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642B1 -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642B1
KR970003642B1 KR1019940005992A KR19940005992A KR970003642B1 KR 970003642 B1 KR970003642 B1 KR 970003642B1 KR 1019940005992 A KR1019940005992 A KR 1019940005992A KR 19940005992 A KR19940005992 A KR 19940005992A KR 970003642 B1 KR970003642 B1 KR 970003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annealing
degree
grain size
integ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012A (ko
Inventor
다다시 이노우에
기요시 쯔루
가쯔히사 야마우찌
미찌히또 히아사
Original Assignee
엔 케이 케이 코퍼레이션
다이라 다다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케이 케이 코퍼레이션, 다이라 다다아끼 filed Critical 엔 케이 케이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950006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33Aperture pla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스성형시의 균열발생도, {211}결정면의 집적도 및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성형시의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 발생도와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1회 냉간압연공정만으로 된 제1냉간압연율과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와, 2회 냉간압연공정으로 된 제1냉간압연율 및 제2냉간압연율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스성형전 어닐링 조건의 범위를 도시하는 그래프.
본 발명은 컬러음극선관에 사용되는 섀도마스크용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스성형성이 우수한 Fe, Ni 및 Cr를 함유하는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 선명도 TV로의 컬러 텔레비젼의 고품위화에 따라, 색상 변화를 억제하는 섀도마스크용 합금으로 34-38wt.%을 함유하는 Fe-Ni계 합금이 사용되고 있다. 섀도마스크용 재료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저 탄소강과 비교하여, 종래의 Fe-Ni계 합금은 열팽창계수가 상당히 낮다. 따라서, 종래의 Fe-Ni계 합금으로 제조된 섀도마스크는 전자빔으로 가열될 경우에도 열팽창으로 인한 색상 변화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섀도마스크용 합금판 제조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합금잉곳은 연속 주조법 또는 잉곳제조법으로 얻어지며, 합금잉곳은 슬랩빙(slabbing), 열간압연, 냉간압연 및 어닐링 처리되어 합금판으로 가공된다.
그 다음에, 섀도마스크용 합금판은 보통 하기의 공정단계를 거쳐 섀도마스크로 가공된다. (1) 합금판은 섀도마스크용 합금판에서 전자빔의 통과구멍을 형성하도록, 포토에칭된다. 하기에서, 에칭에 의해 구멍이 뚫린 섀도마스크용 합금박판은 "플랫마스크"로 언급된다. (2) 플랫마스크는 어닐링된다. (3) 어닐링된 플랫마스크는 음극선관의 곡면형상으로 프레스된다. (4) 프레스성형된 플랫마스크는 섀도마스크로 조립된 다음에 혹화처리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Fe-Ni계 합금은 종래의 저탄소강보다 강도가 높고 기계적 성질의 면 이방성이 크기 때문에, 1차 냉간압연, 재결정 어닐링 및 다듬질 냉간압연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 섀도마스크용 합금판은 에칭으로 구멍이 뚫린 후에 프레스성형전 어닐링되나, 프레스성형성시에 형상동결성, 합금판의 균열발생 및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발생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며, 이것은 음극선관 제조에 있어서 큰 단점이 된다.
또한, 상술한 Fe-Ni계 합금은 녹을 쉽게 집적하므로, 섀도마스크의 제조공정시에 있어서 수율을 감소시킨다.
종래의 Fe-Ni계 합금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JP-A-3-267320호(JP-A-용어는 일본국 특허공개를 뜻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기술은 종래 기술 1로 언급된다. 종래기술은 1차 냉간압연, 재결정 어닐링, 다듬질 냉간압연 및 연화 어닐링을 사용하는데, 다듬질 냉간압연은 5-20% 압연율로 실시되며, 연화 어닐링의 온도는 800℃보다 낮다. 종래기술 1은 200℃에서 9.5kgf/㎟(10kgf/㎟ 이하)의 0.2% 내력으로, 충분히 낮은 강도를 갖는 판을 제조하여 우수한 프레스성형성을 부여한다.
종래기술 2는 기계적 성질로서 면이방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JP-B-64-52024에 개시되어 있다. 탄성계수의 면이방성이 낮은 섀도마스크용 판을 제조하기 위해서, 냉간압연후에 2회 이상 재결정 어닐링을 반복실시하고, 그 다음에 경도를 증가시키도록 냉간압연을 실시한다. 이 공정에서, 다듬질 냉간압연 이전에 최종 냉간압연을 40-80% 압연율로 실시한다. 섀도마스크용 판은 에칭, 어닐링 및 프레스성형되는 경우에 에칭구멍의 변형이 작고, 불균일한 광택면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프레스성형성시 우수한 균일 성형성을 갖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은 상술한 어닐링조건하에서 강도를 프레스성형성이 양호한 레벨까지 저하시키더라도, 양호한 프레스성형을 실시하는데 요구되는 품질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종래기술에 의해 제조된 섀도마스크용 합금판은 다이에 들러붙고, 섀도마스크 단부에 균열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술한 섀도마스크용 합금판은 종종 합금의 면 이방성이 크기 때문에, 프레스성형 후에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가 형성되므로 품질상의 문제가 있다.
종래기술 2에 있어서, 판의 탄성계수의 면 이방성이 작고, 프레스성형시에 구멍의 변형으로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는 관찰되지 않으나, 프레스성형시에 섀도마스크 단부에 균열이 발생되며 Fe-Ni계 합금의 내식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최근의 컬러 텔레비젼은 컬러수상관의 고 선명화에 따라 색상변화에 대한 더욱 엄밀한 품질규정을 요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의해 제조된 섀도마스크를 사용하는 음극선관은 전자빔 조사시에 부분적인 색상변화를 일으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식성 및 프레스성형성이 우수하고, 프레스성형시에 균열이 발생되지 않고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음극선관으로 사용할 시 색상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섀도마스크용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본 발명은 34-38wt.% Ni, 0.05-3wt.% Cr, 0.1wt.% 이하의 Si, 0.003wt.% 이하의 B, 0.003wt.% 이하의 O, 0.003wt.% 이하의 N 및 Fe 잔여부로 구성되며 ;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가 15-45㎛,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50% 미만이며, 상기 혼합도가 (|0.5Dmax-D|/D)×100(%)의 식으로 나타내어지며(상기 식에서, D는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Dmax는 최대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0.5Dmax-D|는 (0.5Dmax-D)의 절대치이다) ; {331}결정면의 집적도가 35% 이하, {210}결정면의 집적도가 20% 이하,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20% 이하인 합금판을 제공한다.
