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406B1 -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406B1
KR970000406B1 KR1019930010531A KR930010531A KR970000406B1 KR 970000406 B1 KR970000406 B1 KR 970000406B1 KR 1019930010531 A KR1019930010531 A KR 1019930010531A KR 930010531 A KR930010531 A KR 930010531A KR 970000406 B1 KR970000406 B1 KR 970000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rolling
hot
transformation point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821A (ko
Inventor
사이지 마츠오카
히데타카 가와베
에이코 야스하라
케이 사카타
도시유키 가토
Original Assignee
가와사키 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도사키 시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5631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7000040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4147606A external-priority patent/JP30439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7607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16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147488A external-priority patent/JP30439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291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9484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9198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9086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0187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96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5010858A external-priority patent/JP314297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키 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도사키 시노부 filed Critical 가와사키 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냉연판의 r값, 인장강도(TS) 및 신장(E1)에 미치는 열연온도 및 열연시의 윤활유무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2도는 냉연판의 r값, 인장강도(TS) 및 신장(E1)에 미치는 Nb함유량의 영향을 C와의 원자량비로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3도는 냉연판의 r값, 인장강도(TS) 및 신장(E1)에 미치는 A1 함유량의 영향을 N과의 원자량비로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4도는 냉연판의 r값에 미치는 Si, Mn, P함유량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5도는 냉연판의 인장강도(TS)에 미치는 Si, Mn, Ni함유량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6도는 냉연판의 r값에 미치는 Si, Mn, Ni함유량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7도는 냉연판의 r값에 미치는 열연판가열속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8도는 냉연판의 항복강도비(YR)에 미치는 열연판어닐링조건의 영향을 어닐링온도와 어닐링시간의 곱으로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9도는 냉연판의 r값에 미치는 냉각온도차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10도는 냉연판의 r값에 미치는 냉각속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11도는 냉연판의 r값, 인장강도(TS) 및 신장(E1)에 미치는 열간조압연 및 열간마무리압연의 압하배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강판 등의 용도에 유용한 심인발성 및 연성이 뛰어난 동시에 고강도인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근래 자동차의 보급에 동반하여 자동차에 사용되는 냉연강판에도 여러 가지 요구가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연료소비량을 적게 하기 위해 차체중량을 경감하고 승객의 안정성확보를 꾀하기 위해 인장강도가 35∼65㎏f/㎟와 같은 보다 고강도의 강판을 이용하려는 경향이 급속히 높아져 왔다.
한편 자동차의 패널 등에 사용되는 냉연강판에는 그 특성으로써 뛰어난 심인발성이 요구된다. 심인발성 향상을 위해서는 강판의 기계적 특성으로써 높은 r값(랭크포드값)과 높은 연성(E1)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 차체의 조립은 다수의 프레스부품을 각각 스폿용 접하고 있지만 최근 이들 부품의 일부를 대형화, 일체화함에 따라 부품점수, 용접수를 줄이고자 하는 요청이 높아져 왔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오일팬은 그 복잡한 형상때문에 용접을 실시하여 마무리시키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자동차 메이커에 의한 일체성형화의 요구는 강하다. 또한 다양화하는 용구에 따르기 위해 차의 디자인은 보다 복잡화 되고 그 때문에 종래의 강판으로는 성형이 곤란한 부품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요구에 따르기 위해서는 종래보다도 훨씬 뛰어난 심인발성을 갖는 냉연강판이 필요하게 되어 왔다.
이와 같이 고강도의 강판이어도 프레스성형시에는 뛰어난 심인발성을 나타내는 것이 요구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따라서 보다 고강도인 동시에 종래강과 비교해도 동등이상의 높은 r값과 뛰어난 연성을 갖춘 강판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전되고 있다.
종래 이들 특성을 만족하고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이 몇 가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소 64-29325호 공보는 Ti-Nb에 적절히 B를 함유하는 극저탄소강을 페라이트역으로 열간압연후 재결정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냉연강판을 실시하며, 또한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하는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높은 r값은 얻어지지만 고용강화원소인 Si, Mn, P함유량이 각각 0.4wt%이하, 0.52wt%이하, 0.023wt% 이하로 낮기 때문에 인장강도가 35kgf/㎟이상인 고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인장강도가 35kgf/㎟ 이상의 고강냉연강판의 제조 방법을 시사하는 것도 없다.
일본 특개평 3-199312호 공보는 극저탄소 Ti첨가강에 적절히 B를 함유하는 강을 페라이트역으로 열간압연후 냉간연압을 실시하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을 실시하는 고강도 냉연강판이 제조방법의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Ti을 다량 첨가하고 열연판재결정처리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얻어지는 r값은 낮고 인장강도와 r값의 곱(TS×r)은 105미만이며 충분한 심인발성을 갖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을 유리하게 해결하려는 것으로 강의 성분조성 및 제조조건을 한정함에 따라 종래 보다도 훨씬 뛰어난 심인발성을 갖는 동시에 연성도 뛰어난 인장강도가 35kgf/㎟ 이상인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명자들이 심인발성 및 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강의 성분조성 및 제조조건을 한정함에 따라 종래보다도 훨씬 뛰어난 심인발성 및 연성을 갖는 인장강도 35kgf/㎟ 이상인 고강도냉연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한 것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1) r값의 악화없이 TS≥35kgf/㎟ 의 고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Si, Mn, P의 함유량의 관계를 규정하고 있는 것,
(2) r값을 약화시키는 (Fe, Ti)P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Ti를 무첨가, 또는 고용 Ti량을 P함유량에 의해 규정하고 있는 것,
(3) 또한 (1)(2)의 성분조성강의 압연조건 및 어닐링조건을 규정하고 있는 것,
(4) 상기 (1)(2)(3)에 의해 r값(랭크포드값)과 TS(인장강도 : kgf/㎟)의 곱이 105 이상인 고강도냉연강판을 얻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하기와 같다.
