwar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crete block body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concrete block body.
  • a first concrete block including a first concrete block, a guide pi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einforcing bar holder disposed horizontally at an upper end of the guide pipe and having a reinforcing bar through hole for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the column, and the outside of the
  • the third watertight packing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guide pipe extends vertically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pipe and the lower end passes through a drainage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pe to the outside.
  • the second concrete block is installed so that the guide pol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for the second pillar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and the concrete block assembly includes the through-hole for the second pillar and the lower end is blocked.
  • a male threaded port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the column, and a fixing nut screwed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the column presses the reinforcing bar fixing table while the pil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is temporarily coupled to the reinforcing bar holder.
  • a 1-1 watertight packing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block body to surround the rebar assembly for the column.
  • concrete in the step of forming the concrete pillar, after removing the guide pole, concrete may be poured into the through hole for the concrete pillar, or the guide pole may be removed after pouring concrete into the guide pipe.
  •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the pillar has a length capable of protruding up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 the concrete pillar and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for the concrete pillar;
  • a floor concrete forming step may be added in which a floor concrete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block assembly, and an upper end of the pillar reinforcing bar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loor concrete.
  • a second concrete block is installed and a concrete column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pole is temporarily coupled to the column reinforcing bar assembly of the first concrete block using the reinforcing bar fixing tabl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pe.
  • the guide pole can protect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the column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 the concrete pillar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crete block body by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for the pillar,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illar, which is the most vulnerable part of the concrete block structure, is formed very firmly, greatly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entire concrete block structure. can improve
  •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concrete pillar in the same way as the land environment, so that the concrete pillar is formed firmly.
  • FIG. 1 to 9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ncrete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uide pole of FIG. 2;
  •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pole of FIG. 10;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crete block assembly of FIG. 3;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of FIG. 5;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block aggregates of FIG. 5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uide pole of FIG. 2
  • FIG. 11 is a separation of the guide pole of FIG.
  •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ncrete block assembly of Figure 3
  •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of Figure 5
  • Figure 14 is a state in which the concrete block assembly of Figure 5 is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ection is visible.
  • a concrete block 110-1 for the floor as shown in FIG. 1 is manufactured.
  • the floor concrete block 110-1 includes a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a column rebar assembly 114, and a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 the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crete block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 a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a column and a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are provided to protrude upward.
  •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the column and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are located on one side of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concrete block body 111-1 for the floor.
  • reinforcing bar assemblies 114 for pillars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provided, and a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is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reinforcing bar assemblies 114 for these pillars (see FIG. 12).
  •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the column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crete block body 111-1 for the floor (specifically, the inner reinforcing bar of the concrete block body 111-1 for the floor),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It extends to and protrudes to the top of the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a column has a form in which vertical reinforcing bar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orizontal reinforcing bar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bound to each other.
  •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the column is threaded so that the male threaded portion 114a is formed.
  •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has its lower e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specifically, the inner reinforcing bar of the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It extends to and protrudes to the top of the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has a form in which vertical reinforcing bar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orizontal reinforcing bar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bound to each other.
  •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is low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the column.
  •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is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the column.
  •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and the column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can be minimized by such a structure. That is, it is sufficient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and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the column is formed so that the guide pole 180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 each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and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the column is prefabricated with only a portion of the lower end so that it is installed in advance when manufacturing the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and the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After manufacturing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and the column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each upper end may be additional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at a pre-installed lower end.
  • the guide pole 18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as shown in FIG.
  • the guide pole 180 includes a guide pipe 181, a third watertight packing 182, an auxiliary cover for separation 183, a drain pipe 184, a support jaw 185, and a reinforcing bar. It includes a fixing table 186, a fixing nut 187, and an upper insertion guide 188.
  • FIG. 10 show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of the guide pole 180
  • FIG. 11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pole 180.
  • the guide pipe 181 has a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guide pipe 181 is a square pipe shape,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 the guide pipe 181 is divided into an upper pipe 181a and a lower pipe 181b, the upper pipe 181a extends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and the lower pipe 181b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pipe 181a to the inner side. It slopes upward and extends downward.
  • the lower end pipe 181b has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while going downward.
  • an auxiliary cover 183 for separation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ipe 181b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ipe 181b.
  • the auxiliary cover 183 for separation prevents direct contact between the lower pipe 181b made of metal and the reinforcing concrete wall 111-2 described later, so that the guide pole 180 is easily removed from the reinforcing concrete wall 111-2. This is to help them separate.
  • an elastic rubber plate As the auxiliary cover 183 for separation, an elastic rubber plate, a Styrofoam plate, a foam rubber plate, and the like may be employed.
