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033B1 -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1033B1 KR102571033B1 KR1020230061652A KR20230061652A KR102571033B1 KR 102571033 B1 KR102571033 B1 KR 102571033B1 KR 1020230061652 A KR1020230061652 A KR 1020230061652A KR 20230061652 A KR20230061652 A KR 20230061652A KR 102571033 B1 KR102571033 B1 KR 1025710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block
- main body
- pipe
- stepping
- wire rop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15 aggreg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와이어로프와 연결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관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관으로부터 본체의 상면까지 이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가 끼워지는 와이어고정홈을 포함하여, 시공자가 지상에서 와이어로프가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을 관통하게 할 수 있어, 콘크리트 블록 상면에서 시공 중 추락하는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관을 통해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 또는 배치함으로서, 기존의 들고리 제작, 설치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들고리 부식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만 공사, 관로 공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콘크리트 블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블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이며, 크레인에 의하여 인양될 수 있다.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은 상부에 크레인으로 인양되기 위한 와이어 또는 철심으로 마련된 인양고리부재가 마련된다.
인양고리부재는 철근 또는 와이어로프 등으로 제작되고, 콘크리트 블록의 타설 전에 미리 거푸집 내부에 위치되어 하부가 콘크리트 블록에 매립 고정된다. 또한, 인양고리부재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인양고리와 같이 콘크리트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콘크리트 블록이 수직 방향으로 쌓아질 시, 인양고리부재가 상부로 튀어 나와 있어, 하나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에 안치되는 다른 콘크리트 블록과 간섭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다수의 인양고리부재용 매립홈이 형성되고, 인양고리부재의 상부가 인양고리부재용 홈의 내부에 위치되게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다만, 인양고리부재는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을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나, 인양고리부재가 콘크리트 블록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재사용되지 못 하고 폐기된다. 또한, 인양고리부재는 금속 소재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이 발생하며, 인양고리부재에 발생된 부식에 의해 그 부피가 팽창된다. 부피 팽창이 심할 경우 인양고리부재는 콘크리트 블록을 파괴시킬 수 있다.
특히 해수면 아래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인양고리부재는 스테인리스 와이어로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가의 인양고리부재가 폐기되거나 해수면 아래에서 부식이 심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콘크리트 블록이 거치 되고 오랜 시간이 경과된 후, 콘크리트 블록을 다시 인양하여야 할 경우, 인양고리부재의 부식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이 불가능해지는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인양고리부재가 콘크리트 블록에 고정되어 있는 힘이 약할 경우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 도중 인양고리부재가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서 이탈되어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에 와이어로프가 관통하는 관통관을 매립함으로써, 인양고리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 또는 거치하여 환경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내에 PVC파이프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블록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관을 통한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 및 거치 시 금속 소재로 된 인양고리부재가 사용되지 않음으로써, 경제성, 환경성, 안정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은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와이어로프와 연결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관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관으로부터 본체의 상면까지 이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가 끼워지는 와이어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관은, 내부에 PVC파이프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은 상기 관통관 및 와이어고정홈에 끼워지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고정홈을 통한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는 메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움부재는, 상기 와이어고정홈의 형태에 맞춰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상단메움부; 상기 상단메움부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상단메움부의 상면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관통관에 삽입되는 하단메움부 및 상기 상단메움부와 하단메움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하단메움부가 상기 본체 방향으로 꺾이도록 하는 꺾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디딤돌출부 및 상기 본체의 타면에 상기 디딤돌출부의 간격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되, 상기 디딤돌출부가 끼움 맞춤되게 형성되는 디딤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딤돌출부 및 상기 디딤홈부는 본체의 양 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딤돌출부는, 시공자가 발을 디디는 것이 가능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디딤판 및 상기 디딤판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시공자가 디딤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방법은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위한 거푸집 내부에 PVC파이프를 고정한 후,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는 블록제작단계;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상기 본체의 관통관을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은 상기 관통관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단은 관통관의 타단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는 로프설치단계; 인양기가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 및 거치하는 블록거치단계 및 상기 인양된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와이어로프를 분리시키는 로프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분리단계 이후,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와이어고정홈 또는 관통관에 맞춰 메움부재를 삽입하는 마무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은 콘크리트 블록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관을 통해 와이어로프를 