C : 0.01% 이하, Si : 0.1∼2.0%, Mn : 0.5∼3.0%, P : 0.02∼0.2%, S : 0.5% 이하
Al : 0.03∼0.2%, N : 0.01% 이하, Nb : 0.001∼0.2%, B : 0.0001∼0.008%를 함유하며,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다음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과 잔부(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감소재에,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역으로 윤활을 실시하면서 합계 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압연가공을 실시한 후 권취, 또는 어닐링 공정으로 열연판재결정처리를 실시하고 다음으로 압하율 50∼95%의 냉간압연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700∼950℃의 온도역으로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으로써 상기 기본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을 정도로 여러 가지 원소를 첨가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개선된 강을 얻을 수 있다.
그밖의 본 발명의 구성은 변형실시예와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확실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개발하는 기초가 된 연구결과에 대하여 서술한다.
C : 0.002%, Si : 1.0%, Mn : 1.0%, P : 0.001%, S : 0.005%, Al : 0.05%, N : 0.002%, Nb : 0.03%, B : 0.0010%인 조성의 슬래브를 1150℃에서 가열-균열 후 열연마무리온도 620∼980℃의 열간압연을 실시했다. 냉연-어닐링후의 r값, TS 및 E1에 미치는 열연온도 및 윤활의 영향을 제1도에 나타낸다.
제1도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냉연-어닐링후의 r값, E1은 열연온도 및 윤활에 의존하고 열연온도를 Ar3변태점 이하인 동시에 윤활압연으로 함에 따라 높은 r값과 높은 E1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C : 0.002%, Si : 1.0%, Mn : 1.0%, P : 0.05%, S : 0.005%, Al : 0.05%, N : 0.002%, Nb : 0.1∼0.10%, B : 0.0010%인 조성의 슬래브를 1150℃에서 가열-균열 후 열연마무리온도 700℃의 윤활압연을 실시했다. 계속해서 열연판을 750℃-5hr에서 재결정어닐링 후 75%에서 냉간압연을 실시한 후 890℃-20S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했다. 냉연-어닐링후의 r값, TS 및 E1에 미치는 강성분의 영향을 제2도에 나타낸다. 제2도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냉연-어닐링후의 r값, E1은 강성분에 의존하고
5≤Nb/C≤30
으로 함에 따라 높은 r값과 높은 E1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C : 0.002%, Si : 1.0%, Mn : 1.0%, P : 0.05%, S : 0.005%, Al : 0.01∼0.02%, N : 0.002%, Nb : 0.03%, B : 0.0010%인 조성의 슬래브를 1150℃에서 가열-균열 후 열연마무리온도 700℃의 윤활압연을 실시했다. 계속해서 열연판을 750℃-5hr에서 재결정어닐링 후 75%에서 냉간압연을 실시한 후 890℃-20s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했다. 냉연-어닐링후의 r값, TS 및 E1에 미치는 강성분의 영향을 제3도에 나타낸다. 제3도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냉연-어닐링후의 r값, E1은 강성분에 의존하고,
10≤Al/N≤80
으로 함에 따라 높은 r값과 높은 E1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C : 0.002%, Si : 0.∼1.5%, Mn : 0.5∼3.0%, P : 0.02∼0.20%, S : 0.005%, Al : 0.05%, N : 0.002%, Nb : 0.03%, B : 0.0030%인 조성의 슬래브를 1150℃에서 가열-균열 후 열연마무리온도 700℃의 윤활압연을 실시했다. 계속해서 열연판을 850℃-20s에서 재결정어닐링 후 75%에서 냉간압연을 실시한 후 890℃-20s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했다. 냉연-어닐링후의 r값에 미치는 Si, Mn, P첨가량의 영향을 제4도에 나타낸다. 제4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냉연-어닐링후의 r값은, Si, Mn, P첨가량에 의존하고,
16≤(3×Si/28+200×P/31)(Mn/55)≤40
으로 함에 따라 높은 r값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C : 0.002%, Si : 0.5∼2.0%, Mn : 0.5∼2.0%, Mn : 0.5∼3.0%, P : 0.02∼0.15%, S : 0.005%, Al : 0.05%, N : 0.002%, Ni : 0.1∼1.5%, Nb : 0.025%, 및 B : 0.003wt%인 성분조성이 되는 강슬래브를 1150℃에서 가열-균열 후 열간압연을 마무리온도 700℃의 윤활압연으로 실시했다. 계속해서 얻어진 열연판을 850℃, 20초, 가열속도 10℃/s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한 후 압하율 75%의 냉간압연을 실시한 후 850℃, 20초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했다. 이렇게 얻어진 냉연강판의 인장강도(TS)에 미치는 강성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제5도에 나타낸다. 