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88164A1 -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 Google Patents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88164A1
WO2015088164A1 PCT/KR2014/011373 KR2014011373W WO2015088164A1 WO 2015088164 A1 WO2015088164 A1 WO 2015088164A1 KR 2014011373 W KR2014011373 W KR 2014011373W WO 2015088164 A1 WO2015088164 A1 WO 201508816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vc
weight
parts
compound composition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3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지우
백성협
권혁칠
이지형
조상현
현상현
Original Assignee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33,69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08197B2/en
Priority to CN201480064219.6A priority patent/CN105764979B/zh
Publication of WO201508816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88164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18Suspen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lyvinyl chloride (PVC) based compound compositions for use in windows and window construction materials, automotive parts, general and water pipes, and the like.
  • PVC polyvinyl chloride
  •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is the most widely used general purpose resin for living and industrial materials, and is used as commercial products in various forms by copolymerizing vinyl chloride monomer alone or various monomers.
  • Concrete PVC resins are used in hard or soft forms such as films, pipes, windows, wallboards, flooring materials, outdoor advertising sheets, wallpaper, curtains, mats, and baby toys.
  • US Patent No. 6, 031, 047 proposes an acrylic copolymer rubber-based core / cell impact modifier and a reinforced PVC weathering compound of PVC, but the production of a mixture with the copolym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requires a physical mixture of different powders or different starting materials.
  • Korean Patent No. 0964103 discloses an acryl-based layer reinforcing agent including a processing aid and a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 the method has a low price competitiveness in that additional modifiers need to be added, an increase in processing load, and problems with plasticizer performance remain.
  • Korean Patent No. 0915484 discloses an impact-resistant hard PVC composition using hydrocarbon rubber and chlorinated polyethylene.
  • PVC prepared by suspension polymerization relates to a PVC compound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a core / cell structured PVC powder and a self-plasticizing PVC copolymer formed of a coating PVC resin made of an emulsion polymerization on a core, but the method includes a heat-resistant plasticizer in the resin.
  • compositions with vinyl chloride grafting copolymers such as vinyl acetate and alkyl acrylate graft copolymer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adhesion resistance and impact strength, all have problems of poor workability and moldability.
  • the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compatibility with the main raw material PVC is inferior or increase the processing load due to using a modifier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VC.
  •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production while improving the compatibility with the PVC resin by using a vinyl chloride copolymer having internal plasticity, thereby improving the processability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impact strength of the PVC compound composi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VC resin; stabilizator; And an internal plastic PVC copolymer;
  • the internal plastic PVC-based copolymer has a vinyl chloride-alkylacrylate poly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 the core, a polyvinyl chloride structure in the shell, and carbon number in the copolymer based on the total copolymer resin weight.
  • ' PVC-based compound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of the alkyl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of 1 to 20 is 10 to 50% by weight, alone or in combination of the core-shell vinyl chloride-based copolymer resin to provide.
  • the PVC compound composition preferably comprises a 0 ⁇ ⁇ 10 parts by weight of the stabilizer and 1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internal plastic PVC copolym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VC resin.
  • the internal plastic PVC copolymer is a vinyl chloride-alkyl acrylate core 85 to 95 weight percent polymer and 5 to 15 weight percent polyvinyl chloride in a shell. .
  • the internal plastic PVC-based copolymer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a powder state. It is a spherical particle of 50 to 250, the volume specific gravity of 0.3 to 0.7 (g / cc), the A Shore hardness may be 80 to 100.
  • composition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PVC resin, 1 to 50 parts by weight of filler, 0.1 to 10 parts by weight of impact modifier, 0.1 to 10 parts by weight of processing aid, 0.1 to 30 parts by weight of pigment, and 1 to 30 It may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rts by weight of plasticizer.
  • the processed product may include a hard product including a window, a pipe, a siding, or a release extrudates; Soft products, including calendars or decor sheets for yarn, films, and sheets; It may be a flame retardant wire, non-flame retardant wire, or a soft compound including automotive molding.
  • PVC-based compoun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specific internal plastic PVC copolymer, without the use of plasticizers, processing aids, etc., which are essentially used, or reducing the amount of gelling time, extrusion load reduction and processing characteristics while enjoying the amount
  • it can increase yield and save energy under the same processing temperat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less use of additional modifiers and can also reduce the performance.
  •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increase the cost competitiveness by applying some of the expensive layered reinforcement used for the existing layered reinforcement effect.
  •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the lattic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f Examples 6 to 8 and Comparative Example 6.
  • Figure 2 shows the hardness and elongation results of Examples 6 to 8 and Comparative Example 6 will be.
  • PVC compound compositions use a modifier such as a processing aid including a plasticizer to impart processability and formability, and an impact modifier is used to reinforce the laminar strength.
  • a modifier such as a processing aid including a plasticizer to impart processability and formability
  • an impact modifier is used to reinforce the laminar strength.
  • the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cost is increased and it is uneconomical and workability and moldability problems still exist.
  •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pecific copolymer resin prepared by suspension polymerization in PVC resin, preferably an internal plastic vinyl chloride copolymer resin, thereby using the amount of the processing aid or layer stiffener generally used in PVC compound compositio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PVC-based compound composition tha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side materials compared to the existing compound composition by reducing or ultimately not using.
  • the internally plastic PVC-based copolymer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the PVC resin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formability, as well as compatibility and cost saving effects without the use of existing modifiers, impact modifiers, plasticizers and the like.
  • PVC resin ; stabilizator; And an internal plastic PVC copolymer; wherein the internal plastic PVC copolymer has a vinyl chloride-alkyl acrylate poly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 the core, and has a polyvinyl chloride structure in the shell
  • the internal plastic PVC copolymer has a vinyl chloride-alkyl acrylate poly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 the core, and has a polyvinyl chloride structure in the shell
  • core-shell vinyl chloride copolymer resins having a content of 10 to 50% by weight of an alkyl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 the copolymer based on the total copolymer resin we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PVC-based compound composition is provided.
