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93758A1 - 템플레이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템플레이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93758A1
WO2012093758A1 PCT/KR2011/004063 KR2011004063W WO2012093758A1 WO 2012093758 A1 WO2012093758 A1 WO 2012093758A1 KR 2011004063 W KR2011004063 W KR 2011004063W WO 2012093758 A1 WO2012093758 A1 WO 20120937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itride layer
nitride
layer
voids
gr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40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충석
장성환
정호일
박치권
박건
Original Assignee
(주)세미머티리얼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미머티리얼즈 filed Critical (주)세미머티리얼즈
Publication of WO20120937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937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stress relaxation structure, e.g. buffer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55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458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2Crystalline insul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94Structure
    • H01L21/02496Layer structure
    • H01L21/02502Layer structure consisting of two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94Structure
    • H01L21/02513Micro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Reduction or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e.g.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62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 H01L33/0066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 H01L33/007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comprising nitride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25Physical imperfections, e.g. particular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2Roughened surfaces, e.g. at the interface between epitaxial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17/00Single-crystal, oriented-crystal, and epitaxy growth processes; non-coating apparatus therefor
    • Y10T117/10Apparat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manufacturing a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template.
  • the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Since the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long life, low power consumption, excellent initial driving characteristics, and high vibration resistance, the demand is continuously increasing.
  • a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itride layers including an n-type nitride layer, an active layer, and a p-type nitride layer grown on a substrate.
  • the n-type nitride layer and the p-type nitride layer provide electrons and holes as active layers, respectively, and light emission occurs as they recombine in the active layer.
  • a mask having a pattern made of SiO 2 or the like is formed on a template on which an undoped nitride layer is deposited, and a nitride layer is grown from an opening of the mask to induce lateral growth over the mask.
  • a growth technique such as an epitaxial lateral overgrowth (ELO) method is proposed.
  • ELO epitaxial lateral overgrowth
  • a growth technique involves a SiO 2 film deposition process by a CVD method, a resist coating process, a photolithography process, an etching process and a cleaning process, and thus,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takes a long tim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late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reducing stress caused by a lattice constant difference of a substrate and eliminating dislocations by providing a nitride buffer layer having a porous structure, and manufacturing a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To provide a metho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row a first nitride layer on a substrate, supplying a chloride-based etching gas to etch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nitride layer, the second nitride to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nitride layer Growing a layer to form a plurality of first voids, supplying the etching gas to etch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nitride layer, and growing a third nitride layer onto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nitride layer It can be achieved by a templat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second voi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o grow a nitride buffer layer having a plurality of voids by repeating a nitride layer growth process and an etching process two or more times on a growth substrate, an n-type nitride layer and an active layer above the nitride buffer layer. And growing a p-type nitride layer to form a nitride multilayer having a plurality of voids formed therein, installing a conductive substrate over the nitride multilayer, and forming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oids as a cut surface. It can also be achieved b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rtical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removing the step, and processing the cut surface to form an electrode pad.
  • the lattice stress is alleviated by a plurality of voids formed in the undoped nitride layer, and the dislocation defects ar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nitride layer further grown on the template.
  • the workabilit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improved, and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improved.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tem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steps of manufacturing the template of FIG.
  •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steps of manufacturing the template of FIG. 2;
  • FIG. 4 is a SEM photograp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nitride layer subjected to the first etching process in FIG.
  • Figure 5 is a SEM photograp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template of Figure 1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horizontal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ed using the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vertical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template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mplate 10 includes a substrate 100 and a nitride buffer layer 200 grown on the substrate 100.
  •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has a porous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voids 213 and 223 are formed, and another nitride layer may be stacked and grown on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 the substrate 100 forms a base surface on which nitride layer growth starts, and is made of a material suitable for lattice growth of the nitride layer.
  • a sapphire (Al 2 O 3 ) substrate having stable properties at high temperature and forming a hexagonal lattice structure is used.
  • a substrate made of materials such as spinel (MgAlO 4), silicon carbide (SiC), silicon (Si), zinc oxide (ZnO), gallium arsenide (AsGa), and gallium nitride (GaN) may be used.
  •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apphire substrate 100.
  •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is formed by using a gallium nitride (GaN: gallium nitride) layer having a hexagonal lattice structure like the sapphire substrate 100, and the nitride buffer layer is used by using other group III nitride layers.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200.
  • GaN gallium nitride
  •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form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nitride layers made of GaN material is stacked.
  •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surface is etched while one nitride layer is grown, and another nitride layer is grown. Accordingly,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has a plurality of voids 213 and 223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boundary surface of each nitride layer.
  •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includes a first nitride layer 210, a second nitride layer 220, and a third nitride layer 230.
  • a plurality of first voids 213 are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nitride layer 210 and the second nitride layer 220, and the second nitride layer 220 and the third nitride layer 230 are formed.
  • a plurality of second voids 223 are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boundary surface of the second voids 223.
  • the second gap 223 may be formed above the first gap 213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voids are arranged in a two-layer structure.
  • the first voids 213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large-scale void structure.
  • 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steps of manufacturing the template of FIG. 1, and 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steps of manufacturing the template of FIG. 2.
  • a method of growing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the first nitride layer 210 is grown on the sapphire substrate 100 to a thickness of 0.2 ⁇ m to 10 ⁇ m (S10).
  • the process can be carried out in a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device, a hydride vapor phase epitaxy (HVPE) device, or a molecular beam epitaxy (MBE) device.
  • MO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HVPE hydride vapor phase epitaxy
  • MBE molecular beam epitaxy
  • the MOCVD device is used for good growth of the nitride layer lattice. .
  • the sapphire substrate 100 is placed inside the MOCVD apparatus, and trimethyl gallium (TMGa) and ammonia (NH3) are supplied together with a hydrogen (H2) carrier gas to form an undopped-GaN (u-GaN) material.
  • TMGa trimethyl gallium
  • NH3 ammonia
  • H2 hydrogen
  • 1 nitride layer 210 is grown.
  • a 20-nm u-GaN layer is grown at a low temperature of 500-700 ° C. for about 10 to 30 minutes to form a buffer, and t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to 1000-1200 ° C., additionally 2 ⁇ m thick.
  • the GaN layer is grown to form the first nitride layer 210.
  • the substrate 100 is moved from the MOCVD apparatus to the HVPE apparatus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VPE apparatus is raised to 800 ° C. or higher.
  • the chloride-based gas and the ammonia (NH 3) gas are supplied to perform the first etching process (S20).
  • hydrogen chloride (HCl) is used as an example of chloride-based gas.
  • HCl hydrogen chloride
  • NH3 ammonia
  • HCl hydrogen chloride
  • NH3 ammonia
  • FIG. 4 illustrates a SEM photograph of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nitride layer after the first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for 15 minutes under the aforementioned process conditions.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nitride layer 210 has a plurality of first valley structures recessed downward in a location where many etching is performed. 212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first nanostructures 211 having a columnar shap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etching is not much progressed.
  • the size and pattern of the nanostructure and valley structure formed during the etching process may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mixing ratio, the supply amount and the time of the etching process of the hydrogen chloride (HCl) gas and ammonia (NH3) gas, such an etching process Can run for 5-30 minutes.