제5도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X=2×Si+Mn+20×P+Ni≥6으로 함에 따라 TS≥50kgf/㎟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C : 0.002wt%, Si : 1.0∼2.0wt%, Mn : 1.5∼3.0wt%, P : 0.05∼0.15wt%, S : 0.005wt%, Al : 0.050wt%, N : 0.002wt%, Ni : 0.1∼1.5wt%, B : 0.003wt%, Nb : 0.025wt% 및 X=2×Si+Mn+20×P+Ni≥6의 성분조성이 되는 강슬래브를 1150℃에서 가열-균열 후 열간압연을 마무리온도 700℃의 윤활압연으로 실시했다. 계속해서 열연판을 850℃, 20초, 가열속도 10℃/s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한 후 압하율 75%의 냉간압연을 실시한 후 850℃, 20초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했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냉연강판의 r값에 미치는 강성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제6도에 나타낸다. 제6도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Y=(2×Si/28+P/31)/(Mn/55+0.5×Ni/59), Y=2.0∼3.5로 함에 따라 r값≥2.0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C : 0.002wt%, Si : 1.5wt%, Mn : 2.0wt%, P : 0.10wt%, S : 0.005wt%, Al : 0.050wt%, N : 0.002wt%, Ni : 0.5wt%, B : 0.003wt%, Nb : 0.025wt%, X=2×Si+Mn+20×P+Ni≥7.5 및 Y=(2×Si/28+P/31)/(Mn/55+0.5×Ni/59)=2.7의 성분조성이 되는 강슬래브를 1150℃에서 가열-균열한 후 열간압연을 마무리온도 700℃의 윤활압연으로 실시했다. 계속해서 얻어진 열연판을 균열조건 850℃, 20초, 가열속도 0.01∼30℃/s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한 후 압하율 75%의 냉간압연을 실시한 후 850℃-20초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냉연강판의 r값에 미치는 가열속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제7도에 나타낸다. 제7도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r값은 열연판가열속도에 의존하고 가열온도≥1℃/s에서 r값≥2.0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C : 0.002%, Si : 1.0%, Mn : 1.5%, P : 0.03%, S : 0.005%, Al : 0.05%, N : 0.002%, Nb : 0.03%, B : 0.0020%인 조성의 슬래브를 1150℃에서 가열-균열 후 열연마무리온도 700℃의 윤활압연을 실시했다. 계속해서 열연판을 어닐링온도 600∼800℃, 어닐링시간 0.5∼20시간으로 재결정어닐링 후 75%에서 냉간압연을 실시한 후 890℃-20s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했다. 냉연-어닐링후의 항복강도비 : YR(YS/TS×100)에 미치는 열연판어닐링조건의 영향을 제8도에 나타낸다. 제8도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냉연-어닐링후의 YR은 열연판어닐링조건에 의존하고 어닐링온도 : T(℃)와 어닐링시간 : t(hr)을 T×t≥3800으로 함에 따라 낮은 항복강도비가 얻어지는 것을 알았다.
또한 C : 0.002%, Si : 1.01%, Mn : 1.05%, P : 0.051%, Al : 0.05%, N : 0.002%, Nb : 0.025%, B : 0.003%인 조성의 슬래브를 1150℃에서 가열-균열 후 열연개시온도 : 920℃, 열연마무리온도 : 700℃로 일정해지도록 윤활압연을 실시했다. 이때 패스간 냉각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라 Ar3변태점(≒870℃)을 포함하는 온도역에서의 냉각속도를 50℃/초로 일정하게 하고 냉각온도만을 변화시켰다. 계속해서 열연판에 750℃-5hr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한 후, 압하율 : 75%의 냉간압연을 실시한 후 850℃-20초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했다. 최종어닐닝후의 r값에 미치는 Ar3변태점 전후의 냉각온도의 영향을 제9도에 나타낸다. 어닐링후의 r값은 Ar3변태점 전후의 냉각온도에 강하게 의존하고 Ar3변태점 전후의 냉각온도를 30℃ 이상으로 함에 따라 높은 r값이 얻어졌다.
또한 C : 0.002%, Si : 1.03%, Mn : 1.09%, P : 0.05%, S : 0.007%, Al : 0.05%, N : 0.002%, Nb : 0.025%, B : 0.002%인 조성의 슬래브를 1150℃에서 가열-균열 후 열연개시온도 : 930℃, 열연마무리온도 700℃로 일정해지도록 윤활압연을 실시했다. 이때 패스간 냉각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라 Ar3변태점(≒870℃)을 포함하는 온도역에서의 냉각온도를 50℃로 일정하게 하고 냉각속도만을 변화시켰다. 계속해서 열연판에 750℃-5hr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한 후 압하율 : 75%의 냉간압연을 실시한 후 850℃-20초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했다. 최종 어닐링후의 r값에 미치는 Ar3변태점 전후의 냉각속도의 영향을 제10도에 나타낸다. 어닐링후의 r 값은 Ar3변태점 전후의 냉각속도에 강하게 의존하고 Ar3변태점 전후의 냉각속도를 20℃/초 이상으로 함에 따라 높은 r값이 얻어졌다.
