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106B1 - 아미노아릴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함유하는 콘크리이트 혼화제 - Google Patents

아미노아릴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함유하는 콘크리이트 혼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106B1
KR970005106B1 KR1019880012426A KR880012426A KR970005106B1 KR 970005106 B1 KR970005106 B1 KR 970005106B1 KR 1019880012426 A KR1019880012426 A KR 1019880012426A KR 880012426 A KR880012426 A KR 880012426A KR 970005106 B1 KR970005106 B1 KR 970005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ormaldehyde
phenol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164A (ko
Inventor
다까히로 후루하시
가즈시게 가와다
스스무 다하라
도루 다께우찌
유지 다까하시
도시까즈 아다찌
쓰또무 데라지
Original Assignee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사와 도모끼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사와 도모끼찌로 filed Critical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5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4/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two or more other monomers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8/00 - C08G12/00
    • C08G14/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two or more other monomers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8/00 - C08G12/00 of aldehydes
    • C08G14/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two or more other monomers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8/00 - C08G12/00 of aldehydes with phenols
    • C08G14/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two or more other monomers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8/00 - C08G12/00 of aldehydes with phenols and monomer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6Sulfur-containing compounds
    • C04B24/20Sulfonated aromatic compounds
    • C04B24/22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Road Repair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미노아릴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함유하는 콘크리이트 혼화제
본 발명은 아미노아릴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이하, ASPFC로 침함) 및 이를 함유하는 시멘트 조성물, 예를들면 콘크리이트, 모르타르, 시멘트 페이스트 등에 혼합하기 위한 콘크리이트 혼합제에 관한 것이다.
하기 ASPFC를 함유하는 콘크리이트 혼합제는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 조성물의 컨시스턴시(consistency)를 개선하고, 또한 경시에 따른 슬럼프(slump) 손실과 같은 유동성 변화를 방지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콘크리이트 혼화제를 시멘트 조성물에 첨가했을 때, 시멘트 조성물의 슬럼프를 물의 첨가없이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시멘트 조성물을 장기간 동안 술럼프 손실없이 수송할 수 있고, 또한 이 콘크리이트 혼화제는, 시멘팅 작업 중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 조성물을 목적하는 위치에 주입할 때,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 조성물의 유동 속도를 적절히 조절한다.
ASPFC는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0-70중량부, 하기 일반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10-50 중량부 및 포름알데히드 10-40중량부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축합물이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상기 식에 있어서, R1
Figure kpo00003
(여기에서, Ra1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임) 또는
Figure kpo00004
이고, R2는 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이다.
본 발명의 ASPFC는 이것이 첨가되는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 조성물의 점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기 때문에,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 조성물의 단위 함수량을 감소시키며, 그 결과 얻어진 경화 콘크리이트의 압축 강도를 보다 증가시킨다.
지금까지 당업계에는 여러 종류의 콘크리이트 혼화제가 알려져, 이들은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 조성물의 컨시스턴시를 개선하고, 경시에 따른 슬럼프 손실과 같은 유동성의 변화를 방지하는데 불충분하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 노력한 결과, 경시에 따른 슬럼프 손실과 같은 유동성 변화 방지 및 컨시스턴시에 있어서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보다 바람직한 콘크리이트 혼합제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의 상기 및 이하 설명에서 기재된 여러 가지 정의들은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저급이라는 용어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1 내지 6의 탄소 원자수를 갖는 기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당한 저급 알킬은 1내지 6의 탄소 원자수를 갖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t-부틸, 펜틸, 핵실 등과 같은 직쇄 또는 분지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저급 알콕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펜틸옥시, 이소펜틸옥시, 헬실옥실 등과 같은 직쇄 또는 분지쇄기를 포함할 수 있다.
ASPFC는 수용성 조성하에서 가온 또는 가열하면서 화합물(I) 20-70중량부, 화합물(II) 10-50중량부 및 포름 알데히드 10-40중량부를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ASPFC의 유용성을 보여주기 위해 모르타르 및 콘크리이트상에서 행한 대표적인 ASPFC들의 시험 데이터를 다음에 나타낸다.