  • the PVC compoun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illers, impact modifiers, processing aids, pigments and plasticizers.
  •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PVC compound composition including a PVC resin, a stabilizer, and a plastic PVC copolymer, in which a layer reinforcing agent, stabilizer, filler, and the like are mixed. Then, the component of the PVC compoun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ibute to shortening the gelling time, reducing the extrusion load, low temperature extrusion, and productivity by using a specific internal plastic PVC co-polymer.
  • the internally plastic PVC-based copolymer does not increase the extrusion load even if the gelling time is shortened, thereby facilitating processing and saving energy.
  • the internal plastic PVC copolymer has an excellent gelling property and a shorter gelling time, which not only has an advantage of lowering the processing temperature, but also increases extrusion productivity by reducing extrusion load.
  • the specific p VC -based copolymer resin has some impact strength reinforcing effects and processing aid properties.
  • the impact modifier and the processing aid may be further added to the PVC-based compound composition to further improve the layer strength. Therefore, when using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internal plastic PVC copolymer,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expensive layered reinforcement and processing aids to reduce the mixing cost, a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to secure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finished product It is expected to have high utilization value as a new product.
  • the internally plastic PVC-based copolymer has a vinyl chloride-alkyl acrylate poly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in its core, has a polyvinyl chloride structure in its shell, and has 1 carbon number in the copolymer based on the total copolymer resin weight. It is the core-shell structured vinyl chloride copolymer resin whose content of the alkylacrylate which has the alkyl group of 20-20 is 10-50 weight%.
  • the internal plastic PVC-based copolymer has a vinyl chloride-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s a core, and the polyvinyl chloride particles have a shell structure around them. Includes enclosing forms.
  • the internal plastic PVC-based copolymer may include 85 to 95% by weight of a vinyl chloride-alkyl acrylate poly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s a core, and 5 to 15% by weight of polyvinyl chloride as a shell.
  • the internal plastic PVC-based copolymer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0 ⁇ in powder form 250 / zm spherical particles, a specific gravity of 0.3 to 0.7 (g / cc), A Shore hardness may be 80 to 100.
  • the internally plastic PVC-based copolymer is prepared by suspension polymerization using each monomer, preferably (a)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and the alkyl acrylate monomer, 0.09 to 0.6 parts by weight of the suspending agent and the initiator. Mixing 0.05 to 0.15 parts by weight and initiating reaction at a polymerization temperature of 40 to 60 ° C .; And (b) 5 to 43 parts by weight of the alkyl acrylate monomer is add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to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step (a) for 3 to 7 hour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vinyl chloride and butyl acrylate monomers. Suspension polymerization at a polymerization temperature of 45 ° C to 70 ° C; can be prepared.
  • the step) is a reaction initiation step for providing a vinyl chloride-alkylacrylate copolymer as a core
  • the initial reaction mixture used for such copolymerization includes a vinyl chloride monomer, a suspending agent and an initiator.
  • a suspending agent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kinds of the suspending agent and the initiator may be used.
  • additives well known in the art may be additionally used as necessary, and for example, defoaming agent 1, a buffer, a stabilizer, and the like may be used.
  • the alkyl acrylate monomer is add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in a predetermined amount, thereby completing the structure of the vinyl chloride-alkyl acrylate copolymer as the core, and simultaneously forming a poly Vinyl chloride is formed
  • the alkyl acrylate monomer used in step (b) preferably has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may have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 the alkyl acrylate monomer may be butyl acrylate.
  • the core vinyl chloride-alkyl acrylate copolymer may be a vinyl chloride-alkyl acrylate copoly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d most preferably, a vinyl chloride-butyl acrylate copolymer.
  • the suspending agent is a Crab 1 suspending agent selected from polyvinyl alcohol-based, cellulose-based and a mixture thereof having a saponification degree of 60 to 80%; And polyvinyl alcohols having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30 to 50%, celluloses hydroxylated to 20 to 40%, and their Crab suspensions selected from the combinations may include a mixture of;
  • the suspending agent may include a C 1 suspending agent selected from polyvinyl alcohol-based, cellulose-based and mixtures thereof having a saponification degree of 50 to 80%.
  • the initiator may be used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eroxide-based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n azo-based polymerization initiator, more preferably two or more. Specifically, the initiator may use a low silver and a high temperature initiator.
  • the PVC compoun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1 to 50 parts by weight of a specific internal plastic PVC copolymer and a certain amount of an auxiliary material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VC resin.
  • the internally plastic PVC-based copolymer is used in 1 to 50 parts by weight, black 2 to 40 parts by weight, or 3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VC resin. If the content of the internally plastic PVC copolymer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work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There is a problem of appearing very little, if more than 50 parts by weight of the soft nitriding properties procee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herent physical properties of the original product is changed.
  • the stabilizer is use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PVC-based compound composition.
  • the stabiliz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organic salts and organic salts of metals such as calcium, zinc, tin, magnesium, sodium and potassium.
  • Preferred examples of the stabiliz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lcium stearate, sodium stearate, potassium stearate, zinc stearate, magnesium stearate, tin stearate and a mixture of the metal salts.
  • PVC-based compoun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illers, impact modifiers, processing aids, pigments, plasticizers.
  • the content of the additive is not limited, and can be used in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uses less amount of the processing aid and plasticizer than before.
  • the composition i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PVC resin, 1 to 50 parts by weight of filler, 0.1 to 10 parts by weight of a layer reinforcing agent, 0.1 to 10 parts by weight of processing aid, 0.1 to 30 parts by weight of pigment , And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 to 30 parts by weight of a plasticizer. It may further include. .