  • the lower end of the upper pipe 181a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lower pipe 181b)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This is to ensure that the auxiliary cover 183 for separation has a higher height than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concrete wall 111-2 to be described later.
  • a third watertight packing 18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pe 181, specifically,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pipe 181b.
  • the third watertight packing 182 is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pole 180 from the outside when the guide pole 180 is installed.
  • a drain hole 181c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pe 181.
  • the drain hole 181c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nd pipe 181a.
  • the drain pipe 184 is a pip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pole 180, and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184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a drain hole 181c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pipe 181, the drain pipe The upper end of 184 extends to the upper end of guide pipe 181 .
  • the drain pipe 18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ipe 181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support jaw 185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pe 181, and a reinforcing bar fixing table 186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jaw 185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reinforcing rod holder 186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jaw 185, and may also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jaw 185.
  •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through-holes 186a and a plurality of concrete pouring openings 186b are formed in the reinforcing bar holder 186.
  • the guide pipe 181 is inserted into the concrete block body 111- 1) is installed at the top.
  • the guide pipe 181 is installed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the column pass through the reinforcing bar through-hole 186a of the reinforcing bar holder 186, and the edge of the reinforcing bar holder 186 is on the support jaw 185
  • the fixing nut 187 presses the rebar fixing table 186 and the rebar assembly 114 for the column
  • the guide pipe 181 is temporarily fixed to the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while being temporarily coupled to the reinforcing bar fixing table 186.
  • the third watertight packing 182 is compressed so that water inflow into the guide pole 180 can be blocked.
  • the upper side insertion guide part 188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pe 181.
  • the upper side insertion guide 188 has a tapered upward shape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pe 181 .
  • the upper insertion guide 188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guide pipe 181, and a guide protrusion for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pe 18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insertion guide 188. there is.
  • the upper side insertion guide 188 is for guiding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to be described later.
  • a reinforcing concrete wall 111-2 is formed as shown in FIGS. 3 and 12.
  • the reinforcing concrete wall 111-2 is form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protruding upward from the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is buried, and the part where the column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is located Is formed of a pillar binding groove (111b), which is an empty space.
  •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the column penetrates the reinforcing concrete wall 111-2 and the guide pole 180 ) (Specifically, the auxiliary cover 183 for separation) and a pillar binding groove 111b in contact are formed.
  • Such a reinforcing concrete wall 111-2 cover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and connects the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through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Integrating, the floor concrete block body 111-1 and the reinforcing concrete wall 111-2 form the first concrete block body 111.
  • a concrete block including a first concrete block body 111 and a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a column is referred to as a first concrete block 110.
  • a 1-1 packing groove 111c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block body 111, specif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concrete wall 111-2, and the 1-1 packing groove 111c A 1-1 watertight packing 112 is provided.
  • the groove 111c for the 1-1 packing and the 1-1 watertight packing 112 are formed in a square ring shape surrounding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the column.
  • the shape of the first concrete block 110 of this embodiment is only one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 the first concrete block 110 with the guide pole 180 installed that is, the first concrete block assembly is installed.
  • the first concrete block assembly is installed underwater. Therefore, the first concrete block 110 is installed on the underwater ground.
  •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is installed on the first concrete block 110 as shown in FIG. 5 to form a concrete block assembly 100A.
  •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includes a second concrete block body 121, and the second concrete block body 121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s two through-holes 121b for second pillars extending vertically. is formed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hrough-hole 121b for the second pillar is a square cross-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ide pipe 181,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rough-hole 121b for the second pillar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end pipe 181a. formed larger.
  • the 2-1st watertight packing 122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through-holes 121b for the second pillars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body 121.
  • a 2-1 packing groove 121c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body 121, and a 2-1 watertight packing 122 is provided in the 2-1 packing groove 121c.
  • the groove 121c for the 2-1 packing and the 2-1 watertight packing 122 are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through-hole 121b for the second pillar.
  •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so that the column rebar assembly 114 of the first concrete block 110 installed underwat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21b for the second column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to install
  •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21b for the second pillar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so that the guide pole 180 installed on the first concrete block 110 is inserted. descend from to the bottom.
  • the upper side insertion guide part 188 of the guide pole 180 is easily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21b for the second pillar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and the seating position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is maintained.
  • a plurality of second concrete blocks 120 are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on top of the first concrete block 110, or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concrete block on top of the first concrete block 110 (120) will be able to be installed once.
  • a through hole 161 for a concrete pillar with a closed lower end is formed.