상기 합금판은 1wt.% 이하의 Co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27-38wt.% Ni, 0.05-3wt.% Cr, 1-7wt.% Co, 0.1wt.% 이하의 Si, 0.003wt.% 이하의 B, 0.003wt.% 이하의 O, 0.003wt.% 이하의 N 및 Fe 잔여부로 구성되며 ;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가 15-45㎛,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50% 미만이며, 상기 혼합도가 (|0.5Dmax-D|/D)×100(%)의 식으로 나타내어지며(상기 식에서, D는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Dmax는 최대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0.5Dmax-D|는 (0.5Dmax-D)의 절대치이다) ; {331}결정면의 집적도가 35% 이하, {210}결정면의 집적도가 20% 이하,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20% 이하인 합금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
(a) Fe, Ni 및 Cr을 함유하는 슬랩을 열간압연 스트립으로 열간압연하는 단계 ;
(b) 상기 열간압연 스트립을 810℃-890℃에서 어닐링하는 단계;
(c) 상기 어닐링된 열간압연 스트립을 81-94% 압연율로 냉간압연판으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
(d) 상기 열간압연판을 재결정 어닐링하는 단계 ;
(e) 재결정 어닐링된 상기 냉간압연판을 14-29% 압연율로 다듬질 냉간압연하는 단계 ;
(f) 다듬질 냉간압연된 상기 냉간압연판을 응력제거 어닐링하는 단계 ; 및
(g) 응력제거 어닐링된 냉간압연판을 프레스성형전에 740-900℃에서 2-40분간 하기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어닐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합금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123 log t+937,
(상기 식에서, T는 어닐링온도(℃)이고 t는 어닐링시간(min.)이다).
또한 본 발명은 :
(a) Fe, Ni 및 Cr을 함유하는 슬랩을 열간압연 스트립으로 열간압연하는 단계 ;
(b) 상기 열간압연 스트립을 810-890℃에서 어닐링하는 단계 ;
(c) 상기 어닐링된 열간압연 스트립을 40-55% 압연율로 냉간압연판으로 냉간압연하는 제1냉간압연단계 ;
(d) 상기 냉간압연판을 어닐링하는 제1재결정 어닐링단계 ;
(e) 재결정 어닐링된 상기 냉간압연판을 81-94% 압연율로 냉간압연하는 제2냉간압연단계 ;
(f) 상기 냉간압연판을 어닐링하는 제2재결정 어닐링단계 ;
(g) 재결정 어닐링된 냉간압연판을 14-29% 압연율로 냉간압연하는 다듬질 냉간압연단계 ;
(h) 다듬질 냉간압연된 상기 냉간압연판을 어닐링하는 응력제거 어닐링단계 ; 및
(i) 응력제거 어닐링된 냉간압연판을 프레스성형전에 740-900℃에서 2-40분간 하기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어닐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합금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
T≥-123 log t+937,
(상기 식에서, T는 어닐링온도(℃)이고 t는 어닐링시간(min.)이다.)
본 발명자들은 프레스형성이 우수하고 부부적인 색상변화를 억제하는 섀도마스크용 Fe-Ni계 합금 및 Fe-Ni-Cr계 합금을 개발하기 위한 광범위한 연구를 한 결과, Fe-Ni계 합금판의 화학조성,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 및 결정방위를 규정범위내로 조정하므로써 상술한 색상변화를 억제하고 동시에 소망하는 프레스가공성이 얻어진다.
B 및 O 함량을 규정범위내로 한정하면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시에 결정입도성장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성장으로 특정한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가 얻어지며, 프레스성형시의 형상동결성을 부여한다. 또한, Si 및 N 함량을 특정범위내로 제한하므로써 프레스성형시 다이에 들러붙는 것이 억제되고 다이와의 적합성이 향상된다.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수의 합금판의 {211}결정면의 집적도를 특정범위내로 하므로써 프레스성형시 재료의 균열발생을 억제한다.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를 소정 범위내로 조정하므로써, 프레스성형시의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 발생을 억제시킨다. 또한,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합금판의 {210} 및 {331} 결정면의 집적도를 소정범위내로 조정하므로써 상술한 색상변화가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금제조공정에 있어서, 열간압연 스트립을 냉간압연전에 소정온도에서 열간압연판 어닐링을 실시하고, 냉간압연 및 다듬질 냉간압연의 각 압연율을 각각 소정범위로 제어하고,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조건을 소정범위내로 제어한다. 합금판 표면에서의 {331}, {210} 및 {211}결정면의 집적도 및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를 소정범위내로 조정한다.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하금판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를 소정범위내로 하기 위해서는, 열간압연판의 어닐링후에 냉간압연을 소정범위내의 압연율로 1회 또는 2회 실시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항을 기초로 하여 안출되었다. 본 발명의 섀도마스크용 Fe-Ni계 합금판 및 Fe-Ni-Co-Cr계 합금판의 화학조성,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및 그 혼합도 및 {331}, {210} 및 {211}결정면의 집적도를 상술한 범위로 한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니켈 :
색상변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섀도마스크용 Fe-Ni계 합금판은 30-100℃의 온도범위에서 평균 열팽창계수의 상한값이 약 2.0×10-6/℃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평균 열팽창계수는 합금판의 Ni 함량에 의존하며, 상기 열팽창계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Ni 함량은 34-38wt.%범위이다. 따라서, 양호한 Ni 함량은 34-38wt.%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열팽창계수를 감소시키는 Ni 함량은 35-37wt.%범위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5.5-36.5wt.%범위이다.
합금이 0.001-1.0wt.% 코발트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평균 열팽창계수의 상한값을 만족시키는 Ni 함량은 34-38wt.%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5-38wt.%이다. 합금이 1.0-7wt.% Co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평균 열팽창계수 조건을 만족시키는 Ni 함량범위는 27-38wt.%이며, Fe-Ni-Co-Cr계 합금 및 Fe-Ni-Cr계 합금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Ni 함량을 30-33wt.%로, Co 함량을 3-6wt.%로 한정하므로써 감소된다.