  • the PVC-based compound composition comprises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fillers, impact modifiers, processing aids and pigments
  • such a composition can be used for the processing of hard products.
  • the PVC compound composition includes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fillers, impact modifiers, processing aids, pigments, and plasticizers, such compositions can be used for processing soft products.
  • the filler may be both an inorganic filler or an organic layer filler.
  • the inorganic fill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aolin talc, calcium carbonate, aluminum hydroxide, clay, silica and talc. It is recommended that the filler use a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to 10 micrometers.
  • the layered reinforc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methyl methacrylate-butadiene styrene (MBS), and chlorinated polyethylene (CPE).
  • the processing ai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s and methacrylates, styrene / methacrylate copolymers, 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s, styrene / acrylonitrile copolymers and polyalphamethylstyrene. It may be one or more.
  • the pigment may be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or toners well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pigmen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black, titanium dioxide and gold-based toner.
  • the plasticizer may be used a phthalate-based or non-phthalate-based plasticizer, and the kind is not limited.
  • the phthalate-based plasticizer is dibutyl phthalate (DBP), dioctyl phthalate (D0P), diisononyl phthalate (DINP, Di-i sononyl phthalate), diisodecyl phthalate (DIDP) Butyl benzyl phthalate (BBP),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se may be used.
  • the non-phthalate plasticizer is dioctyl terephthalate (DOT ?, Di-octyl Te lephthalate), dioctyl adipate (D0A, Di-octyl adipate), Trioctyl trimellitate (TOTM, .Tr i-octyl tr imel 1 i tate), acetyltributyl citrate (ATBC, Acetyl tr ibutyl ci trate) and 1,2-cyclohexane dicarboxylate diisononyl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sther (DINCH, 1, 2-Cyclohexane di carboxylic acid di isononyl ester).
  • Esther DINCH, 1, 2-Cyclohexane di carboxylic acid di isononyl ester.
  • the processed product may include a hard product including a window, a pipe, a siding, or a release extrudates; Or rigid products including calendar windows for yarn, film and sheets, pipes, siding, or release extrudates; Or soft products, including calendars or decor sheets for live photos, films, and sheets; Flame retardant wire non-flammable wire, or a flexible compound including automotive moldings.
  • the PVC-based compound composition may be mainly used in extrusion profiles such as window frames, pipes, and siding.
  • the PVC-based compound composition may be used in soft blending compositions such as decorative sheets, printing papers, electric wires, and various automobile moldings, as well as in the field of hard extrusion extrusion.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excellent in compatibility and processability has the advantage of lowering the processing temperature and can reduce the amount of modifier used to improve the processability.
  • I can improve the impact properties. Therefore, the PVC compoun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in various processed products.
  • the PVC compound composition when producing a rigid product, is 1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internal plastic PVC copolymer, 0.1 to 1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VC resin It may include a stabilizer, 0 to 50 parts by weight of filler, 0 to 10 parts by weight of a layer reinforcing agent, 0 to 10 parts by weight of processing aid and 0 to 30 parts by weight of pigment.
  • the PVC compound composition is a PVC resin
  • 1 to 50 parts by weight of an internally plastic PVC copolymer 0.1 to 10 parts by weight stabilizer, 0 to 50 parts by weight filler, 0 to 10 parts by weight of a layer reinforcement agent, 0 to 10 parts by weight of processing aid, 0 It may comprise -30 parts by weight of pigment and 5 to 50 parts by weight of plasticizer. Or less, to present a preferred embodiment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amples are illustrative on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 the gelling time, maximum torque, and stabilization torque were measured using a Brabender mixer (Brabender Pl astomi ll) at 57 ° C. at 160 ° C. and 30 rpm. Tensile strength was measured based on KS M3006 standard.
  • the extrusion load test and the extrusion amount were measured at 170 ⁇ 200 ° C, 50rpm using a Brabender Extruder (19 ⁇ ).
  • Stabilizer Pb stabilizer, LDF-340, Leo Chemical
  • Plasticized vinyl chloride copolymer A vinyl chloride-butyl acrylate polymer in the core, a polyvinyl chloride structure in the shell, 40% by weight of butyl acrylate in the copolymer based on the total copolymer resin weight Phosphorus, using a vinyl chloride copolymer resin powder of the core-shell structure ha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able 2 and FIG.
  • Example 1 As shown in Table 1, in the window frame composition, in Example 1, when the internal plastic vinyl chloride copolymer was used for Comparative Example 1, the gelling time was shortened and the gelling load was shortened even though the processing aid was not used. This lowers the extrusion load on the extruder when extruding. This can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extruder screw under the same temperature conditions,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extrusion can bring the effect of increased production. In addition, even if the 50% reduction of the acrylic lamella reinforcement low-temperature fall impact comes out of the non-destructive level, the tensile strength is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or slightly increased.
  • Example 2 has a feature that when the vinyl chloride copolymer for Comparative Example 2 is used, the gelling time is reduced without the processing aid, the gelling load is lowered, and the extrusion load of the extruder is enjoyed, thereby increasing the yield.
  • Example 3 when the internal plastic vinyl chloride copolymer is used for Comparative Example 3, even when the acrylic impact modifier is reduced by 50%, the low silver impact is maintained, and at the same time, the gelling time is accelerated without using a processing aid. Can be.
  • Example 4 in the pipe composition the gelling time is slower than Comparative Example 4, but the maximum torque and stabilization torque value is reduced and the layer strength is increased.