  • HCl hydrogen chloride
  • NH3 ammonia
  • the second nitride layer 21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nitride layer 210.
  • the nitride layer 220 is grown (S30).
  • the growth of the second nitride layer 220 may be performed using a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device, a hydride vapor phase epitaxy (HVPE) device, or a molecular beam epitaxy (MBE) device.
  • the second nitride layer 220 is grown using the HVPE device.
  • the process of growing the second nitride layer 220 may be performed in-situ in an HVPE apparatus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primary etching process and the secondary etching process described later to simplify the process.
  •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OCVD apparatus is raised to 1000 to 1300 ° C., and gallium chloride (GaCl) gas and ammonia (NH 3) are supplied to the process space.
  • the gallium chloride (GaCl) gas may be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hydrogen chloride (HCl) gas and gallium by passing the hydrogen chloride (HCl) gas to the gallium boat (gallium boat) containing the gallium source (gallium boat). .
  • the gallium chloride (GaCl) gas and the ammonia (NH 3) gas react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nitride layer 210 to form a second nitride layer 220 made of GaN.
  • the second nitride layer 220 grows while forming a roof structure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nanostructure 211, and the first valley structure 212 and A plurality of first voids 213 are formed together with the first nanostructure 211.
  • the secondary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nitride layer 220 (S40).
  • the secondary etching process is carried out in-situ method in the HVPE apparatus, and the chloride-based gas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800 ° C. or higher like the primary etching process). Hydrogen chloride) and ammonia (NH3) gas.
  • the anisotropic etching proceeds to a depth shall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nitride layer forming a loop above the first gap.
  • the second valley structure 222 and the second nanostructure 221 may be formed on the upper layer of the first gap 213.
  • the first nitride 220 formed as the second nitride layer 220 is formed as the loop is etched above the first cavity 213. This opens upwards. Therefore, in this position, the second valley structure 222 formed during the secondary etching process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wide width and depth while including the region of the existing first gap 213.
  • the secondary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gap 213 is formed, different structures may be formed depending on how much the etching is perfo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structures having various shapes by controlling the growth thickness of the second nitride layer 220, the progress time of the secondary etching process, or the flow rate of the etching gas during the secondary etching process.
  • the cooling step is a natural cooling method in the HVPE apparatus, and this process can stabilize the nitride layer grown on the substrate.
  • This cooling step can be carried out for 15 to 60 minutes, in this embodiment is a natural cooling for 30 minutes.
  • the substrate 100 is then moved from the HVPE device to the MOCVD device to grow the third nitride layer 230.
  • the third nitride layer 230 forms an upper structure of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a good lattice MOCVD apparatus is used to induce growth.
  • the substrate 100 is loaded into the MOCVD apparatus, and the heater is driven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 space in order to create a growth environment of the third nitride layer 230.
  • Ammonia (NH 3) gas can be supplied continuously while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 space is raised.
  • NH 3) gas By supplying the ammonia (NH 3) gas as described above, cracks may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first nitride layer 210 and the second nitride layer 220 that are grown during the temperature increase, and the substrate 100 may be prevented.
  • an oxide layer which may be formed on the second nitride layer 220 may be removed.
  • TMGa trimethyl gallium
  • NH 3 ammonia
  • the third nitride layer 230 is grown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nanostructure 221 in a state where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MOCVD apparatus is formed at a high temperature of 1150 to 1250 ° C. and a low pressure environment of 200 mb or less.
  • the GaN layer is grown by 1 to 5 ⁇ m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controlling the process environment at a temperature of 1000 to 1200 ° C. and a pressure of 300 mb or more, thereby forming an upper layer structure of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 the third nitride layer 230 forms a plurality of second voids 223 together with the second nanostructure 221 and the second valley structure 222 by the present process.
  • the second voids 223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the second valley structure 222 generated in the secondary etching process.
  • the second gap 223 is formed above the first gap 213. That is, the first gap 213 is formed adjacent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nitride layer 210 and the second nitride layer 220, and the second gap 223 is formed of the second nitride layer 220 and the third nitride. By being formed adjacent to the interface of the layer 230, a void structure arranged in two layers is formed.
  • the second void 223 is the region of the existing first void 213. It is formed to combine.
  • the second voids 223 formed in this manner are formed on a larger scale than the remaining unoccluded first voids 213.
  • FIG. 5 is a SEM photograph of a cross section of the nitride buffer layer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FIG. 2. As shown in FIG. 5, in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itride layer growth process and the nitride layer 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to form various pore structures 213 and 223 therein. have.
  • This pore structure can alleviate stres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lattice constant and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between the nitride layer and the sapphire substrate.
  • dislocations generated in the nitride layer adjacent to the substrate 100 may be eliminated by the pore structure, thereby preventing the nitride layer from progressing upward.
  •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voids are arranged in a stacked configuration even if some of the potentials pass through the lower void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tentials can be blocked by double the upper voids to solve it.
  • the dislocation density of the nitride complete layer grow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nitride buffer layer was 2 to 4 ⁇ m, the dislocation density of 10 6 / cm 2 or less was measured. Is reduced to less than 1%.
  • the templa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itride buffer layer 200 in which stress is relaxed and dislocation density is reduced, so that the nitride lay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good crystal quality is gro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 a nitride buffer layer 200 in which stress is relaxed and dislocation density is reduced, so that the nitride lay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good crystal quality is gro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 the tem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grow the nitride lay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above the nitride buffer layer as described above, and FIG. 6 shows a cross section of a horizontal nitride semiconductor manufactured in this manner.
  • an n-type nitride layer 310, an active layer 320, and a p-type nitride layer 330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template 10. Structure. Therefore, after the third nitride layer 230 of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is grown in the MOCVD apparatus, the nitride lay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grown in a continuous process.
  • n-type nitride layer 310, active layer 320 and p-type nitride layer 330 are sequentially grown while controlling the process gas.
  • the n-type nitride layer may be grown as the third nitride layer 230, and the active layer and the p-type nitride layer may be additionally grown on the n-type nitride layer.
  • a plurality of voids are formed in the nitride layer adjacent to the substrate 100, thereby reducing the stress and dislocation density of the nitride layer, thereby improving internal quantum efficiency and polarization.
  • the phenomenon can be improved.
  • these voids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than adjacent nitride layers. Therefore, the light traveling toward the substrate is scattered or refracted whil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pores, and thus the path is switched, thereby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 Figure 7 schematically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rtical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 the nitride buffer layer 200 having a porous structure is grown by repeating the nitride layer growth process and the etching process on the nitride layer growth substrate 100 as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emplate described above.
  • the n-type nitride layer 410, the active layer 420, and the p-type nitride layer 430 are sequentially grown directly on the nanostructure formed by the etching process.
  • the nitride buffer layer can grow an n-type nitride layer as a tertiary nitride layer. In this case, a plurality of voids are arrang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ndoped nitride layer and the n-type nitride layer (see FIG. 7A).
  •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440 is formed on the p-type nitride layer and then the conductive substrate 450 is attached.
  • the conductive substrate 4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to form a p-side electrode.
  • the growth substrate 100 is removed from the nitride layer (see FIG. 7B).
  • the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pores 213 and 223 of the nitride layer grown on the growth substrate 100 is formed is relatively weak compared to the nitride layer in other positions because the nitride layer is present in the form of a nano structure. Has a structur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wth substrate 100 can be easily separated by using the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voids 213 and 223 are formed as a removal surface.