시험 1 모르타르 슬럼프 시험
(1) 시험 방법
20℃에서 모르타르 슬럼프 시험에 의해 컨시스턴시를 측정하고, 시험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르타르의 슬럼프를 대조용 모르타르(무첨가)값과 비교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재료 및 모르타르 조성은 JIS R5210에 지정된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 700g, 강모래(비중 : 2.63, 조립율(組立率) : 266) 1960g 및 물 또는 시험 화합물 2.8g을 함유하는 수용액 339.5ml이었다.
모르타르 JIS R 5210의 표준법에 따라서 설분들을 기계적으로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모르타르 슬럼프는 표준 주형의 1/2 크기의 슬럼프 코운(slump cone)(저부 직경 100mm, 정부 직경 50mm 및 높이 150mm)를 사용하여 JIS A 1101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시험 모르타르의 함기량은 중량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슬럼프 및 함기량의 초기 측정 후, 모르타르를 혼합 보울(bowl)에 회수하여 60분 동안 정차시킨 다음, 보울 중에서 혼합 스푼을 사용하여 재혼합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럼프 및 함기량을 다시 측정하였다.
(2) 시험 결과
시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kpo00005
시험 2 콘크리이트 시험
(1)시험 방범
시험 화합물을 함유하는 콘크리이트의 컨시스턴시를 플레인 콘크리이트(무첨가)의 컨시턴시와 비교하고, 그 콘크리이트의 슬럼프 손실(유동성의 경시 변화)을 단위 함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초기 슬럼프가 동일하게 조절된 대조용 콘크리이트의 슬럼프 손실과 비교하였다. 시험에는 콘크리이트용 화학 혼화제에 대해서 일본 공업 규격(JIS) A 6204에 기재된 기본 방법을 사용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다.
시멘트 : JIS R 5210에 지정된 다른 3개 제조 회사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들의 혼합물
세골재 : 강 모래
비중 : 2.64
조립율 : 2.75
조골재 : 파석
비중 : 2.67
조립율: 6.70
콘크리이트의 혼합 비율은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콘크리이트는 시멘트, 골재 및 물 또는 시험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을 강제 혼합형 믹서로 1.5분 동안 30리터 규모로 혼합하고, 혼합판에서 정치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초기 슬럼프 및 슬럼프의 경시 변화(매 30분 간격으로 1.5시간 동안)를 혼합판에서 제혼합한 후 측정하였다.
(2) 시험 결과
시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Figure kpo00006
주 : W : 물, C : 시멘트, S : 모래, G : 조골재
s/a :모래 대 골재의 비(골재는 모래 및 조골재를 포함함)
Figure kpo00007
상기 시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SPFC는 대조용 콘크리이트에 비해 시멘트 조성물의 컨시스턴시를 개선하고(높은 초기 슬럼프 참조), 콘크리이트의 경시에 따른 슬럼프 손실을 억제한다.
표 3에 나타낸 시험 결과로부터, ASPFC는 공기 연행 없이 단위 함수량을 크게 감소킴이 명백하다.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이트는 ASPFC(시멘트 0.01-1.0%, 바람직하기로는 시멘트 0.1-0.6%)를 본통 콘크리이트와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보통 콘크리이트는 시멘트(5-25%), 조골재(30-60%), 세골재(20-50%), 물(4-10%) 및 공기 연행제(시멘트의 0-1%) 및 (또는) 감수제(減水濟) (시멘트의 0-1%)를 포함할 수 있다.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모르타르는 ASPFC(시멘트의 0.01-1.0%, 바람직하기로는 시멘트의 0.1-0.6%)를 보통 모르타르와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보통 모르타르는 시멘트(15-25%), 물(5-30%), 모래(35-75%), 및 공기 연행제(시멘트의 0-1%) 및(또는) 감수제(시멘트의 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시멘트 페이스트는 ASPFC(시멘트의 0.01-1.0%, 바람직하기로는 시멘트의 0.1-0.6%)를 보통 시멘트 페이스트와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보통 시멘트 페이스트는 시멘트(20-80%) 및 물(80-20%)를 포함할 수 있다.