  • Siding composition of Example 5 is the "" Comparative Example 5 compared to the inner plastic does not require the use of a processing aid when using the vinyl chloride-based copolymer production increasing effect by reduces the gelling time the maximum torque and the stabilizing torque is reduced at the same time Tensile and impact strength are maintained even if the acrylic and CPE impact modifiers are reduc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PVC 수지에 현탁중합으로 제조된 내부 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PVC 수지와의 상용성을 높여서 겔링 시간을 단축시키고, 압출 가공시 부하를 낮추어 동일 가공조건에서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한편, 부분적으로 충격 보강제 대체 효과를 보이는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기술분야】
본 발명은 창를 및 창문 를의 건축용 자재, 자동차 부품, 일반 및 수도관 파이프 등에 사용되는 폴리염화비닐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일반적으로 폴리염화비닐 (이하, PVC) 수지는 생활 및 산업용 소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범용 수지로서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 또는 다양한 단량체들과 공중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상업제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인 PVC 수지의 용도로는 필름, 파이프, 창를, 벽판, 마루재료, 옥외광고시트, 벽지, 커톤, 매트, 유아용 장난감등 경질 또는 연질 형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VC 수지를 가공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개질제의 경우 PVC 수지와의 상용성 또는 경시변화에 따론 이행성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성형성이 우수하고, 비용 (cost ) 경쟁력을 갖춘 폴리염화비닐계 컴파운드 조성물 개발이 요구되고 있지만, 저온충격성, 가소제 이행성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적용이 쉽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미국등록특허 제 6, 031, 047호에서는 아크릴 공중합체 고무계 코어 /셀 충격조절제와 PVC의 강화돤 내후성 흔합물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중합체와의 흔합물 제조시 다른 분말 또는 다른 출발 물질의 물리적 흔합물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 0964103 호에서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층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한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았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추가로 개질제를 첨가해야 한다는 점에서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고, 가공 부하가 상승하며 가소제 이행성에 대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한국등록특허 게 0915484호에서는 탄화수소 고무 및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내충격성 경질 PVC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앞서 밝혔듯이 추가 개질제 사용으로 인한 가격 경쟁력과 가소제 이행성에 대한 문제가 남아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 10-201으 0103008호에서는 현탁중합으로 제조된 PVC 코어에 유화중합으로 이루어진 코팅용 PVC 수지로 형성된 코어 /셀구조의 PVC 분말과 자기가소성을 가지는 PVC 공중합체가 흔합된 것을 포함하는 PVC 컴파운드 조성물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방법은 수지에 내열성 가소제의 투입으로 인한 가격경쟁력에 대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이외에도 내점착성 및 충격강도 개선을 위해 비닐아세테이트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염화비닐 그래프팅 공중합체와의 조성물도 개발되어 있으나, 모두 가공성 및 성형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PVC와는 전혀 성분이 다른 개질제를 사용함으로 인해, 주원료인 PVC와 상용성이 떨어지거나 가공부하를 높이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가소성이 있는 염화비닐계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PVC 수지와의 상용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가공성을 향상시키면서 생산량을 증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충격강도를 일정 부분 높일 수 있는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PVC수지; 안정제; 및 내부 가소성 PVC계 공중합체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코어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염화비닐 -알킬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가지고, 쉘에 폴리염화비닐 구조를 가지며, 전체 공중합체 수지 중량을 기준으로 공중합체 내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10 내지 50 중량 %인, 코어-쉘 구조의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단독 또는 흔합 사용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은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 Λ~10 중량부의 안정제 및 1~50 중량부의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코어인 염화비닐 -알킬아크릴레이트 중합체 85 내지 95 중량 % 및 쉘인 폴리염화비닐 5 내지 15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
또한, 상기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분말 상태로 평균입경 . 50 ~ 250 인 구형의 입자이며, 부피 비중이 0.3 내지 0.7 (g/cc)이며, A쇼어 경도가 80 내지 1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50 중량부의 필러, 0.1-10 중량부의 충격보강제, 0. 1~10 중량부의 가공조제, 0. 1~30 중량부의 안료, 및 1~30중량부의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가공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가공제품은 창를, 파이프, 사이딩, 또는 이형압출물을 포함하는 경질제품; 실사지, 필름 및 시트용 캘린더 또는 데코시트를 포함하는 연질제품; 난연 전선, 비난연 전선, 또는 자동차 몰딩을 포함하는 연질 콤파운드;일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은 특정 내부가소성 PVC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기존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가소제, 가공조제 등을 사용하지 않거나 그 양을 즐이면서 겔링 시간의 단축과 압출 부하 감소 및 가공특성을 유지 혹은 높임으로 인해 동일 가공 온도조건에서 생산량 증대와 에너지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용성이 우수하여 추가적인 개질제 사용이 적으며 이행성 또한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 층격보강 효과를 위해 사용하던 고가의 층격보강제를 일부 대체 적용함으로써 원가경쟁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실시예 6 내지 8 및 비교예 6의 층격강도 및 인장강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6 내지 8 및 비교예 6의 경도와 연신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
이하에서 본 발명올 상세하게 설명한다 .