  • separation of the growth substrate may be easier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removing surface becomes more fragile.
  • a laser lift off (LLO) laser beam may be used to remove the substrate by irradiating a laser to the nitride layer adjacent to the growth substrate 100.
  • LLO laser lift off
  • the nitride layer has a rigid lattice structure, the nitride layer is severely damaged during laser irradiation, and thus the yield is poor.
  • a plurality of pores 213 and 223 are relatively poor. Irradiation of the laser to a location having a weak structure can minimize damage to the nitride layer.
  • the growth substrate may be separate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nitride layer and the growth substrate 100.
  • the growth substrate and the nitride layer made of sapphire material have a large difference in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so when the cooling proceeds from the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in which the nitride layer is grown on the growth substrate, a large stress is generated in the nitride layer due to thermal deformation. .
  • the cooling of the growth substrate occurred, cracks occurred along a portion where a plurality of voids are formed, and the growth substrate can be separated by providing a small amount of energy to this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separates the growth substrate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pores are formed.
  • a change in stress applied to the nitride layer when the growth substrate is separated is relatively small, a freestanding layer having a good quality can be form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 the step of processing the removal surface to expose the n-type nitride layer 410 is performed.
  • the removal surface was processed, there was a difficulty in carrying out this step while determining whether the n-type nitride layer 410 was exposed,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oped nitride layer 120 and the n-type nitride layer ( Since the removal surface is formed at the boundary of 410, this step may be more easily performed.
  •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ontributes to forming a nitride layer of good quality, but also can provide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workability and excellent light emitting efficiency and durability in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ed Device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템플레이트를 이용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기판상에 제1 질화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클로라이드 계열의 식각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질화물층의 상면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 질화물층의 상면으로 제2 질화물층을 성장시켜 다수개의 제1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2 질화물층의 상면을 식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질화물층의 상면으로 제3 질화물층을 성장시켜 다수개의 제2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템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템플레이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긴 수명, 낮은 전력 소모, 우수한 초기 구동 특성 및 높은 진동 저항 등 다양한 장점을 갖기 때문에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기판상에 성장되는 n형 질화물층, 활성층, p형 질화물층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질화물층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n형 질화물층과 p형 질화물층은 각각 전자와 정공을 활성층으로 제공하며, 이들이 활성층에서 재결합되면서 발광이 일어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파이어(Al2O3)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기판은 질화물층과 격자상수가 다르기 때문에, 기판상에 질화물층을 직접 성장시키게 되면 격자 왜곡이 심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판 상에 언도핑 질화물층이 증착된 템플레이트를 이용함으로써 질화물층 성장시 격자 왜곡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할 경우에도 109 내지 1010 /㎠의 전위밀도가 나타나는 바, 질화물층의 결정 품질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 이러한 전위밀도를 저감시키는 방법으로서 언도핑 질화물층이 증착된 템플레이트 상에 SiO2 등으로 패턴을 구비하는 마스크를 형성하고, 마스크의 개구된 부분으로부터 질화물층을 성장시켜 마스크 위로 측면 성장을 유도하는 ELO(epitaxial lateral overgrowth) 방식 등의 성장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기술은 CVD법 등에 의한 SiO2막 증착 공정, 레지스트의 도포공정,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에칭 및 세정 공정 등을 수반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공성 구조의 질화물 완충층을 구비하여 기판의 격자 상수 차이로 발생되는 응력을 저감하고 전위를 해소할 수 있는 템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상에 제1 질화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클로라이드 계열의 식각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질화물층의 상면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 질화물층의 상면으로 제2 질화물층을 성장시켜 다수개의 제1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2 질화물층의 상면을 식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질화물층의 상면으로 제3 질화물층을 성장시켜 다수개의 제2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템플레이트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성장 기판 상에 질화물층 성장 공정 및 식각 공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다수개의 공극이 구비된 질화물 버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질화물 버퍼층 상측으로 n형 질화물층, 활성층 및 p형 질화물층을 성장시켜 내부에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질화물 다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질화물 다중층 상측으로 도전성 기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부분을 절단면으로 하여 상기 성장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절단면을 가공하여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언도핑 질화물층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공극에 의해 격자간 응력이 완화되고, 전위 결함이 감소하여 템플레이트 상에 추가적으로 성장되는 질화물층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경우, 제조 공정의 작업성이 개선되고, 발광 소자의 발광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템플레이트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템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도 2의 템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계도,
도 4는 도 3에서 1차 식각 공정을 진행한 제1 질화물층의 상면을 SEM 촬영한 사진,
도 5는 도 1의 템플레이트의 단면을 SEM 촬영한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평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의 제조에 이용되는 템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질화물 성장에 이용되는 다양한 템플레이트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앞서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템플레이트(1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따른 템플레이트(10)는 기판(100) 및 기판(100) 상에 성장되는 질화물 완충층(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질화물 완충층(200)은 다수개의 공극(213, 223)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로 구성되며, 질화물 완충층(200) 상측으로 다른 질화물층이 적층 성장될 수 있다.
기판(100)은 질화물층 성장이 시작되는 기초면을 형성하며, 질화물층의 격자 성장에 적합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온에서 안정한 특성을 갖고 육방 정계 격자 구조를 이루는 사파이어(Al2O3) 기판을 이용한다. 다만, 이 이외에도 스피넬(MgAlO4), 실리콘 카바이드(SiC), 실리콘(Si), 산화아연(ZnO), 비화갈륨(AsGa), 질화갈륨(GaN) 등의 재질로 구성된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파이어 기판(100) 상면에는 질화물 완충층(20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파이어 기판(100)과 같이 육방정계 격자 구조를 갖는 질화갈륨(GaN : gallium nitride)층을 이용하여 질화물 완충층(200)을 구성하며, 이 이외의 Ⅲ족 질화물층을 이용하여 질화물 완충층(200)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질화물 완충층(200)은 GaN 재질로 구성된 다수개의 질화물층이 적층된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질화물 완충층(200)은 어느 하나의 질화물층을 성장시킨 상태에서 상면을 식각하는 공정을 진행하고, 다른 질화물층을 성장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질화물 완충층(200)은 각각의 질화물층의 경계면과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공극(213,223)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질화물 완충층(200)은 제1 질화물층(210), 제2 질화물층(220) 및 제3 질화물층(2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질화물층(210)과 제2 질화물층(220)의 경계면과 인접한 부분에는 다수개의 제1 공극(213)이 형성되고, 제2 질화물층(220)과 제3 질화물층(230)의 경계면과 인접한 부분에서는 다수개의 제2 공극(223)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극(213)의 상측으로 제2 공극(223)이 형성되어 2층 구조로 다수개의 공극이 배열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위치에서는 제2 공극(223) 형성시 기존에 형성된 제1 공극(213)과 포합(抱合)하여 대규모의 공극 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템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템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질화물 완충층(200)을 성장시키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3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파이어 기판(100)상에 0.2~10㎛의 두께로 제1 질화물층(210)을 성장시킨다(S10). 본 공정은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장치, HVPE(hydride vapor phase epitaxy) 장치 또는 MBE(molecular beam epitaxy) 장치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질화물층 격자의 양호한 성장을 위해 MOCVD 장치를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MOCVD 장치 내부에 사파이어 기판(100)을 안착시키고, 수소(H2) 캐리어 가스와 함께 트리메틸 갈륨(TMGa) 및 암모니아(NH3)를 공급하여 u-GaN(undopped-GaN) 재질의 제1 질화물층(210)을 성장시킨다. 이때, 성장 공정 초기에는 500~700℃의 저온에서 10분 내지 30분 가량 20nm의 u-GaN층을 성장시켜 버퍼를 형성한 후, 온도를 1000~1200℃까지 상승시켜 대략 2㎛ 두께로 추가적으로 u-GaN층을 성장시켜 제1 질화물층(210)을 형성한다.
