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66846A1 -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66846A1
WO2020166846A1 PCT/KR2020/001176 KR2020001176W WO2020166846A1 WO 2020166846 A1 WO2020166846 A1 WO 2020166846A1 KR 2020001176 W KR2020001176 W KR 2020001176W WO 2020166846 A1 WO2020166846 A1 WO 20201668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concrete
guide
forming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11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김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기 filed Critical 김상기
Priority to CA3129770A priority Critical patent/CA3129770A1/en
Priority to EP20756304.0A priority patent/EP3926100A4/en
Priority to CN202080013337.XA priority patent/CN113412353B/zh
Priority to US17/310,281 priority patent/US11732432B2/en
Priority to BR112021013872-2A priority patent/BR112021013872A2/pt
Priority to AU2020221514A priority patent/AU2020221514B2/en
Publication of WO20201668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668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08Sinking workpieces into water or soil inasmuch a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5/00Joining caissons, sinkers, or other units to each other unde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easily constructing a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using a concrete block underwater.
  • An example of an underwater structure installed in the water may be a jammer or an ianje.
  • Jammeran is to reduce the wave power of waves and waves coming from the ocean and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tructure is located below the water surface. It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tructure is exposed above the water surface as it is to reduce the wave power of waves and waves coming from the ocean.
  • a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should be installed on top of another concrete block underwater, bu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concrete block at an accurate loc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view from the water, and it takes a long time.
  • the concrete block located adjacent to the water surface in the state that the concrete binding column has not yet been formed is a simple stacked structure on top of other concrete blocks (that is, because it is not bound with other concrete blocks), it is caused by sudden currents and wav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asy to deviate from the original position when receiving a strong impact.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when constructing a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 concrete block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at of performing work on the water surface. It is intended to present a construction method of a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that can reliably prevent the displacement of the concrete block even in a strong impact caused by sudden currents or wav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crete block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having vertical hole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fter the concrete block manufacturing step, the concrete block is installed on the underwater floor surface.
  • the concrete block manufacturing step at least two or more vertical holes are formed in the concrete block, and at least two or more guide columns are installed for each concrete block constituting the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in the guide column installation step.
  • the step of forming the concrete block laminate it may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with at least two guide pillars inserted into the vertical holes of the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 the main concrete binding pillars In the step of forming the main concrete binding pillars,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stacked vertically while being a space in which some of the guide pillars are removed by removing some of the guide pillars disposed on the concrete block stack
  • the first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through hole for the first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which is a space in which vertical holes are continuous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first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for binding the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 the remaining guide columns are removed from among the guide columns disposed on the concrete block stacked body, and a plurality of stacked vertically while the remaining guide columns are removed.
  • the first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may be formed in any one vertical hole of the concrete block constituting the concrete block stack, and the second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may be formed in the other vertical hole.
  • the step of producing the concrete block at least three or more vertical holes are formed in the concrete block;
  • the concrete block laminate formed in the step of forming the concrete block laminate is a space in which the guide pillar is not installed, and an auxiliary concrete binding column in which vertical holes of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are continuously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 a through hole is formed;
  • the auxiliary concrete binding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through hole for the auxiliary concrete binding column to form an auxiliary concrete binding column for binding the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 a pillar formation step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guide pillar is a hollow pilla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vertical hole of the concrete block and an upwardly tapered upper insertion guid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It can be made including wealth.
  • the vertical hole of the concrete block may have a shape penetrating the concrete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vertical hole of the concrete block forming the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is a groove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closed bottom
  • the vertical hole of the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in the concrete block stack forming step is the It may be in the form of penetrating the concrete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he guide pillar after the foundation concrete block structure is formed on the underwater floor, and stacks other concrete blocks while receiving the guidance of the installed guide pillar, so that the concrete block is quickly and It can be settled accurately.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iably prevent displacement of the concrete block, etc. even in a strong impact caused by sudden currents or waves occurring during construc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block used in the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to 11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block used in the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to 21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concrete block used in the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crete block in a modified form of FIG. 12;
  • 24 to 26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concrete block of FIG. 23.
  • FIGS. 2 to 11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as shown.
  • Figure 1 shows a concrete block 100 used in this embodiment.
  • the concrete block 100 is for constructing a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by stacking it underwater.
  • two vertical holes 11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oncrete block.
  • the vertical hole 110 formed in the concrete block 100 of this embodiment is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oncrete block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crane connection structure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concrete block 100 so that the concrete block 100 can be lifted and mounted using a crane.
  • a connecting wire rope through pipe or a lifting ring member, etc.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0995 may be provided.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0995 is intended to be incorpora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a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forming step of forming the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100a by installing at least one concrete block 100 on the underwater floor surface 10 is performed.
  • the foundation concrete block structure 100a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100 are lined up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underwater floor 10 as shown in FIG. 2.