종래의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이 가공성 및 성형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소제를 포함한 가공조제 등 개질제를 사용하고, 층격강도 보강을 위해 충격보강제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종래 방법은 비용이 상승하여 비경제적이고 또한 가공성과 성형성 문제가 여전히 내포되어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PVC 수지에 현탁증합으로 제조된 특정 공중합체 수지,바람직하게 내부가소성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가공조제 또는 층격보강제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기존 컴파운드 조성물 대비 부원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PVC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PVC의 겔링성을 향상시키고, 겔링 사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개질제나 충격보강제, 가소제 등의 사용 없이도 우수한 가공성과 성형성은 물론, 상용성과 비용 절감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PVC수지; 안정제; 및 내부 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코어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염화비닐-알킬아크릴레이트중합체를 가지고, 쉘에 폴리염화비닐 구조를 가지며, 전체 공중합체 수지 중량을 기준으로 공중합체 내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10 내지 50 중량 %인, 코어-쉘 구조의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단독 또는 흔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은 필러, 충격보강제, 가공조제, 안료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PVC수지, 안정제 및 내부가소성 PVC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에 층격보강제, 안정제, 필러 등이 흔합된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의 성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내부가소성 PVC 공증합체를 사용함으로써 겔링 시간 (gel l ing t ime ) 단축, 압출부하감소, 저온 압출 가공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일반적인 가공조제와 달리 겔링 시간이 단축되어도 압출 부하가 상승하지 않아 가공이 용이하고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가소성 PVC 공중합체는 겔링성이 우수하고 겔링시간이 단축됨으로써 기존보다 가공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압출부하가 감소되어 기존보다 압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특정 pVC계 공중합체 수지는 일부 충격강도 보강 효과와 가공 조제 특성을 띤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에 충격보강제 및 가공 조제를 추가로 사용하여 층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가소성 PVC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고가의 층격보강제와 가공조제를 대체할 수 있어 배합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우수한 가공성으로 생산성이 향상되어 완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신제품으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코어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염화비닐-알킬아크릴레이트중합체를 가지고, 쉘에 폴리염화비닐 구조를 가지며, 전체 공중합체 수지 중량을 기준으로 공중합체 내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10 내지 50 중량 %인, 코어-쉘 구조의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제조된 입자의 형태가 내부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염화비닐-알킬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를 코어로 하고 그 주위를 폴리염화비닐입자가 쉘 구조로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포함한다.
n 또한, 상기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코어인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염화비닐 -알킬아크릴레이트중합체 85 내지 95 중량 % 및 쉘인 폴리염화비닐 5 내지 15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분말 상태로 평균입경 50 ~ 250/zm인 구형의 입자이며, 부피 비중이 0.3 내지 0.7 (g/cc )이며, A쇼어 경도가 8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각 단량체를 이용하여 현탁 중합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a) 염화비닐 단량체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해, 현탁제 0.09 내지 0.6 중량부 및 개시제 0.05 내지 0. 15 중량부를 흔합하고, 중합온도 40 내지 60°C에서 반웅을 개시하는 단계; 및 (b) 상기 염화비닐과 부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해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 5 내지 43 중량부를 3 내지 7 시간 동안 상기 ( a)단계의 중합 반응물에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분할 투입하고 중합온도 45°C 내지 70 °C에서 현탁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코어인 염화비닐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제공하기 위한 반응 개시 단계이며, 이러한 공중합을 위해 사용되는 초기 반응 흔합물은 염화비닐 단량체, 현탁제 및 개시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현탁제 및 개시제를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이 분야에 잘 알려진 첨가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소포거 1, 완충제 , 안정제 등을 사용 가능하다.
상기 (b)단계는 상기 개시 반응 이후,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연속 또는 비연속으로 일정량 분할 첨가함으로써, 코어인 염화비닐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구조가 완성되며, 동시에 코어 외부에 쉘 구조로 폴리염화비닐이 형성되는 단계이다ᅳ
이때, 상기 (b)단계에서 사용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장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인 염화비닐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염화비닐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염화비닐 -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현탁제는 검화도 60 내지 80%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셀를로오스계 및 이들의 흔합물 중에서 선택된 게 1 현탁제; 및 검화도 30 내지 50%의 폴리비닐알코을계, 20 내지 40%로 하이드록실화된 셀를로오스계 및 이들의 흔합물 중에서 선택된 게 2 현탁제;의 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탁제는 검화도 50 내지 80%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셀를로오스계 및 이들의 흔합물 중에서 선택된 게 1 현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퍼옥사이드 계열 중합개시제 및 아조계 계열 중합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2종 이상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시제는 저은 및 고온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은 PVC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특정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 1 내지 50 중량부와 일정량의 부원료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상기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하고, 흑은 2 내지 40 증량부, 혹은 3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가소성 PVC 공중합체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공성과 물성 개선의 효과가. 매우 적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연질화 특성이 진행되어 원래 제품의 고유 물성이 변경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안정제는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 사용한다. 상기 안정제는 칼슘, 아연, 주석, 마그네슴, 나트륨 및 칼륨과 같은 금속의 무기염 및 유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안정제의 바람직한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 칼륨,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주석 및 상기 금속염들의 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은 필러, 충격보강제, 가공조제, 안료,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한정되지 않고 , 이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에 사용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은 가공조제 및 가소제의 사용량을 기존보다 더 적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50 중량부의 필러, 0. 1-10 중량부의 층격보강제, 0. 1~10 중량부의 가공조제, 0. 1~30 중량부의 안료, 및 1~30중량부의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이때,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상기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에 필러, 충격보강제, 가공조제 및 안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경우 이러한 조성물은 경질 제품의 가공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에 필러, 충격보강제, 가공조제, 안료 및 가소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경우에는, 이러한 조성물은 연질 제품의 가공에 사용 가능하다.
상기 필러는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 층전제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무기 충전제의 예를 들면, 카올린 활석,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클레이, 실리카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필러는 0. 1마이크로미터 내지 10마이크로미터의 평균입경을 갖는 분말을 사용함이 바람작하다.