시멘트로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시멘트, 중용열 시멘트, 플라이애쉬(flyash)를 함유하는 고로 술래그 시멘트 및 플라이애쉬 시멘트, 과립 시멘트 분말, 실라카질 혼합재 등을 들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ASPFC의 제조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물 30ml중의 4-아미노벤젠술폰산 8.66g 및 페놀 4.0g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20g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8.1로 조절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용액의 중량을 56.00g으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용액에 환류시키면서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8.10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7.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26g으로 pH 11.0으로 조절하고, 40℃에서 축합시켜 축합시켜 축합물 수용액 49.49g을 얻었다.
비(4-아미노벤젠술폰산 : 페놀 : 포름알데히드)=1 : 1 : 2
비(출발 모노머 : 물)=1 : 2.49
축합물 수용액의 점도=8.9(25℃, 30%에서, cP)
분자량 : Mw=1976, Mn=833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14를 행하였다.
Figure kpo00008
분자량은 결투과법을 사용하여 얻었다.
Mw : 중량 평균 분자량
Mn : 수평균 분자량
표준물질 : 소듈 폴리스티렌 술포네이트
점도 : 용액의 점도는 VISCNIC ED형 점도계(도꼬 게이끼(주) 제품)로 25℃, 30%에 측정(cP)하였다.
실시예 15
물 2000.0ml중의 4-아미노벤젠술폰산 594.8g 및 페놀 323.2g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704.0g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8.1로 조절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용액의 중량을 3850.0g으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환류시키면서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557.4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7.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52.2g으로 pH 11.0으로 조절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켜(2단계) 축합물의 수용액 4659.9g을 얻었다.
비(4-아미노벤젠술폰산 : 페놀 : 포름알데히드)=1 : 1 : 2
비(출발 모노머 : 물)=1 : 2.49
실시예 15와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16 내지 23을 행하였다.
Figure kpo00009
점도 : *1 : 25℃, 22.3%에서; *2:25℃, 21.5%에서
실시예 24
물 60ml중의 4-아미노벤젠술폰산 17.32g 및 피로카테콜 11.01g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1.12g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8.1로 조절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용액의 중량을 119.20g으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환류시키면서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16.23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7.5 동안 교반시켰다. 계속해서, 환류시키면서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8.12g을 첨가하고, 7.5시간 동안 환류시키면서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7.72g으로 pH 11.0으로 조절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켜(2단계) 축합물의 수용액 151.30g을 얻었다.
비(4-아미노벤젠술폰산 : 피로카테콜 : 포름알데히드)=1 : 1: 3
비(출발 모너머 : 물)=1 : 2.45
축합물의 수용액의 점도=36.3(25℃, 30%에서, cP)
분자량 : Mw=5932
실시예 25
물 122ml중의 4-아미노벤젠술폰산 34.64g 및 히드로퀴논 22.02g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40.92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0℃에서 교반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8.03으로 조절하였다. 이 용액의 중량을 물로 238.40g으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환류시키면서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32.46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7.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5.04g)으로 pH 11.0으로 조절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켜(2단계) 축합물의 수용액 295.90g을 얻었다.
비(4-아미노벤젠술폰산 : 히드로퀴논 : 포름알데히드)=1 : 1 : 2비(출발 모노머 : 물)=1 : 2.52
축합물의 수용액의 점도=23.9(25℃, 30%에서, cP)
분자량:Mw=4895
실시예 26
물 55ml중의 3-아미노벤젠술폰산 17.32g 및 페놀 9.41g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41g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0.1N 수산나트륨 수용액으로 pH 8.1로 조절하였다. 용액의 중량을 물을 첨가하여112.10g으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환류시키면서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16.23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9.2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14g으로 pH 11.0으로 조절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켜(2단계) 축합물의 수용액 133.50g을 얻었다.
비(3-아미노벤젠술폰산 : 페놀 : 포름알데히드)=1 : 1 : 2
비(출발 모노머 : 물)=1 : 2.49
분자량 : Mw=4891, Mn=1091
실시예 27
물 54ml중의 2-아미노벤젠술폰산 17.32g 및 페놀 9.41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39g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8.1로 조절하였다. 용액의 중량을 물을 첨가하여 112.10g으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용액에 환류시키면서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16.23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9.2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26g으로 pH 110.으로 조절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켜(2단계 축합물의 수용액 133.60g을 얻었다.