  • the foundation concrete block structure 100a may be formed as a first floor on the underwater floor surface 10, or another concrete block 100 on top of the concrete block 100 disposed on the underwater floor surfa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May be stacked to form two layers.
  • the step of installing the guide column is carried out.
  • At least one guide post 200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required.
  • the guide pillar 200 is formed b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vertical hole 110 of the concrete block 100, the body portion 210 in the form of a hollow column, and the body portion 210 It comprises an upwardly tapered upper insertion guide portion 220 formed at the upper end, and a downwardly tapered lower insertion guide portion 23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210.
  • the guide pillar 2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211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the hollow of the body portion 210.
  • the communication hole 211 allows water to flow into the body part 210 when the guide column 200 is put into the water, or when the guide column 200 is lifted above the water surface, the inside of the body part 210 This is to allow water to drain.
  • the guide pillar 200 is in the form of a hollow pillar, it is very light and can be easily transported and used.
  • wate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pilla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11,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uide pillar 200 from being injured due to buoyancy, and the guide pillar 200 ), sinc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11, the weight of the guide pillar 200 can be reduced and easily withdrawn out of the water.
  • the upper insertion guide portion 220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llar 200 is for easy inse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llar 200 into the vertical hole 110 of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installed.
  • the lower-side insertion guide part 23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st 200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hole 110 of the concrete block 100 forming the base concrete block structure 100a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st 200 This is for easy insertion.
  • the plurality of guide pillars 200 are inserted into the foundation concrete block structure 100a Install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guide pillar 200 is a metal structure with an empty inside,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uide pillar 200 may be a concrete structure with a full inside.
  • the guide pillar 200 is made longer than the water depth so that when the guide pillar 200 is installed,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llar 200 protrudes above the water surface.
  • the position of the guide pillar 200 can be easily checked with the naked eye, so that the concrete block 100, which is an installation target, can be easily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100a. .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crete block 100 can be easily checked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position of the concrete block 100 on the surface of the water surface is set.
  • the step of forming the concrete block laminate is performed.
  • the concrete block 100 is lowered after the step of positioning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guide column 200 and the step of setting the position on the plane. It consists of a concrete block descending step.
  • the vertical hole 110 of the concrete block 100 is positioned above the guide pillar 200. This step is done on the surface, so it is done very quickly and accurately.
  •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installed is positioned to be offse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oncrete block 100 located below.
  • the guide column 200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hole 110 of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installed, and the corresponding concrete block ( 100)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100a.
  • the horizontal position and posture of the concrete block 100 to be installed can be reliably fixed.
  • the two guide columns 200 are inserted into the vertical holes 110 of the concrete block 100, which is the installation target.
  • a concrete block stack 100b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5.
  • the installation target concrete block 100 is stacked under the guidance of the guide column 200, the installation target concrete block 100 is easi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100a or other concrete block 100 installed thereon. I can.
  • Such a concrete block laminate 100b may itself be regarded as one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 the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is further formed to increas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concrete block stack 100b,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guide column 200 may be permanently installed and not removed. .
  • the step of forming the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is performed.
  • the guide column 200 disposed on the concrete block stack 100b is removed, and the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100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guide column 200 is removed.
  • the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through holes 100b-1,100b-2, which is a space in which the vertical hole 110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ind the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100 This is the step of forming (310,320).
  • the main concrete binding pillars 310 and 320 are sequentially formed by dividing the plurality of guide pillars 200 disposed on the concrete block stack 100b into two groups and removing them sequentially.
  • This guide post 200 is a part of the guide post 200 installed in the guide post installation step.
  • the first reinforcing bar member 3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7 is placed in the through hole 100b-1 for the first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and a first waterproofing film ( 312), inserting the first waterproof film 312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member 311, and then injecting the first main concrete 313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waterproof film 312 as shown in FIG. Cure.
  • the first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310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100b-1 for the first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and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100 are formed by the first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310. Partially bound.
  • the second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320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100b-2 for the second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and the first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310 and the second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320 The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100 are completely bound.
  • a first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310 is formed in one of the vertical holes 110 of one concrete block 100 constituting the concrete block stack 100b, and the other
  • a second main concrete binding pillar 320 is formed in the vertical hole 120, and the main concrete binding pillars 310 and 320 bind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10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the concrete block stack 100b is 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guide pillar 200 is installed, and afterwards, while partially removing the guide pillar 200, the first main concrete binding pillar 310 and the second main concrete binding pillar ( 320) are sequentially constructed, since each concrete block 100 always maintains a bonded state with the other concrete block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crete block stack 100b from being damaged by strong currents or waves during construction. Can be prevented.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block used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13 to 21 are the sequence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as shown
  •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 concrete block used in the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400 in which four vertical holes 411 are formed a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nly three vertical holes 411 may be formed. That is, the two vertical holes 411 are for the guide column 200, and the remaining vertical holes 411 are for the auxiliary concrete binding column.