상기 층격보강제는 아크릴계, MBS(Methyl Methacrylate- But adi ene Styrene)계 및 CPE (Chlor inated Polyethyl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공조제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타이렌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나이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 공증합체 및 폴리알파메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이 분야에 잘 알려진 유기 및 무기 안료나 토너 등을 사용 가능하고, 예를 들어 상기 안료는 카본블랙, 티타늄다이옥사이드 및 금석계 토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프탈레이트계 또는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등을 사용 가능하고, 그 종류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디부틸프탈레이트 (DBP) , 디옥틸 프탈레이트 (D0P) ,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DINP, Di -i sononyl phthalate) ,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DIDP, Di- i sodecyl phthal ate) ,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 (BBP, Butyl benzyl phthal ate)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선택된 1총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다이옥틸텔레프탈레이트 (DOT?, Di-octyl Te lephthalate) , 다이옥틸아디페이트 (D0A , Di-octyl adipate) , 트리옥틸트리멜리테이트 (TOTM, . Tr i-octyl tr imel 1 i tate) ,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 (ATBC , Acetyl tr ibutyl ci trate) 및 1 , 2-사이크로헥산 디카복실릭에시드 디이소노닐 에스더 (DINCH , 1 , 2-Cyclohexane di carboxyl i c acid di i sononyl ester )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상술한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가공 제품이 제공된다.
상기 가공제품은 창를, 파이프, 사이딩, 또는 이형압출물을 포함하는 경질제품; 또는 실사지, 필름 및 시트용 캘린더 창를, 파이프, 사이딩, 또는 이형압출물을 포함하는 경질제품; 또는 실사지, 필름 및 시트용 캘린더 또는 데코시트를 포함하는 연질제품; 난연 전선 비난연 전선, 또는 자동차 몰딩을 포함하는 연질 콤파운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은 창틀, 파이프, 사이딩과 같은 압출 prof i l e에 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은 경잘 압출 prof i le 분야 뿐만 아니라 데코시트나 인쇄지, 전선 및 각종 자동차 몰딩과 같은 연질 배합 조성물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상용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여 가공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가공성 향상을 위한 개질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저은 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은 다양한 가공 제품에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가공 제품의 바람직한 일 례에 있어서, 경질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은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50 중량부의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 0. 1~10 중량부의 안정제, 0~50 중량부의 필러, 0~10 중량부의 층격보강제, 0~10 중량부의 가공조제 및 0~30 중량부의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질 쩨품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은 PVC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50 중량부의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 0. 1~10 중량부의 안정제, 0~50 중량부의 필러, 0~10 중량부의 층격보강제, 0~10 중량부의 가공조제, 0~30중량부의 안료 및 5~50중량부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각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창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부)
이후,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다음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겔링시간, 최대토크, 안정화토크는 브라벤더 믹서 (Brabender Pl astomi l l )를 사용하여 57g의 배합물을 160°C , 30rpm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인장강도는 KS M3006 규격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저온낙추시험은 KS F5602 규격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압출부하시험과 압출량은 브라벤더 단축 압출기 (Brabender Extruder , 19讓)를 사용하여 170~200°C , 50rpm조건에서 측정하였다.
,【표 1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PVC 100 100 100 100 100 100 안정제 6 5 5 6 5 5 안료 1.2 3 3 1.2 3 3 아크릴층격보강제 - - 2 4 3.6 4
CPE 6 4 3 6 2.4 3 가공조제 1 - - 2 X X 필러 15 10 10 12 10 10 내부가소성
염화비닐계 8 6 4 - ᅳ - 공중합체
겔링시간 (sec) 146 214 196 170 422 418 최대토크 (Nm) 37 32 41 45 37 45 안정화토크 (Nm) 36 35 39 41 38 43 인장강도 (kg/cuf) 453 388 421 456 378 407 저온낙추충격 비파괴 비파괴 비파괴 비파괴 비파괴 비파괴 압출 부하 (Amp.) 70 54 30 79 58 32 압출량 (m/min) 1.8 2.9 2.1 1.5 2.2 1.9 주)
*PVC: 염화비닐수지 (Polyvinylchloride, P-1000, 한화케미칼 (Mw: 100,000-120,000)
*안정제: Pb계 안정제, LDF-340, 레오케미칼
*안료: 지당 (Τιθ2, R-902, 듀폰)
*아크릴층격보강제: ΚΜ-334, 다우케미칼)
*CPE: Chlorinated Polyethylene, (CPE135A, 외이펑 (Weifang Chemical Co., Ltd.))
*가공조제: K-125 (다우케미칼)
*필러: 탄산칼슘 (음야 IT, 음야 (0MYA))
*내부가소성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코어에 염화비닐- 부틸아크릴레이트중합체를 가지고, 쉘에 폴리염화비닐 구조를 가지며, 전체 공중합체 수지 중량을 기준으로 공중합체 내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40 중량 %인 , 하기 표 2 및 도 1의 물성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분말 사용
【표 2】
Figure imgf000013_0001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 조성물에' 있어서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대해 내부가소성 염화비닐계 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가공조제를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겔링타임이 단축되고 겔링 부하가 낮아져 압출할 때 압출기에 걸리는 압출 부하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동일 온도 조건에서 압출기 screw의 회전속도 (rpm)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압출량이 늘어나 생산량 증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층격보강제를 50% 절감해도 저온 낙추 충격은 비파괴 수준으로 나오며 인장강도가 동등 수준으로 유지되거나 소폭 증가하는 특성이 있다.
실시예 2는 비교예 2에 대해 염화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했을 경우 가공조제 없이도 겔링타임이 빨라져 겔링부하가 낮아지고, 압출기의 압출 부하는 즐어들고 이로 인해 생산량 증대 효과를 가져오는 특징이 있다.