  • the through-hole 161 for the concrete column includes the through-hole 121b for the second pillar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and in this embodiment, the through-hole for the second pillar of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 121b) and the pillar coupling groove 111b of the first concrete block 110.
  • the 1-1 watertight packing 11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concrete block body 111 and the second concrete block body 121 to provide a through-hole for concrete pillars 161 from the outside. It will block the inflow of water.
  • the 2-1 watertight packing 122 is positioned between the vertically arranged second concrete block bodies 121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through-holes 161 for concrete pillars from the outside. .
  • a plurality of first concrete blocks 110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crete blocks 120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a state.
  • a drainage step for removing water inside the through-hole 161 for the concrete pillar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6 .
  • the upper side insertion guide part 188 of the guide pole 180 is removed.
  • the drain device 170 including the drain pump 171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drain pipe 184, and by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171, the water inside the through hole 161 for the concrete column is drained into the drain pipe ( 184)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device 170.
  • the guide pole 180 is first removed as shown in FIG. 7 .
  • the guide pole 180 When the fixing nut 187 is loosened, the guide pole 180 can be removed upward,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le 18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inforcing concrete wall 111-2 due to the auxiliary cover 183 for separation. can
  • a concrete block fixing table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male threaded portion 114a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a column to fix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located at the top. can be fixed.
  •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oncrete block assembly 100A can be increased until the concrete pillar 160 described later is completely formed.
  • the concrete pouring work for forming the concrete pillar 160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environment as on land.
  •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the pillar does not form the concrete pillar 160 and protrudes to the top of the concrete pillar 160.
  •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4 for a column of the first concrete block 110 has a length capable of protruding upward through the through-hole 161 for the concrete column through the through-hole 161 for the concrete column.
  • a concrete block structure 100B in which the first concrete block 110 and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ncrete pillar 160 is primarily formed.
  • the concrete block structure 100B is completed by forming the upper concrete 140 on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block assembly 100A.
  • the upper end of the pillar rebar assembly 114 protruding to the top of the concrete pillar through-hole 161 is connected to the inner reinforcing bars of the upper concrete 140.
  • the concrete pillar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crete block body 111 via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for the pillar.
  •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illar 160 is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concrete wall 111-2 of the first concrete block body 111.
  • the guide pole 180 is used when forming the reinforcing concrete body 115,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ssembly 115 and the column reinforcing bar assembly 116 can be minimized.
  •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column 160 which may be the weakest part of the concrete block structure 100B, is formed very firmly, and thus the stiffness of the entire concrete block structure can be greatly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underwater or on the surface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docking facilities for ports, etc., sofa structures installed on the coast, concrete structures installed underwater, such as breakwaters, or concrete structures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such as platforms for wind power generation. It can be used to construct concrete block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파이프의 상단부에 배치된 철근 고정대를 이용하여 가이드 폴이 제1콘크리트 블록의 기둥용 철근 조립체에 임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고, 이후 제2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고, 이후 가이드 폴을 제거하고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기둥이 기둥용 철근 조립체에 의하여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와 연결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기둥의 하단부가 매우 견고하게 형성되어 전체적인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의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육상 또는 해상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만 등을 위한 접안시설, 해안에 설치되는 소파용 구조물, 방파제 등 수중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풍력발전용 플랫폼과 같이 수면에서 부유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 다양한 목적으로 수중 또는 수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만 등을 위한 접안시설, 해안에 설치되는 소파용 구조물, 방파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된다.
한편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서 널리 알려진 시공 기법은 대형 케이슨 공법이다. 대형 케이슨 공법은 대형 파랑에도 견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매우 큰 구조의 대형 케이슨을 육상에서 제작하고 이를 설치 지점으로 운반한 후 수중에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반비 및 공사비가 매우 많이 소요되며, 여러가지 제약 조건이 많다.
이와 같은 대형 케이슨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형 콘크리트 블록을 수심에 따라 여러 단으로 쌓아 올려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이 본 발명자에 의하여 제안되었다.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55805호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2014. 1. 15. 등록)을 제안하여, 방수막의 내부에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기둥에 의하여 상부의 콘크리트 블록과 하부의 콘크리트 블록이 구조적 일체성을 가지도록 하여 대형 태풍 등으로 인한 파랑에도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이 충분한 구조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상기 종래 기술은 콘크리트 기둥에 의하여 상부의 콘크리트 블록과 하부의 콘크리트 블록이 구조적 일체성을 가지나, 콘크리트 기둥의 철근과 하부에 위치한 콘크리트 블록의 철근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조는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이 측면으로부터 강한 힘을 받을 때 콘크리트 기둥의 하단부가 취약한 지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이다.