제1 질화물층(210)이 성장되면, 기판(100)을 MOCVD 장치로부터 HVPE 장치로 이동시키고, HVPE 장치의 내부 온도를 800℃ 이상으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클로라이드(chloride) 계열의 가스와 암모니아(NH3)가스를 공급하여 1차 식각 공정을 진행한다(S20). 본 실시예에서는 클로라이드(chloride) 계열 가스의 일 예로서 염화수소(HCl)를 이용한다. 여기서, 염화수소(HCl)만을 공급하거나, 암모니아(NH3) 가스만을 공급하는 경우에도 제1 질화물층(210)을 식각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나, 이 경우 식각이 진행되지 않는 부분의 질화물층 구조까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염화수소(HCl) 가스 및 암모니아(NH3) 가스를 각각 0~1000sccm 와 100~2000sccm의 범위에서 조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300sccm 및 1000sccm으로 공급하여 식각 공정을 진행한다.
도 4는 전술한 공정 조건 하에서 15분 동안 1차 식각 공정을 진행한 후, 제1 질화물층의 단면을 SEM으로 촬영한 모습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식각 공정을 통해 제1 질화물층(210)의 상면은 하향으로 이방성 식각이 진행됨에 따라 식각이 많이 이루어진 위치에서는 하측으로 움푹 패인 형상의 다수개의 제1 밸리 구조(212)가 형성되고, 식각이 많이 진행되지 않은 위치에서는 기둥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제1 나노 구조물(nano structure)(211)이 형성된다.
이때, 식각 공정시 형성되는 나노 구조물 및 밸리 구조의 크기 및 패턴은 염화수소(HCl) 가스 및 암모니아(NH3) 가스의 배합비, 공급량 및 식각 공정을 진행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식각 공정은 5~30분 동안 진행할 수 있다.
전술한 1차 식각 공정을 통해, 제1 질화물층(210) 상면에 다수개의 제1 나노 구조물(211) 및 제1 밸리 구조(212)가 형성되면, 제1 질화물층(210) 상측으로 제2 질화물층(220)을 성장시킨다(S30). 이때, 제2 질화물층(220)의 성장은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장치, HVPE(hydride vapor phase epitaxy) 장치 또는 MBE(molecular beam epitaxy) 장치 등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HVPE 장치를 이용하여 제2 질화물층(220)을 성장시킨다. 이 경우, 제2 질화물층(220) 성장 공정을 전술한 1차 식각 공정 및 후술할 2차 식각 공정과 함께 HVPE 장치에서 인시츄(in-situ) 방식으로 진행하여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1차 식각 공정이 종료되면 MOCVD 장치 내부 공간의 온도를 1000~1300℃로 상승시킨 후, 염화갈륨(GaCl) 가스와 암모니아(NH3)를 공정 공간으로 공급한다. 이때, 염화갈륨(GaCl) 가스는 염화수소(HCl) 가스를 갈륨(gallium) 소스가 수용된 갈륨 보트(gallium boat) 상측으로 통과시켜 염화수소(HCl) 가스와 갈륨(gallium)의 반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염화갈륨(GaCl) 가스와 암모니아(NH3) 가스가 제1 질화물층(210)의 상측에서 반응하여 GaN 재질의 제2 질화물층(220)을 형성한다. 이때,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질화물층(220)은 제1 나노 구조물(211)의 상측에 루프(roof) 구조를 형성하면서 성장이 진행되고, 제1 밸리 구조(212) 및 제1 나노 구조물(211)과 함께 다수개의 제1 공극(213)을 형성한다.
한편, 제2 질화물층(220)의 성장이 종료되면, 제2 질화물층(220) 상측으로 2차 식각 공정을 진행한다(S40). 전술한 바와 같이, 2차 식각 공정은 HVPE 장치에서 인시츄(in-situ)방식으로 진행되며, 1차 식각 공정과 마찬가지로 80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클로라이드 계열의 가스(본 실시예에서는 염화수소를 이용)와 암모니아(NH3) 가스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이방성 식각이 진행됨에 따라 제2 질화물층(220)의 상면으로 하측으로 움푹 패인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제2 밸리 구조(222)가 형성되고, 식각이 덜 진행된 부분에서는 다수개의 제2 나노 구조물(221)이 형성된다.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식각 공정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진행된 위치(C 영역 참조)에서는 이방성 식각이 제1 공극 상측에서 루프를 형성하는 제2 질화물층의 두께보다 얕은 깊이로 진행되어, 제2 밸리 구조(222) 및 제2 나노 구조물(221)이 제1 공극(213)의 상층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차 식각 공정이 상대적으로 많이 진행된 위치(B 영역 참조)에서는, 제1 공극(213) 상측에서 루프를 형성하던 제2 질화물층(220)이 식각됨에 따라 기 형성된 제1 공극(213)이 상향으로 개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위치에서는 2차 식각 공정시 형성되는 제2 밸리 구조(222)가 기존의 제1 공극(213)의 영역을 포함하면서 상대적으로 넓은 폭과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 식각 공정은 제1 공극(213)이 형성된 상태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식각이 얼마나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질화물층(220)의 성장 두께, 2차 식각 공정의 진행 시간 또는 2차 식각 공정시 식각 가스의 유량 등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2차 식각 공정이 완료되면, 기판(100)을 소정 시간 동안 냉각시키는 단계를 진행한다. 냉각 단계는 HVPE 장치에서 자연 냉각 방식으로 진행되며, 본 공정을 통해 기판상에 성장된 질화물층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냉각 단계는 15~60분 동안 진행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30분 동안 자연 냉각을 진행한다.
이후, 제3 질화물층(230)을 성장시키기 위해 기판(100)을 HVPE 장치로부터 MOCVD 장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MOCVD 장치 이외의 다른 장치에서 제3 질화물층(230)을 성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질화물층(230)이 질화물 완충층(200)의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바, 양호한 격자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MOCVD 장치를 이용한다.
우선, 기판(100)을 MOCVD 장치의 내부로 반입하고, 제3 질화물층(230)의 성장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히터를 구동하여 공정 공간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공정 공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암모니아(NH3)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처럼 암모니아(NH3)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온도 상승 중 기 성장된 제1 질화물층(210) 및 제2 질화물층(220)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판(100)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2 질화물층(220) 상에 형성될 수 있는 산화막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MOCVD 장치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면 수소(H2) 캐리어 가스와 함께 트리메틸 갈륨(TMGa) 및 암모니아(NH3)를 공급하여 GaN 재질의 제3 질화물층(230)을 성장시킨다.