크롬은 합금의 내식성을 향상시키지만, 열팽창계수를 증가시킨다. 크롬함량이 0.05wt.%미만이면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3wt.%를 초과하면, 본 발명이 규정하는 평균 열팽창계수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Cr 함량의 하한값 및 상한값은 각각 0.05wt.% 및 3.0wt.%로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프레스성형시의 형상동결성을 향상시키고, 합금판의 균열발생을 억제하고, 프레스성형 후의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 발생을 방지시키는데 요구되는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는 온간 프레스성형일 경우에 15-45㎛이다. 결정입도가 15㎛ 미만이면 형상동결성이 불량하고 합금판에 균열을 발생시키며, 한편 45㎛를 초과하면 균열이 발생되고, 프레스성형 후의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가 발생된다. 따라서,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는 15-45㎛로 규정된다.
재료의 균열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를 갖는 동시에 합금판의 {211} 결정면의 집적도를 특정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조건하에서 결정입도 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O 및 B 함량을 소정범위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고, 프레스성형시의 다이와의 적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Si 및 N 함량을 특정범위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기에, 이와 같은 원소 함량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2) 산소 :
산소는 불가피한 불순물 중의 한 원소로서, 산소함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합금에 비금속 산화개재물이 증가된다. 비금속 개재물은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시의 결정입도 성장성,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시, 740-900℃ 및 40분 이하의 조건에서 결정입도 성장성을 저해한다. O 함량이 0.0030wt.%를 초과하면, 결정입도 성장성이 상당히 저해되며,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O 함량의 상한값은 0.0030wt.%로 규정된다.
(3) 붕소 :
붕소는 합금의 열간가공성을 향상시키지만, B가 과잉량 함유되면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시에 형성된 재결정입도의 계면에 B가 편석되어, 입계의 자유이동을 방해한다. 그 결과, 결정입도 성장성이 저해되고,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만족스런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를 얻지 못한다. 특히, 본 발명에 규정되어 있는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조건하에서, 결정입도 성장의 저해작용이 강하고, 이 작용이 모든 결정입자에 대해 균일하게 미치지 않기 때문에 심하게 혼합된 입자조직에 의해 프레스성형시 재료가 불규칙적으로 신장되어,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가 발생된다.
붕소는 또한 재료의 스커트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어닐링후의 {211}결정면의 집적도를 증가시킨다. 붕소함량이 0.0020wt.% 이상이면, 입도성장의 저해작용이 현저해지고,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를 얻을 수 없다. 또한 프레스성형시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가 발생되고,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고 있는 상한값을 초과한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하여, N 함량의 상한값은 0.0030wt.%로 규정된다.
(4) 실리콘 :
실리콘은 합금의 잉곳제조시의 탈산제로서 사용된다. Si 함량이 0.10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Si의 산화막이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시에 합금표면에 형성된다. 산화막은 프레스성형시 합금판과 다이사이의 적합성을 저하시키고, 합금판에 의한 다이의 마손을 일으킨다. 따라서, Si 함량의 상한값은 0.10wt.%로 규정된다. Si 함량을 저감시키므로써 다이와 합금판과의 적합성을 향상시킨다.
(5) 질소 :
질소는 잉곳제조공정시에 불가피하게 합금에 혼입되는 원소이다. 질소함량이 0.0030wt.% 이상이면,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시에 합금표면에 N가 농축되며, 합금표면상에 농축된 N은 프레스성형시 다이와 합금판 사이의 적합성을 저하시켜서 합금판에 의해 다이가 마손된다. 따라서, N 함량의 상한값은 0.0030wt.% 이하로 규정된다.
본 발명의 섀도마스크용 합금은 Fe-Ni-Cr계 및 Fe-Ni-Co-Cr계 합금의 기본조성에 특정량의 O, B, Si 및 N을 함유하며,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가 15-45㎛이며,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50% 이하이며, {211}, {331}, {210}결정면의 집적도가 각각, 20% 이하, 35% 이하, 20%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은 또한 0.0001-0.0040wt.% C, 0.001-0.35wt.% Mn, 0.001-0.05wt.% Cr 및 2.0ppm 이하의 H를 함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조성 및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를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내로 제어하므로써 프레스성형시 합금이 다이에 들러붙는 것을 억제하고 우수한 형상동결성이 얻어진다. 그러나, 프레스성형된 재료에 균열이 발생된다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이 규정하는 화학조성 및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를 갖는 합금판을 사용하여 합금판의 결정입자 방위를 여러방향으로 변화시키므로써 프레스성형시의 균열발생과 결정입자 방위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합금재료의 균열발생을 억제시키는 조건으로서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를 특정값 이하로 제어함과 동시에 {211}결정면의 집적도를 특정값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제1도는 본 발명이 규정하는 화학조성을 갖는 합금판에 있어서, 프레스성형시의 합금판 균열발생, {211}결정면의 집적도 및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211}결정면의 집적도는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합금판의 {422}회절면의 상대 X선 회절강도비를 (111), (200), (311), (331), (420) 및 (422)의 각 회절면의 상대 X선 강도비의 합으로 나누므로써 측정된다. {211}결정면의 집적도의 측정은 {211}결정면과 방위적으로 동등한 {422}회절면의 회절을 측정하므로써 이루어졌다.
상대 X선 회절강도비는 각 회절면에서 측정된 X선 회절강도를 그 회절면의 이론 X선 회절강도로 나눈값으로 정의된다. 예를들면, (111)회절면의 상대 X선 회절강도비는 (111)회절면의 X선 회절강도를 (111)회절면의 이론 X선 회절강도를 나누므로써 얻어진다. 후술되는 {331} 및 {210}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는 (331)회절면 및 (420)회절면({210}결정면과 동일한 방위를 가짐)의 상대 X선 회절강도비를 각각, 상술한(111-(422)의 7개 회절면의 상대 X선 회절강도비의 합으로 나누므로써 얻어졌다.