한편, 다양한 목적의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이 제작 및 사용되고 있다.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은, 풍력발전용 플랫폼과 같이 수면에서 부유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방파제, 앵커 등의 목적으로 수중에 가라앉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케이슨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육상에서 제작할 경우, 그 중량으로 인하여 육상에서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해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형 바지선에서 부유 가능한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는 방식이 최근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콘크리트 구조물을 대형 바지선 위에서 제작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오랜 기간 고가의 대형 바지선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기둥이 기둥용 철근 조립체에 의하여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와 연결될 수 있어, 콘크리트 기둥에 의한 전체적인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의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와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의 내부와 연결된 하단부로부터 수직 방향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의 상부로 돌출되는 기둥용 철근 조립체를 포함하는 제1콘크리트 블록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의 상단부가 관통하기 위한 철근 관통구가 형성된 철근 고정대와 외부에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3수밀용 패킹과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가이드 폴이 임시로 서로 조립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내부를 따라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가 수직 방향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철근 고정대의 철근 관통구를 관통한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의 상단부가 상기 철근 고정대에 임시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폴이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의 상면에 임시로 고정된 제1콘크리트 블록 조립체를 설치하는 제1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설치 단계 ;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설치 단계 이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기둥용 관통구가 형성된 제2콘크리트 블록 몸체를 포함하는 제2콘크리트 블록을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2콘크리트 블록의 제2기둥용 관통구에 상기 가이드 폴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에 상기 제2기둥용 관통구를 포함하며 하단이 막힌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가 형성되는 제2콘크리트 블록 설치 단계 ; 상기 제2콘크리트 블록 설치 단계 이후, 상기 배수관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 내부의 물을 제거하는 기둥용 배수 단계 ; 상기 기둥용 배수 단계 이후, 상기 가이드 폴을 제거하고 상기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에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가 일체화된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며,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의하여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제2콘크리트 블록이 서로 결합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기둥 형성 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설치 단계에서,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의 상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의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너트가 상기 철근 고정대를 가압하면서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가 상기 철근 고정대에 임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의 상면에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를 포위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1-1수밀용 패킹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 형성 단계는, 상기 가이드 폴을 제거한 후 상기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가이드 폴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를 지나 상기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 상기 콘크리트 기둥 형성 단계 이후, 상기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의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의 상단부는 상기 상치 콘크리트의 내부와 연결되는 상치 콘크리트 형성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가이드 파이프의 상단부에 배치된 철근 고정대를 이용하여 가이드 폴이 제1콘크리트 블록의 기둥용 철근 조립체에 임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2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 과정 중에 가이드 폴이 기둥용 철근 조립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둥이 기둥용 철근 조립체에 의하여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와 연결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에서 가장 취약한 부위인 콘크리트 기둥의 하단부가 매우 견고하게 형성되어 전체적인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의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상 환경과 동일하게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할 수 있어, 콘크리트 기둥이 견고하게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들,
도 10은 도 2의 가이드 폴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가이드 폴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3의 제1콘크리트 블록 조립체의 사시도,
도 13은 도 5의 제2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14는 도 5의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가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10은 도 2의 가이드 폴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가이드 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3의 제1콘크리트 블록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5의 제2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5의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가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1)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도 1과 같은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110-1)을 제작한다.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110-1)은,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와,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와,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직육면체 콘크리트 블록이다.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에는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와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와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는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의 좌우방향 일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는 서로 분리된 2개의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가 마련되며, 이들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를 포위하는 형태로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가 배치된다(도 12 참조).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는 그 하단부가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의 내부(구체적으로는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의 내부 철근)와 연결되며, 하단부로부터 수직 방향 상부로 연장되어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의 상부로 돌출된다.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방향 철근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방향 철근이 서로 결속된 형태이다.
한편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의 수직방향 철근의 상단부는 나사 가공이 되어 수나사부(114a)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는 그 하단부가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의 내부(구체적으로는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의 내부 철근)와 연결되며, 하단부로부터 수직 방향 상부로 연장되어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의 상부로 돌출된다.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방향 철근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방향 철근이 서로 결속된 형태이다.
한편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의 돌출 높이는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의 돌출 높이보다 낮다.
또한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는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를 포위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도 2 및 그 이후의 도면에서는 도면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 및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에서 오직 수직방향 철근만을 도시하고 수평방향 철근에 대한 도시를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와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의 간격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와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의 간격은 후술하는 가이드 폴(180)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한편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와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 각각은 하단부 일부만 미리 제작되어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를 제작할 때 미리 설치되도록 하고,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를 제작한 후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와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 각각의 상단부를 추가적으로 제작하여 미리 설치된 하단부에 조립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2) 가이드 폴 설치 단계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이후, 도 2와 같이 가이드 폴(180)을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의 상부에 설치한다.