실시예 3은 비교예 3에 대해 내부가소성 염화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했을 경우 아크릴 충격보강제를 50% 절감해도 저은충격성은 유지되며 동시에 가공조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겔링타임을 빠르게 해주어 생산량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4 내지 5 및 비교예 4 내지 5]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각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파이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부)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겔링 시간 등의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4 비교예 5
PVC ' 100 100 100 100 안정제 5.6 4 5.6 4 필러 1.7 12.5 1.7 12.5 안료 3 3 3 3 아크릴 층격보강제 6.8 1 7.8 2
CPE - 2 2.2 3 가공조제 - - - 1 내부가소성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6 6 - - 겔링 시간 (sec) 140 140 104 272 최대토크 (Nm) 29 46 32 50 안정화토크 (Nm) 29 39 30 42 인장강도 (kg/ciif) 447 439 417 443 충격강도 (kg cm/cm) 44 20 39 21 주)
*PVC: 염화비닐수지 (Polyvinylchloride, P-1000, 한화케미칼 (Mw: 100,000-120,000)
*안정제: Pb계 안정제, SKP-300, 선경
*안료: 지당 (Ti02, R-902, 듀폰)
*아크릴층격보강제: KM-334, 다우케미칼)
*CPE: Chlorinated Polyethylene, (CPE135A, 외이펑 (Weifang Chemical Co. , Ltd.))
*가공조제: K-125 (다우케미칼)
*필러: 탄산칼슘 (음야 IT, 음야 (0MYA))
*내부가소성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실시예 1과 동일한 물질
상기 표 3의 결과를 보면, 파이프 조성물에 있어서 실시예 4는 비교예 4 대비 겔링타임은 늦어지지만 최대 토크와 안정화 토크 값이 줄어들고 층격강도가 증가하는 특징을 보인다.
사이딩 조성물 (siding composition)인 실시예 5는'' 비교예 5 대비 내부가소성 염화비닐계 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가공조제를 사용 하지 않아도 겔링타임이 줄어들며 최대 토크와 안정화 토크도 동시에 감소 함으로써 생산량 증대 효과를 꾀 할 수 있으며 아크릴과 CPE충격보강제를 줄여도 인장과 충격강도가 유지된다.
[실시예 6 내지 8 및 비교예 6]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각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연질인 데코시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부)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겔링 시간 등의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내부가소성 PVC 공중합체 사용에 따른 실시예 6 내지 8 및 비교예 6의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6 내지 8 및 비교예 6의 경도 및 연신율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imgf000016_0001
주)
*PVC: 염화비닐수지 (Polyvinylchloride, P-1000, 한화케미칼 (Mw:
100,000-120,000)
*안정제: Ba/Zn계 안정제, BZ-150T, 송원케미칼
*안료: 지당 (Ti02, R-902, 듀폰)
*아크릴층격보강제: KM-334, 다우케미칼
*필러 : 탄산칼슘 (음야 IT, 음야 (0MYA))
*가소제: D0P, 한화케미칼
*내부가소성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실시예 1과 동일한 물질
상기 표 4와 도 1 내지 2의 결과에서 보면, 데코시트 조성물에 있어서 실시예 6~8은 내부가소성 염화비닐계 공중합체의 중량별 첨가량에 따라 비교예 6에 비해 겔링시간에서 급속도로 단축효과가 있으며, 또한 내부가소성 염화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에 따라 안정화 토크와 인장강도는 유지되고 층격강도는 증가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가소제와 내부 가소성 PVC 공중합체 함량에 따라 경도가 유지되었다.

Claims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
PVC수지 ; 안정제; 및 내부 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코어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염화비닐-알킬아크릴레이트중합체를 가지고, 쉘에 폴리염화비닐 구조를 가지며, 전체 공중합체 수지 중량을 기준으로 공중합체 내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10 내지 50 증량 %인, 코어一쉘 구조의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단독 또는 흔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청구항 2】
거 U항에 있어서, PVC수자 100 중량부에 대해, 0. 1 10 중량부의 안정제 및 1~50 중량부의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청구항 3】
거 U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코어인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염화비닐 -알킬아크릴레이트중합체 85 내지 95 중량 % 및 쉘인 폴리염화비닐 5 내지 15 중량 %를 포함하는,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청구항 4】
거 U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가소성 PVC계 공중합체는 분말 상태로 평균입경 50 ~ 250 인 구형의 입자이며, 부피 비중이 0.3 내지 0.7 (g/cc )이며, A쇼어 경도가 80 내지 100인,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50 중량부의 필러, 0. 1~10 중량부의 층격보강제, 0. 1~10 중량부의 가공조제, 0. 1~30 중량부의 안료, 및 1~30중량부의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청구항 6】
거 U항에 있어서, 상기 PVC수지는 중합도 700-1700의 수지를 단독 또는 흔합 사용하는,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청구항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카을린, 활석, 탄산칼슴, 수산화알루미늄, 클레이, 실리카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청구항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아크릴계, MBS(Methyl Methacrylate- Butadi ene Styrene)계 및 CPE (Chlor inated Polyethyl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청구항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가공 제품.
【청구항 10]
제 9항에 있어서,
창틀, 파이프, 사이딩, 또는 이형압출물을 포함하는 경질제품; 또는 실사지, 필름 및 시트용 캘린더 또는 데코시트를 포함하는 연질제품; 난연 전선, 비난연 전선, 또는 자동차 몰딩을 포함하는 연질 콤파운드;인 가공제품.