연결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에 녹슬기 쉬운 금속 소재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 콘크리트 블록에 부식을 저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자가 지상에서 와이어로프가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을 관통하게 할 수 있어, 콘크리트 블록 상면에서 시공 중 추락하는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블록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블록에서 와이어로프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블록에 메움부재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메움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4에 도시된 콘크리트 블록을 B-B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어 메움부재가 콘크리트 블록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디딤돌출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디딤홈부의 모습을 나타낸 회전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디딤돌출부와 디딤홈부가 맞물리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블록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블록에서 와이어로프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블록에 메움부재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메움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4에 도시된 콘크리트 블록을 B-B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어 메움부재가 콘크리트 블록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디딤돌출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디딤홈부의 모습을 나타낸 회전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디딤돌출부와 디딤홈부가 맞물리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진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블록의 A-A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어 관통관에 와이어로프가 관통된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블록에서 와이어로프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블록에 메움부재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메움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메움부재가 콘크리트 블록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며,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메움부재의 하단메움부가 일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고, 도 6c는 도 4에 도시된 메움부재의 상단메움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며, 도 6d는 도 4에 도시된 메움부재가 콘크리트 블록에 완전히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A-A 또는 B-B에 따른 단면도 즉,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d는 관통관(20)과 와이어고정홈(30)이 연관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하여 A-A 또는 B-B로부터 관통관(20)이 형성된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평면 상에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 단면도 및 작동예시도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단면을 나타냈을 시의 콘크리트 블록 본체(10)에서 불필요한 부분은 제외한 평면도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은 본체(10), 관통관(20) 및 와이어고정홈(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10)는 콘크리트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는 시멘트, 골재, 강재 및 혼화재료 등이 혼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는 혼합된 콘크리트가 거푸집에 투입되어 굳어지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체(10)가 거푸집을 통해 항만(港灣) 공사용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조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는 폭 2 내지 3m, 길이 4 내지 6m 및 높이 2 내지 3m의 직사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폭, 길이 및 높이는 도 1을 기준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예컨대, 폭은 평면에서의 가로 길이를 지칭하고, 길이는 세로 길이를 지칭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관통관(20)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되, 와이어로프(W)와 연결되도록 본체(10)의 측면에서 관통관(20)의 일단과 타단이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관(20)은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로프(W)는 강철 철사를 여러 겹 꼬아 만든 밧줄로, 심재(core) 둘레로 스트랜드(strand)를 꼬아 만든 구조로 되어 있다. 와이어로프(W)는 관통관(20)을 통해 본체(10)를 관통한 후 인양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인양기는 달기기구가 연결될 수 있는 크레인, 리프트, 이동식 작업대 중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달기기구를 통해 와이어로프(W)와 연결되어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 및 설치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달기기구는 와이어로프(W)와 인양기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모든 기계요소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통관(20)은 본체(10)의 양 측면에서 본체(10) 내부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관(20)은 와이어로프(W)의 일단이 관통하여 관통관(20)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고, 와이어로프(W)의 타단이 관통관(20)의 타단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노출된 와이어로프(W)의 양단은 인양기에 연결될 수 있어, 인양기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이 인양될 시, 와이어로프(W)가 고리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 형태는 콘크리트 블록이 인양 도중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관(20)은 본체(10)가 제조될 시 PVC파이프가 거푸집에 설치됨으로써, PVC파이프에 의해 본체(10)의 내부에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PVC파이프는 본체(10)에 관통관(20)이 형성되도록 하는 주체일 수 있다. PVC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이라 불리우며,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단단하고 잘 마모되지 않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PVC파이프는 콘크리트 블록이 항만 공사에 사용되어, 바닷물에 침수되더라도 부식이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와이어로프(W)가 본체(10)와 맞닿아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PVC파이프는 일자형 또는 주름관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관통관(20)은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관통관(20)이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가 4.2m이고 높이가 3m인 본체(10)에 관통관(20)이 2개가 형성될 경우, 관통관(20)은 지상으로부터 1.5m의 높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관통관(20)과 1.4m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어, 본체(10)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인양 또는 설치되게 할 수 있다.