도 2에서 가이드 폴(180)은, 가이드 파이프(181)와, 제3수밀용 패킹(182)과, 분리용 보조덮개(183)와, 배수관(184)과, 지지턱(185)과, 철근 고정대(186)와, 고정 너트(187)와, 상부측 삽입 안내부(188)를 포함한다.
도 10에서 가이드 폴(180)의 단면 개념도를 도시하였으며, 도 11에서는 가이드 폴(180)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가이드 파이프(18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파이프(181)의 형태는 사각 파이프 형태이나, 이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가이드 파이프(181)는 상단부 파이프(181a)와 하단부 파이프(181b)로 구분되며, 상단부 파이프(181a)는 상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부 파이프(181b)는 상단부 파이프(181a)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경사지면서 하부로 연장된다.
즉 하단부 파이프(181b)는 하부를 향하면서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이다.
또한 하단부 파이프(181b)의 외측면에는 하단부 파이프(181b)의 외측면을 덮는 분리용 보조덮개(183)가 마련된다.
분리용 보조덮개(183)는 금속재의 하단부 파이프(181b)와 후술하는 보강용 콘크리트 벽체(111-2)의 직접 접촉을 막아, 가이드 폴(180)이 보강용 콘크리트 벽체(111-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분리용 보조덮개(183)로서는 탄성 고무판, 스티로폼 판재, 발포 고무판 등이 채택될 수 있다.
한편 상단부 파이프(181a)의 하단(즉 하단부 파이프(181b)의 상단)은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된다. 이는 후술하는 보강용 콘크리트 벽체(111-2)의 높이보다 분리용 보조덮개(183)가 더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이드 파이프(181)의 하단, 구체적으로는 하단부 파이프(181b)의 하단에는 제3수밀용 패킹(182)이 마련된다.
제3수밀용 패킹(182)은, 가이드 폴(180)이 설치되면 외부에서 가이드 폴(180)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 파이프(181)의 하단부에는 배수구멍(181c)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구멍(181c)은 상단부 파이프(181a)의 하단에 형성된다.
배수관(184)은 가이드 폴(18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으로서, 배수관(184)의 하단은 가이드 파이프(181)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수구멍(181c)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며, 배수관(184)의 상단은 가이드 파이프(181)의 상단부까지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관(184)은 가이드 파이프(18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파이프(181)의 상단부 내측에 지지턱(185)이 마련되며, 지지턱(185)의 상부에 철근 고정대(186)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철근 고정대(186)는 지지턱(185)의 상면에 안착되며, 아울러 지지턱(18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철근 고정대(186)에는 복수의 철근 관통구(186a)와 복수의 콘크리트 타설용 개구부(186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폴(180)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가이드 파이프(181)의 내부에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가 삽입되며 가이드 파이프(181)의 외부에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가 배치되도록 가이드 파이프(181)를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의 상부에 설치한다.
가이드 파이프(181)를 설치하고 철근 고정대(186)의 철근 관통구(186a)에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의 수직방향 철근이 관통하도록 하고 철근 고정대(186)의 가장자리는 지지턱(185)에 지지되도록 한 후,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의 수나사부(114a)에 고정 너트(187)를 체결하면, 고정 너트(187)가 철근 고정대(186)을 가압하면서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가 철근 고정대(186)에 임시로 결합되면서 가이드 파이프(181)가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에 임시로 고정 설치된다.
가이드 파이프(181)가 임시로 고정 설치되면 제3수밀용 패킹(182)이 압착되면서 가이드 폴(180)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가이드 파이프(181)의 상단부에 상부측 삽입 안내부(188)를 설치한다.
상부측 삽입 안내부(188)는 가이드 파이프(181)의 상단부에 상방으로 테이퍼진 형태를 가진다.
상부측 삽입 안내부(188)는 가이드 파이프(18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측 삽입 안내부(188)의 하단부에는 가이드 파이프(181)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측 삽입 안내부(188)는 후술하는 제2콘크리트 블록(120)의 설치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3) 보강용 콘크리트 벽체 형성 단계
가이드 폴 설치 단계 이후, 도 3 및 도 12과 같이 보강용 콘크리트 벽체(111-2)를 형성한다.
