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995B1 -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995B1
KR101220995B1 KR1020110015901A KR20110015901A KR101220995B1 KR 101220995 B1 KR101220995 B1 KR 101220995B1 KR 1020110015901 A KR1020110015901 A KR 1020110015901A KR 20110015901 A KR20110015901 A KR 20110015901A KR 101220995 B1 KR101220995 B1 KR 10122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concrete block
connecting wire
large concre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2191A (ko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김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기 filed Critical 김상기
Priority to KR1020110015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99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191A/ko
Priority to BR112013021108A priority patent/BR112013021108A2/pt
Priority to PCT/KR2012/001285 priority patent/WO2012115418A2/ko
Priority to US14/000,707 priority patent/US20130326967A1/en
Priority to EP12749829.3A priority patent/EP2679533A2/en
Priority to CN201280010353.9A priority patent/CN10342951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66C1/6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for connection to anchor inserts embedded in concret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vetment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위한 거푸집 내부에 합성수지관으로 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을 U자 형태로 미리 고정한 후,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로 된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형성하며, 아울러 이에 의하여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중앙부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양단은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상면에 상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 연결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의 일단은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며,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의 타단은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타단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는 연결 와이어로프 설치 단계 ; 크레인이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이용하여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 및 거치하는 거치 단계 ;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 및 거치 후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를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연결 와이어로프 분리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종전의 인양고리부재로 인한 모든 문제들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INSTALLING METHOD OF CONCRETE BLOCK}
본 발명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만 공사, 관로 공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형 콘크리트 블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대형 콘크리트 블록은 통상 콘크리트 구조체를 말하며, 이하에서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하나의 예로써 항만공사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크레인에 의하여 인양되는 모든 콘크리트 구조체를 지칭하는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대형 콘크리트 블록(10)은 그 상부에 크레인으로 인양하기 위한 인양고리부재(20)가 마련된다.
대형 콘크리트 블록(10)은 수직 방향으로 쌓아지기 때문에, 인양고리부재(20)가 상부로 튀어나올 경우 상부에 안치되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과 간섭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형 콘크리트 블록(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인양고리부재용 홈(11)이 형성되며, 아울러 인양고리부재(20)의 상부는 인양고리부재용 홈(11)의 내부에 위치된다.
물론 인양고리부재(20)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10)의 타설전에 미리 거푸집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며, 인양고리부재(20)의 하부는 타설된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대형 콘크리트 블록(10)에 고정된다. 또한 통상 인양고리부재(20)의 하부는 콘크리트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도 3은 중공블록 형태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10)으로서, 그 내부 및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기에서 인양고리부재(20)는 철근이나 와이어로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인양고리부재는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나, 인양고리부재가 콘크리트 블록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양고리부재는 재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된다.
특히 해수면 아래에 설치되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인양고리부재는 스테인리스 와이어로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가의 인양고리부재가 폐기된다는 문제가 있다.
(2) 콘크리트 자체는 부식이 발생하지 않으나, 금속으로 된 인양고리부재는 부식이 발생하며, 인양고리부재에 부식이 발생하면 그 부피가 팽창되며, 그 부피 팽창이 심할 경우 콘크리트 블록 자체를 파괴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해상 공사용으로 해수면 아래에 설치되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더욱 문제가 된다.
(3)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쌓게 되는 구조를 가진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인양고리부재로 인하여 인양고리부재용 홈을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며, 이 경우 인양고리부재용 홈을 형성하는 것은 블록 제작을 매우 어렵게 하며, 아울러 공기를 늘리는 요인이 된다.
(4)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 후 오랜 시간이 경과된 후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다시 인양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미 인양고리부재가 부식되어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5) 인양고리부재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에 고정되어 있는 힘이 약할 경우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 도중 인양고리부재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에서 이탈되어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물론 이 경우 낙하되어 충격을 받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은 그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형 콘크리트 블록이, 콘크리트로 된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와, 그 중앙부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에 매립되며 양단이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상면을 향하여 배치되는 합성수지관으로 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거에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장소에서 제작된 후 상기 제1장소와 다른 장소인 제2장소에 거치되는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위한 거푸집 내부에 합성수지관으로 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을 U자 형태로 미리 고정한 후,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로 된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형성하며, 아울러 이에 의하여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중앙부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양단은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상면에 상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 연결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의 일단은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며,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의 타단은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타단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는 연결 와이어로프 설치 단계 ; 크레인이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이용하여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 및 거치하는 거치 단계 ;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 및 거치 후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를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연결 와이어로프 분리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는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인양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거치 단계는 크레인이 상기 한 쌍의 인양고리 모두를 이용하여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 및 거치하며 ;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분리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인양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크레인과의 연결을 해제한 후 상기 한 쌍의 인양고리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크레인으로 인양함으로써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를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 ;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를 제작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된 인양고리부재가 불필요하며, 다만 합성수지관으로 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이 필요할 뿐이다. 따라서 인양고리부재로 인한 많은 문제가 일거에 해결된다.