관통관(20)은 시공자의 평균 키보다 높지 않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어, 시공자가 지상을 딛고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에서 와이어로프(W)를 연결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관(20)은 시공자가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서 추락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관(20)은 콘크리트 블록 설치 이후, 인양기에서 와이어로프(W)의 일단이 분리되어 통과함으로써, 와이어로프(W)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 있다. 관통관(20)은 이미 설치된 본체(10)를 다시 인양할 시 와이어로프(W)와 재 연결될 수 있어, 복잡한 공정 없이 본체(10)의 위치를 다시 옮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고정홈(30)은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되되, 관통관(20)으로부터 본체(10)의 상면까지 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고정홈(30)은 본체(10)의 측면에 와이어로프(W)가 맞닿는 경로에 맞춰 홈 형태로 형성되어, 와이어로프(W)와 본체(1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와이어로프(W)가 관통관(20)과 연결된 이후 본체(10)를 인양할 시, 와이어고정홈(30)은 와이어로프(W)가 본체(10)의 측면에서 미끄러져 본체(10)가 관통관(20)을 축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고정홈(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본체(10)를 바라봤을 시, 두개의 와이어고정홈(30)이 상협하광(上狹下廣)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두개의 와이어고정홈(30)은 와이어로프(W)가 본체(10)와 맞닿는 경로에 맞춰 본체(10)의 상측으로 향할수록 가운데로 모이게 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고정홈(30)은 내부 또는 모서리가 와이어로프(W)의 직경 또는 본체(10) 모서리의 굴곡에 맞춰 밀링(milling) 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와이어고정홈(30)은 내부가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모서리에 형성된 와이어고정홈(30)은 뭉툭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와이어고정홈(30)은 와이어로프(W)가 본체(10)의 측면에 용이하게 맞닿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와이어로프(W)가 와이어고정홈(30)의 상측 모서리에 맞닿을 시 마모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고정홈(30)은 본체(10)의 일면이 다른 콘크리트 블록의 타면과 맞닿게 인양될 시, 와이어로프(W)가 밀착된 부분에 공간이 형성되게 할 수 있어, 와이어로프(W)가 본체(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의 인양이 완료된 이후 인양기에서 와이어로프(W)의 일단을 분리하고, 인양기를 통해 와이어로프(W)만을 들어올림으로써, 와이어로프(W)가 와이어고정홈(30)을 통과하여 본체(10)와 완전히 분리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고정홈(30)은 와이어로프(W)가 본체(10)에 남아있지 않게 하여 본체(10)가 금속 소재의 와이어로프(W)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은 메움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움부재(40)는 관통관(20) 및 와이어고정홈(30)에 끼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메움부재(40)는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이 완료될 시 와이어고정홈(30)을 통해 본체(10)의 내부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 블록은 시공자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면이 다른 콘크리트 블록의 와이어고정홈(30)의 위치와 알맞게 맞닿아야 하고, 상면이 동일 선상에서 수평적이게 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메움부재(40)는 두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통해 형성된 와이어고정홈(3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움부재(40)는 설치된 두개의 콘크리트 블록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못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메움부(41), 하단메움부(42) 및 꺾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메움부(41)는 와이어고정홈(30)의 형태에 맞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메움부(41)는 두 개의 와이어고정홈(30)이 맞닿을 시에 형성되는 형태에 맞춰 상면 즉, 헤드가 평평한 직사각 모양인 못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메움부(41)는 와이어고정홈(30)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하여 PVC와 같은 강성과 유연성을 가진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고, 와이어고정홈(30)을 통해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든 형태 또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고정홈(30)의 내부가 반원통형으로 형성될 경우, 상단메움부(41)는 직사각 헤드를 가진 못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메움부(41)는 망치와 같은 타격 연장에 의해 헤드에 충격을 받을 시 와이어고정홈(3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와이어고정홈(30)의 경사에 맞춰 구부러질 수 있다.