보강용 콘크리트 벽체(111-2)는,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의 상부로 돌출된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가 매립되도록 형성되며,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가 위치하는 부위는 빈 공간인 기둥 결속홈(111b)으로 형성된다.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가 위치하는 부위는 가이드 폴(180)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흘러들어가지 않아, 보강용 콘크리트 벽체(111-2)에는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가 관통하며 가이드 폴(180)(구체적으로는 분리용 보조덮개(183))과 접하는 기둥 결속홈(111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보강용 콘크리트 벽체(111-2)는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의 상면 일부를 덮으며,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를 매개로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와 일체화되며, 바닥용 콘크리트 블록 몸체(111-1)와 보강용 콘크리트 벽체(111-2)는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111)를 이루게 된다.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111)와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을 제1콘크리트 블록(110)이라 칭한다.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111)의 상면, 구체적으로는 보강용 콘크리트 벽체(111-2)의 상면에 제1-1패킹용 홈(111c)이 형성되며, 제1-1패킹용 홈(111c)에 제1-1수밀용 패킹(112)이 마련된다.
제1-1패킹용 홈(111c) 및 제1-1수밀용 패킹(112)은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를 포위하는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제1콘크리트 블록(110)의 형태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4) 제1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설치 단계
보강용 콘크리트 벽체 형성 단계 이후, 도 4와 같이 가이드 폴(180)이 설치된 상태의 제1콘크리트 블록(110), 즉 제1콘크리트 블록 조립체를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콘크리트 블록 조립체를 수중에 설치한다. 따라서 제1콘크리트 블록(110)은 수중 지반에 설치된다.
(5) 제2콘크리트 블록 설치 단계
제1콘크리트 블록 설치 단계 이후, 도 5와 같이 제2콘크리트 블록(120)을 제1콘크리트 블록(110)의 상부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100A)를 형성한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여 제2콘크리트 블록(120)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2콘크리트 블록(120)은, 제2콘크리트 블록 몸체(121)를 포함하며, 제2콘크리트 블록 몸체(121)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제2기둥용 관통구(121b)가 형성되어 있다.
제2기둥용 관통구(121b)의 단면 형태는 가이드 파이프(181)의 단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의 사각형 단면 형태이며, 제2기둥용 관통구(121b)의 단면적은 상단부 파이프(181a)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콘크리트 블록 몸체(121)의 제2기둥용 관통구(121b) 각각에 대응하여 제2-1수밀용 패킹(122)이 마련된다.
제2콘크리트 블록 몸체(121)의 상면에 제2-1패킹용 홈(121c)이 형성되며, 제2-1패킹용 홈(121c)에 제2-1수밀용 패킹(122)이 마련된다.
제2-1패킹용 홈(121c) 및 제2-1수밀용 패킹(122)은 제2기둥용 관통구(121b)를 포위하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2콘크리트 블록(120)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수중에 설치된 제1콘크리트 블록(110)의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가 제2콘크리트 블록(120)의 제2기둥용 관통구(121b)에 삽입되도록 제2콘크리트 블록(120)을 설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콘크리트 블록(120)의 제2기둥용 관통구(121b)에, 제1콘크리트 블록(110)에 설치된 가이드 폴(180)이 삽입되도록, 제2콘크리트 블록(120)을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시킨다.
이때 가이드 폴(180)의 상부측 삽입 안내부(188)는 제2콘크리트 블록(120)의 제2기둥용 관통구(121b)에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제2콘크리트 블록(120)의 안착 위치를 안내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콘크리트 블록(110)의 상부에 복수의 제2콘크리트 블록(120)을 다단으로 설치하거나, 혹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콘크리트 블록(110)의 상부에 제2콘크리트 블록(120)을 일단으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콘크리트 블록(120)의 설치에 따라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100A)에는 하단이 막힌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가 형성된다.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는, 제2콘크리트 블록(120)의 제2기둥용 관통구(121b)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콘크리트 블록(120)의 제2기둥용 관통구(121b)와 제1콘크리트 블록(110)의 기둥 결속홈(111b)에 의하여 형성된다.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100A)에서 제1-1수밀용 패킹(112)은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111)와 제2콘크리트 블록 몸체(121) 사이에 위치되어 외부에서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로의 물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100A)에서 제2-1수밀용 패킹(122)은 상하로 배치된 제2콘크리트 블록 몸체(121) 사이에 위치되어 외부에서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로의 물 유입을 차단한다.
즉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100A)는,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에 물이 존재하나 가이드 폴(180) 내부에는 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가이드 폴(180)의 외부 공간에만 물이 존재하며, 아울러 제1-1수밀용 패킹(112)과 제2-1수밀용 패킹(122)에 의하여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로 물이 유입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100A)는, 도 14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제1콘크리트 블록(11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또한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제2콘크리트 블록(12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6) 기둥용 배수 단계
제2콘크리트 블록 설치 단계 이후, 도 6과 같이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 내부의 물을 제거하는 기둥용 배수 단계를 수행한다.