제1도는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가 15-45㎛이고,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20% 이하인 경우에는 프레스성형시 합금판에 균열을 발생시키지 않고,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를 형성시키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명백히 보여준다.
상술한 사항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합금판의 균열발생을 억제하는 조건으로서 {211}결정면의 집적도를 20% 이하로 규정한다.
상술한 방법에 부가하여,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의 제어는 프레스성형시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 발생을 방지하는데 필요하다. 제2도는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내의 화학조성,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331}, {210} 및 {211}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를 갖는 합금판을 사용하여, 프레스성형 후의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 발생빈도와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이 도면은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50% 이상이면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 발생빈도가 증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프레스성형 후의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발생을 억제시키는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는 50% 이하로 규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 B, Si 및 N 함량의 규정,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및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의 규정, {211}결정면의 집적도의 규정에 의해,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우수한 프레스성형성이 얻어진다.
부분적인 색상변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331}결정면 및 {210}결정면의 집적도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에 있어서, {331} 및 {210}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가 각각 35% 및 20%를 초과하는 경우에, 부분적인 색상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331} 및 {210}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를 각각 35% 이하 및 20% 이하로 규정한다.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331}, {210} 및 {211}결정면의 집적도를 각각 35% 이하, 16%이하 및 2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한 본 합금판의 응고, 열간압연, 냉간압연 및 어닐링 공정시에 {331}, {210} 및 {211}결정면의 집적을 방지하는 합금판 제조조건을 채택한다. 예를들면, 합금을 잉곳제조 및 슬랩빙에 의해 얻어진 슬랩 또는 연속 주조 슬랩으로 제조된 열간압연 스트립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열간압연 스트립을 열간압연판 어닐링, 냉간압연, 재결정 어닐링, 다듬질 냉간압연, 응력제거 어닐링, 프레스성형전 어닐링, 프레스성형 및 혹화처리를 실시한다. 이 공정에서, 열간압연후에 열간압연판을 충분히 어닐링하는 것이 {331}, {210} 및 {211}결정면의 집적을 방지시키는데 유효하다. 특히 열간압연판의 어닐링온도가 810-890℃ 범위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331}, {210} 및 {211}결정면의 집적도는 본 발명의 규정범위 이하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331}결정면의 집적도를 35% 이하, {210}결정면의 집적도를 20% 이하, {211}결정면의 집적도를 20% 이하로 나타내도록 열간압연판의 어닐링온도를 810-890℃로 규정한다.
본 발명의 열간압연판의 어닐링효과는 열간압연 합금스트립이 열간압연판의 어닐링전에 충분히 재결정되는 경우에 달성된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만족스러운 {331}, {210} 및 {211}결정면의 집적도를 얻기 위해서는, 슬랩빙후의 슬랩을 균일하게 열처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예를들면, 균일한 열처리가 1200℃ 이상에서 10시간 이상 실시되는 경우에는 {331}, {210} 및 {211}결정면의 집적도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를 초과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균일한 열처리는 피해야 한다.
또한, 상술한 열간압연 스트립이 제조공정시에 사용될 경우, 냉간압연, 어닐링, 다듬질 냉간압연, 응력제거 어닐링 및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의 모든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331}, {210}, 및 {211}결정면의 집적도를 본 발명의 규정범위로 하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를 본 발명의 규정범위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열간압연판 어닐링후에, 냉간압연 및 어닐링조건의 최적화는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집적도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합금에 대해 열간압연판 어닐링, 냉간압연 및 어닐링의 회수를 1회 실시하였다. 제3도는 냉간 압연율과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열간압연 스트립을 810-890℃에서 열간압연판 어닐링하고, 73-97%의 압연율로 제1냉간압연하고, 재결정하고, 14-29% 압연율로 다듬질 냉간압연하고, 450-540℃에서 0.5-300초간 응력제거 어닐링한 다음에 프레스성형전에 740-900℃에서 2-40분간 어닐링하여 제조된 합금판의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와 제1냉간압연율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제3도에 의하면, 81-94% 냉간압연율을 중간 냉간압연 및 어닐링의 공정이 1회만 실시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50% 이하로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냉간압연율이 81% 이하 또는 94% 이상인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50% 이상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간압연 및 어닐링의 공정이 1회 실시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를 5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냉간압연율을 81-94%로 규정한다.
제4도는 중간 냉간압연·어닐링의 공정을 2회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냉간압연율과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열간압연 스트립을 810-890℃에서 열간압연판 어닐링하고, 35-60% 압연율로 제1냉간압연하고, 재결정 어닐링하고, 75-97% 압연율로 제2냉간압연하고, 재결정 어닐링하고, 14-29% 압연율로 다듬질 냉간압연하고, 450-540℃에서 0.5-300초간 응력제거 어닐링한 다음에, 740-900℃에서 2-40분간 어닐링시간(T)이 T≥-123 log t+937의 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어닐링하여 제조한 합금판의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집적도와, 제1냉간압연율 및 제2냉간압연율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간압연율이 81-94%이고, 제2냉간압연이 40 -55%인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만족스러운 값을 나타낸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냉간압연·어닐링의 공정을 2회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제1냉간압연율을 40-55%로, 제2냉간압연율을 81-94%로 규정한다. 제1및 제2냉간압연후의 재결정 어닐링은 810-840℃에서 0.5-3분간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닐링온도가 재결정 어닐링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라도, 810℃ 이하의 어닐링에서는 결정입자의 혼합조직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에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증가한다. 810-840℃의 온도에서도 0.5분 이하 또는 3분 이상의 어닐링 경우에는 혼합결정 입자조직을 나타낸다. 두 경우는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에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술한 냉간압연·어닐링의 조건이 채택된 경우에는, {331}, {210} 및 {211}결정면의 집적도는 각각, 35% 이하, 20% 이하 및 20% 이하가 된다.