PCT/KR2014/011373 2013-12-09 2014-11-25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WO2015088164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33,690 US10208197B2 (en) 2013-12-09 2014-11-25 PVC-based compound composition
CN201480064219.6A CN105764979B (zh) 2013-12-09 2014-11-25 基于pvc的复合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473A KR101535943B1 (ko) 2013-12-09 2013-12-09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KR10-2013-0152473 2013-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8164A1 true WO2015088164A1 (ko) 2015-06-18

Family

ID=5337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373 WO2015088164A1 (ko) 2013-12-09 2014-11-25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08197B2 (ko)
KR (1) KR101535943B1 (ko)
CN (1) CN105764979B (ko)
WO (1) WO20150881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952B1 (ko) * 2015-09-15 2017-04-13 장동원 상하수도용 합성수지 파이프의 수지 조성물
WO2018003805A1 (ja) * 2016-06-29 2018-01-04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電線被覆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
CN106832664A (zh) * 2017-01-10 2017-06-13 陕西理工学院 塑钢型材配方
KR101811827B1 (ko) * 2017-06-26 2017-12-22 우근수 난연성 전기용품 사출 성형용 경질 플라스틱 수지 및 그 제조방법
CN107177141B (zh) * 2017-07-21 2020-06-09 云南正邦科技有限公司 一种丙烯-氯乙烯共聚乳液表面改性聚氯乙烯树脂的方法
CN107266821B (zh) * 2017-07-21 2020-07-10 云南正邦科技有限公司 一种丙烯酸基乳液共聚物表面改性的聚氯乙烯树脂及其表面改性方法
KR20190115275A (ko) * 2018-04-02 2019-10-11 (주)한빛상사 내이행성이 개선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지 성형품
KR20230097905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케이씨씨 염화비닐 수지의 가공 조제용 글리시딜기 함유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CN114656730A (zh) * 2022-03-25 2022-06-24 江苏聚力智能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地坎非金属复合材料及电梯地坎制备方法
CN115044152A (zh) * 2022-06-21 2022-09-13 云南正邦科技有限公司 一种内增塑电线电缆用软质聚氯乙烯塑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5070A (en) * 1975-04-30 1981-01-13 Rhone-Poulenc Industries Method of polymerizing vinyl chloride in seeded microsuspension
KR19980064773A (ko) * 1996-12-30 1998-10-07 에들러마크에스. 저온 용융성이 개선된 충격-조절된 폴리(염화비닐)
KR101236659B1 (ko) * 2009-03-23 2013-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09569A1 (fr) * 1975-04-30 1976-11-26 Rhone Poulenc Ind Procede de polymerisation du chlorure de vinyle en microsuspension ensemencee
US5194498A (en) * 1991-09-09 1993-03-16 Rohm And Haas Company Poly(vinyl chloride) blends and additives therefor
CN1177604A (zh) 1996-05-31 1998-04-01 埃勒夫阿托化学有限公司 以特定结构的氯乙烯共聚物为主要组分的乳胶,它们的制备方法及其应用
EP0810240A1 (fr) 1996-05-31 1997-12-03 Elf Atochem S.A. Latex à base de copolymères du chlorure de vinyle de structure particulière,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et ses applications
CN1186822A (zh) 1996-12-30 1998-07-08 罗姆和哈斯公司 具有改进的低温熔融性的冲击改性的聚氯乙烯
US6031047A (en) 1996-12-30 2000-02-29 Rohm And Haas Company Impact-modified poly(vinyl chloride) exhibiting improved low-temperature fusion
US6316107B1 (en) * 1999-04-07 2001-11-13 Pmd Group Inc. Multiple phase polymeric vinyl chloride systems and related core-shell particles
US6706815B2 (en) 2001-09-06 2004-03-16 Dupont Dow Elastomers L.L.C. Impact resistant rigid PVC compositions using hydrocarbon rubbers and chlorinated polyethylene as impact modifiers
KR100544904B1 (ko) * 2002-12-24 2006-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구조를 갖는 충격보강제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KR101056931B1 (ko) 2006-09-22 2011-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의 가공조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0964103B1 (ko) 2006-12-27 2010-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1677568B1 (ko) 2009-03-12 2016-11-18 (주)엘지하우시스 Pvc 컴파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8420736B2 (en) * 2009-06-25 2013-04-16 Kaneka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thereof
KR101342073B1 (ko) * 2012-09-21 2013-12-16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5070A (en) * 1975-04-30 1981-01-13 Rhone-Poulenc Industries Method of polymerizing vinyl chloride in seeded microsuspension
KR19980064773A (ko) * 1996-12-30 1998-10-07 에들러마크에스. 저온 용융성이 개선된 충격-조절된 폴리(염화비닐)
KR101236659B1 (ko) * 2009-03-23 2013-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72804A1 (en) 2016-09-22
KR20150066877A (ko) 2015-06-17
KR101535943B1 (ko) 2015-07-10
US10208197B2 (en) 2019-02-19
CN105764979A (zh) 2016-07-13
CN105764979B (zh) 2018-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88164A1 (ko)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KR101367492B1 (ko) Pvc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
KR20090029539A (ko)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저광택시트 및 복합물
EP2016123A1 (en) Rigid polyvinyl chloride 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impact properties
EP3209709B1 (en) Polymer blend comprising polyvinyl chloride and a flexible acrylic polymer, and films, sheets and pipes made therefrom
KR100521005B1 (ko)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폴리염화비닐수지 조성물
KR10057043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5318546B2 (ja) フッ素系樹脂積層艶消し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71560B1 (ko) 폴리염화비닐계 발포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폴리염화비닐계 발포체
US20220403155A1 (en) Functionalized process aid blends for cellular pvc
JP4462738B2 (ja)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2008063423A (ja)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3949538B2 (ja) 塩化ビニル樹脂押出成形体
JP4446319B2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CN111171474A (zh) 一种耐极性有机溶剂改性pvc弹性功能薄膜及制备方法
JP2009144090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101743794B1 (ko) 금속 파이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출품의 제조방법
CN112693141B (zh) 利用聚乙烯接枝共聚物制备高性能地板膜的工艺
JP2001064469A (ja)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フィルムおよびその積層体
CN105885284A (zh) 一种upvc型材共挤用pvc复合胶条及其制备方法
WO2015122401A1 (ja) 雨樋
JP2018059004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窓枠用押出成形品
JP2001207003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屋外建材
JP2001270052A (ja) 共押出成形品及びウインドウモール
KR101737169B1 (ko)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688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033690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688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