C : 0.002%, Si : 0.9%, Mn : 1.1%, P : 0.05%, S : 0.005%, Al : 0.05%, N : 0.002%, Nb : 0.032%, B : 0.0010%인 조성의 슬래브를 1150℃에서 가열-균열 후 Ar3변태점 이상에서 조 압연후 열연마무리온도 700℃의 윤활압연을 실시했다. 계속해서 열연판을 750℃-5hr에서 재결정어닐링 후 75%에서 냉간압연을 실시하여 판두께 0.7㎜로 한후 850℃-20s의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했다. 냉연-어닐링후의 r값, TS 및 E1에 미치는 조 압연 및 마무리압연 압하배분의 영향을 제11도에 나타낸다. 냉연-어닐링후의 r값, E1은 (조압연압하율)/(마무리 압연압하율)에 의존하고 (마무리 압연압하율)/(조압연압하율)=0.8∼1.2로 함에 따라 높은 r값과 높은 E1이 얻어지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자들은 이상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하와 같이 발명범위를 한정했다.
(1) 강성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강성분은 가장 중요하며 상기한 성분조성 범위를 만족하지 않으면 뛰어난 심인발성 및 고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하여 범위를 한정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a) C : 0.01wt% 이하
C는 적으면 적을수록 인발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그 함유량이 0.01wt% 이하에서는 그다지 악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0.01wt% 이하로 한정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8wt% 이하지만 0.001wt% 미만으로 함에 따라 연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b) Si : 0.1∼2.0wt%
Si는 강을 강화하는 작용이 있으며 소망의 강도에 따라서 필요량을 함유시키는 것이다. 그 함유량이 2.0wt%를 넘으면 심인발성 및 표면성 상태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2.0wt% 이하로 한정했다. 또한 상기한 작용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0.1wt% 이상을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c) Mn : 0.5∼3.0wt%
Mn은 강을 강화하는 작용이 있으며 소망의 강도에 따라서 필요량을 함유시키는 것이다. 그 함유량이 3.0wt%를 넘으면 심인발성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3.0wt% 이하로 한정했다. 또한 상기한 작용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0.5wt% 이상을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d) Nb : 0.001∼0.2wt%
Nb는 본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원소이며 강속의 고용(C)를 탄화물로써 석출고정시켜서 감소시키고 심인발성에 유리한 {111}방위를 우선적으로 형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Nb를 함유시킴에 따라 마무리 압연조직이 미세화하고 열연판어닐링 후에 심인발성에 유리한 {111}방위를 우선적으로 형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 함유량이 0.001wt%에 미치지 않으면 효과가 없고 한편 0.2wt%를 넘어서 함유시켜도 효과의 향상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연성의 악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0.001∼0.2wt%로 한정했다.
(e) B : 0.0001∼0.008wt%
B는 내 2차 가공취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함유시킨다. 그 함유량이 0.0001wt%에 미치지 않으면 효과가 없고 , 한편 0.008wt%를 넘어서 함유시키면 심인발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0.0001∼0.008wt%로 한정했다.
(f) Al : 0.03∼0.20wt%
Al은 본 발명에서 중요한 성분이며 강속의 고용(N)를 질화물로써 석출고정시켜서 감소시키고 심인발성에 유리한 {111}방위를 우선적으로 형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 함유량이 0.03wt%에 미치지 않으면 그 효과가 없고, 한편 0.2wt%를 넘어서 함유시켜도 효과의 향상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연성의 악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0.03∼0.2wt%로 한정했다.
(g) P : 0.02∼0.20wt%
P는 강을 강화하는 작용이 있으며 소망의 강도에 따라서 필요량을 함유시키는 것이지만 그 함유량이 0.02%에 미치지 않으면 강도증가의 효과가 없고, 한편 0.20wt%를 넘어서 함유시켜도 효과의 향상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심인발성의 악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0.02∼0.20wt%로 한정했다.
(h) S : 0.05wt% 이하
S는 적으면 적을수록 심인발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그 함유량이 0.05% 이하에서는 그다지 악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0.05wt%로 한정했다.
(i) N : 0.01wt% 이하
N는 적으면 적을수록 심인발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함유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함유량이 0.01% 이하에서는 그다지 악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0.01wt%로 한정했다.
(j) 본 발명에서는 상기 C 및 Nb를 각 함유량 C 및 Nb가 다음식
5≤Nb/C≤3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Nb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강속의 고용(C)를 탄화물로 석출고정시켜서 감소시키고 심인발성에 유리한 {111}방위의 결정입자를 우선적으로 형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 Nb/C가 5에 미치지 않으면 강속에 고용(C)가 다량으로 잔류하기 때문에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한편 Nb/C 가 30을 넘으면 강속에 고용(Nb)가 다량으로 존재하게 되고 그 때문에 열연판어닐링중에 Nb 인화물이 형성되고 열연판에 {111}재결정 집합조직이 형성되지 있으며 그 때문에 그후의 냉연-어닐링에 의해서도 r값의 향상을 바랄 수 없다. 따라서 5≤Nb/C≤30으로 한정했다.