다듬질 냉간압연율이 14-29%에서는 화학조성, 냉간압연·어닐링 및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의 조건이 본 발명의 규정범위내에서 선택되는 경우에는, 얻어진 특성은 다음과 같다 :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가 15-45㎛ ;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50%이하 ;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331}결정면의 집적도가 35% 이하 ; {210}결정면의 집적도가 20% 이하 ;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20%이다. 다듬질 냉간압연율이 14% 미만 또는 29%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특징인 상술한 특성중의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다듬질 냉간압연율은 14-29%로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조건의 최적화는 또한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를 본 발명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5도는 본 발명의 규정범위내의 열간압연판 어닐링·냉간압연·어닐링, 냉간압연율 조건하에서,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 {331}, {210} 및 {211}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 및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어닐링온도(T,℃) 및 시간(t,min)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제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조건 이외의 다른 조건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더라도, 어닐링온도가 T<-123 log t+937의 경우에는,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는 15㎛ 미만이고, {211}결정면의 집적도는 20% 이하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적당하다. 어닐링온도(T)가 9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가 45㎛를 초과하고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20%를 초과하므로 부적당하다. 또한, 어닐링시간(t)이 4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211}, {331} 및 {210}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이 규정범위를 벗어나므로 부적당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규정하는 만족스러운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 및 {331}, {210} 및 {211}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를 얻기 위한 조건은 T : 740-900℃, t : 2-40분 및 T≥-123 log t+937이다. 본 발명의 응력제거 어닐링은 그후에 이어지는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시에 {331}, {210} 및 {211}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응력제거 어닐링은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충분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450-540℃에서 0.5-300초간 실시되어야 한다.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합금판에 대하여 {331}, {210} 및 {211}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를 본 발명의 규정범위내로 한정시키는 방법은 예를들면, 급냉응고법 및 열간가공시의 재결정제어에 의한 집합조직 제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은 포토에칭전에 실시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조건이 본 발명의 규정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만 필요한 포토에칭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예에서 더욱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예-1
표 1에 나타낸 화학조성을 갖는 슬랩 No.1-No.21을 레이들 정련으로 얻은 용강을 연속주조하여 제조하였다. 수소이외의 화학성분은 wt.%로 나타내고, 수소함유량은 표 1에 p.p.m(백만분의 1)로 나타낸다.
[표 1]
연속주조 슬랩을 스카핑한 다음에 가열로에서 1100℃에서 3시간 가열하고 열간압연 스트립을 얻었다. 이 열간 스트립을 860℃에서 열간압연판 어닐링을 실시하고, 93% 냉간압연율로 제1냉간압연하고, 810℃에서 1분간 재결정 어닐링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21% 압연율로 다듬질 냉간압연, 530℃에서 1분간 응력제거 어닐링하여 0.25 mm 두께의 합금판을 얻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합금판을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재료 No.1-No.21은 합금 No.1-No.21에 해당되며, 열간압연후에 충분히 재결정된 상기 열간압연 스트립을 선택하였다.
재료 No.1-No.3, No.5-No.21의 합금판을 에칭에 의해 플랫마스크로 가공한 다음에, 표 2에 나타낸 조건하에서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을 실시한 후, 프레스성형을 실시하였다. 프레스성형판을, 형상동결성, 다이와의 적합성, 재료의 균열발생,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 발생빈도에 대해 표 4에 주어진 평가기준에 따라 조사하였다. 또한, 응력제거 어닐링후에 표 4에 주어진 평가기준에 따라 재료의 내식성을 조사하였다.
[표 2]
상술한 에칭후의 플랫마스크는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가 형성되지 않고 충분한 에칭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에, 각 재료의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 인장특성(n값, r값 및 연신율) 및 {331}, {210} 및 {211}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를 측정하였다. {331}, {210} 및 {211}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는 상술한 X선 회절법에 의해 조사되었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나 있다.
[표 3]
재료 No.4의 합금판을 상술한 조건하에서 응력제거 어닐링후에, 표 2에 주어진 조건하에서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을 실시하고 에칭하여 플랫마스크로 가공한 다음에 프레스성형을 실시하였다. 재료특성은 다른 재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되었다. 부분적인 색상변화는 프레스성형된 섀도마스크를 혹화처리하고, 음극선관으로 조립하고, 전자빔을 소정시간 음극선관에 조사한 다음에 조사되었다. 표 4는 프레스성형성(형상동결성, 다이와의 적합성, 합금판의 균열발생,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 발생빈도), 부분적인 색상변화 및 내식성(점청 발생빈도 : 수/100㎠)의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표 4]
* 평가불가능
1) 평가기준 : ◎ : 매우 양호, ○ : 양호, △ : 약간 불량, × : 불량.
2) 평가기준 : ○ : 아이어닝 기호없이 양호, △ : 아이어닝 기호가 약간 있고 약간 불량, × : 많은 아이어닝 기호가 있고 불량.
3) 내식성은 JISZ2371 기준에 따라 100시간 염 분무시험후에 평가됨.
표4로부터 명백히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이 규정하는 화학조서, {331}, {210} 및 {221} 결정면의 집적도,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및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를 갖는 재료 No.1-No13 및 재료 No.13-1은 부분적인 색상변화없고 프레스가공성이 우수하고, 후술하는 재료 No.16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다. 재료 No.4는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에 에칭되었으며, 이 재료로 제조된 플랫마스크는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가 전혀 발생되지 않고 만족스러운 에칭성을 갖고 있었다. 다른 재료보다 Co를 더 많이 함유하는 재료 No.13-1은 다른 재료와 같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하여, 재료 No.14는 Si 함량이 0.12wt.%, 재료 No.16는 N 함량이 0.0035wt.%로서 본 발명의 상한값을 초과하며, 다이와의 적합성의 면에서 문제를 야기시킨다. 재료 No.15는 O 함량이 0.0035wt.%로서,본 발명이 규정하는 상한값을 초과하고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이하, 단순히 "평균 결정입도"로 언급됨)가 13μm로서, 본 발명의 하한값 미만이므로, 형상동결성이 불량하고, 합금판에 균열을 발생시키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이하, "결정입자의 혼합도"라 함)가 본 발명의 상한값을 초과하기 때문에,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 발생으로 프레스성형성에 문제가 발생된다. 재료 No.16는 Cr가 첨가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예에 비하여 내식성이 현저하게 낮다.