여기서, 본 공정의 초반에는 제2 질화물층(220)의 제2 나노 구조물(221) 상측에서 수평 성장이 진행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GaN 성장 환경에 비해 저압 고온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우선 MOCVD 장치 내부 환경을 1150~1250℃의 고온과 200mb 이하의 저압 환경으로 조성한 상태에서, 제3 질화물층(230)을 제2 나노 구조물(221)의 상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성장시켜 루프 구조를 형성한다. 그리고, 공정 환경을 각각 1000~1200℃의 온도 및 300mb 이상의 압력으로 조절하여 GaN층을 수직 방향으로 1~5㎛ 정도 성장시킴으로써, 질화물 완충층(200)의 상층 구조를 형성한다.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공정에 의해 제3 질화물층(230)은 제2 나노 구조물(221) 및 제2 밸리 구조(222)와 함께 다수개의 제2 공극(223)을 형성한다. 이때, 2차 식각 공정에서 생성된 제2 밸리 구조(222)에 따라 제2 공극(223)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우선, 제2 밸리 구조가 제1 공극(213)의 상층부에 형성되는 위치(C 영역 참조)에서는 제2 공극(223)이 제1 공극(213)의 상측에 형성된다. 즉, 제1 공극(213)은 제1 질화물층(210)과 제2 질화물층(220)의 경계면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2 공극(223)은 제2 질화물층(220)과 제3 질화물층(230)의 경계면에 인접하여 형성됨으로써, 이층으로 배열된 공극 구조를 형성한다.
이에 비해, 제2 밸리 구조(222)가 기존의 제1 공극(213)이 형성되었던 공간까지 확장되는 위치(B 영역 참조)에서는 제2 공극(223)이 기존의 제1 공극(213)의 영역을 포합(抱合)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제2 공극(223)은 포합되지 않은 나머지 제1 공극(213)에 비해 큰 규모로 형성된다.
도 5는 도 2의 방법에 의해 제작된 질화물 완충층의 단면을 SEM 촬영한 모습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완충층(200)은 질화물층 성장 공정 및 질화물층 식각 공정을 복수회에 걸쳐 진행함으로써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공극 구조(213, 22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극 구조는 질화물층과 사파이어 기판 사이의 격자 상수 및 열팽창 계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stress)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판(100)과 인접한 질화물층에서 발생하는 전위(dislocation)들이 공극 구조에 의해 해소되면서, 질화물층 상측으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특히, 다수개의 공극이 적층된 형태로 배열된 구조의 경우, 일부의 전위가 하측의 공극을 통과하더라도 상측의 공극에서 이를 해소함으로써 이중으로 전위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본 실시예에 따라 성장된 질화물 완층층의 전위밀도를 측정한 결과, 질화물 완충층의 두께가 2~4㎛인 경우에도 106/㎠ 이하의 전위밀도가 측정되었으며, 이는 종래에 비해 전위 밀도가 1% 이하로 감소된 수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템플레이트(10)는 응력이 완화되고 전위밀도가 감소된 질화물 완충층(200)을 구비하는 바, 질화물 완충층(200)의 상면으로 양호한 결정 품질을 갖는 발광소자의 질화물층을 성장시킬 있으며, 실험 결과 종래 대비 발광효율이 30~40% 정도 개선되는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질화물 완충층이 적층 배열되는 공극 구조 및 대형 공극 구조를 동시에 포함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이외에도 제2 질화물층의 성장 두께, 2차 식각 공정의 공정 시간 또는 식각 가스 유량 등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공극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식각 공정을 2회에 걸쳐 진행하였으나, 3회 이상에 걸쳐 식각 공정 및 질화물층 성장 공정을 반복하여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템플레이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질화물 완충층 상측으로 발광소자의 질화물층을 성장시킬 수 있으며, 도 6은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수평형 질화물 반도체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20)는 템플레이트(10)의 상측으로 n형 질화물층(310), 활성층(320) 및 p형 질화물층(3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MOCVD 장치에서 질화물 완충층(200)의 제3 질화물층(230)을 성장시킨 후, 연속 공정으로서 발광소자의 질화물층을 성장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템플레이트(10)의 제1, 제2, 제3 질화물층(210, 220, 230)을 언도핑 GaN 재질로 성장시키는 경우에는, 제3 질화물층(230)을 성장시킨 후 온도와 공정가스를 제어하면서 n형 질화물층(310), 활성층(320) 및 p형 질화물층(330)을 순차적으로 성장시킨다.
다만, 이 이외에도 2차 식각 공정을 진행한 후 제3 질화물층(230)으로써 n형 질화물층을 성장시키고, n형 질화물층 상에 추가적으로 활성층 및 p형 질화물층을 성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수평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20)는 기판(100)과 인접한 질화물층에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되는 바, 질화물층의 응력 및 전위 밀도가 감소하여 내부 양자 효율이 개선되고 분극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극은 인접한 질화물층과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다. 따라서, 기판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이 다수개의 공극을 거치면서 산란 또는 굴절되어 경로가 전환되는 바, 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에도 이용할 수 있으며, 도 7에서는 본 발명을 이용한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우선, 앞서 설명한 템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질화물층 성장 기판(100)에 질화물층 성장 공정과 식각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다공성 구조를 갖는 질화물 완충층(200)을 성장시킨다. 그리고,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나노 구조물의 상측으로 직접 n형 질화물층(410), 활성층(420) 및 p형 질화물층(430)을 순차적으로 성장시킨다. 이때, 질화물 완충층은 3차 질화물층으로서 n형 질화물층을 성장시킬 수 있고, 이 경우, 언도핑 질화물층과 n형 질화물층의 경계부에 다수개의 공극이 배치된다(도 7의 a 참조).
질화물층 성장이 완료되면, p형 질화물층 상측에 도전성 접착층(440)을 형성한 후 도전성 기판(450)을 부착한다. 여기서, 도전성 기판(450)은 외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p측 전극을 형성한다.
그리고, 질화물층으로부터 성장 기판(100)을 제거하는 단계를 진행한다(도 7의 b 참조). 여기서, 성장 기판(100)에 성장된 질화물층 중 다수개의 공극(213, 223)이 형성된 위치는 질화물층이 나노 구조물(nano structure)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위치의 질화물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공극(213, 223)이 형성된 위치를 제거면으로 하여 성장 기판(100)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특히, 앞서 템플레이트 제조 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회의 식각 공정을 통해 큰 규모의 공극들이 형성되는 경우, 제거면의 구조가 더욱 취약해지기 때문에 성장 기판의 분리가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성장 기판(100)과 인접한 위치의 질화물층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기판을 제거하는 레이저 리프트 오프(LLO : laser lift off)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경우에는 질화물층이 견고한 격자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레이저 조사시 질화물층이 심하게 훼손되어 수율이 저조한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다수개의 공극(213, 223)에 의해 상대적으로 약한 구조를 갖는 위치로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질화물층의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LLO 방식 이외에도 질화물층과 성장 기판(100)의 온도를 제어하여 성장 기판을 분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사파이어 재질의 성장 기판과 질화물층은 열 팽창 계수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성장 기판상에 질화물층이 성장된 고온의 환경으로부터 냉각이 진행되면 열변형에 의해 질화물층에 큰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실험 결과, 성장 기판을 냉각함에 따라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되는 부분을 따라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이 부분으로 소량의 에너지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성장 기판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성장 기판을 용이하게 분리된다. 그리고, 성장 기판 분리시 질화물층에 가해지는 응력의 변화 또한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는 바, 종래와 비교하여 양호한 품질의 자립막(freestanding layer)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성장 기판(100)이 분리되면, 전극 패드(360)를 설치하기 위해, n형 질화물층(410)이 노출되도록 제거면을 가공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종래의 경우 제거면 가공시에는 n형 질화물층(410)이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가늠하면서 본 단계를 진행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언도핑 질화물층(120)과 n형 질화물층(410)의 경계에서 제거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본 단계를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품질의 질화물층을 형성하는 데 기여할 뿐 아니라, 발광소자 제조시 작업성이 개선되고 발광 효율 및 내구성이 우수한 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측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열로 적층 배치되는 다수개의 공극을 포함하는 질화물 완충층;을 포함하는 템플레이트.