즉, 인양고리부재의 부식 문제 및 이로 인한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파괴 문제, 인양고리부재를 위한 인양고리용 홈, 인양고리부재의 폐기 문제 등이 일거에 해결된다.
(2) 본 발명의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은 부식 등의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든지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재인양하고자 할 경우 연결 와이어로프를 연결하여 재인양할 수 있다.
(3) 종래의 인양고리부재의 경우 대형 콘크리트 블록에 강한 고정력을 발휘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인양고리부재가 종종 대형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이탈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이 아래로 볼록한 호형, 즉 U자 형태를 이루므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상부에 위치한 콘크리트 전체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인양 및 거치 작업 도중에 연결 와이어로프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이탈된다는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의 도 4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4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은, 콘크리트로 된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와, 합성수지관으로 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그 중앙부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내부에 매립되면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아래로 볼록한 호형을 이룬다. 즉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U자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그 양단이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상면에 상부를 향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부는 직상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중앙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상부를 향하여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합성수지관이므로, 해수 등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부식 등이 발생할 위험이 없다.
한편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주름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관의 하나의 형태로서 전선 배설를 위한 ELP관이 언급될 수도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주름관은 가요성을 가지므로 현장에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설치할 때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아래로 볼록한 호형으로 굽히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이 주름관 형태를 가진다면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와의 긴밀한 결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도 4와 같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는 콘크리트 타설 전의 거푸집의 형태이다.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거푸집을 설치하며, 거푸집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세파볼트 및 세파너트 등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거푸집 및 세파볼트 등의 배치 및 해체는 일반적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 제작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거푸집 내부에 세파볼트 등을 이용하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고정한다.
이때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U자 형태로 고정되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미리 U자 형태로 제작이 완료된 관이거나 혹은 가요성을 가진 직관으로서 현장에서 U자 형태로 성형되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연결 와이어 관통관(120)의 양단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연결 와이어 관통관(12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연결 와이어 관통관(120)의 양단을 테이프 등으로 밀봉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b)는 콘크리트 타설 후의 거푸집의 형태이다.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이에 의하여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가 완성되며, 아울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중앙부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내부에 매립되며, 아울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부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된다.
도 6의 (c)는 완성된 형태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6의 (b) 상태에서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 세파볼트 등을 해체하고, 아울러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부를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의 상면의 높이에 맞추어 절단 제거하면 도 6의 (c) 상태가 된다. 도 6의 (c)에서는 세파볼트 등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구멍 등은 도시되지 않은 것이다.
도 6에 의하여 제작된 도 4와 같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에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의 (b)는 연결 와이어로프(13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와이어로프(130)는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제작된 것으로, 그 양단에 인양고리(131)가 각각 마련된다.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일단이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관통하여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일단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며,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타단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타단으로부터 노출되어야 한다. 즉 한 쌍의 인양고리(131) 모두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으로부터 노출되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때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직경은 작은 것이 유리하며, 인양고리(131)의 직경 내지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굵기는 굵은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인양고리(131)의 직경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직경보다 조금 작도록 한다.
이와 같은 크기 관계에서 연결 와이어로프(130)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관통하는 것은 용이한 작업이 아니다.
이를 위하여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일단에 형성된 인양고리(131)에 미리 가는 직경의 예인선(132)를 연결하고, 먼저 예인선(132)을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관통시키도록 한다.
이후 예인선(132)을 계속하여 당겨 연결 와이어로프(130)가 도 7의 (b) 상태로 되도록 한 후 예인선(132)을 제거한다.
도 7의 (b) 상태에서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은 인양 및 거치 작업을 시행하기 위한 준비 상태가 된다.
도 7의 (c)는 도 7의 (b)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에 2개의 연결 와이어로프(130), 즉 4개의 인양고리(131)가 마련되는 것이다.