  • the four vertical holes 411 of the concrete block 400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arrangement form of the vertical holes 411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2, the arrangement of the vertical holes 411 may be changed.
  • the foundation concrete block structure formation step is performed.
  • This step is a step of forming a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400a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400 on the underwater floor surface 10 as shown in FIG. 13.
  • the step of installing the guide column is performed.
  • the guide post installation step is a step of inserting and installing at least two (two in this embodiment) guide posts 200 into the concrete blocks 400 forming the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400a.
  • two guide pillars 200 are vertically installed for each concrete block 400 forming the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400a.
  • the step of forming the concrete block laminate is carried out.
  • the guide pillar 200 is inserted into the two vertical holes 411 of the concrete block 400 to be installed, and the corresponding concrete block 400 is guided by the two guide pillars 200. I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400a).
  • the guide pillar 200 is inserted into the two vertical holes 411 in the four vertical holes 411 of each concrete block 400, and the remaining two vertical holes 411 are empty. It will form a through hole (400b-1) for the secondary concrete binding column.
  • one vertical hole 411 will form a through hole 400b-1 for auxiliary concrete binding columns.
  • the step of forming the auxiliary concrete binding column is carried out.
  • the auxiliary concrete binding column 510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400b-1 for the auxiliary concrete binding column, so that the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400 are partially bound by the auxiliary concrete binding column 510. do.
  • the main concrete binding column formation step is carried out.
  • the guide column 200 disposed on the concrete block stack 400b is removed as shown in FIG. 19, and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guide column 200 is removed.
  • the main concrete binding pillar 52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inding the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400 to the through hole 400b-2 for the main concrete binding pillar, which is a space in which the vertical holes of 400 are formed continuously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step of forming.
  • the main concrete 523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waterproof film 522 surrounding the second reinforcing bar portion 521 to cure.
  • the main concrete binding pillar 520 is formed in the main concrete binding pillar through hole 400b-2 into which the guide pillar 200 is inserted, so that the concrete block 400 is completely coupled.
  • the individual concrete block 400 is constructed in a fixed state by at least two guide pillars 200, so that the underwater concrete block is more stable and fast. Structure construction is possible.
  •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dified concrete block of FIG. 12, and FIGS. 24 to 26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concrete block of FIG. 23 to be.
  • the concrete block 600 of FIG. 23 is used together with the concrete block 400 of FIG. 12.
  • a vertical hole 611 is formed in the concrete block 600 of FIG. 23, and the shape of the vertical hole 611 is a groove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closed bottom.
  • the shape of the vertical hole 411 of the concrete block 400 of FIG. 12 is a shape of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oncrete block 400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step of forming a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is performed by the concrete block 600 of FIG. 23.
  •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600 are installed on the underwater floor surface 10 as shown in FIG. 24 to form a basic concrete block structure 600a.
  • the step of installing the guide column proceeds as shown in FIG. 25.
  • the step of forming the concrete block laminate is carried out.
  • the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is the concrete block 400 of FIG. 12.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onstruct a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치 수면 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환경에서 콘크리트 블록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시공 중에 발생하는 급작스런 조류나 파도로 인한 강한 충격 등에도 콘크리트 블록의 위치 이탈 등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본 발명은 수중에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중에 설치되는 수중 구조물로 잠제나 이안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잠제란 해양으로부터 들어오는 파도 및 파랑의 파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물의 상부면이 수면 아래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안제는 해양으로부터 들어오는 파도 및 파랑의 파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물의 상부면이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수중 구조물을 간편하게 설치하기 위한 방식으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수중에 적층하여 수중 구조물의 형태를 갖추고,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콘크리트 결속 기둥으로 결속시켜 완성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을 수중에서 다른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에 설치하여야 하나, 수중에서의 시야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기 어렵고 또한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직 콘크리트 결속 기둥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면에 인접하여 위치된 콘크리트 블록은 다른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에 단순 적층된 구조이므로(즉 다른 콘크리트 블록과 결속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급작스런 조류와 파도로 인하여 강한 충격을 받을 경우 원래의 위치로부터 이탈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시공할 때 마치 수면 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환경에서 콘크리트 블록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시공 중에 발생하는 급작스런 조류나 파도로 인한 강한 충격 등에도 콘크리트 블록의 위치 이탈 등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방향 구멍이 형성되는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이후, 수중 바닥면에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여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형성하는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형성 단계 ;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형성 단계 이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기둥의 하단부를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가이드 기둥의 상단부가 수면 위로 돌출되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에 상기 가이드 기둥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 ; 상기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 이후, 수면 위에서 설치 대상인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을 