재료 No.17 및 No.18은 B함량이 각각, 0.0035wt.% 및 0.0033wt.%로서, 본 발명의 상한값을 초과하고, 평균 결정입도가 12μm 및 14μm로서 본 발명의 하한값인 15μm 미만이므로 형상동결성이 불량하다. 재료 No.17 및 No.18의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각각 56% 및 63%로, 본 발명의 상한값 이상이므로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를 발생시킨다. 이들 재료의 {211}결정면의 집적도는 각각 30% 및 34%로, 본 발명의 상한값을 초과하기 때문에, 합금판에 균열을 발생시키고 프레스성형성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재료 No.19는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21%로, 본 발명의 상한값을 초과하며, 재료 No.20는 {331}결정면의 집적도가 38%로, 본 발명의 상한값을 초과하므로, 부분적인 생상변화가 발생되어 화질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재로 No.21은 평균 결정입도가 52μm로, 본 발명의 상한값인 45μm을 초과하므로 합금판에 균열 발생시키고,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프레스성형성에 문제를 일으킨다. 재료 No.21은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23%로, 본 발명의 상한값인 20%을 초과하므로, 그 결정방위가 920℃에서 40분간의 프레스성형전 어닐링 조건하에서 평균 결정입도의 증대를 더욱더 강해지게 된다.
상술한 사항으로부터, 화학조성, {331},{210} 및 {211}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 평균 결정입도, 결정입자의 혼합도를 본 발명의 규정범위내로 조정하므로써, 프레스성형성, 화질 및 내식성이 우수한 섀도마스크용 Fe-Ni-Cr계 합금판 및 Fe-Ni-Co-Cr계 합금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예 2]
예 1에 사용된 합금 No.1-No.13 및 No.13-1의 열간압연 스트립을 표 5에 주어진 온도조건하에서 열간압연판 어닐링하고, 표 5에 주어진 압연율로 냉간압연을 실시하였다. CR1열이 비어있다면, CR2에 주어진 압연율로 1회 냉간압연되었음을 의미하고 ; CR1및 CR2의 열이 모두 채워져 있다면, 각 열에 주어진 압연율로 2회 냉간압연되었음을 의미한다.
냉간압연후에, 재료를 810℃에서 1분간 재결정 어닐링하고, 표 5에 주어진 냉간압연율로 다듬질 냉간압연을 실시하고, 530℃에서 0.5초간 응력제어 어닐링을 실시하여 각각 0.25mm 두께의 재료 No.22-No.47의 합금판을 얻었다.
[표 5]
재료 No.22-No.39, No.41, No.42 및 No.44-No.47의 합금판을 에칭하여 플랫마스크로 가공하였다. 그 다음에, 플랫마스크를 표 5에 주어진 조건하에서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을 실시한 후, 프레스성형을 실시하여 표 7에 나타낸 특성인 프레스성형성 및 부분적인 생상변화 발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
* 평가 불가능
이와같은 실험전에,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 {331},{210} 및 {211}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 및 기계적 성질(n값, r값 및 연신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표 7]
상술한 에칭후의 플랫마스크는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가 형성되지 않고 충분한 에칭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재료 No.40 및 No.43의 합금판을 상술한 조건하에서 응력제거 어닐링후에, 표 5에 주어진 조건하에서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을 실시하고 에칭하여 플랫마스크로 가공한 다음에 프레스성형을 실시하였다. 재료특성은 다른 재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되었다.
표 6 및 표 7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이 규정하는 화학조성을 갖고, 열간압연판 어닐링, 제1 및 제2 냉간압연율, 다듬질 냉간압연, 프레스성형전 어닐링(온도 : T, ℃, 시간 : t, min), {331},{210} 및 {211}결정면의 집적도, 평균 결정입도 및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본 발명의 규정밤위내에 있기 때문에, 재료 No.31-No.47은 부분적인 생상변화가 없고 프레스성형성이 우수하다. 재료 No.40 및 No.43은 프레스성형전 어닐링 후에 에칭되었으나, 재료 No.40 및 No.43으로 제조된 플랜마스크는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를 발생시키지 않고 충분한 에칭성을 나타내었다.
Co를 함유하는 재료 No.47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상술한 재료들중에, 재료 No.32, No.35-No.37, No.39, No.43-No.45 및 No.47은 제 1냉간압연율(CR1)을 40-55%로 하여 2회 냉간압연되었으며, 1회 냉간압연된 재료(재료 No.31, No.33, No.34, No.38, No.40-No.42, No.46)보다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낮았다(더 바람직함).
이에 반하여, 재료 No.22는 열간압연판 어닐링 온도가 800℃로, 본 발명의 하한값인 810℃ 미만이며, 재료 No.23은 열간압연판 어닐링 온도가 900℃로, 본 발명의 상한값 이상이고, {210} 및 {211}의 각 결정면의 집적도가 두 재료에서 모두 본 발명의 상한값을 초과한다. 재료 No.22는 부분적인 생상변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화질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고, 재료 No.23은 합금판에 균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프레스성형성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재료 No.24는 냉간압연율이 95%로, 본 발명의 상한값인 94%을 초과하여 1회 냉간압연되며, 재료 No.25는 냉간압연율이 80%로, 본 발명의 하한값인 81%의 미만에서 1회 냉간압연되었다. 두 재료는 각각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59% 및 55%로, 본 발명의 상한값을 초과하므로,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가 발생되어 프레스성형성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재료 No.26은 압연율이 40%로, 본 발명의 상한값인 29%을 초과하여 1회 냉간압연되고, 재료 No.27은 압연율이 12%로, 본 발명의 하한값인 14%의 미만에서 1회 냉간압연되었더. 재료 No.26은 평균 결정입도가 13μm로, 본 발명의 하한값인 15μm 미만이므로, 형상동결성을 저하시켜 합금판에 균열을 발생시킨다. 재료 No.27은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60%로, 본 발명의 상한값인 50%을 초과하므로,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를 발생시킨다. 또한, 재료 No.27은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23%로, 본 발명의 상한값인 20%을 초과하므로 합금판에 균열을 발생시키며,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본 발명의 상한값을 초과하므로, 부분적인 색상변화를 발생시킨다.