  2. 기판 상에 제1 질화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클로라이드 계열의 식각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질화물층의 상면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 질화물층의 상면으로 제2 질화물층을 성장시켜 다수개의 제1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2 질화물층의 상면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질화물층의 상면으로 제3 질화물층을 성장시켜 다수개의 제2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템플레이트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질화물층 및 상기 제3 질화물층은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장치에서 성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레이트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질화물층은
    HVPE(hyride vapor phase epitaxy) 장치에서 성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레이트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2 공극은
    상기 다수개의 제1 공극의 상측에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레이트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질화물층을 식각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질화물층의 두께보다 얕은 깊이로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레이트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1 공극은 상기 제1 질화물층 및 상기 제2 질화물층의 경계면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제2 공극은 상기 제2 질화물층 및 상기 제3 질화물층의 경계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레이트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질화물층을 식각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질화물층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공극과 연통하도록 상기 제2 질화물층을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레이트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극은
    상기 제1 공극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레이트 제조방법.
  10. 성장 기판 상에 질화물층 성장 공정 및 식각 공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다수개의 공극이 구비된 질화물 완충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질화물 완충층 상측으로 n형 질화물층, 활성층 및 p형 질화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p형 질화물층 상측으로 도전성 기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부분을 절단면으로 하여 상기 성장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면을 가공하여 전극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 완충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성장 기판상에 제1 질화물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식각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질화물층의 상면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 질화물층의 상면으로 제2 질화물층을 성장시켜 다수개의 제1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2 질화물층의 상면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질화물층의 상면으로 제3 질화물층을 성장시켜 다수개의 제2 공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질화물층 및 상기 제3 질화물층은 MOCVD 장치에서 성장되고,
    상기 제2 질화물층은 HVPE 장치에서 성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 완충층은
    상기 다수개의 공극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열을 형성하여 적층된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부분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성장 기판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질화물 완충층을 냉각하여 상기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부분의 균열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6. 성장 기판 상에 질화물층 성장 공정 및 식각 공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다수개의 공극이 구비된 질화물 완충층을 성장시키고, 상기 질화물 완충층 상측으로 n형 질화물층, 활성층 및 p형 질화물층을 성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p형 질화물층 상측으로 도전성 기판을 설치한 후, 상기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부분을 절단면으로 하여 상기 성장 기판을 제거하고, 상기 절단면을 가공하여 전극패드를 형성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 완충층은
    상기 성장 기판상에 제1 질화물층을 성장시키고, 식각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질화물층의 상면을 식각한 후, 상기 제1 질화물층의 상면으로 제2 질화물층을 성장시켜 다수개의 제1 공극을 형성하고,
    다시 상기 식각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제2 질화물층의 상면을 식각한 후, 상기 제2 질화물층의 상면으로 제3 질화물층을 성장시켜 다수개의 제2 공극을 형성하여 성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질화물층 및 상기 제3 질화물층은 MOCVD 장치에서 성장되고,
    상기 제2 질화물층은 HVPE 장치에서 성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 완충층은
    상기 다수개의 공극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열을 형성하여 적층된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부분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성장 기판이 제거되거나,
    상기 질화물 완충층을 냉각하여 상기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부분의 균열을 유도하여 상기 성장 기판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PCT/KR2011/004063 2011-01-04 2011-06-03 템플레이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WO201209375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643A KR20120079393A (ko) 2011-01-04 2011-01-04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2011-0000643 2011-0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3758A1 true WO2012093758A1 (ko) 2012-07-12

Family

ID=4542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4063 WO2012093758A1 (ko) 2011-01-04 2011-06-03 템플레이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187444A1 (ko)
EP (1) EP2472566A3 (ko)
JP (1) JP2012142545A (ko)
KR (1) KR20120079393A (ko)
CN (1) CN102593293A (ko)
TW (1) TW201234645A (ko)
WO (1) WO2012093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4445B2 (en) 2009-10-12 2024-05-1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with metal layers
US10043781B2 (en) 2009-10-12 2018-08-07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374118B2 (en) 2009-10-12 2022-06-28 Monolithic 3D Inc. Method to form a 3D integrated circuit
US11018133B2 (en) 2009-10-12 2021-05-25 Monolithic 3D Inc. 3D integrated circuit
US10388863B2 (en) 2009-10-12 2019-08-20 Monolithic 3D Inc. 3D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0354995B2 (en) 2009-10-12 2019-07-16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0910364B2 (en) 2009-10-12 2021-02-02 Monolita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US10157909B2 (en) 2009-10-12 2018-12-1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366970B2 (en) 2009-10-12 2019-07-3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217667B2 (en) 2011-06-28 2019-02-2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method and system
US10497713B2 (en) 2010-11-18 2019-12-03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482440B2 (en) 2010-12-16 2022-10-25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a built-in test circuit for repairing faulty circuits
US11018191B1 (en) 2010-10-11 2021-05-25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315980B1 (en) 2010-10-11 2022-04-2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transistors
US10290682B2 (en) 2010-10-11 2019-05-14 Monolithic 3D Inc. 3D I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stacked memory
US11257867B1 (en) 2010-10-11 2022-02-2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oxide bonds
US11469271B2 (en) 2010-10-11 2022-10-11 Monolithic 3D Inc. Method to produce 3D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with memory
US11227897B2 (en) 2010-10-11 2022-01-18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024673B1 (en) 2010-10-11 2021-06-01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896931B1 (en) 2010-10-11 2021-01-19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158674B2 (en) 2010-10-11 2021-10-26 Monolithic 3D Inc. Method to produce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600667B1 (en) 2010-10-11 2023-03-07 Monolithic 3D Inc. Method to produce 3D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with memory
US11163112B2 (en) 2010-10-13 2021-11-02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electromagnetic modulators
US10679977B2 (en) 2010-10-13 2020-06-09 Monolithic 3D Inc. 3D microdisplay device and structure
US11855100B2 (en) 2010-10-13 2023-12-26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oxide bonding
US11327227B2 (en) 2010-10-13 2022-05-10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electromagnetic modulators
US11404466B2 (en) 2010-10-13 2022-08-02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US11437368B2 (en) 2010-10-13 2022-09-06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oxide bonding
US11984438B2 (en) 2010-10-13 2024-05-14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oxide bonding
US11063071B1 (en) 2010-10-13 2021-07-13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waveguides
US11043523B1 (en) 2010-10-13 2021-06-22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US11133344B2 (en) 2010-10-13 2021-09-28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US11929372B2 (en) 2010-10-13 2024-03-12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and wafer bonding