상기 가이드 기둥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을 하강시켜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에 상기 가이드 기둥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 이후,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 기둥을 제거하여 상기 가이드 기둥이 제거된 공간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공간인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결속하기 위한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을 형성하는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하방향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에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마다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가이드 기둥이 설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에서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가이드 기둥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 기둥들 중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일부의 가이드 기둥이 제거된 공간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공간인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결속하기 위한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을 형성하는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와, 상기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 이후,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 기둥들 중 나머지 가이드 기둥을 제거하여 상기 나머지 가이드 기둥이 제거된 공간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공간인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결속하기 위한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을 형성하는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를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의 어느 하나의 상하방향 구멍에는 상기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상하방향 구멍에는 상기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상하방향 구멍이 형성되며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는, 상기 가이드 기둥이 설치되지 않은 공간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공간인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이 형성되며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와 상기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 사이에, 상기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결속하기 위한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을 형성하는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둥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기둥인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방으로 테이퍼진 형태의 상부측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형성하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힌 홈 형태이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에서 설치 대상인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시공할 때 마치 수면 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환경에서 콘크리트 블록을 간편하게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수중 바닥면에 형성한 이후 가이드 기둥을 설치하고, 설치된 가이드 기둥의 안내를 받으면서 다른 콘크리트 블록들을 적층하므로,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콘크리트 블록을 정해진 위치에 신속 및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시공 중에 발생하는 급작스런 조류나 파도로 인한 강한 충격 등에도 콘크리트 블록의 위치 이탈 등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결속 기둥에 의하여 콘크리트 블록이 결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이드 기둥에 의하여 콘크리트 블록이 고정되므로 콘크리트 블록이 지정된 위치를 이탈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13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도 12의 변형된 형태인 콘크리트 블록의 단면도,
도 24 내지 도 26은 도 23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가 이루어진다.
도 1에는 본 실시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블록(100)이 도시되어 있다. 콘크리트 블록(100)은 수중에 적층하여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직육면체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방향 구멍(110)이 2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블록(100)에 형성된 상하방향 구멍(110)은 콘크리트 블록(10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100)을 인양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블록(100)에 크레인 연결구조(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0995호에 제시되어 있는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이나 인양고리부재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같은 관점에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0995호는 본 명세서에 일체화되는 것으로 한다.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이후, 수중 바닥면(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블록(100)을 설치하여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을 형성하는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형성 단계가 실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은 도 2와 같이 수중 바닥면(10)에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100)이 좌우방향으로 늘어선 형태로 형성된다.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은 수중 바닥면(10)에 1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실시례에 따라 수중 바닥면(10)에 배치된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부에 또 다른 콘크리트 블록(100)이 적층되어 2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형성 단계 이후,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가 실시된다.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기둥(200)을 필요로 한다.
가이드 기둥(200)의 하단부를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을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구멍(110)에 삽입하여 가이드 기둥(200)을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한다.
가이드 기둥(200)은,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구멍(11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공 기둥 형태의 몸체부(210)와, 몸체부(2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방으로 테이퍼진 형태의 상부측 삽입 안내부(220)와, 몸체부(2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방으로 테이퍼진 형태의 하부측 삽입 안내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 기둥(200)에는 외부와 몸체부(210)의 중공을 연통하는 복수의 연통공(211)이 형성된다. 연통공(211)은 가이드 기둥(200)을 수중으로 투입할 때 몸체부(2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거나, 가이드 기둥(200)을 수면 위로 들어올릴 때 몸체부(210)의 내부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 기둥(200)은 중공 기둥 형태이므로 매우 가벼워 손쉽게 운반 및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가이드 기둥(200)을 수중에 투입하면 연통공(211)을 통하여 가이드 기둥(2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므로 부력에 의한 가이드 기둥(200)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이드 기둥(200)을 들어올리면 연통공(211)을 통하여 물이 배출되므로 가이드 기둥(200)의 무게를 줄여 손쉽게 물 밖으로 인출할 수 있다.
가이드 기둥(2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부측 삽입 안내부(220)는 가이드 기둥(200)의 상단부가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구멍(110)에 손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 기둥(2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측 삽입 안내부(230)는 가이드 기둥(200)의 하단부를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구멍(110)에 손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 기둥(200)의 하단부를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구멍(110)에 각각 삽입하여, 복수의 가이드 기둥(200)을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기둥(200)은 내부가 비어있는 금속 구조체이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가이드 기둥(200)은 내부가 꽉찬 콘크리트 구조체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하나의 콘크리트 블록(100)에는 2개의 상하방향 구멍(110)이 형성되므로, 하나의 콘크리트 블록(100)에는 2개의 가이드 기둥(200)이 설치된다.