(k) 본 발명에서는 상기 Al 및 N 을 각 함유량 Al 및 N이 다음식
10≤Al/N≤8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Al은 상기한대로 강속의 고용 N을 질화물로서 석출고정시켜서 감소시키고 심인발성에 유리한 {111}방위의 결정입자를 우선적으로 형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 Al/N이 10에 미치지 않으면 강속에 고용(N)가 다량으로 잔류하기 때문에 상기 효과가 없고, 한편 Al/N이 80을 넘으면 반대로 연성의 악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10≤Al/N≤80으로 한정했다.
(l) 본 발명에서는 상기 Si, Mn 및 P를 각 함유량 Si, Mn 및 P가 다음식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Si, Mn 및 P는 상기한대로 고용강화원소로써 고강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Si 및 P는 페라이트 안정화원소이며, 한편 Mn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원소이기 때문에 양자의 원소를 밸런스 좋게 함유시킴에 따라 변태온도를 조정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에 (3×Si/28+200×P/31)/(Mn/55)이 16에 미치지 않으면 변태온도가 지나치게 저하하고, 한편, (3×Si/28+200×P/31)/(Mn/55)가 40을 넘으면 변태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역으로 열연판을 미세화 시키는 동시에 페라이트역으로 가공변형을 축적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16≤(3×Si/28+200×P/31)/(Mn/55)≤40으로 한정했다.
(m) Mo : 0.01∼1.5wt%
Mo는 강을 강화하는 작용이 있으며 소망의 강도에 따라서 함유시키는 것이다. 그 함유량이 0.01wt%에 미치지 않으면 효과가 없고, 한편 1.5wt%를 넘으면 심인발성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0.01∼1.5wt%로 한정했다.
(n) Cu : 0.1∼1.5wt%
Cu는 강을 강화하는 작용이 있으며 소망의 강도에 따라서 함유시키는 것이다. 그 함유량이 0.1wt%에 미치지 않으면 효과가 없고, 한편 1.5%를 넘으면 심인발성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0.1∼1.5wt%로 한정했다.
(o) Ni : 0.1∼1.5wt%
Ni는 강을 강화하는 작용이 있는 동시에 Cu함유시의 강판표면성 상태 개선효과가 있다. 그 함유량이 0.1wt%에 미치지 않으면 효과가 없고, 한편 1.5wt%를 넘으면 심인발성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0.1∼1.5wt%로 한정했다.
(p) 또한 상기 기본성분조성강이 Si : 1.0∼2.0wt%, Mn : 1.5∼3.0wt%, P : 0.05∼0.2wt%, Ni : 0.1∼1.5wt%를 함유하는 동시에
2×Si+20×P+Ni≥6
2.0≤(2×Si/28+P/31)/(Mn/55+0.5×Ni/59)≤3.5
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 Mn, P 및 Ni는 상기한대로 고용강화원소로써 고강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TS≥50kgf/㎟의 고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2×Si+20×P+Ni≥6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Si, Mn, P 및 Ni를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Si 및 P는 페라이트 안정화원소이며, 한편 Mn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원소이기 때문에 양자의 원소를 밸런스 좋게 함유시킴에 따라 변태온도를 조정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에 (2×Si/28+P/31)/(Mn/55+0.5×Ni/59)가 2.0에 미치지 않으면 변태온도가 지나치게 저하하고, 한편, (2×Si/28+P/31)/(Mn/55+0.5×Ni/59)가 3.5를 넘으면 변태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역으로 열연판을 미세화시키는 동시에 페라이트역으로 가공변형을 축적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2×Si+Mn+20×P+Ni≥6인 동시에 2.0≤(2×Si/28+P/31)/(Mn/55+0.5×Ni/59)≤3.5로 한정했다.
(q) 또한 상기 기본조성 강이 Ti : 0.005∼0.06wt%를 함유하는 동시에 48×(Ti/48=N/14-S/32)×P≤0.0015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는 인화물 형성원소이며 고용(Ti)가 다량으로 존재하면 열연판어닐링중에 Ti 인화물이 다수 석출되고 열연판에 {111}재결정 집합조직이 형성되지 않으며 그 때문에 그 후의 냉연-어닐링에 의해서도 r값이 향상을 바랄 수 없다. 여기에 48×(Ti/48=N/14-S/32)×P가0.0015를 넘으면 Ti는 인화물의 석출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r값이 악화되어 48×(Ti/48=N/14-S/32)×P≤0.0015로 한정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제조공정에 대하여 한정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2) 열연공정
