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719B1 -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719B1
KR101411719B1 KR1020140041841A KR20140041841A KR101411719B1 KR 101411719 B1 KR101411719 B1 KR 101411719B1 KR 1020140041841 A KR1020140041841 A KR 1020140041841A KR 20140041841 A KR20140041841 A KR 20140041841A KR 101411719 B1 KR101411719 B1 KR 101411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e
anchor rod
lifting
marin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술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박상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박상술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박상술
Priority to KR1020140041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66C1/6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for connection to anchor inserts embedded in concret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수중에 설치되어 부두, 방파제 등과 같은 해양구조물의 기초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블록을 폐기할 때 안정적으로 인양할 수 있음은 물론, 재설치 및 재수거 작업을 할 때,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2)에 형성된 고정 홈(8)에 케미컬 접착제(9)와 함께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 봉(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1)에 있어서; 상기한 앵커 봉(10)에는 상단에 인양 와이어(5)가 체결되는 체결 공(3)을 가지며 외주 면에 나사 돌기가 구비된 앵커 볼트(4)가 나사 결합 되는 너트 홈(11)이 형성되며; 상기한 앵커 봉(10)의 외주면은, 다수의 돌기(13)가 형성되어 상기 케미컬 접착제(9)와의 접착면적을 증대하도록 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A assist device for refloating of concreat structure in the sea}
본 발명은, 해양에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 등과 같은 구조물을 수거하여 재활용하고자 인양할 때 크레인의 인양 와이어가 고정되는 인양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에 설치되어 부두, 방파제 등과 같은 해양구조물의 기초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블록을 폐기할 때 안정적으로 인양할 수 있음은 물론, 재설치 및 재수거 작업을 할 때,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착장, 항구, 부두 등과 같은 해양 시설물을 건설하고자 할 때에는 기초 설비를 해야만 하고, 상기 기초설비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콘크리트재질의 단위블록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2)을 수직 상으로 적층 하여 형성한 후, 최상부를 마감 처리하는 형태로 건설하게 된다.
상기에서, 콘크리트 구조물(2)은,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 측면이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도 있다.
즉, 직육면체형상의 단위블록과 일 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단위블록을 블록쌓기 방식으로 적층 하여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해양시설물(7)을 수리 및 재시공하고자할 때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2)은 수거 및 해체하여 폐기하거나 재활용하게 되며, 상기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2)을 수거 및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도록 된 크레인장치(6)를 이용하여 인양 와이어(5)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2)에 연결하여 인양하는 인양작업을 수반한다.
상기와 같이, 크레인장치(6)의 인양 와이어(5)를 이용하여 해양에 설치 및 배치된 구조물에 연결하여 인양하도록 된 장치 및 방법들이 널리 제안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2-61707호(명칭: 중량물 인양용 러그)가 있으며, 구조물에 러그가 끼움 결합 되는 지지쇠를 결합하고, 상기 지지쇠에 러그를 고정하여 일체화한 후 상기 러그에 인양 와이어를 걸어 연결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61859호(명칭: 방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인양방법)에서는, 방파수단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인양 와이어의 종단에 구비된 걸고리를 걸어 연결한 후, 인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95412(명칭: 인양용 연결판을 이용한 마찰증대용 아스팔트 매트)에서는, 구조물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너트홈이 형성된 연결판을 제안하여 상기 연결판의 너트홈에 고리가 형성된 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고리에 인양 와이어를 연결하여 인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90705호(명칭: 설치와 이용이 용이한 부표용 침추)에서는, 구조물에 걸쇠를 구비시켜, 인양시 상기 걸쇠에 인양 와이어를 연결하여 인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각종 인양장치들을 통해서는, 해양에 침수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인양하는 것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해양 시설물(7)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2)을 수거 및 해체하기 위하여 인양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서 콘크리트 구조물(2)에 체결공(3)이 구비된 앵커 볼트(4)를 설치하고, 상기 앵커 볼트(4)에 인양 와이어(5)를 연결한 후, 크레인 장치(6)를 구동하여 인양하는 방법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을 인양하는 방법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이 수중에서는 부력에 의해 상부로 인양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수중에서 외부로 들어올려 진 후에는 앵커 볼트의 주위부분이 손상되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해 중에 설치됨에 따라 바닷물에 의해 부식되어 그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져 발생하는 것으로, 심지어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볼트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분리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이 다시 수중으로 낙하 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크레인 장치가 설치된 인양선 또는 바지선이 반작용에 따른 반동에 의해 기울어져 침몰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인양된 후, 재활용하고자 재설치될 때에는 외부로 돌출된 앵커 볼트를 해체하여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재활용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에 설치되어 부두, 방파제 등과 같은 해양구조물의 기초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블록을 폐기할 때 안정적으로 인양할 수 있음은 물론, 재설치 및 재수거 작업을 할 