하나의 콘크리트 블록(100)에 2개 이상의 가이드 기둥(200)이 설치되는 것은, 후술하는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의 수평상 위치 및 자세를 2개의 가이드 기둥(200)에 의하여 확실히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이드 기둥(200)은 수심보다 길게 제작되어 가이드 기둥(200)이 설치되면 가이드 기둥(200)의 상단부가 수면 위로 돌출되도록 한다. 가이드 기둥(200)의 상단부가 수면 위로 돌출되면 가이드 기둥(200)의 위치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의 상부에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을 손쉽게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콘크리트 블록(100)의 설치 위치를 수면 위에서 손쉽게 확인하고 수면 위에서 콘크리트 블록(100)의 평면상 위치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만일 종래 기술과 같이 콘크리트 블록(100)의 평면상 위치를 수중에서 설정한다면, 시야 확보가 어려우며 조류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 블록(100)의 평면상 위치 설정이 매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 이후,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가 이루어진다.
가이드 기둥(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4 및 도 5와 같이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을 가이드 기둥(200)의 안내를 받으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의 상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100b)를 형성한다.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의 설치 과정은,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을 가이드 기둥(200)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평면상 위치 설정 단계와, 평면상 위치 설정 단계 후 콘크리트 블록(100)을 하강시키는 콘크리트 블록 하강 단계로 이루어진다.
평면상 위치 설정 단계에서,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을 가이드 기둥(200)의 상부에 위치시킬 때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구멍(110)을 가이드 기둥(2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 단계는 수면 위에서 이루어지므로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평면상 위치 설정 단계에서,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을 하부에 위치한 콘크리트 블록(100)의 좌우방향으로 오프셋되게 위치를 잡는다.
이와 같이 평면상 위치 설정 단계가 완료하면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을 하강시키면 된다. 이 단계는 수면 위 및 수면 아래에서 이루어진다.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을 하강시키면,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구멍(110)에 가이드 기둥(200)이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 기둥(200)의 안내를 받으며 해당 콘크리트 블록(100)을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본 실시예와 같이 2개의 가이드 기둥(200)에 의하여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의 위치 및 자세를 안내하므로,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의 수평상 위치 및 자세가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을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의 상부에 설치하면,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구멍(110)에는 2개의 가이드 기둥(200)이 삽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설치 대상인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100)을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의 상부에 설치하면, 도 5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100b)를 형성할 수 있다.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은 가이드 기둥(200)의 안내를 받으며 적층되므로,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100)을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100a) 또는 그 위에 설치된 다른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부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수중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콘크리트 블록(100)의 설치가 어려운 곳에서도 수면 위로 돌출된 가이드 기둥(200)의 안내에 따라 콘크리트 블록(100)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100)은 가이드 기둥(200)에 의하여 다른 콘크리트 블록(10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100b)는 그 자체로서 하나의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100b)의 구조적 견고함을 높이기 위하여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이 더 형성되도록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이드 기둥(200)이 영구히 설치되고 제거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 이후,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가 이루어진다.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는,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100b)에 배치된 가이드 기둥(200)을 제거하고, 가이드 기둥(200)이 제거된 공간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구멍(110)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공간인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100b-1,100b-2)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100)을 결속하는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310,3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100b)에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 기둥(200)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제거하면서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310,32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우선 도 6과 같이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100b)에 배치된 일부의 가이드 기둥(200)을 제거한다. 이 가이드 기둥(200)은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에서 설치된 가이드 기둥(200)의 일부이다.
이에 의하여 일부의 가이드 기둥(200)이 제거된 공간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구멍(110)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공간인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100b-1)이 형성된다.
이후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100b-1)에 도 7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철근부재(311)를 제1철근부재(311)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는 제1방수막(312)과 함께 삽입하고, 제1방수막(312)과 제1철근부재(311)를 삽입한 후 제1방수막(312)의 내측에 도 8과 같이 제1메인 콘크리트(313)를 주입하여 양생한다.
이 과정을 거치면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100b-1)에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310)이 형성되어,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310)에 의하여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100)이 부분적으로 결속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9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100b)에 배치된 나머지의 가이드 기둥(200)을 제거한다.
이에 의하여 나머지의 가이드 기둥(200)이 제거된 공간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100)의 상하방향 구멍(110)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공간인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100b-2)이 형성된다.
이후 도 10과 같이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100b-2)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철근부재(321)를 제2철근부재(321)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는 제2방수막(322)과 함께 삽입하고, 제2방수막(322)과 제2철근부재(321)를 삽입한 후 제2방수막(322)의 내측에 도 11과 같이 제2메인 콘크리트(323)를 주입하여 양생한다.
이 과정을 거치면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100b-2)에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320)이 형성되어,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310)과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320)에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100)이 완전히 결속된 상태가 된다.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100b)를 이루는 하나의 콘크리트 블록(100)의 어느 하나의 상하방향 구멍(110)에는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310)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상하방향 구멍(120)에는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320)이 형성되며,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310, 320)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100)을 상호 결속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 기둥(2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100b)를 형성하고, 이후 부분적으로 가이드 기둥(200)을 제거하면서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310)과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320)을 순차적으로 시공하면,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100)이 항상 다른 콘크리트 블록(10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시공 도중에 강한 조류나 파도에 의해서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100b)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13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가 실시된다.