US11694922B2 (en) 2010-10-13 2023-07-04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oxide bonding
US11605663B2 (en) 2010-10-13 2023-03-14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and wafer bonding
US10943934B2 (en) 2010-10-13 2021-03-09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164898B2 (en) 2010-10-13 2021-11-02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855114B2 (en) 2010-10-13 2023-12-26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and wafer bonding
US11869915B2 (en) 2010-10-13 2024-01-09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image sensors and wafer bonding
US10998374B1 (en) 2010-10-13 2021-05-04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833108B2 (en) 2010-10-13 2020-11-10 Monolithic 3D Inc. 3D microdisplay device and structure
US10978501B1 (en) 2010-10-13 2021-04-13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waveguides
US11521888B2 (en) 2010-11-18 2022-12-0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high-k metal gate transistors
US11735462B2 (en) 2010-11-18 2023-08-2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single-crystal layers
US11443971B2 (en) 2010-11-18 2022-09-13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mory
US11862503B2 (en) 2010-11-18 2024-01-02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mory cells and multiple metal layers
US11107721B2 (en) 2010-11-18 2021-08-31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NAND logic
US11901210B2 (en) 2010-11-18 2024-02-13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mory
US11355380B2 (en) 2010-11-18 2022-06-07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tilizing alignment marks
US11482439B2 (en) 2010-11-18 2022-10-25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charge trap junction-less transistors
US11784082B2 (en) 2010-11-18 2023-10-1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bonding
US11211279B2 (en) 2010-11-18 2021-12-28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processing a 3D integrated circuit and structure
US11482438B2 (en) 2010-11-18 2022-10-25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094576B1 (en) 2010-11-18 2021-08-17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610802B2 (en) 2010-11-18 2023-03-21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single crystal transistors and metal gate electrodes
US11004719B1 (en) 2010-11-18 2021-05-11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121021B2 (en) 2010-11-18 2021-09-1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495484B2 (en) 2010-11-18 2022-11-0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with at least two single-crystal layers
US11018042B1 (en) 2010-11-18 2021-05-25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508605B2 (en) 2010-11-18 2022-11-2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031275B2 (en) 2010-11-18 2021-06-0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mory
US11164770B1 (en) 2010-11-18 2021-11-02 Monolithic 3D Inc. Method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355381B2 (en) 2010-11-18 2022-06-07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804396B2 (en) 2010-11-18 2023-10-31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mory cells and multiple metal layers
US11854857B1 (en) 2010-11-18 2023-12-26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ducing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mory cells and multiple metal layers
US11615977B2 (en) 2010-11-18 2023-03-2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569117B2 (en) 2010-11-18 2023-01-31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single-crystal layers
US11923230B1 (en) 2010-11-18 2024-03-05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bonding
US10388568B2 (en) 2011-06-28 2019-08-2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ystem
US10032956B2 (en) 2011-09-06 2018-07-24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Patterned substrate design for layer growth
US9653313B2 (en) 2013-05-01 2017-05-16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Stress relieving semiconductor layer
US10600888B2 (en) 2012-04-09 2020-03-2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US11694944B1 (en) 2012-04-09 2023-07-0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a connective path
US11088050B2 (en) 2012-04-09 2021-08-1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with isolation layers
US11164811B2 (en) 2012-04-09 2021-11-0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with isolation layers and oxide-to-oxide bonding
US11410912B2 (en) 2012-04-09 2022-08-09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with vias and isolation layers
US11735501B1 (en) 2012-04-09 2023-08-2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a connective path
US11476181B1 (en) 2012-04-09 2022-10-1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11881443B2 (en) 2012-04-09 2024-01-23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a connective path
US11616004B1 (en) 2012-04-09 2023-03-2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a connective path
US11594473B2 (en) 2012-04-09 2023-02-2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a connective path
US11967583B2 (en) 2012-12-22 2024-04-23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11309292B2 (en) 2012-12-22 2022-04-19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11916045B2 (en) 2012-12-22 2024-02-27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11784169B2 (en) 2012-12-22 2023-10-1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11063024B1 (en) 2012-12-22 2021-07-13 Monlithic 3D Inc. Method to form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018116B2 (en) 2012-12-22 2021-05-25 Monolithic 3D Inc. Method to form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961827B1 (en) 2012-12-22 2024-04-1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11217565B2 (en) 2012-12-22 2022-01-04 Monolithic 3D Inc. Method to form a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892169B2 (en) 2012-12-29 2021-01-1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430667B2 (en) 2012-12-29 2022-08-3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bonding
US11430668B2 (en) 2012-12-29 2022-08-3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bonding
US11004694B1 (en) 2012-12-29 2021-05-11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087995B1 (en) 2012-12-29 2021-08-1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651054B2 (en) 2012-12-29 2020-05-12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177140B2 (en) 2012-12-29 2021-11-1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600657B2 (en) 2012-12-29 2020-03-2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115663B2 (en) 2012-12-29 2018-10-3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903089B1 (en) 2012-12-29 2021-01-2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KR102015907B1 (ko) * 2013-01-24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US11935949B1 (en) 2013-03-11 2024-03-19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memory cells
US8902663B1 (en) 2013-03-11 2014-12-02 Monolithic 3D Inc. Method of maintaining a memory state
US11869965B2 (en) 2013-03-11 2024-01-09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and memory cells
US10325651B2 (en) 2013-03-11 2019-06-1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with stacked memory
US11923374B2 (en) 2013-03-12 2024-03-05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metal layers
US11088130B2 (en) 2014-01-28 2021-08-10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398569B2 (en) 2013-03-12 2022-07-2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840239B2 (en) 2014-08-26 2020-11-17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224279B2 (en) 2013-03-15 2019-03-05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9520281B2 (en) * 2013-03-18 2016-12-13 Epistar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n optoelectronic device with a hollow component in epitaxial layer
US11030371B2 (en) 2013-04-15 2021-06-08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for monolithic 3D devices
US11270055B1 (en) 2013-04-15 2022-03-08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for monolithic 3D devices
US11341309B1 (en) 2013-04-15 2022-05-24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for monolithic 3D devices
US11720736B2 (en) 2013-04-15 2023-08-08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methods for 3D integrated circuits and devices