때,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는,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고정 홈에 케미컬(CHEMICAL) 접착제와 함께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 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앵커 봉에는 상단에 인양 와이어가 체결되는 체결 공을 가지며 외주 면에 나사 돌기가 구비된 앵커 볼트가 나사 결합 되는 너트 홈이 형성되며; 상기한 앵커 봉의 외주면은,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케미컬 접착제와의 접착면적을 증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돌기는 나사 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앵커 봉의 외주면은, 그 직 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단턱부를 가지며, 최하부는 그 상부보다 그 직 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앵커 봉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총 깊이에 대하여 최소한 50%의 깊이를 가지면서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는, 수중에 설치되어 부두, 방파제 등과 같은 해양시설물을 구성하는 블록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인양할 때, 인양 와이어가 연결되는 앵커 봉이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이 높아 쉽게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인양할 수 있고, 특히 앵커 봉을 영구히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어, 재설치 및 재수거와 같이 필요할 때마다 앵커 볼트를 체결하여 인양작업을 할 수 있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재인양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해양시설물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일반적인 해양시설물을 구성하는 블록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통상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을 인양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통상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을 인양하는 상태에서의 문제점을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하는 과정을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개략 단면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에 적용되는 앵커 봉 및 앵커 볼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에 적용되는 앵커 봉의 보존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개략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1)는, 해양시설물(7)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2)에 형성된 고정 홈(8)에 케미컬(CHEMICAL) 접착제(9)와 함께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 봉(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앵커 봉에 크레인 장치의 인양 와이어(5)를 연결한 후, 상기 크레인 장치(6)를 구동하여 콘크리트 구조물(2)을 인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인양 보조장치(1)에서, 상기한 앵커 봉(10)에는, 상단에 인양 와이어(5)가 체결되는 체결 공(3)을 가지며 외주 면에 나사 돌기가 구비된 앵커 볼트(4)가 나사 결합 되는 너트 홈(11)이 형성된다.
즉, 평상시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별도의 개폐볼트(12)가 체결되어, 상기 너트 홈(11)이 폐쇄하여 해수에 의한 부식으로 상기 너트 홈(11)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필요 시, 상기 인양 와이어(5)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폐볼트(12)를 상기 너트 홈(11)에서 분리하고, 상기 앵커 볼트(4)를 나사결합 한 후, 상기 앵커 볼트(4)에 형성된 체결 공(3)에 상기 인양 와이어(5)를 연결하여 인양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인양 보조장치(1)에서, 상기한 앵커 봉(10)의 외주면은, 다수의 돌기(13)가 형성되어 상기 케미컬 접착제(9)와의 접착면적을 증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13)에 의해 상기 케미컬 접착제(9)와의 결합이 더 확고히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한 돌기(13)는 나사 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기(13)를 나사 산으로 형성할 경우, 그 제조시 작업성이 좋아 더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인양 보조장치(1)에서, 상기한 앵커 봉(10)의 외주면은, 그 직 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단턱부(14)를 가지며, 최하부는 그 상부보다 그 직 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측으로 함몰된 상기 단턱부(14)들로 상기 케미컬 접착제(9)가 수용되게 접착 고정됨에 따라, 상기 앵커 봉(10)과 상기 케미컬 접착제(9)가 더욱 확고하게 결합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앵커 봉(10)이 상기 고정 홈(8)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인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한 앵커 봉(10)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2)의 총 깊이에 대하여 최소한 50%의 깊이를 가지면서 삽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해수에 의한 부식의 정도가 작은, 콘크리트 구조물(2)의 중앙부위에서 케미컬 접착제(9)를 통해 상기 앵커 봉(10)을 삽입 고정함으로써, 인양작업 시 콘크리트 구조물(2)의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앵커 봉(10)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됨에 따라, 인양작업이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인양 보조장치(1)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양시설물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을 인양 와이어(5)가 구비된 크레인 장치(6)를 통해 수중에서 인양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2)에 별도의 드릴 장치로 고정 홈(8)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홈(8)에 케미컬 접착제(9)를 주입한다.
상기에서, 상기 고정 홈(8)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2)의 총 깊이에 대하여 최소한 50%의 깊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 홈(8)에 상기 케미컬 접착제(9)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앵커 봉(10)을 삽입하여 접착 고정한다.
이때, 상기 앵커 봉(10)의 상단 면과 콘크리트 구조물(2)의 표면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앵커 봉(1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2)과 상기 앵커 봉(10)의 상단이 일직선상에 위치할 경우, 타 콘크리트 구조물(2)이 그 상부로 안정되게 안치하여 쌓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 홈(8)에 상기 앵커 봉(10)이 삽입 고정되면, 상기 앵커 볼트(4)를 상기 앵커 봉(10)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앵커 볼트(4)의 체결 공(3)에 상기 인양 와이어(5)를 연결 고정한 후, 상기한 크레인 장치(6)를 구동하여 콘크리트 구조물(2)을 인양하면 된다.