도 12와 같이 4개의 상하방향 구멍(411)이 형성되는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400)을 제작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하방향 구멍(411)이 3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2개의 상하방향 구멍(411)은 가이드 기둥(200)을 위한 것이며, 나머지 상하방향 구멍(411)은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을 위한 것이다.
본 콘크리트 블록(400)의 4개의 상하방향 구멍(411)은 좌우방향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하방향 구멍(411)의 배치 형태는 실시례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 구멍(411)의 배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이후,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형성 단계가 이루어진다. 본 단계는 도 13과 같이 수중 바닥면(10)에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400)을 설치하여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400a)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형성 단계 이후,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가 이루어지다.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는,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400a)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400)에 적어도 2개 이상(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가이드 기둥(200)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도 14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400a)을 형성하는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400)마다 2개의 가이드 기둥(200)을 수직으로 설치한다.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 이후,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가 실시된다.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400)을 가이드 기둥(200)의 안내를 받으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400a)의 상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400b)를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400)의 2개의 상하방향 구멍(411)에 가이드 기둥(200)을 각각 삽입한 상태로, 2개의 가이드 기둥(200)의 안내를 받으며 해당 콘크리트 블록(400)을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400a)의 상부에 설치한다.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400b)가 형성되면, 도 16과 같이 가이드 기둥(200)이 설치되지 않은 공간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400)의 상하방향 구멍가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400b-1)이 형성된다.
즉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400)의 4개의 상하방향 구멍(411)에서 2개의 상하방향 구멍(411)에는 가이드 기둥(200)이 삽입된 상태이며 나머지 2개의 상하방향 구멍(411)은 비어 있는 상태로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400b-1)을 형성하게 된다.
만일 콘크리트 블록(400)에 3개의 상하방향 구멍(411)이 형성되어 있다면, 1개의 상하방향 구멍(411)이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400b-1)을 형성할 것이다.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 이후,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가 실시된다.
도 17과 같이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400b-1)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철근부재(511)를 제1철근부재(511)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는 제1방수막(512)과 함께 삽입하며, 이후 도 18과 같이 제1철근부(511)를 감싸는 제1방수막(512)의 내측에 보조 콘크리트(513)를 주입하여 양생한다.
이 과정을 거치면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400b-1)에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510)이 형성되어,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510)에 의하여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400)이 부분적으로 결속된 상태가 된다.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 이후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가 실시된다.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는, 도 19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400b)에 배치된 가이드 기둥(200)을 제거하고, 가이드 기둥(200)이 제거된 공간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400)의 상하방향 구멍가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공간인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400b-2)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400)을 결속하는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5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9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400b)에서 가이드 기둥(200)을 제거하면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400b-2)이 형성된다.
이후 도 20과 같이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400b-2)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철근부재(521)를 제2철근부재(521)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는 제2방수막(522)과 함께 삽입한다. 그리고 도 21과 같이 제2철근부(521)를 감싸는 제2방수막(522)의 내측에 메인 콘크리트(523)를 주입하여 양생한다.
이에 의하여 도 21과 같이 가이드 기둥(200)이 삽입되어 있던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400b-2)에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520)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블록(400)이 완전히 결속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도 21과 같이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400b)에 콘크리트 결속 기둥(510, 520)을 형성하면,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400)이 콘크리트 결속 기둥(510, 520)에 의하여 상하 좌우로 견고하게 결속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이 완성된다.
제2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개별 콘크리트 블록(400)이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이드 기둥(20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더욱 안정적이고 신속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례의 변형된 형태를 설명한다.
도 23은 도 12의 변형된 형태인 콘크리트 블록의 단면도이며, 도 24 내지 도 26은 도 23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의한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도 12의 콘크리트 블록(400)과 함께 도 23의 콘크리트 블록(600)을 이용한다.
도 23의 콘크리트 블록(600)에는 상하방향 구멍(611)이 형성되며, 상하방향 구멍(611)의 형태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힌 홈 형태이다.
이에 반하여 도 12의 콘크리트 블록(400)의 상하방향 구멍(411)의 형태는 콘크리트 블록(40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이다.
이와 같이 2가지 종류의 콘크리트 블록(400, 600)이 제작된 후, 도 23의 콘크리트 블록(600)에 의하여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형성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여 도 24와 같이 수중 바닥면(10)에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600)이 설치되어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600a)를 형성한다.
이후 단계부터는 제2실시례와 완전히 동일하게 진행된다.
즉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형성 단계 이후,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가 도 25와 같이 진행된다.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 이후,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가 실시된다.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에서,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은 도 12의 콘크리트 블록(400)이다.