US11487928B2 (en) 2013-04-15 2022-11-01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for monolithic 3D devices
US9021414B1 (en) 2013-04-15 2015-04-28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for monolithic 3D devices
US11574109B1 (en) 2013-04-15 2023-02-07 Monolithic 3D Inc Automation methods for 3D integrated circuits and devices
KR101909919B1 (ko) * 2013-05-01 2018-10-19 센서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인크 응력 완화 반도체 층
US10460952B2 (en) 2013-05-01 2019-10-29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Stress relieving semiconductor layer
US11031394B1 (en) 2014-01-28 2021-06-0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107808B1 (en) 2014-01-28 2021-08-31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297586B2 (en) 2015-03-09 2019-05-21 Monolithic 3D Inc. Methods for processing a 3D semiconductor device
KR102140789B1 (ko) 2014-02-17 2020-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정 품질 평가장치, 및 그것을 포함한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347387B1 (ko) 2015-03-31 2022-01-0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 소자
US11011507B1 (en) 2015-04-19 2021-05-18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381328B2 (en) 2015-04-19 2019-08-13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825779B2 (en) 2015-04-19 2020-11-03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1056468B1 (en) 2015-04-19 2021-07-06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KR102369933B1 (ko) 2015-08-03 2022-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956952B2 (en) 2015-08-23 2024-04-09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DE112016004265T5 (de) 2015-09-21 2018-06-07 Monolithic 3D Inc. 3d halbleitervorrichtung und -struktur
US11978731B2 (en) 2015-09-21 2024-05-07 Monolithic 3D Inc. Method to produce a multi-leve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0522225B1 (en) 2015-10-02 2019-12-31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non-volatile memory
US11991884B1 (en) 2015-10-24 2024-05-21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with logic and memory
US11296115B1 (en) 2015-10-24 2022-04-05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418369B2 (en) 2015-10-24 2019-09-17 Monolithic 3D Inc. Multi-leve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114464B2 (en) 2015-10-24 2021-09-07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device and structure
US10847540B2 (en) 2015-10-24 2020-11-24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937422B2 (en) 2015-11-07 2024-03-19 Monolithic 3D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114427B2 (en) 2015-11-07 2021-09-07 Monolithic 3D Inc. 3D semiconductor processor and memory device and structure
CN105762065B (zh) * 2016-02-06 2019-12-13 上海新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晶体质量的氮化物外延生长的方法
US11711928B2 (en) 2016-10-10 2023-07-25 Monolithic 3D Inc. 3D memory devices and structures with control circuits
US11930648B1 (en) 2016-10-10 2024-03-12 Monolithic 3D Inc. 3D memory devices and structures with metal layers
US11329059B1 (en) 2016-10-10 2022-05-10 Monolithic 3D Inc. 3D memory devices and structures with thinned single crystal substrates
US11251149B2 (en) 2016-10-10 2022-02-15 Monolithic 3D Inc. 3D memory device and structure
US11869591B2 (en) 2016-10-10 2024-01-09 Monolithic 3D Inc. 3D memory devices and structures with control circuits
US11812620B2 (en) 2016-10-10 2023-11-07 Monolithic 3D Inc. 3D DRAM memory devices and structures with control circuits
JP2018113386A (ja) * 2017-01-13 2018-07-19 株式会社ディスコ 発光ダイオードチップの製造方法及び発光ダイオードチップ
KR102110871B1 (ko) * 2018-07-04 202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1296106B2 (en) 2019-04-08 2022-04-05 Monolithic 3D Inc. 3D memory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US11763864B2 (en) 2019-04-08 2023-09-19 Monolithic 3D Inc. 3D memory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with bit-line pillars
US10892016B1 (en) 2019-04-08 2021-01-12 Monolithic 3D Inc. 3D memory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US11158652B1 (en) 2019-04-08 2021-10-26 Monolithic 3D Inc. 3D memory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US11018156B2 (en) 2019-04-08 2021-05-25 Monolithic 3D Inc. 3D memory semiconductor devices and structures
CN114203535B (zh) * 2021-12-09 2023-01-31 北京镓纳光电科技有限公司 高质量氮化铝模板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5851A (ja) * 2003-09-05 2005-03-31 Hitachi Cable Ltd 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20050035565A (ko) * 2003-10-13 2005-04-19 삼성전기주식회사 실리콘 기판 상에 형성된 질화물 반도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7266472A (ja) * 2006-03-29 2007-10-11 Stanley Electric Co Ltd 窒化物半導体ウエハないし窒化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11406A (ko) * 2008-07-25 2010-02-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추출 효율이 향상된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47164A (ja) * 2008-12-17 2010-07-01 Stanley Electric Co Ltd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0201A1 (en) * 2005-05-13 2006-11-30 Chua Soo J Nano-air-bridged lateral overgrowth of GaN semiconductor layer
WO2008048303A2 (en) * 2005-12-12 2008-04-24 Kyma Technologies, Inc. Group iii nitride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5307975B2 (ja) * 2006-04-21 2013-10-02 日立電線株式会社 窒化物系半導体自立基板及び窒化物系半導体発光デバイス用エピタキシャル基板
KR100818452B1 (ko) * 2006-10-31 2008-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Ⅲ족 질화물 반도체 박막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질화물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JP5571679B2 (ja) * 2008-11-14 2014-08-13 ソイテック 半導体材料を含む構造の品質を改善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5851A (ja) * 2003-09-05 2005-03-31 Hitachi Cable Ltd 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20050035565A (ko) * 2003-10-13 2005-04-19 삼성전기주식회사 실리콘 기판 상에 형성된 질화물 반도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7266472A (ja) * 2006-03-29 2007-10-11 Stanley Electric Co Ltd 窒化物半導体ウエハないし窒化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11406A (ko) * 2008-07-25 2010-02-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추출 효율이 향상된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47164A (ja) * 2008-12-17 2010-07-01 Stanley Electric Co Ltd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34645A (en) 2012-08-16
EP2472566A2 (en) 2012-07-04
JP2012142545A (ja) 2012-07-26
CN102593293A (zh) 2012-07-18
KR20120079393A (ko) 2012-07-12
EP2472566A3 (en) 2013-04-17
US20120187444A1 (en)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93758A1 (ko) 템플레이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WO2012093757A1 (ko) 템플레이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형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CN100341116C (zh) 多孔基板及其制造方法、GaN系半导体叠层基板及其制造方法
CN104221170B (zh) 用于分离外延层与生长基板的方法及使用其的半导体器件
KR101640830B1 (ko) 기판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WO2012161451A9 (ko) 반도체 박막 구조 및 그 형성 방법
US9711352B2 (en) Large-area, laterally-grown epitaxial semiconductor layers
WO2011122882A4 (ko) 반도체 템플릿 기판, 반도체 템플릿 기판을 이용하는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0085042A2 (en) Semiconductor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4133267A1 (en) Method of fabricating nitride substrate
US20100035416A1 (en) Forming III-Nitride Semiconductor Wafers Using Nano-Structures
WO2000057460A1 (fr) PROCEDE DE CROISSANCE DE CRISTAUX SEMICONDUCTEURS COMPOSES DE GaN, ET SUBSTRAT DE SEMICONDUCTEUR
WO2017150848A1 (ko) 나노 로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 로드
WO2010036002A2 (ko) 단결정 기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단결정 기판, 상기 단결정 기판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118250A1 (ko) 패턴화된 격자 완충층을 이용한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22104771A (ja) 半導体基板、半導体デバイス、電子機器
CN102439695A (zh) 应变材料层的松弛和转移
KR20140073646A (ko) 단결정 질화갈륨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4665286B2 (ja) 半導体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17173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방법
KR101153861B1 (ko) 실리콘 웨이퍼 상에 GaN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WO2012102539A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growing semiconductor crystal
WO2012060600A2 (ko) 기판과 분할기구, 성장박막 및 성장, 분리, 가열방법, 에피웨이퍼, 발광다이오드
KR100668649B1 (ko) 실리콘 기반 3족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86609B1 (ko) 질화갈륨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548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548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