이때, 상단메움부(41)는 와이어고정홈(30)이 경사진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상단메움부(41)의 헤드는 열, 압력 또는 마감부재에 의해 와이어고정홈(30)에 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육지에 설치되었을 시, 상단메움부(41)의 헤드는 소정의 열에 녹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어, 시공자에 의해 액체 상태로 녹은 후 와이어고정홈(30) 상면을 채우고 건조되는 것으로, 와이어고정홈(30)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단메움부(41)는 하기의 절취선에 의해 반으로 절단될 수 있어, 본체(10)의 동일한 측면에 형성된 두개의 와이어고정홈(30) 및 관통관(20)을 각각 메울 수도 있다. 이때, 상단메움부(41)는 본체(10)의 측면에서 상기 타격 연장에 의해 전체적으로 두들겨질 수 있으며, 헤드가 튀어나올 경우에도 상술된 바와 같은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단메움부(41)는 와이어고정홈(30)에 알맞게 삽입되어, 콘크리트 블록 간의 이격 또는 틈을 메울 수 있으며, 하단메움부(42)가 타격 연장의 충격에 의해 관통관(20)에 삽입되게 할 수 있다.
하단메움부(42)는 상단메움부(41)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단메움부(42)는 본체(10) 방향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와이어고정홈(30)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메움부(42)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콘크리트 블록 사이에 형성된 와이어고정홈(30)에 메움부재(40)가 삽입될 시, 관통관(20)에 끼워지도록 구부러지게 고유연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고유연성 소재는 PE(폴리에틸렌), PVC(폴리염화비닐), PP(폴리프로필렌), PAN(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상단메움부(41)에 충격이 가해졌을 시 하단메움부(42)가 관통관(20)으로 꺾여 삽입되게 할 수 있는 모든 소재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하단메움부(42)는 관통관(20) 내의 PVC파이프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하여 동일한 PVC 소재로 마련되되, 상단메움부(41)보다 탄성이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단메움부(42)는 좌측 및 우측으로 갈라 질 수 있도록 중앙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취선은 점선, 파선, 1점쇄선 또는 2점쇄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시공자에 의해 하단메움부(42)가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하는 모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취선은 꺾임부를 넘어 상단메움부(41)까지 형성될 수도 있어, 메움부재(40)가 두 개로 나눠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나눠진 메움부재(40)는 다른 콘크리트 블록과 맞닿지 않은 콘크리트 블록의 와이어고정홈(30) 및 관통관(2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절취선은 하단메움부(42) 또는 메움부재(40)의 전체를 하나 이상의 갈래로 나누어 하단메움부(42)의 끝단이 관통관(2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삽입되게 할 수 있다.
하단메움부(42)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선에 의해 좌측 및 우측으로 갈라진 상태에서 와이어고정홈(3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하단메움부(42)는 시공자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가운데로 모인 깔대기 모양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클램프, 플라이어, 조인트 및 바이스 중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상단메움부(41)에 충격이 가해질 시 메움부재(40)의 위치 또는 방향이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해줄 수 있는 모든 공구로 마련될 수 있다.
하단메움부(42)는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와이어고정홈(30)에 삽입된 이후에 양측의 콘크리트 블록 방향으로 갈라질 수 있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움부재(40)가 와이어고정홈(30)에 삽입됨에 따라 하단메움부(42)의 끝단이 각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관통관(20)에 모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단메움부(42)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관(20)을 통해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음과 더불어, 메움부재(40)를 기준으로 양 방향에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잡아 줄 수도 있어, 메움부재(40)와 콘크리트 블록 간의 결속력도 높여줄 수 있다.
꺾임부(미도시)는 상단메움부(41)와 하단메움부(42)의 사이에 형성되어, 하단메움부(42)가 본체(10) 방향으로 꺾이도록 고정시켜 줄 수 있다.