즉 도 26과 같이 콘크리트 블록(400)을 가이드 기둥(200)의 안내를 받으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600a)의 상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를 형성한다.
이후 단계는 제2실시례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례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방향 구멍이 형성되는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이후, 수중 바닥면에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여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형성하는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형성 단계 ;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형성 단계 이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기둥의 하단부를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가이드 기둥의 상단부가 수면 위로 돌출되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에 상기 가이드 기둥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 ;
    상기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 이후, 수면 위에서 설치 대상인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을 상기 가이드 기둥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을 하강시켜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에 상기 가이드 기둥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 이후,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 기둥을 제거하여 상기 가이드 기둥이 제거된 공간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공간인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결속하기 위한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을 형성하는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하방향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기둥 설치 단계에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마다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가이드 기둥이 설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에서 상기 설치 대상인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가이드 기둥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 기둥들 중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일부의 가이드 기둥이 제거된 공간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공간인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결속하기 위한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을 형성하는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와,
    상기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 이후,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 기둥들 중 나머지 가이드 기둥을 제거하여 상기 나머지 가이드 기둥이 제거된 공간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공간인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결속하기 위한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을 형성하는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를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의 어느 하나의 상하방향 구멍에는 상기 제1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상하방향 구멍에는 상기 제2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이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상하방향 구멍이 형성되며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는, 상기 가이드 기둥이 설치되지 않은 공간이면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공간인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이 형성되며 ;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와 상기 메인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 사이에, 상기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용 통공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결속하기 위한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을 형성하는 보조 콘크리트 결속 기둥 형성 단계가 더 마련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둥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기둥인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방으로 테이퍼진 형태의 상부측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을 형성하는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힌 홈 형태이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 적층체 형성 단계에서 설치 대상인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방향 구멍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PCT/KR2020/001176 2019-02-11 2020-01-23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WO2020166846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3129770A CA3129770A1 (en) 2019-02-11 2020-01-23 Method of constructing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EP20756304.0A EP3926100A4 (en) 2019-02-11 2020-01-23 PROCEDURE FOR CONSTRUCTING AN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CN202080013337.XA CN113412353B (zh) 2019-02-11 2020-01-23 水下混凝土块结构构造方法
US17/310,281 US11732432B2 (en) 2019-02-11 2020-01-23 Method of constructing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BR112021013872-2A BR112021013872A2 (pt) 2019-02-11 2020-01-23 Método de construção de uma estrutura de bloco de concreto subaquática
AU2020221514A AU2020221514B2 (en) 2019-02-11 2020-01-23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464 2019-02-11
KR1020190015464A KR102022339B1 (ko) 2019-02-11 2019-02-11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6846A1 true WO2020166846A1 (ko) 2020-08-20

Family

ID=6807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1176 WO2020166846A1 (ko) 2019-02-11 2020-01-23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732432B2 (ko)
EP (1) EP3926100A4 (ko)
KR (1) KR102022339B1 (ko)
CN (1) CN113412353B (ko)
AU (1) AU2020221514B2 (ko)
BR (1) BR112021013872A2 (ko)
CA (1) CA3129770A1 (ko)
WO (1) WO20201668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044A1 (ko) * 2021-02-26 2022-09-01 김상기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339B1 (ko) * 2019-02-11 2019-09-18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KR102191675B1 (ko) 2020-03-10 2020-12-16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KR102404627B1 (ko) * 2021-01-06 2022-06-02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102333872B1 (ko) 2021-02-25 2021-12-01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310131B1 (ko) 2021-06-01 2021-10-12 (주)유주웨이브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102292821B1 (ko) 2021-02-26 2021-08-24 김상기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102310126B1 (ko) 2021-06-01 2021-10-08 (주)유주웨이브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353849B1 (ko) * 2021-07-08 2022-01-20 (주)유주웨이브 콘크리트 블록 제작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389280B1 (ko) 2021-08-17 2022-04-21 (주)유주웨이브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401212B1 (ko) 2021-11-29 2022-05-24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592948B1 (ko) * 2022-02-04 2023-10-20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호안블록 및 호안블록을 이용한 해안구조물 시공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260B1 (ko) * 2001-04-27 2004-08-21 극동엔지니어링(주) 볼트식 강관말뚝 선단부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시공방법