비(2-아미노벤젠술폰산 : 페놀 : 포름알에히드)=1 : 1 : 2
비(출발 모노머 : 물)=1 : 2.49
분자량 : Mw=5078, Mn=1180
실시예 28
물 63ml중의 2-아미노벤젠술폰산 17.32g 및 m-크레졸 10.83g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30g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8.1로 조절하였다. 용액의 중량을 물을 첨가하여 118.30g으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환류시키면서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16.23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7.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08g으로 pH 11.0으로 조절하고, 1시간 동안 환류시켜(2단계) 축합물의 수용액 137.60g을 얻었다.
비(2-아미노벤젠술폰산 : m-크레졸 : 포름알데히드)=1 : 1 : 2
비(출발 모노머 : 물)=1 : 2.52
축합물의 수용액의 점도 : 82.8(25℃, 30%에서, cP)
실시예 29
물 61ml중의 2-아미노-5-메틸벤젠술폰산 18.72g 및 페놀 9.41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00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0℃에서 교반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7.92로 조절하였다. 용액의 중량을 물을 첨가하여, 118.30g으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환류시키면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16.23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7.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8.40g으로 조절하고, 1시간 동안 환류시켜(2단계) 축합물의 수용액 142.90g을 얻었다.
비(2-아미노-5-메틸벤젠술폰산 : 페놀 : 포름알데히트)=1 : 1 :2
비(출발 모노머 : 물)=1 : 2.53
축합물의 수용액의 점도=13.8(25℃, 30%에서, cP)
분자량 : Mw=11870
실시예 30
물 73ml중의 4-아미노-1-나프탈렌술폰산 22.33g 및 페놀 9.41g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9.90g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8.1로 조절하였다. 용액의 중량을 물을 첨가하여 134.20g으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환류시키면서 7.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1.50g으로 pH 11.0으로 조절하고, 1시간 동안 환류시키면서 7.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1.50g으로 pH 11.0으로 조절하고, 1시간 동안 환류시켜(2단계) 축합물의 수용액 162.10g을 얻었다.
비(4-아미노-1-나프탈렌술폰산 : 페놀 : 포름알데히드)=1 : 1 : 2
비(출발 모노머 : 물)=1 : 2.61
분자량 : Mw=2175
실시예 31
물 115ml중의 4-아미노벤젠술폰산 303.1g 및 페놀 164.7g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57.0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70℃에서 교반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7.65로 조절하였다. 용액의 중량을 물을 첨가하여 990.7g으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환류시키면서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284.0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84.4g으로 pH 11.0으로 조절하고, 1시간동안 환류시켜(2단계) 축합물의 수용액 1459.1g.을 얻었다.
비(4-아미노벤젠술폰산 : 페놀 : 포름알데히드)=1 : 1 : 2
비(출반 모노머 : 물)=1 : 0.98
분자량 : Mw=3572, Mn=918
실시예 31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예 32 내지 35를 행하였다.
Figure kpo00010
실시예 36
물 173.2ml중의 4-아미노벤젠술폰산 17.32g 및 m-크레졸 10.80g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45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5℃에서 교반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7.42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환류시키면서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16.23g을 첨가하고, 반응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7.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87g으로 pH 11.0으로 조절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켜(2단계) 축합물의 수용액 240.90g을 얻었다.
비(4-아미노벤젠술폰산 : m-크레졸 : 포름알데히드)=1 : 1 : 2
비(출발 모노머 : 물)=1 : 5.23
축합물의 수용액의 점도=8.8(25℃, 30%에서, cP)
분자량 : Mw=8981, Mn=858
실시예 37
물 52ml중의 3-아미노벤젠술폰산 17.32g 및 살리실산 13.80g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40.60g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8.20으로 조절하였다. 용액의 중량을 물을 첨가하여 131.30g으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용액에 환류시키면서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16.23g을 첨가하고, 반응 환합물을 환류시키면서 7.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3g으로 pH 11.2로 조절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켜(2단계) 축합물의 수용액 148.60g을 얻었다.