재료 No.28은 프레스성형전 어닐링 온도가 920℃로, 본 발명의 상한값인 900℃를 초과하며, 재료 No.29는 프레스성형전 어닐링 시간이 50분으로, 본 발명의 상한값인 40분을 초과하며, 재료 No.30에 관해서는 어닐링 온도(T)가 (T≥-123log t + 937)의 식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재료 No.28은 평균 결정입도가 48μm로, 본 발명의 상한값인 45μm을 초과하므로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를 발생시키며, 또한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25%로, 본 발명의 상한값인 20%를 초과하기 때문에 합금판에 균열을 발생시킨다.
재료 No.29는 {311}결정면의 집적도가 38%로, 본 발명의 상한값인 35%를 초과하므로, 합금판에 균열을 발생시키고 부분적인 색상변화를 발생시킨다.
재료 No.30은 평균 결정입도가 13μm로, 본 발명의 하한값인 15μm를 미만이므로, 형상동결성에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26%로, 본 발명의 상한값인 20%을 초과하므로, 합금판에 균열을 발생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열간압연판 어닐링, 냉간압연, 다듬질 냉간압연율, 프레스성형전 어닐링 조건을 본 발명의 규정범위내로 제어하므로써, 본 발명의 범위내의 화학조성의 경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이 의도하는 프레스성형성 및 화질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에 사용된 재료 No.4, No.40 및 No.43에서 보여준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해 요구되는 프레스성형성을 갖고 부분적인 색상변화가 없는 Fe-Ni-Cr계 및 Fe-Ni-Cr계 합금판으로 제조된 플랫마스크는 투과구멍의 얼룩진 주변부가 발생되지 않으며, 충분한 에칭성을 나타낸다.
예 1 및 예 2에 명백한 바와같이,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20%를 초과하거나, 평균 결정입도가 본 발명의 범위밖에 있는 경우에는 프레스성형전 어닐링후의 연신을, n값 및 r값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며,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증대하고 평균 결정입도가 특정범위밖에 있는 경우에는 이들 값이 감소되어 프레스성형시에 균열을 발생시킬 것이다.

Claims (5)

  1. 34-38wt.% Ni, 0.05-3wt.% Cr, 0.1wt.% 이하의 Si, 0.003wt.% 이하의 B, 0.003wt.% 이하의 O, 0.003wt.% 이하의 N 및 Fe 잔여부로 구성되며 ;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가 15-45μm,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50% 미만이며, 상기 혼합도가 (10.5Dmax-D1/D)×100(%)의 식으로 나타내어지며(상기 식에서, D는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Dmax는 최대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10.5Dmax-D1는 (0.5Dmax-D의 절대치이다) ; {331}결정면의 집적도가 35% 이하, {210} 결정면의 집적도가 20% 이하,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20% 이하인 합금판.
  2. 34-38wt.% Ni, 0.05-3wt.% Cr, 1wt.% 이하의 Co, 0.1wt.% 이하의 Si, 0.003wt.% 이하의 B, 0.003wt.% 이하의 O, 0.003wt.% 이하의 N 및 Fe 잔여부로 구성되며 ;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가 15-45μm,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50% 미만이며, 상기 혼합도가 (10.5Dmax-D1/D)×100(%)의 식으로 나타내어지며(상기 식에서, D는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Dmax는 최대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10.5Dmax-D1는 (0.5Dmax-D의 절대치이다) ; {331}결정면의 집적도가 35% 이하, {210} 결정면의 집적도가 20% 이하,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20% 이하인 합금판.
  3. 27-38wt.% Ni, 0.05-3wt.% Cr, 1-7wt.% 이하의 Co, 0.1wt.% 이하의 Si, 0.003wt.% 이하의 B, 0.003wt.% 이하의 O, 0.003wt.% 이하의 N 및 Fe 잔여부로 구성되며 ;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가 15-45μm,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혼합도가 50% 미만이며, 상기 혼합도가 (10.5Dmax-D1/D)×100(%)의 식으로 나타내어지며(상기 식에서, D는 평균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Dmax는 최대 오스테나이트 결정입도, 10.5Dmax-D1는 (0.5Dmax-D의 절대치이다) ; {331}결정면의 집적도가 35% 이하, {210} 결정면의 집적도가 20% 이하, {211}결정면의 집적도가 20% 이하인 합금판.
  4. (a) 27-38wt.% Ni, 0.05-3wt.% Cr, 0.1wt.% 이하의 Si, 0.003wt.% 이하의 B, 0.003wt.% 이하의 O, 0.003wt.% 이하의 N, 1-7wt.% Co 및 Fe 잔여부를 함유하는 슬랩을 열간압연 스트랩으로 열간압연하는 단계 ; (b) 상기 열간압연 스트립을 810℃~890℃에서 어닐링하는 단계 ; (c) 상기 어닐링된 열간압연 스트립을 81-94% 압연율로 냉간압연판으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 (d) 상기 냉간압연판을 810-840℃로 0.5-3분간 재결정 어닐링하는 단계 ; (e) 재결정 어닐링된 상기 냉간압연판을 14-29% 압연율로 다듬질 냉간압연하는 단계 ; (f) 다듬질 냉간압연된 상기 냉간압연판을 450-540℃로 0.5-300초간 용력제거 어닐링하는 단계 ; 및 (g) 응력제거 어닐링된 냉간압연판을 프레스성형전에 740-900℃에서 2-40분간 하기 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어닐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합금판 제조방법 :
    T≥-123log t + 937
    (상기 식에서, T는 어닐링 온도(℃)이고 t는 어닐링 시간(min)이다.)
  5. (a) 27-38wt.% Ni, 0.05-3wt.% Cr, 1-7wt.% Co, 0.1wt.% 이하의 Si, 0.003wt.% 이하의 B, 0.003wt.% 이하의 O, 0.003wt.% 이하의 N 및 Fe 잔여부를 함유하는 슬랩을 열간압연 스트랩으로 열간압연하는 단계 ; (b) 상기 열간압연 스트립을 810-890℃로 어닐링하는 단계 ; (c) 상기 어닐링된 열간압연 스트립을 40-55% 압연율로 냉간압연판으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 (d) 상기 냉간압연판을 810-840℃로 0.5-3분간 어닐링하는 제1재결정 어닐링하는 단계 ; (e) 재결정 어닐링된 상기 냉간압연판을 81-94% 압연율로 냉간압연하는 제2냉간압연단계 ; (f) 상기 냉간압연판을 810-840℃d에서 0.5-3분간 어닐링하는 제2재결정 어닐링 단계 ; (g) 재결정 어닐링된 냉간압연판을 14-29% 압연율로 냉간압연하는 다듬질 냉간압연단계 ; (h) 다듬질 냉간압연된 상기 냉간압연판을 어닐링하는 응력제거 어닐링 단계 ; 및 (i) 응력제거 어닐링된 냉간압연판을 프레스성형전에 740-900℃에서 2-40분간 하기 식을 만족하는 조건하에서 어닐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합금판 제조방법 :
    T≥-123log t + 937
    (상기 식에서, T는 어닐링 온도(℃)이고 t는 어닐링 시간(min)이다.)