KR20110055761A (ko) * 2009-11-20 2011-05-26 김성례 대형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1220995B1 (ko) 2011-02-23 2013-01-10 김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KR101355805B1 (ko) * 2013-03-13 2014-01-24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101793984B1 (ko) * 2016-08-24 2017-11-06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KR101910816B1 (ko) * 2018-01-10 2018-10-24 김상기 콘크리트 블록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22339B1 (ko) * 2019-02-11 2019-09-18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7150A (en) * 1989-10-12 1992-02-11 Mccreary Donald R Method of constructing a seawall reinforcement or jetty structure
RU2063497C1 (ru) * 1993-01-19 1996-07-10 Олег Александрович Сахаров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фундамента
JP4181273B2 (ja) * 1999-06-01 2008-11-12 千葉窯業株式会社 消波施設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US20030138296A1 (en) * 2002-01-24 2003-07-24 O'hare Christopher F. Method for assembling artificial reef modular units
EP2758611A2 (en) * 2011-08-09 2014-07-30 Tie-Cast Systems, Inc. Masonry reinforcement system
CN203097060U (zh) * 2012-12-28 2013-07-31 张维艺 一种双排孔蒸压砂加气混凝土墙体砌块
US9086268B2 (en) * 2013-10-02 2015-07-21 Jonathan E Jones Concrete block spacer system
CN104709814A (zh) * 2013-12-12 2015-06-17 马尼托沃克起重机集团(法国)公司 安装和拆卸混凝土块的方法
JP6461757B2 (ja) * 2015-09-11 2019-01-30 株式会社Ihi 円筒型タンクの構築方法
CN105625261B (zh) * 2015-12-30 2018-01-12 四川宏洲新型材料股份有限公司 快速拼装绿色植生挡墙预制混凝土块及系统及构筑方法
CN106284187B (zh) * 2016-08-29 2018-10-16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堆石坝混凝土面板破坏区快速拆除方法
CN106638662B (zh) * 2016-11-15 2019-04-23 天津大学 一种混凝土支撑结构的三个筒型基础组合式基础结构体系
CN207620399U (zh) * 2017-12-05 2018-07-17 深圳市工勘岩土集团有限公司 混凝土块的吊运结构
KR101950906B1 (ko) * 2018-12-04 2019-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석션 관입과 원형관 부재의 적층을 이용한 가물막이 설치해체 시공방법
KR102148899B1 (ko) * 2019-11-12 2020-10-14 한태훈 옹벽구조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260B1 (ko) * 2001-04-27 2004-08-21 극동엔지니어링(주) 볼트식 강관말뚝 선단부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시공방법
KR20110055761A (ko) * 2009-11-20 2011-05-26 김성례 대형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1220995B1 (ko) 2011-02-23 2013-01-10 김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KR101355805B1 (ko) * 2013-03-13 2014-01-24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101793984B1 (ko) * 2016-08-24 2017-11-06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KR101910816B1 (ko) * 2018-01-10 2018-10-24 김상기 콘크리트 블록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22339B1 (ko) * 2019-02-11 2019-09-18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044A1 (ko) * 2021-02-26 2022-09-01 김상기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12353B (zh) 2023-07-18
BR112021013872A2 (pt) 2021-09-14
AU2020221514A1 (en) 2021-08-12
US11732432B2 (en) 2023-08-22
EP3926100A1 (en) 2021-12-22
CN113412353A (zh) 2021-09-17
AU2020221514B2 (en) 2022-09-01
EP3926100A4 (en) 2022-11-09
KR102022339B1 (ko) 2019-09-18
CA3129770A1 (en) 2020-08-20
US20220162824A1 (en)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66846A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WO2021182795A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WO2018038406A1 (ko) 콘크리트 블록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WO2023022457A1 (ko)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WO2023096253A1 (ko)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WO2012115418A2 (ko)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 그 제작 방법 및 그 설치 방법
WO2014204107A1 (ko) 다중석션파일 앵커 및 석션파일을 구비한 평판앵커
WO2022059977A1 (ko) 프리캐스트 벽체의 겹침철근 연속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WO2018038305A1 (ko)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WO2018070634A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pc 벽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AU2010284769B2 (en) Vertical connector for use on the seabed
WO2011046414A2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on-line electric vehicle, method for forming same and magnetic field cancelation apparatus
WO2020145483A1 (ko) 구조물 시공방법
WO2020138860A1 (ko)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기초의 시공방법 및 그 기초
WO2022182027A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WO2018004089A1 (ko) 조립식 보강벽돌
WO2018101733A1 (ko) 지반 굴착용 파일 가이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설치공법
WO2024014729A1 (ko) 해저 연약지반에서의 침하 방지를 위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WO2023068614A1 (ko) 해저면의 모노파일 관입용 지그 어셈블리 및 이것을 이용한 모노파일 관입 방법
WO2009102119A1 (ko) 인상가이드가 포함된 교량 인상 장치 및 상기 교량 인상 장치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CN108868158B (zh) 一种装配式建筑钢筋定位方法
WO2022182052A1 (ko) 다면 결합 조적 블록 벽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WO2013039315A2 (ko) 종방향 강연선과 횡방향 전단키를 갖는 세그먼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실드터널의 구축공법
WO2022225213A1 (ko) 수중 기초 구조물 시공 방법
WO2021045440A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563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1013872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129770

Country of ref document: C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221514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00123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1013872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210714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7563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