도 8의 (a)는 크레인인 연결 와이어로프(130), 구체적으로는 인양고리(131)를 이용하여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을 인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도 8의 (b)는 크레인이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을 특정 위치에 거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8의 (c)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의 거치가 완료된 후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인양고리(131)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그 연결 상태를 해제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이 상태에서 도 8의 (d)와 같이 크레인이 다른 하나의 인양고리(131)를 이용하여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인양하면 연결 와이어로프(130)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물론 분리된 연결 와이어로프(130)는 다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 및 거치 작업을 위하여 재이용될 수 있다.
도 8의 (c) 및 도 8의 (d)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이 수중에 설치된다는 전제하에 매우 편리하게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대형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즉 도 8의 (c) 및 (d)는 잠수부가 하나의 인양고리에 대해서만 분리 작업을 시행하여도 연결 와이어로프(130)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분리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육상에서 진행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 작업이라면 작업자가 단순히 인양고리(131) 두 개 모두를 크레인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어느 한 쪽 방향으로 당기면 연결 와이어로프(130)가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로서 중공블록 형태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와이어로프(130)는 양단의 인양고리(131)에서 인장하중이 적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한 방향으로만 인장하중이 적용되는 인양고리부재에 비하여 약 2배의 응력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그만큼 연결 와이어로프(130)의 굵기는 굵어져야 하며, 이에 따라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직경도 확장되어야 한다.
이에 대하여 도 11과 같이, 원래 하나의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이 설치될 부위에 두 개의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설치한다면, 하중이 분담되는 결과 종래의 굵기와 동일한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1에서는 총 4개의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이는 총 4개의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함.)이 마련됨으로써 일반적인 굵기의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채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직경도 작아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인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을 거치 직전에 장기간 보관하거나 혹은 거치후 장기간이 경과한 경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이 개방되어 있다면 그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할 위험이 있다.
만일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내부로 큰 크기의 이물질이 침투한다면 연결 와이어로프(130)를 관통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를 위하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 각각에 관통관 마개(140)를 마련하여, 관통관 마개(140)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면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관통관 마개(140)의 하부에는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41)가 형성되며, 관통관 마개(140)의 상면에는 회전 조작을 위한 회전조작부(142)가 형성된다면,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양단에 대한 밀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으로부터 관통관 마개(140)를 분리해내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즉 관통관 마개(140)와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볼트와 너트의 관계에 대응되는 것이다.
도 13은 도 12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a)는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거푸집을 설치하며, 거푸집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세파볼트 및 세파너트 등이 마련된다.
거푸집 내부에 세파볼트 등을 이용하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고정하며, 아울러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에는 관통관 마개(140)가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거푸집의 상단에는 관통관 고정대(200)가 마련되며, 관통관 고정대(200)에는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에 나사결합된 관통관 마개(140)가 임시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이 관통관 고정대(200)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관통관 고정대(200)를 이용하게 된다면 관통관 마개(140)의 높이를 정교하게 배치하는 것이 쉽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와 도 6의 (b) 상태를 비교하면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은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110)로부터 노출되는 부위가 없으므로, 따라서 도 6의 (b)와 같이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일부를 절단 제거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다.
도 13의 (b)는 도 13의 (a) 상태에서 콘크리트 양생 이후 거푸집 등이 철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이 장기관 보관되어도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의 내부에 이물질이 침투할 염려가 없다.