비(3-아미노벤젠술폰산 : 살리실산 : 포름알데히드)=1 : 1 : 2
비(출발 모노머 : 물)=1 : 2.26
축합물의 수용액의 점도=4.1(25℃, 21.5%에서, cP)
분자량 : Mw=110, Mn=562
실시예 38
물 117.3ml중의 4-아미노벤젠술폰산 8.65g 및 과이어콜(guaiacol) 6.20g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24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0℃에서 교반시켰다. 생성된 요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7.51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환류시키면서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8.12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7.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9.39g으로 pH 11.0으로 조절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켜(2단계) 축합물의 수용액 93.30g을 얻었다.
비(4-아미노벤젠술폰산 : 과이어콜 : 포름알데히드)=1 : 1 : 2
비(출발 모노머 : 물)=1 : 6.56
축합물의 수용액의 점도-9.3(25℃, 30%에서, cP)
분자량 : Mw-1215, Mn=432
실시예 39
물 24ml중의 4-아미노벤젠술폰산 8.65g 및 살리실산 6.91g의 혼합물에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12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75℃에서 교반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7.58로 조절하였다. 용액의 중량을 물을 첨가하여 73.80g으로 조절한 다음,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환류시키면서 37%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8.12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키면서 7.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1단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11.0으로 조절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켜(2단계) 축산물의 수용액을 얻었다.
비(4-아미노벤젠술폰산 : 살리실산 : 포름알데히드)=1 : 1 : 2
비(출발 모노머 : 물)=1 : 2.27
축합물의 수용액의 점도=5.7(25℃, 30%에서, cP)
분자량 : Mw=1464, Mn=552

Claims (8)

  1.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0-70중량부, 하기 일반식(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10-50중량부 및 포름알데히드 10-40중량부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아미노벤젠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 조성물에 혼합하기 위한 콘크리이트 혼화제.
    Figure kpo00011
    상기 식에 있어서, R1
    Figure kpo00012
    (여기에서, Ra1은 수소 또는 저급 알칼임) 또는
    Figure kpo00013
    이고, R2는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4-아미노벤젠술폰산 20-70중량부, 페놀 10-50중량부 및 포름알데히드 10-40중량부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아미노벤젠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 조성물에 혼합하기 위한 콘크리이트 혼화제.
  3.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0-70중량부, 하기 일반식(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10-50중량부 및 포름알데히드 10-40중량부를 중합시킴으로써 아미노아릴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 중에 혼합하기 위한 콘크리이트 혼화제.
    Figure kpo00014
    상기 식에 있어서, R1
    Figure kpo00015
    (여기에서, Ra1은 수소 또는 저급 알칼임) 또는
    Figure kpo00016
    이고, R2는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4-아미노벤젠술폰산 20-70중량부, 페놀 10-50중량부 및 포름알데히드 10-40중량부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아미노아릴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산물을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이트 중에 혼합하기 위한 콘크리이트 혼화제.
  5.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0-70중량부, 하기 일반식(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10-50중량부 및 포름알데히드 10-40중량부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아미노아릴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통상의 시켄트 조성물과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17
    상기 식에 있어서, R1
    Figure kpo00018
    (여기에서, Ra1은 수소 또는 저급 알칼임) 또는
    Figure kpo00019
    이고, R2는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이다.
  6. 제 5항에 있어서, 4-아미노벤젠술폰산 20-70중량부, 페놀 10-50중량부 및 포름알데히드 10-40중량부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아미노아릴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통상의 시멘트 조성물과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시멘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0-70중량부, 하기 일반식(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10-50중량부 및 포름알데히드 10-40중량부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아미노아릴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통상의 콘크리이트와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이트의 제조 방법.
    Figure kpo00020
    상기 식에 있어서, R1
    Figure kpo00021
    (여기에서, Ra1은 수소 또는 저급 알칼임) 또는
    Figure kpo00022
    이고, R2는수소,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4-아미노벤젠술폰산 20-70중량부, 페놀 10-50중량부 및 포름알데히드 10-40중량부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아미노아릴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통상의 콘크리이트와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이트의 제조 방법.