먼저 가이드 폴(180)의 상부측 삽입 안내부(188)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배수관(184)의 상단에, 배수펌프(171)를 포함하는 배수장치(170)를 연결하며, 배수펌프(171)의 가동에 의하여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 내부의 물이 배수관(184) 및 배수장치(17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1-1수밀용 패킹(112)과 제2-1수밀용 패킹(122)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로 물이 유입될 수 없는 상태이므로, 본 단계에 의하여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는 물이 없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는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 내부에서 가이드 폴(180) 외부 공간의 물만 배수하도록 하고 있어, 배수 시간이 매우 절약된다.
만일 제3수밀용 패킹(182)이 없다면 가이드 폴(180) 내부에 존재하는 물도 배수하여야 한다.
(7) 콘크리트 기둥 형성 단계
기둥용 배수 단계 이후, 먼저 도 7과 같이 가이드 폴(180)을 제거한다.
고정 너트(187)를 풀면 가이드 폴(180)이 상부로 제거될 수 있으며, 분리용 보조덮개(183)로 인하여 가이드 폴(180)의 하단부가 보강용 콘크리트 벽체(111-2)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이드 폴(180)을 제거한 후,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의 수나사부(114a)에 콘크리트 블록 고정대(미도시)를 설치하여 가장 상부에 위치한 제2콘크리트 블록(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 고정대(미도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100A)를 고정하면 후술하는 콘크리트 기둥(160)이 완전히 형성될 때까지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100A)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가이드 폴(180)을 제거한 후, 도 8과 같이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와 일체화된 콘크리트 기둥(160)을 형성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직전에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에는 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며, 아울러 제1-1수밀용 패킹(112)과 제2-1수밀용 패킹(122)에 의하여 외부로 콘크리트가 누설될 위험도 없으므로, 별도의 방수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콘크리트 기둥(160)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 작업이 육상과 동일한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의 상단부는 콘크리트 기둥(160)을 형성하지 않고, 콘크리트 기둥(16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즉 제1콘크리트 블록(110)의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는,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를 지나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콘크리트 기둥(160)에 의하여 제1콘크리트 블록(110)과 제2콘크리트 블록(120)이 서로 결합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B)을 1차로 형성한다.
(8) 상치 콘크리트 형성 단계
콘크리트 기둥 형성 단계 이후, 도 9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100A)의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140)를 형성하여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B)을 완성한다.
이때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161)의 상부로 돌출된 기둥용 철근 조립체(114)의 상단부는, 상치 콘크리트(140)의 내부 철근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시공 방법을 통하여 시공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B)은, 콘크리트 기둥(160)이 기둥용 철근 조립체(115)를 매개로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111)와 연결된다.
또한 콘크리트 기둥(160)의 하단부는,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111)의 보강용 콘크리트 벽체(111-2)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보강용 콘크리트 몸체(115)를 형성할 때 가이드 폴(180)을 이용하므로 보강용 철근 조립체(115)와 기둥용 철근 조립체(116)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B)에서 가장 취약한 부위가 될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160)의 하단부가 매우 견고하게 형성되어 전체적인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의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항만 등을 위한 접안시설, 해안에 설치되는 소파용 구조물, 방파제 등 수중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풍력발전용 플랫폼과 같이 수면에서 부유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 다양한 목적으로 수중 또는 수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와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의 내부와 연결된 하단부로부터 수직 방향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의 상부로 돌출되는 기둥용 철근 조립체를 포함하는 제1콘크리트 블록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의 상단부가 관통하기 위한 철근 관통구가 형성된 철근 고정대와 외부에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3수밀용 패킹과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가이드 폴이 임시로 서로 조립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 파이프의 내부를 따라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가 수직 방향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철근 고정대의 철근 관통구를 관통한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의 상단부가 상기 철근 고정대에 임시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폴이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의 상면에 임시로 고정된 제1콘크리트 블록 조립체를 설치하는 제1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설치 단계 ;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설치 단계 이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기둥용 관통구가 형성된 제2콘크리트 블록 몸체를 포함하는 제2콘크리트 블록을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를 형성하며, 상기 제2콘크리트 블록의 제2기둥용 관통구에 상기 가이드 폴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에 상기 제2기둥용 관통구를 포함하며 하단이 막힌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가 형성되는 제2콘크리트 블록 설치 단계 ;
    상기 제2콘크리트 블록 설치 단계 이후, 상기 배수관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 내부의 물을 제거하는 기둥용 배수 단계 ;