도 13의 (c)는 인양 및 거치를 위하여 관통관 마개(140)를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의 인양 및 거치가 완료된 후 그 대형 콘크리트 블록(100)을 다시 사용할 필요가 있다면 도 13의 (b)와 같이 관통관 마개(140)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120)을 막아두면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대형 콘크리트 블록 110 :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
120 :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
130 : 연결 와이어로프 131 : 인양고리
132 : 예인선
140 : 관통관 마개 141 : 수나사부
142 : 회전조작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장소에서 제작된 후 상기 제1장소와 다른 장소인 제2장소에 거치되는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위한 거푸집 내부에 합성수지관으로 된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을 U자 형태로 미리 고정한 후,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로 된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형성하며, 아울러 이에 의하여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중앙부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양단은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상면에 상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콘크리트 블록 제작 단계 ;
    연결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의 일단은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며,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의 타단은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의 타단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는 연결 와이어로프 설치 단계 ;
    크레인이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이용하여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 및 거치하는 거치 단계 ;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 및 거치 후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를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연결 와이어로프 분리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는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인양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거치 단계는 크레인이 상기 한 쌍의 인양고리 모두를 이용하여 상기 대형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 및 거치하며 ;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분리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인양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크레인과의 연결을 해제한 후 상기 한 쌍의 인양고리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크레인으로 인양함으로써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를 상기 연결 와이어로프 관통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KR1020110015901A 2011-02-23 2011-02-23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KR10122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901A KR101220995B1 (ko) 2011-02-23 2011-02-23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BR112013021108A BR112013021108A2 (pt) 2011-02-23 2012-02-21 bloco de concreto grande para levantamento por guindaste, método para fabricar e método para instalar o mesmo
PCT/KR2012/001285 WO2012115418A2 (ko) 2011-02-23 2012-02-21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 그 제작 방법 및 그 설치 방법
US14/000,707 US20130326967A1 (en) 2011-02-23 2012-02-21 Large concrete block for crane lift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EP12749829.3A EP2679533A2 (en) 2011-02-23 2012-02-21 Large concrete block for lifting a cran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CN201280010353.9A CN103429519B (zh) 2011-02-23 2012-02-21 安装大型混凝土块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901A KR101220995B1 (ko) 2011-02-23 2011-02-23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625A Division KR20120113693A (ko) 2012-08-29 2012-08-29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191A KR20110112191A (ko) 2011-10-12
KR101220995B1 true KR101220995B1 (ko) 2013-01-10

Family

ID=4502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901A KR101220995B1 (ko) 2011-02-23 2011-02-23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326967A1 (ko)
EP (1) EP2679533A2 (ko)
KR (1) KR101220995B1 (ko)
CN (1) CN103429519B (ko)
BR (1) BR112013021108A2 (ko)
WO (1) WO2012115418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05A1 (ko) 2016-08-24 2018-03-01 (주)유주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KR20180022547A (ko) 2017-06-21 2018-03-06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KR20190010203A (ko) 2017-07-21 2019-01-30 (주)유주 콘크리트 팩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과 이를 통해 시공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US10422094B2 (en) 2016-08-24 2019-09-24 Sang Gi Kim Concrete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guide member for installing concrete block
WO2020166846A1 (ko) 2019-02-11 2020-08-20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KR102317331B1 (ko) 2020-06-18 2021-10-25 김상기 콘크리트 블록
KR102625223B1 (ko) 2023-05-09 2024-01-15 (주)유주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7679A (zh) * 2012-03-31 2012-07-18 蔡雅琳 一种预埋小吊环群吊装预制构件
US20140083031A1 (en) * 2012-08-24 2014-03-27 Ronald Lindsay Dunlop Void former and method of reinforcing
CA2830976C (en) 2012-10-24 2019-02-12 Certainteed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d building panel
US20140345220A1 (en) * 2013-05-24 2014-11-27 Francesco Ferraiolo Anchoring system for concrete panels in a stabilized earth structure
USD809671S1 (en) 2013-10-22 2018-02-06 Certainteed Corporation Manufactured siding panel with frame
CN103552904B (zh) * 2013-11-11 2016-04-20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挤压工具起吊结构
US10358819B2 (en) * 2015-07-16 2019-07-23 Yonathan TANAMI Construction block, a wall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e of said construction block and of said wall structure
KR102014593B1 (ko) * 2017-06-09 2019-08-26 강태욱 재활용 환봉 무들 고리 제작방법
CN109610698B (zh) * 2018-12-22 2021-06-11 江苏华源建筑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填充墙及其施工方法
US11365537B2 (en) 2019-02-28 2022-06-21 Barrco, Inc. Adjustable fixtures for buried tubulars, forming tools for defining a hole in the adjustable fix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adjustable fixtures
IT201900004043A1 (it) * 2019-03-20 2020-09-20 Ciofetti Sollevamento Ind S R L Zavorra per prove di carico dei dispositivi di sollevamento industriale.