꺾임부는 고정스프링 및 탄성 자바라로 형성되어 상단메움부(41)와 하단메움부(42)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단메움부(41) 또는 하단메움부(42)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되, 그 중단에 절취선 또는 꺾임선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절취선은 상기 하단메움부(42)에 형성된 절취선과 다른 형태의 파선 즉, 칼집의 간격이 넓은 파선으로 형성될 수 있어, 상단메움부(41)와 하단메움부(42)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꺾임부는 상단메움부(41)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 하단메움부(42)가 본체(10) 방향으로 꺾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어, 메움부재(40)가 와이어고정홈(3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시 하단메움부(42)가 관통관(20)을 따라 PVC파이프까지 삽입되게 꺾인 방향을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디딤돌출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디딤홈부의 모습을 나타낸 회전사시도 및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디딤돌출부와 디딤홈부가 맞물리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본체(10)는 디딤돌출부(11) 및 디딤홈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딤돌출부(11) 및 디딤홈부(12)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디딤돌출부(11)와 디딤홈부(12)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디딤돌출부(11)와 디딤홈부(12)는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자 또는 설치자가 상기 와이어로프 제거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서 시공을 진행할 경우, 시공자가 본체(10)의 상면으로 올라가거나 지상으로 내려가도록 본체(10)의 측면에서 발을 디딜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디딤돌출부(11)와 디딤홈부(12)는 본체(10)의 측면에서 계단 또는 사다리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어, 시공자가 본체(10)의 상면에서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 또는 작업이 완료된 경우에 본체(10)의 상면과 지상을 이동하기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디딤돌출부(11)와 디딤홈부(12)는 거푸집에 각 형태가 미리 형성되어 본체(10)가 콘크리트에 의해 제조될 시 같이 제조된 것, 즉, 본체(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딤돌출부(11)와 디딤홈부(12)는 클램프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0)에 밀착된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본체(10)의 양 측면에 형성 또는 결합될 수 있는 모든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된 디딤돌출부(11)와 디딤홈부(12)의 형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딤돌출부(11)는 본체(10)의 일면에서 계단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높이 방향으로 줄지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디딤돌출부(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고정홈(30)의 사이에 형성되어 다른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디딤홈부(12)와 맞물리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와이어고정홈(3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한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디딤돌출부(11)는 와이어고정홈(30)에 방해되지 않는 선에서 다양한 형태 및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딤돌출부(11)는 25 내지 35cm의 높이로 마련되어 본체(10)의 일면에 8 내지 9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디딤돌출부(11)가 25cm미만 또는 35cm 초과의 높이로 마련될 경우, 각 디딤돌출부(11)에 시공자가 디딜 수 있는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시공자가 본체(10)의 상면으로 올라가거나 지상으로 내려갈 시 디딤돌출부(11)를 디디는 데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어려움은 결국 시공자의 추락에 대한 위험으로 변질될 수 있어, 디딤돌출부(11)가 25cm로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디딤돌출부(11)는 디딤판(110) 및 미끄럼방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디딤판(110)은 디딤돌출부(11)의 가운데에 평평하게 형성되어 시공자가 발을 디디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딤판(110)은 15 내지 20c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디딤판(110)이 15cm 미만의 높이로 형성될 경우, 디딤판(110)과 디딤판(110) 사이의 간격이 너무 벌어지게 되어 시공자가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된 디딤판(110)을 디디기에 어려울 수 있으며, 디딤판(110)이 20cm 초과의 높이로 형성될 경우, 디딤판(110)과 디딤판(110)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디딤판(110)은 18c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111)는 디딤판(11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111)는 시공자가 디딤판(110)을 딛고 이동할 시 디딤판(110)의 외측으로 미끄러지거나 잘 못 밟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111)는 직각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끄럼방지부(111)는 본체(10)와 수직적으로 맞닿을 수 있으며, 본체(10)와 멀어질수록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111)는 상기 경사를 통해 디딤돌출부(11)가 디딤홈부(12)에 맞물릴 시 상측에서 하측으로 미끄러지게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111)는 후술될 디딤홈부(12)에 맞물릴 시,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의 결속력을 높여줄 수 있어, 파도와 같은 외력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딤홈부(12)는 본체(10)의 타면에 디딤돌출부(11)의 간격과 동일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디딤홈부(12)는 본체(10)의 타면에 8개 내지 10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디딤홈부(12)의 높이는 25 내지 35cm 즉, 디딤판(110) 및 미끄럼방지부(111)의 형태 및 높이에 알맞게 형성될 수 있다.