열간압연공정은 본 발명에서 중요하며 Ar3변태점 이하 500℃이상의 온도역으로 윤활을 실시하면서 합계압하률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압연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Ar3변태점보다 높은 온도역에서는 아무리 압연을 실시해도 γ-α변태에 의해 집합조직이 불규칙화하기 때문에 열연판에 {111}집합조직이 형성되지 않고 그 때문에 냉연-어닐링후에는 낮은 r값 밖에 얻을 수 없다. 한편 500℃ 미만으로 압연온도를 저하해도 더욱 높은 r값의 향상은 바랄 수 없고 압연하중이 증대할 뿐이기 때문에 압연온도는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으로 한정했다. 이 압연의 압하율은 50%에 미치지 않으면 열연판에 {111}집합조직이 형성되지 않고, 한편 95%를 넘으면 열연판에 r값에 바람직하지 않은 집합조직이 형성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50% 이상 95% 이하로 한정했다. 또한 관련되는 Ar3변태점 이하의 압연을 무윤활압연으로 하면 롤과 강판사이의 마찰력에 기인하는 선단변형에 의해 심인발성에 바람직하지 않은 {110}방위의 결정입자가 강판표면층부에 우선적으로 형성되고 r값의 향상을 바랄 수 없기 때문에 심인발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윤활압연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 상기 압연에 있어서의 롤직경, 롤의구조, 윤활제의 종류 및 압연기의 종류는 임의로 설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압연전의 공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연소재에 대해서는 연속주조슬래브를 재가열, 또는 연속주조후 Ar3변태점 이하로 강온하는 일 없이 즉시, 또는 보온처리한 것을 조압연으로 시트바로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또 상기의 압연을 마무리 온도가 Ar3변태점 이상인 열간조압연에 계속해서 실시해도 좋다. 이러한 조압조건으로써는 마무리 압연전의 조직이 미세화를 목적으로 조압연종료온도를 (Ar3변태점-50℃)∼(Ar3 변태점+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간압연공정을 이하와 같이 실시해도 좋다. 즉 Ar3변태점 이상에서 마무리 압연을 개시하는 것, 그리고 그 압연도중에 압연가공을 실시하는 일 없이 냉각속도 : 20℃/s이상, Ar3변태점을 통과하는 냉각온도차 : 30℃ 이상의 냉각을 실시한후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역으로 윤활을 실시하면서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압연가공을 실시하는 것이다. 마무리 압연개시온도는 Ar3변태점 이상으로 하지만 이 온도보다 낮으면 마무리 압연으로 γ입자의 미세화를 실시할 수 없고 그 결과 열연판에 {111}집합조직이 형성되지 않아서 그 때문에 낮은 r값 밖에 얻을 수 없다.
또한 Ar3변태점 이상에서 마무리 압연을 개시한 후 그 압연 도중에서 압연가공을 실시하는 일 없이 냉각속도 : 20℃/초이상, 냉각온도 : 30℃ 이상에서 Ar3변태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만 이와 같은 냉각을 실시하지 않으면 Ar3변태점 이상의 압연으로 미세화한 γ입자가 다시 거칠어지기 때문에 열연판에 {111}집합조직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한 실험결과에 명백한 바와 같이 낮은 r값 밖에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Ar3변태점을 통과하는 냉각은 마무리 압연기군의 중간의 스탠드간, 또는 1 내지 3스탠드간에서 실시할 수 있다.
Ar3변태점을 통과하는 냉각후의 압연온도는 Ar3변태점 이상의 온도역에서는 아무리 압연해도 γ-α변태에 의해 집합조직이 불규칙화하기 때문에 열연강판에 {111}집합조직이 형성되지 않아서 낮은 r값밖에 얻을 수 없다. 한편 500℃이하로 압연온도를 저하해도 보다 높은 r값의 향상은 바랄 수 없고 압연하중이 증대할 뿐이다. 따라서 냉각후의 압연 온도는 Ar3변태점 이하, 500℃이상으로 한다.
열간조압연 및 계속되는 열간마무리압연을, 열간조압연의 압하율에 대한 열간마무리압연의 압하률의 비가 0.8∼1.2, 한편 열간조압연의 종료온도가 (Ar3변태점-50℃) 이상, (Ar3변태점+100℃) 이하, 또한 열간마무리압연이 Ar3변태점 이하, 500℃이상의 온도역으로 윤활을 실시하면서 합계압하율을 50% 이상 9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무리 압연압하율과 조압연압하율의 배분에 대해서는, (마무리 압연압하율)/(조압연압하율)이 0.8보다도 작은경우에는 마무리 압연압하율이 낮은 것으로 부터 열연판에 {111}집합조직이 형성되지 않고 그 때문에 냉연-어닐링후에 낮은 r값 밖에 얻을 수 없다. 한편 (마무리 압연압하율)/(조압연압하율)이 1.2보다도 큰 경우에는 조압연압하율이 낮은 것으로부터 마무리 압연전 조직이 미세화 되지 않고 그 후의 Ar3변태점 이하의 마무리 압연을 실시해도 열연판에 {111}집합조직이 형성되지 않으며 그 때문에 냉연-어닐링후에 낮은 r값 밖에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마무리 압연압하율)/(조압연압하율)은 0.8∼1.2의 범위로 한정했다.
또한 조압연율(Ar3 변태점+100℃)보다 고온역으로 종료시키면 마무리 압연전 조직이 조대화하기 때문에 그 후의 Ar3변태점 이하의 마무리압연을 실시해도 열연판에 {111}집합조직 형성되지 않고 그 때문에 냉연-어닐링후에도 낮은 r값 밖에 얻을 수 없다. 한편 조압연을 (Ar3변태점-50℃)보다 저온역으로 종료시키면 마무리 압연전 조직이 가공조직을 갖기 때문에 그 후의 Ar3변태점 이하의 마무리 압연을 실시해도 열연판에 {111}집합조직이 형성되지 않고 그 때문에 냉연-어닐링후에는 낮은 r값 밖에 얻을 수 없다. 그 때문에 조압연종료온도를 (Ar3변태점-50℃)∼(Ar3변태점+100℃)로 했다.