CN114562022B (zh) * 2022-03-23 2022-10-14 张雪利 一种装配式预制阳台板及吊装结构
FI20225424A1 (en) * 2022-05-13 2023-11-14 Tsr Install Ab SURFACE ELEMENT, METHOD FOR PRODUCING SURFACE ELEMENT AND STONE BASKET
KR102636337B1 (ko) * 2023-02-22 2024-02-14 (주)유주 해양 부유 구조물 계류 방법 및 해양 부유 구조물 계류 시스템의 계류줄 교체 방법
KR102571033B1 (ko) 2023-05-12 2023-08-28 주정훈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905U (ko) * 1984-11-20 1986-06-13
JPH02132090U (ko) * 1989-04-04 1990-11-02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74227A (en) * 1967-10-05 1969-12-17 Thor Waerner Apparatus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Concrete Blocks and the Like
US3863975A (en) * 1971-06-04 1975-02-04 Alvin B Oldenettel Apparatus for lifting heavy objects
US3742660A (en) * 1972-04-03 1973-07-03 R Bierweiler Building construction
JPS5449074U (ko) * 1977-09-12 1979-04-05
DE2806261C2 (de) * 1978-02-15 1986-08-14 Pfeifer Seil- Und Hebetechnik Gmbh & Co, 8940 Memmingen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Betonfertigteilen
JPS55102959U (ko) * 1979-12-03 1980-07-18
US4250681A (en) * 1979-12-10 1981-02-17 Helderman James F Removable and reusable anchor and method
US4623170A (en) * 1983-06-02 1986-11-18 Cornwall Kenneth R Coupling
GB2261650A (en) * 1991-11-21 1993-05-26 Lanesfield Engineering Seals L Lifting pin
DE59405796D1 (de) * 1994-06-23 1998-05-28 Halfen Gmbh & Co Kg Transportanker, insbesondere für Betonfertigteile und in den Transportanker einschraubbarer Lastaufnehmer
NL1010661C2 (nl) * 1998-11-26 2000-06-19 Novitec International B V Wapeningsstelsel alsmede betonconstructie.
KR200191011Y1 (ko) * 2000-01-06 2000-08-16 권대영 콘크리트구조물 인양용 삽입앵커
CN2703804Y (zh) * 2004-01-06 2005-06-08 王侃 一种钢筋混凝土构件预埋组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905U (ko) * 1984-11-20 1986-06-13
JPH02132090U (ko) * 1989-04-04 1990-11-02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05A1 (ko) 2016-08-24 2018-03-01 (주)유주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US10422094B2 (en) 2016-08-24 2019-09-24 Sang Gi Kim Concrete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guide member for installing concrete block
US10533297B2 (en) 2016-08-24 2020-01-14 Yujoo Co., Ltd. Caisson block construction method and caisson block structure
KR20180022547A (ko) 2017-06-21 2018-03-06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KR20190010203A (ko) 2017-07-21 2019-01-30 (주)유주 콘크리트 팩 삽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과 이를 통해 시공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WO2020166846A1 (ko) 2019-02-11 2020-08-20 김상기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방법
KR102317331B1 (ko) 2020-06-18 2021-10-25 김상기 콘크리트 블록
KR102625223B1 (ko) 2023-05-09 2024-01-15 (주)유주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191A (ko) 2011-10-12
WO2012115418A3 (ko) 2012-11-15
US20130326967A1 (en) 2013-12-12
WO2012115418A2 (ko) 2012-08-30
CN103429519B (zh) 2015-04-01
BR112013021108A2 (pt) 2019-09-24
EP2679533A2 (en) 2014-01-01
CN103429519A (zh)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995B1 (ko)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JP5584744B2 (ja) 吊り具装置、鉄筋籠の天端位置決め治具、鉄筋籠の吊り上げ方法、及び鉄筋籠の建込方法
US9267287B1 (en) Pre-fabricated threaded bar assemblies
JP5536788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リフト装置およびリフト方法
WO2016165412A1 (zh) 端板、接桩机构、张拉钢筋笼的连接机构、混凝土桩及制造方法
KR101215356B1 (ko) 파일 인양용 기구
JP6619204B2 (ja) 締切工法および止水壁構造体
KR101038453B1 (ko) 파일 인양용 기구
KR200474975Y1 (ko) 선박용 볼라드 장치
CN103443518A (zh) 丢弃/回收方法及其装置
KR20150116738A (ko)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
KR20120113693A (ko)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작 방법
CN202324626U (zh) 简易轻型的模板支架
KR20120119889A (ko)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CN108797381B (zh) 一种吊杆拆除更换方法
CN108149926B (zh) 对拉螺栓组件及其在水利浇筑模板体系中的应用
KR101618797B1 (ko) 해양 콘크리트구조물의 인양보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인양방법
JP5087154B2 (ja) 水域構造物の足場構築工法及び足場構造
CN108756012B (zh) 用于连接混凝土墙板的张紧绳索连接组件及其使用方法
KR101372899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1411719B1 (ko)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
KR102014593B1 (ko) 재활용 환봉 무들 고리 제작방법
KR20110038972A (ko) 받침블럭 고정장치
CN218508998U (zh) 一种用于外墙脚手架连墙件与外墙连接的工装
KR20210096644A (ko) 해양 구조물의 레그와 해저에 체결된 기저부의 파일 사이에 형성될 연결부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