디딤홈부(12)는 'ㅂ'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어, 하나의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디딤판(110)과 미끄럼방지부(111)가 다른 디딤홈부(12)에 정확히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디딤홈부(12)는 디딤돌출부(11)와 맞닿는 면적이 미끄럼방지부(111)가 없을 때보다 넓어질 수 있음에 따라,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어 각 콘크리트 블록의 결속력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돌출부(11)와 디딤홈부(12)는 본체(10)의 양 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어, 시공자가 본체(10)에서의 상하 이동이 용이하게 한 것과 더불어, 두 개의 콘크리트 블록 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방법은 블록제작단계(S10), 로프설치단계(S20), 블록거치단계(S30), 로프분리단계(S40) 및 마무리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제작단계(S10)는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본체(10)를 위한 거푸집 내부에 PVC파이프를 고정한 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제작단계(S10)에서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 내부에 박리제가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거푸집은 콘크리트 블록의 크기 및 형태에 맞게 형성될 수 있으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세파볼트 및 세파너트 등이 마련될 수 있다. 거푸집, 세파볼트 및 세파너트의 배치 및 해체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록 제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박리제는 거푸집과 콘크리트의 부착을 감소시켜 탈형(脫形)을 쉽게 하고, 거푸집의 전용률을 높이기 위해 거푸집에 도포되는 제품이다.
이후, 블록제작단계(S10)에서 PVC파이프를 거푸집의 높이 절반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거푸집의 높이가 3m일 경우, PVC파이프는 거푸집의 1.5m 높이 부근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거푸집 내부에 설치되는 PVC파이프는 일자형으로 형성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콘크리트 블록 본체(10)와 긴밀한 결합을 위해 주름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블록제작단계(S10)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준비된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거푸집, 세파볼트 및 세파너트를 해체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블록을 완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PVC파이프는 본체(10)의 내부에 매립되어 관통관(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관통관(20)의 양단부는 본체(10)의 측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블록제작단계(S10)에서 콘크리트 블록의 측면에 와이어고정홈(30), 디딤돌출부(11) 또는 디딤홈부(12)를 제조할 시, 거푸집에 와이어고정홈(30), 디딤돌출부(11) 또는 디딤홈부(12) 모양의 금형을 만든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고, 거푸집에서 콘크리트 블록을 탈형 후 시공자에 의해 와이어고정홈(30), 디딤돌출부(11) 또는 디딤홈부(12)를 조각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때, 디딤돌출부(11)는 콘크리트 블록과 일체형으로 조각될 수도 있으나, 콘크리트 블록의 일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로프설치단계(S20)는 와이어로프(W)의 일단이 본체(10)의 관통관(20)을 통과하여 와이어로프(W)의 일단이 관통관(20)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며, 와이어로프(W)의 타단은 관통관(20)의 타단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로프설치단계(S20)에서 각 관통관(20)의 양단에 노출된 다수의 와이어로프(W)의 양단을 모두 모아 하나의 인양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로프(W)의 양단은 인양고리 또는 달기기구가 각각 마련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개의 와이어로프(W)가 본체(10)의 관통관(20)에 설치되었을 경우, 인양고리 또는 달기기구는 4개가 마련되어 각 와이어로프(W)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블록거치단계(S30)는 인양기가 와이어로프(W)의 양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 및 거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블록거치단계(S30)에서 인양기가 와이어로프(W)의 양단 즉, 인양고리 또는 달기기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특정 위치에 인양 또는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블록거치단계(S30)에서 인양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콘크리트 블록의 디딤돌출부(11)와 다른 콘크리트 블록의 디딤홈부(12)를 맞물리게 거치할 수 있다. 이에, 블록거치단계(S30)에서 콘크리트 블록을 연속적으로 나열할 수 있다.