또한 열간마무리압연에 대해서는 Ar3변태점보다 높은 온도역에서 실시하면 아무리 압연을 실시해도 γ→α 변태점에 의해 집합조직이 불규칙화하기 때문에 열연강판에 {111}집합조직이 형성되지 않고 그 때문에 냉연-어닐링후에는 낮은 r값 밖에 얻을 수 없다. 한편 500℃ 미만으로 압연온도를 저하시켜도 보다 높은 r값의 향상은 바랄 수 없고 압연하중이 증대할 뿐이기 때문에 마무리압연온도는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이 바람직하다.
(3) 열연판재결정 처리공정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강은 열연온도가 Ar3변태점 이하이기 때문에 열연판은 가공조직을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열연판에 재결정처리를 실시하여 {111}방위의 결정입자를 형성시킬 필요가 있다. 재결정처리를 실시하지 않으면 열연판에 {111}방위의 결정입자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그 후의 냉연-어닐링에 의해서도 r 값의 향상은 바랄 수 없다. 이 열연판재결정처리는 열연시의 권취 또는 재결정어닐링공정에 의하여 실시한다. 권취공정에 의해 재결정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권취온도 6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온도가 650℃에 미치지 않으면 열연판은 재결정하기 어렵고 열연판에 {111}방위의 결정입자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그 후의 냉연-어닐링에 의해서도 r값의 향상은 바랄 수 없다.
또한 재결정어닐링공정에 의해 재결정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배치어닐링, 또는 연속어닐링의 어느 쪽이나 적합하고 그 어닐링온도는 650℃∼950℃가 바람직하다.
상기 연속어닐링은 열간마무리 압연공정에서 코일로 권취한 열연판을 다시 스트립형상으로 풀린 상태로 하여 연속로를 연속적으로 통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실시한다.
이 경우 열처리조건은 가열속도≥1℃/S, 어닐링온도 : 700∼9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0.06wt% 이상의 P를 함유하는 고 P강에 있어서는 열연판어닐링시의 가열속도가 중요하고 가열속도는 1℃/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연판가열속도 1℃/s에 미치지 않는 경우에는 재결정처리중에 다량의 인화물이 형성되는 결과 열연판에 {111}재결정집합조직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 후의 냉연-어닐링에 의해서도 r값의 향상은 바랄 수 없다. 한편 열연판어닐링시의 가열속도를 1℃/s 이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재결정어닐링 도중에 인화물이 형성되지 않고 열연판에 {111}재결정집합조직이 형성되고 그 후의 냉연-어닐링에 의해 r값이 향상된다.
연속어닐링의 리드타임은 약 10분으로 짧고, 또한 스트립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치밀한 재질이 얻어진다. 이와 같은 연속어닐링은 생산성, 품질 및 에너지 절감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배치어닐링은 열간 마무리 압연공정에서 코일로 권취한 열연판을 그대로 겹쳐 쌓고 커버를 덮어서 외기를 차단하여 약환원분위기중에서 일정시간 균열한다. 이 경우 열처리조건은 어닐링 온도 : T(℃)와 어닐링 시간 : t(hr)을 600≤T≤900 인 동시에 T×t≥3800을 만족하는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닐링온도(T)가 600℃에 미치지 않으면 낮은 항복강도를 얻을 수 없고, 한편 900℃를 넘으면 열연판이 이상입자성장을 일으키기 때문에 높은 r값이 얻어지 않는다. 또, T×t가 3800에 미치지 않는 경우도 낮은 항복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배치어닐링은 코일이 단단한 잠긴 상태에서 어닐링하기 때문에 코일중심부가 소정온도로 되려면 장시간을 요한다. 리드타임은 10일로 극히 길고 에너지 손실도 큰 결점이 있다. 그러나 로의 건설비가 매우 낮은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항복강도에 미치는 열연판어닐링조건의 영향은 열연판어닐링을 고온에서 장시간 실시함에 따라 열연판의 결정입자직경 및 열연판 속의 석출물이 조대화하기 때문에 냉간압연-재결정어닐링후의 결정입자가 커지고 그 결과 항복강도가 저하되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열연판어닐링은 통상의 배치어닐링외에 열연판을 고온권취한 것을 보온, 또는 약간의 가열처리를 실시하여 행해도 좋다.
(4) 냉간압연공정
이 공정은 높은 r값을 얻기 위해 필수이며 냉연합하율은 50∼95%로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냉연압하률이 50% 미만, 또는 95%를 넘으면 뛰어난 심인발성을 얻을 수 없다.
(5) 어닐링 공정
냉간압연을 거친 냉연강대는 재경정어닐링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 재결정어닐링은 상자형 어닐링법, 또는 연속형어닐링법의 어느쪽이어도 좋다. 어닐링온도는 700℃에 미치지 않으면 재결정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111}집합조직이 발달하지 않고, 한편 950℃를 넘으면 α→γ변태에 의해 집합조직이 불규칙화한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700∼950℃의 범위로 한정한다. 또한 이 어닐링후의 강대에 형상교정, 또는 표면조도 등의 조정을 위해 10% 이하의 조질압연을 실시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으로 얻어진 냉연강판은 가공용표면처리강판의 원판에도 적용할 수 있다. 표면처리로써는 아연도금(합금계를 포함), 주석도금, 에나멜등이 있다.