KR1019940005992A 1993-08-27 1994-03-24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KR970003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13001A JP2871414B2 (ja) 1993-08-27 1993-08-27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シャドウマスク用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93-213001 1993-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012A KR950006012A (ko) 1995-03-20
KR970003642B1 true KR970003642B1 (ko) 1997-03-20

Family

ID=1663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992A KR970003642B1 (ko) 1993-08-27 1994-03-24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641866B1 (ko)
JP (1) JP2871414B2 (ko)
KR (1) KR970003642B1 (ko)
CN (1) CN1039544C (ko)
DE (1) DE6940440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7394A (ja) * 1998-04-30 2000-01-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ブラウン管用シャドウマスク
DE19821299A1 (de) * 1998-05-13 1999-11-18 Abb Patent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m Erzeugen von Warmband
FR2811684B1 (fr) * 2000-07-13 2002-08-30 Imphy Ugine Precision Bande en alliage fe-ni ou fe-ni-co ou fe-ni-co-cu a decoupabilite amelioree
JP2002038239A (ja) * 2000-07-24 2002-02-06 Yamaha Metanikusu Kk 磁気歪制御型合金板及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ブラウン管用部品並びに磁気歪制御型合金板の製造方法
JP6186043B1 (ja) * 2016-05-31 2017-08-23 日本冶金工業株式会社 Fe−Ni−Cr合金、Fe−Ni−Cr合金帯、シーズヒーター、Fe−Ni−Cr合金の製造方法及びシーズヒーターの製造方法
CN112322993A (zh) * 2020-11-19 2021-02-05 苏州钿汇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超薄铁镍合金材料及其制造方法
CN113215494B (zh) * 2021-05-07 2022-01-28 西安钢研功能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航空用因瓦合金板材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3746A (ja) * 1984-11-07 1986-05-31 Nippon Mining Co Ltd シヤドウマスク材
JPS61113747A (ja) * 1984-11-07 1986-05-31 Nippon Mining Co Ltd シヤドウマスク材
DE3636815A1 (de) * 1985-11-12 1987-05-14 Nippon Mining Co Schattenmask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ttenmasken
JPS63259054A (ja) * 1987-04-16 1988-10-26 Nippon Mining Co Ltd シヤドウマスク
JPH03197645A (ja) * 1989-12-26 1991-08-29 Nippon Mining Co Ltd リードフレーム材
JPH0610323B2 (ja) * 1990-04-21 1994-02-09 東洋鋼鈑株式会社 低熱膨張型シャドウマスク用素材およびその製造法
US5308723A (en) * 1992-01-24 1994-05-03 Nkk Corporation Thin metallic sheet for shadow mask
EP0561120B1 (en) * 1992-01-24 1996-06-12 Nkk Corporation Thin Fe-Ni alloy sheet for shadow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431A (zh) 1995-03-01
JPH0762496A (ja) 1995-03-07
KR950006012A (ko) 1995-03-20
EP0641866B1 (en) 1997-07-23
CN1039544C (zh) 1998-08-19
EP0641866A1 (en) 1995-03-08
JP2871414B2 (ja) 1999-03-17
DE69404403T2 (de) 1997-12-18
DE69404403D1 (de) 199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50356B2 (en) Method for producing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s or strips containing aluminum
KR970003642B1 (ko)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JPH05214492A (ja) 焼鈍時の密着焼付防止性およびガス放散性に優れたFe−Ni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739992B1 (en) Alloy sheet for shadow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5562783A (en) Alloy sheet for shadow mask
KR970003641B1 (ko) 섀도 마스크용 합금판
JP2870399B2 (ja) 加工性に優れたカラー受像管用Fe−Ni系合金薄板およびFe−Ni−Co系合金薄板
JP3505055B2 (ja) シャドウマスク用鋼板、シャドウマスク及び受像管
US5637161A (en) Method of producing an alloy sheet for a shadow mask
US552295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lloy sheet
JP3353321B2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シャドウマスク用Fe−Ni合金薄板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シャドウマスク用Fe−Ni合金薄板
JP3327903B2 (ja) Fe−Ni系シャドウマスク用材料
US20040238076A1 (en) Fe-ni based alloy for shadow mask raw material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and shadow mask material
JP3538850B2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シャドウマスク用Fe−Ni合金薄板およびFe−Ni−Co合金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26897B2 (ja) シャドウマスク用Fe−Ni系合金薄板
JP3042273B2 (ja) 耐銹性に優れたICリードフレーム用Fe−Ni 系合金薄板の製造方法
JP3079897B2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カラー受像管用Fe−Ni系合金薄板およびFe−Ni−Co系合金薄板とその製造方法
JP3367147B2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シャドウマスク用Fe−Ni系合金薄板およびFe−Ni−Co系合金薄板とその製造方法
JP3367153B2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シャドウマスク用Fe−Ni−Cr系合金薄板及びFe−Ni−Co−Cr系合金薄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H108213A (ja) スジムラ特性に優れたFe−Ni系シャドウマスク薄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58229A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シャドウマスク用Fe−Ni系合金薄板およびFe−Ni−Co系合金薄板
JP3327902B2 (ja) Fe−Ni系シャドウマスク用材料
JPH07268557A (ja) 黒化処理性に優れたシャドウマスク用Fe−Ni系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204129A (ja) シヤドウマスクの製造方法
JPH05195160A (ja) 黒化処理性に優れたシャドウマスク用Fe−Ni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