로프분리단계(S40)는 인양된 콘크리프 블록으로부터 와이어로프(W)를 분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로프분리단계(S40)에서 와이어로프(W)의 인양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연결 상태를 해제한 후, 인양기가 다른 하나의 인양고리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W)를 인양하면, 와이어로프(W)가 콘크리트 블록 본체(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와이어로프(W)는 다른 콘크리트 블록 본체(10)의 인양 및 거치 작업을 위하여 재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블록이 수중에 설치될 경우, 시공자가 잠수하여 하나의 인양고리에 대해서만 분리 작업을 시행하여도 와이어로프(W)가 와이어고정홈(30)을 통과하여 콘크리트 블록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로프분리단계(S40)가 육상에서 진행될 경우, 시공자가 지상에서 와이어로프(W)의 양단에 연결된 달기기구를 해제한 후, 와이어로프(W)를 어느 한쪽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와이어로프(W)가 콘크리트 블록 본체(10)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 있다.
마무리단계(S50)는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콘크리트 블록의 와이어고정홈(30) 또는 관통관(20)에 맞춰 메움부재(40)를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무리단계(S50)에서 시공자가 다수 개의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서 와이어고정홈(30)에 메움부재(40)를 일부 삽입하고, 타격 연장을 통해 메움부재(40)가 와이어고정홈(30) 내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메움부재(40)의 하단메움부(42)는 타격 연장의 타격 횟수에 따라 관통관(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시공자는 블록 본체(10)의 측면에서 와이어고정홈(30)과 관통관(20)에 반으로 갈라진 메움부재(40)를 삽입함으로써, 본체(10)의 측면을 평평하게 마감할 수 있다.
또한, 마무리단계(S50)에서 일부 부숴진 콘크리트 블록 본체(10)의 마감 또는 모서리 밀링 작업이 더 진행될 수 있으나, 이는 통상적으로 진행되는 콘크리트 블록 설치 후의 작업이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방법은 콘크리트 블록에 와이어로프를 설치하지 않아 별도의 와이어 자재비, 제작, 및 설치 시공 비용이 들지 않아 경제적일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후 와이어로프(W)를 완전히 분리 시킴으로써, 와이어 부식으로 인한 해양오염 또는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친환경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본체
11 : 디딤돌출부
110 : 디딤판
111 : 미끄럼방지부
12 : 디딤홈부
20 : 관통관
30 : 와이어고정홈
40 : 메움부재
41 : 상단메움부
42 : 하단메움부
W : 와이어로프
11 : 디딤돌출부
110 : 디딤판
111 : 미끄럼방지부
12 : 디딤홈부
20 : 관통관
30 : 와이어고정홈
40 : 메움부재
41 : 상단메움부
42 : 하단메움부
W : 와이어로프
Claims (8)
-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와이어로프와 연결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관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관으로부터 본체의 상면까지 이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가 끼워지는 와이어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디딤돌출부 및
상기 본체의 타면에 상기 디딤돌출부의 간격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되, 상기 디딤돌출부가 끼움 맞춤되게 형성되는 디딤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딤돌출부 및 상기 디딤홈부는 본체의 양 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딤돌출부는,
시공자가 발을 디디는 것이 가능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디딤판 및
상기 디딤판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시공자가 디딤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하는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관은,
내부에 PVC파이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관 및 와이어고정홈에 끼워지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고정홈을 통한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는 메움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움부재는,
상기 와이어고정홈의 형태에 맞춰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상단메움부;
상기 상단메움부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상단메움부의 상면에 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관통관에 삽입되는 하단메움부 및
상기 상단메움부와 하단메움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하단메움부가 상기 본체 방향으로 꺾이도록 하는 꺾임부를 포함하는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 삭제
- 삭제
-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위한 거푸집 내부에 PVC파이프를 고정한 후,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는 블록제작단계;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상기 본체의 관통관을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은 상기 관통관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단은 관통관의 타단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는 로프설치단계;