KR1019880012426A 1987-09-25 1988-09-24 아미노아릴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함유하는 콘크리이트 혼화제 KR970005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78722608A GB8722608D0 (en) 1987-09-25 1987-09-25 Concrete admixture
GB8722608 1987-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164A KR890005164A (ko) 1989-05-13
KR970005106B1 true KR970005106B1 (ko) 1997-04-12

Family

ID=1062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426A KR970005106B1 (ko) 1987-09-25 1988-09-24 아미노아릴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함유하는 콘크리이트 혼화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4936918A (ko)
EP (1) EP0308915B1 (ko)
JP (1) JP2570401B2 (ko)
KR (1) KR970005106B1 (ko)
CN (1) CN1015168B (ko)
AT (1) ATE93243T1 (ko)
AU (1) AU609881B2 (ko)
DE (1) DE3883330T2 (ko)
GB (1) GB8722608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001A (en) * 1987-09-25 1993-09-14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Aminoarylsulfonic acid-phenol-formaldehyde condensate and concrete admixture comprising the same
US5233012A (en) * 1989-09-01 1993-08-03 Sanyo-Kokusaku Pulp Co., Ltd. Production of novel condensates comprising bisphenols and aromatic aminosulfonic acids, condensates and dispersant, additive and water-reducing agent based thereon
US5153299A (en) * 1989-09-01 1992-10-06 Sanyo-Kokusaku Pulp Co., Ltd. Production of novel condensates comprising bisphenols and aromatic aminosulfonic acids, condensates and dispersant, additive and water-reducing agent based thereon
JPH0617256B2 (ja) * 1989-10-26 1994-03-09 日本製紙株式会社 セメント用減水剤
US5256199A (en) * 1990-08-03 1993-10-26 Kao Corporation Cement admixture
DE4218183A1 (de) * 1992-06-02 1993-12-09 Bayer Ag Verbesserte mineralische Baustoffe mit Zusatzmitteln
US5849818A (en) * 1993-06-03 1998-12-15 Walles; Wilhelm E. Skin sulfonated particles in matrices
JP3367676B2 (ja) * 1994-02-22 2003-01-14 花王株式会社 水硬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674316A (en) * 1994-06-30 1997-10-07 Kao Corporation Hydraulic composition
US5651817A (en) * 1995-12-14 1997-07-29 Kao Corporation Cement dispersant
US6166112A (en) * 1997-03-10 2000-12-26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admixture and cement composition
KR20010090343A (ko) * 2000-03-24 2001-10-18 박종실 가발제조용 캡 성형방법
US6864337B2 (en) 2000-12-27 2005-03-08 Nippon Shokubai Co., Ltd. Polycarboxylic acid copolymer, produc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100455983B1 (ko) * 2002-04-04 2004-11-08 우민무역주식회사 액상 실리콘수지를 이용한 가발의 제조방법
CN100404570C (zh) 2002-04-25 2008-07-23 株式会社日本触媒 水泥外加剂及其制造方法
WO2006033464A1 (en) 2004-09-24 2006-03-30 Nippon Shokubai Co., Ltd. Dispersant using kraft lignin and novel lignin derivative
US20070181039A1 (en) * 2005-03-15 2007-08-09 Nippon Shokubal Co., Ltd. Drying shrinkage-reducing agent
JP2009173808A (ja) * 2008-01-25 2009-08-06 Nagoya Oil Chem Co Ltd 親水性フェノール樹脂、それを用いた成形可能材料、それらを用いた成形材および内装材
KR20110044212A (ko) 2008-07-31 2011-04-28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수경성 재료용 수축 저감제 및 수경성 재료용 수축 저감제 조성물
JP5663029B2 (ja) 2010-09-30 2015-02-04 株式会社日本触媒 不飽和ポリ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エーテル系単量体を含む単量体組成物、該組成物の製造方法、該組成物を用いて得られる重合体および該重合体の製造方法
CN102504159B (zh) * 2011-10-31 2013-02-13 天津市职业大学 利用对氨基苯酚合成废液制备混凝土高效减水剂方法
JP2015183171A (ja) * 2014-03-26 2015-10-22 日立化成株式会社 フェノール系樹脂、電極、鉛蓄電池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樹脂組成物
JP2017160326A (ja) * 2016-03-09 2017-09-14 日立化成株式会社 フェノール系樹脂、電極、鉛蓄電池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樹脂組成物