그리고, 수중에서 인양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2)을 수중에 설치하여 재활용할 경우에는, 상기 앵커 봉(10)의 너트 홈(11)에 개폐볼트(12)를 체결하여 그 내부를 폐쇄함으로써,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해양시설물을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는, 인양 와이어가 연결되는 앵커 봉이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이 높아 쉽게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인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인양 보조장치 2 : 콘크리트 구조물
3 : 체결 공 4 : 앵커 볼트
5 : 인양 와이어 6 : 크레인 장치
7 : 해양 시설물 8 : 고정 홈
9 : 케미컬 접착제 10 : 앵커 봉
11 : 너트 홈 12 : 개폐볼트
13 : 돌기 14 : 단턱부

Claims (4)

  1.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고정 홈에 케미컬(CHEMICAL) 접착제와 함께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 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앵커 봉에는,
    상단에 인양 와이어가 체결되는 체결 공을 가지며 외주 면에 나사 돌기가 구비된 앵커 볼트가 나사 결합 되는 너트 홈이 형성되며;
    상기한 앵커 봉의 외주면은,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케미컬 접착제와의 접착면적을 증대하도록 되고, 그 직 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단턱부를 가지며, 최하부는 그 상부보다 그 직 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한 앵커 봉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는 나사 산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앵커 봉은,
    상기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총 깊이에 대하여 최소한 50% ~ 70%의 깊이를 가지면서 삽입고정되며;
    상기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을 수중에 설치하여 재활용할 경우에는,
    상기 앵커 봉의 너트 홈에 개폐볼트를 체결하여 그 내부를 폐쇄함으로써,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41841A 2014-04-08 2014-04-08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 KR101411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841A KR101411719B1 (ko) 2014-04-08 2014-04-08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841A KR101411719B1 (ko) 2014-04-08 2014-04-08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719B1 true KR101411719B1 (ko) 2014-06-25

Family

ID=5113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841A KR101411719B1 (ko) 2014-04-08 2014-04-08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505B1 (ko) * 2022-04-19 2022-07-25 유한회사 신아개발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보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011Y1 (ko) * 2000-01-06 2000-08-16 권대영 콘크리트구조물 인양용 삽입앵커
KR100945663B1 (ko) 2009-07-23 2010-03-10 주식회사 보명 앵커너트를 구비한 기초석
KR20130054562A (ko) * 2011-11-17 2013-05-27 주식회사 석강 개비온
KR101312223B1 (ko) * 2012-11-02 2013-09-27 조종환 교체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앵커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011Y1 (ko) * 2000-01-06 2000-08-16 권대영 콘크리트구조물 인양용 삽입앵커
KR100945663B1 (ko) 2009-07-23 2010-03-10 주식회사 보명 앵커너트를 구비한 기초석
KR20130054562A (ko) * 2011-11-17 2013-05-27 주식회사 석강 개비온
KR101312223B1 (ko) * 2012-11-02 2013-09-27 조종환 교체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앵커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505B1 (ko) * 2022-04-19 2022-07-25 유한회사 신아개발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995B1 (ko) 대형 콘크리트 블록 설치 방법
JP6619204B2 (ja) 締切工法および止水壁構造体
US8898990B2 (en) Modular building blocks with interlocking reinforcement rods
US8667760B2 (en) Modular building blocks with interlocking reinforcement rods
JP6264776B2 (ja) サクション構造体
KR101560382B1 (ko) 오탁방지막용 강관말뚝 앵커
KR20150116738A (ko)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
KR101411719B1 (ko)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
JP2011149182A (ja) 杭基礎の施工方法
KR200474975Y1 (ko) 선박용 볼라드 장치
KR102424505B1 (ko)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보조장치
KR101618797B1 (ko) 해양 콘크리트구조물의 인양보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인양방법
JP4669386B2 (ja) 既存水中構造物における基礎の補強構造およびその補強工法
JP5903877B2 (ja) ダム堤体の仮締切工法
KR20110006386A (ko) 해상교량의 충돌방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14108060A (ja) アンカーブロック
KR100583007B1 (ko) 조립식 잔교형 부두
JP5820861B2 (ja) 洋上建物の施工方法
CN108528636B (zh) 一种带圆弧固定板的吸力贯入式平板锚
KR200223923Y1 (ko) 케이블 보호커버
KR100842398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상 부력 결합체
KR100715146B1 (ko) 자중앵커
JP2013091969A (ja) ダム堤体の仮締切構造
KR200330339Y1 (ko) 조립식 잔교형 부두
CN219428322U (zh) 一种海洋工程施工用吸力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