인양기가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 및 거치하는 블록거치단계 및
상기 인양된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와이어로프를 분리시키는 로프분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제작단계에서 상기 거푸집에 와이어고정홈,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디딤돌출부 또는 상기 본체의 타면에 상기 디딤돌출부의 간격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되, 상기 디딤돌출부가 끼움 맞춤되게 형성되는 디딤홈부 모양의 금형을 만든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디딤돌출부는,
시공자가 발을 디디는 것이 가능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 디딤판 및
상기 디딤판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시공자가 디딤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하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분리단계 이후,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와이어고정홈 또는 관통관에 맞춰 메움부재를 삽입하는 마무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1652A KR102571033B1 (ko) | 2023-05-12 | 2023-05-12 |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1652A KR102571033B1 (ko) | 2023-05-12 | 2023-05-12 |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1033B1 true KR102571033B1 (ko) | 2023-08-28 |
KR102571033B9 KR102571033B9 (ko) | 2024-02-16 |
Family
ID=8780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1652A KR102571033B1 (ko) | 2023-05-12 | 2023-05-12 |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103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0535U (ja) * | 1991-07-29 | 1993-02-12 | 増尾石材工業株式会社 | 廃棄物埋包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 |
KR20110112191A (ko) | 2011-02-23 | 2011-10-12 | 김상기 |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 그 제작 방법 및 그 설치 방법 |
KR20170104202A (ko) * | 2016-03-07 | 2017-09-15 | 김응석 | 무들고리 콘크리트블록 |
KR20180134701A (ko) * | 2017-06-09 | 2018-12-19 | 강태욱 | 재활용 환봉 무들 고리 |
KR20210074979A (ko) * | 2019-12-12 | 2021-06-22 | (주)네오테크 |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2023
- 2023-05-12 KR KR1020230061652A patent/KR1025710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0535U (ja) * | 1991-07-29 | 1993-02-12 | 増尾石材工業株式会社 | 廃棄物埋包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 |
KR20110112191A (ko) | 2011-02-23 | 2011-10-12 | 김상기 | 크레인 인양용 대형 콘크리트 블록, 그 제작 방법 및 그 설치 방법 |
KR20170104202A (ko) * | 2016-03-07 | 2017-09-15 | 김응석 | 무들고리 콘크리트블록 |
KR20180134701A (ko) * | 2017-06-09 | 2018-12-19 | 강태욱 | 재활용 환봉 무들 고리 |
KR20210074979A (ko) * | 2019-12-12 | 2021-06-22 | (주)네오테크 |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1033B9 (ko) | 2024-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118890A (zh) | 剪力墙变形缝中的待浇筑墙体模板体系及其支设方法 | |
KR100797002B1 (ko) | 강관 파일의 콘크리트 속채움식 두부 보강 장치 | |
JP2008063736A (ja) | コンクリートボイドスラブ | |
KR102571033B1 (ko) | 무들고리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설치 방법 | |
CN105952154A (zh) | 一种混凝土浇筑模板支架 | |
CN109435019A (zh) | 预制叠合板浇筑用模具边框及预制叠合板浇筑用模具 | |
JP2009108611A (ja) | 鉄筋建込み用治具及び鉄筋の建込み方法 | |
CN220225269U (zh) | 拔管施工用钢筋笼防上浮结构 | |
CN113006377A (zh) | 构造柱钢筋施工方法 | |
CN106437150A (zh) | 一种用于防止钢筋混凝土中钢筋浮动的固定装置 | |
JP4896086B2 (ja) | プレキャスト部材の取り付け方法 | |
KR100985441B1 (ko) | 양방향 파지력을 가지는 콘크리트 싱커 | |
KR100291848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 볼트 구멍을 성형하는 방법 및 그 성형기구 | |
JP5896082B2 (ja) | 鋼矢板の地中変形防止装置及び地中変形防止方法、及び連続壁の地中変形防止装置 | |
CN205875724U (zh) | 一种混凝土浇筑模板支架 | |
JP4994153B2 (ja) | ブロック施工法 | |
CA306018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duct bank via hold-down bars | |
KR20160001851U (ko) | 대리석 경계턱을 가지는 측구 수로관 | |
KR102085578B1 (ko) | 콘크리트 블록 설치용 가이드 부재 | |
JP6043378B2 (ja) | 導管引上げ装置及び導管引上げ方法並びに杭の打込み方法 | |
CN215329839U (zh) | 一种方便吊装夹持的板桩 | |
CN210547650U (zh) | 一种土建工程施工用钢筋调直装置 | |
CN219992492U (zh) | 一种防止地下连续墙成槽时阳角鼓包坍塌装置 | |
CN218005809U (zh) | 一种护栏线缆挂钩装置 | |
CN110080280B (zh) | 一种堆取料机轨道基础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