    상기 기둥용 배수 단계 이후, 상기 가이드 폴을 제거하고 상기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에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가 일체화된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며,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의하여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제2콘크리트 블록이 서로 결합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기둥 형성 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설치 단계에서,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의 상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의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너트가 상기 철근 고정대를 가압하면서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가 상기 철근 고정대에 임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몸체의 상면에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를 포위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제1-1수밀용 패킹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 형성 단계는, 상기 가이드 폴을 제거한 후 상기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 형성 단계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가이드 폴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를 지나 상기 콘크리트 기둥용 통공부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
    상기 콘크리트 기둥 형성 단계 이후, 상기 콘크리트 블록 집합체의 상부에 상치 콘크리트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용 철근 조립체의 상단부는 상기 상치 콘크리트의 내부와 연결되는 상치 콘크리트 형성 단계가 부가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PCT/KR2022/012157 2021-08-17 2022-08-16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WO202302245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778A KR102389280B1 (ko) 2021-08-17 2021-08-17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21-0107778 2021-08-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2457A1 true WO2023022457A1 (ko) 2023-02-23

Family

ID=8143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2157 WO2023022457A1 (ko) 2021-08-17 2022-08-16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9280B1 (ko)
WO (1) WO20230224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675B1 (ko) * 2020-03-10 2020-12-16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KR102389280B1 (ko) * 2021-08-17 2022-04-21 (주)유주웨이브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671A (ja) * 2007-07-11 2009-01-29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洋上風力発電のスパー型浮体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16262A (ko) * 2010-04-19 2011-10-26 민동구 가물막이 구조
KR20150047916A (ko) * 2013-10-25 2015-05-06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고정부블록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교각 시공방법
US20190194893A1 (en) * 2016-08-24 2019-06-27 Sang Gi Kim Concrete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guide member for installing concrete block
KR102191675B1 (ko) * 2020-03-10 2020-12-16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KR102389280B1 (ko) * 2021-08-17 2022-04-21 (주)유주웨이브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2797B1 (ko) 1970-11-18 1975-08-02
KR101355805B1 (ko) 2013-03-13 2014-01-24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102022339B1 (ko) 2019-02-11 2019-09-18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671A (ja) * 2007-07-11 2009-01-29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洋上風力発電のスパー型浮体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16262A (ko) * 2010-04-19 2011-10-26 민동구 가물막이 구조
KR20150047916A (ko) * 2013-10-25 2015-05-06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고정부블록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교각 시공방법
US20190194893A1 (en) * 2016-08-24 2019-06-27 Sang Gi Kim Concrete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guide member for installing concrete block
KR102191675B1 (ko) * 2020-03-10 2020-12-16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KR102389280B1 (ko) * 2021-08-17 2022-04-21 (주)유주웨이브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280B9 (ko) 2023-04-12
KR102389280B1 (ko)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22457A1 (ko)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WO2023096253A1 (ko)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WO2020166846A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WO2011099827A2 (ko) 콘크리트 부유체 및 이를 이용한 부유조립체
WO2021182795A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WO2022182027A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WO2014204107A1 (ko) 다중석션파일 앵커 및 석션파일을 구비한 평판앵커
WO2020138860A1 (ko)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기초의 시공방법 및 그 기초
WO2022059847A1 (ko) 해상 풍력발전 부유체의 설치방법
WO2023282498A1 (ko) 콘크리트 블록 제작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WO2018038305A1 (ko)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WO2023068614A1 (ko) 해저면의 모노파일 관입용 지그 어셈블리 및 이것을 이용한 모노파일 관입 방법
WO2024014729A1 (ko) 해저 연약지반에서의 침하 방지를 위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WO2013085323A1 (ko) 중심홀이 천공된 푼툰을 이용한 부유해상구조물
CN112227330A (zh) 一种沉仓式海底平台的建立方法
WO2022225210A1 (ko) 수중 기초 구조물 시공 방법
JP3065927B2 (ja) 乾式作業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作業函
FI119778B (fi) Vesirakenteiden paaluryhmän korjauslaite
WO2023080631A1 (ko) 해저면의 석션파일 관입용 지그 어셈블리 및 이것을 이용한 석션파일 관입 방법
JP2718241B2 (ja) 軟弱海底地盤上の基礎施工法
GB1251099A (ko)
CN112726576A (zh) 一种桩基浇筑用基坑保护模板及其施工方法
CA1144381A (en) Dams or barrages
JP2001311166A (ja) 水中基礎構造物の構築工法
GB205593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ams or bar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586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