CN106188455B (zh) * 2016-07-25 2018-01-30 抚顺东科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双酚a聚氧乙烯醚改性氨基磺酸盐减水剂的合成方法
CN110997759B (zh) 2017-08-24 2022-05-31 日本制纸株式会社 木质素衍生物化合物及其用途
EP3835365A4 (en) 2018-08-09 2022-05-04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IT, AND DISPERSING AG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7632A (en) * 1922-09-05 1923-12-05 James William Blakey Improvements in fasteners for sectional parts and rims of sectional resilient tyres
DE749553C (de) * 1937-05-22 1944-11-24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tionenaustauschenden Kunstharzen
BE670573A (ko) * 1964-10-14 1966-04-06
DE2353642A1 (de) * 1973-10-26 1975-05-07 Huettenes Albertus Bindemittel zur verwendung in heisshaertenden formmassen
SU804653A1 (ru) * 1978-12-12 1981-02-15 Тюменский индустриальный институ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водорастворимойРЕзОРциНфОРМАльдЕгидНОй СМОлы
DE3003647A1 (de) * 1980-02-01 1981-08-06 Basf Ag, 6700 Ludwigshafen Gerbstoffmischung und deren anwendung
US4479826A (en) * 1982-07-09 1984-10-30 Diamond Shamrock Chemicals Company Condensation products of substituted phenol sulfonic acid and formaldehyde
EP0099954B1 (fr) * 1982-07-28 1986-10-22 CHRYSO SA - Ets. de TOULOUSE Nouveaux fluidifiants pour liants hydraul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09881B2 (en) 1991-05-09
GB8722608D0 (en) 1987-11-04
EP0308915B1 (en) 1993-08-18
US5092934A (en) 1992-03-03
ATE93243T1 (de) 1993-09-15
DE3883330T2 (de) 1994-01-05
DE3883330D1 (de) 1993-09-23
CN1032445A (zh) 1989-04-19
AU2278088A (en) 1989-04-06
US4936918A (en) 1990-06-26
KR890005164A (ko) 1989-05-13
CN1015168B (zh) 1991-12-25
JPH01113419A (ja) 1989-05-02
EP0308915A2 (en) 1989-03-29
JP2570401B2 (ja) 1997-01-08
EP0308915A3 (en) 198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106B1 (ko) 아미노아릴술폰산-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함유하는 콘크리이트 혼화제
US5100984A (en) Water-soluble copolymer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fluidizers in suspensions of solid matter
US5158996A (en) Chemically treated anhydride copolymers and cementitious mixtures containing the copolymers
US4677159A (e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highly stable sulfonated melamine-formaldehyde condensates as superplasticizing admixtures in concrete
JPH06239950A (ja) 縮合重合法
US4457874A (en) Condensation products of substituted phenol sulfonic acid and formaldehyde
JP5536389B2 (ja) 水硬性組成物用減水剤
WO2018120385A1 (zh) 一种膦酸基嵌段聚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US4820766A (en) Highly stable sulfonated melamine-formaldehyde condensate solution
JPH03187960A (ja) セメント用減水剤
US5245001A (en) Aminoarylsulfonic acid-phenol-formaldehyde condensate and concrete admixture comprising the same
US4424074A (en) Additives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JPS6339906A (ja) セメント添加剤
CA1293087C (en) Aminoarylsulfonic acid-phenol-formaldehyde condensate and concrete admixture comprising the same
CN108864389B (zh) 一种降粘型氨基磺酸盐减水剂的制备方法
WO2000075208A1 (en) Cement superplasticiser
CN111484591B (zh) 一种缓凝型减水剂的制作方法
JP2000233956A (ja) セメント分散剤
JP2696303B2 (ja) 分散剤及びその製造法
JP3186038B2 (ja) コンクリート用分散剤
RU2772920C2 (ru) Добавки для гидравлических композиций
KR0137479B1 (ko) 시멘트 혼합물의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신규 유기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S60210554A (ja) 水硬性セメント混和剤
JP3203269B2 (ja) 空気連行剤
JPS6042265A (ja) セメント配合物のスランプ保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