인장강도가 35kgf/㎟ 이상인 고강도냉연강판을 프레스성형하기 위해서는 인장강도와 r값의 곱(TS×r)이 105이상인 것이 필요하며 이 관계를 만족하는 강판이 안정되게 얻어지지 않으면 고강도냉연강판의 프레스성형을 실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강판의 성분 및 결정방위를 규제함에 따라 인장강도가 35kgf/㎟ 이상인 동시에 TS×r이 105 이상의 특성을 갖는 고강도냉연강판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표 1에 나타내는 조성강슬래브(A∼K)를 표 2에 나타내는 열연조건으로 조압연, 마무리압연 및 재결정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열연판을 산세척후 표 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냉간압연을 실시하여 판두께 0.7㎜의 냉연강대로 한후 연속어닐링설비로 890℃-20s에서 재결정어닐링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냉연강판의 재료특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인장특성은 JIS5호 인장시험편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또 r값은 15% 인장예비변형을 준후, 3점법으로 측정하고 L방향(압연방향), D방향(압연방향으로 45도 방향) 및 C 방향(압연방향으로 90도 방향)의 평균값을
r=(rL+2rP+rC)/4
로써 구했다.
또한 각 표의 우단의 ☆표시는 비교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 범위내로 제조한 냉연강판은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r값과 높은 연성을 갖고 TS×r이 105 이상의 뛰어난 심인발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에 나타내는 조성강슬래브(L∼T)를 표 3에 나타내는 열연조건으로 조압연, 마무리압연 및 재결정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열연판을 산세척후 표 3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냉간압연을 실시하여 판두께 0.7㎜의 냉연강대로한 후 연속어닐링설비로 890℃-20s에서 재결정어닐링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냉연강판의 강판의 재료특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본 발명 범위내로 제조한 냉연강판은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r값과 높은 연성을 갖고 TS×r이 120 이상의 뛰어난 심인발성과 고강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에 나타내는 조성강슬래브(O)을 표 4에 나타내는 열연조건으로 조압연, 마무리압연 및 재결정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열연판을 산세척 후 표 4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냉간압연을 실시하여 판두께 0.7㎜의 냉연강대로 한 후 연속어닐링설비로 890℃-20s에서 재결정어닐링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냉연강판의 재료특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본 발명 범위내로 제조한 냉연강판은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r값과 높은 연성을 갖고 TS×r이 120 이상의 뛰어난 심인발성과 고강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에 나타내는 조성강슬래브(B)를 표 5에 나타내는 열연조건으로 조압연, 마무리압연 및 재결정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열연판을 산세척후 표 5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냉간압연을 실시하여 판두께 0.7㎜의 냉연강대로 한 후 연속어닐링설비로 890℃-20s에서 재결정어닐링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냉연강판의 강판의 재료특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본 발명 범위내로 제조한 냉연강판은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r값과 높은 연성 및 낮은 항복강도비를 나타내고 TS×r이 105 이상의 뛰어난 심인발성과 고강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에 나타내는 조성강슬래브(B)를 표 6에 나타내는 열연조건으로 7스탠드의 열간압연기로 마무리압연을 실시한 후 재결정처리를 실시했다. 또한 No.34는 F3스탠드를 공패스 압연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함에 따라 Ar3변태점 전후의 온도역을 냉각했다. 계속해서 표 6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냉간압연 및 연속어닐링을 실시했다. 얻어진 냉연강판의 재료특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본 발명 범위내로 제조한 냉연강판은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r값과 높은 연성을 나타내고 TS×r이 120 이상의 뛰어난 심인발성과 고강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에 나타내는 조성강슬래브(B)를 표 7에 나타내는 열연조건으로 조압연, 마무리압연 및 재결정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열연판을 산세척후 표 7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냉간압연을 실시하여 판두께 0.7㎜의 냉연강대로 한 후 연속어닐링설비로 890℃-20s에서 재결정어닐링처리를 실시했다. 얻어진 냉연강판의 재료특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본 발명 범위내로 제조한 냉연강판은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r값과 높은 연성을 나타내고 TS×r이 120 이상의 뛰어난 심인발성과 고강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성분 및 제조조건을 한정함에 따라 종래보다도 훨씬 뛰어난 심인발성과 고강도를 갖는 얇은 강판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22)

  1. 0.01wt% 이하의 C, 0.1∼2.0wt%의 Si, 0.5∼3.0wt%의 Mn, 0.02∼0.2wt%의 P, 0.05wt% 이하의 S, 0.03∼0.2wt%의 Al, 0.01wt% 이하의 N, 0.001∼0.2wt%의 Nb 및 0.0001∼0.008wt%의 B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과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에, 열간조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내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열간마무리압연공정을 실시하고, 압연된 강판을 코일로 권취한 후, 어닐링공정에서 권취한 코일을 스트립상태로 풀린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가열속도≥1℃/초, 700∼950℃의 소둔온도에서 열연판 재결정처리를 실시하고, 다음에 압하율이 50%∼95%인 냉간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70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결정어닐링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2. 0.01wt% 이하의 C, 0.1∼2.0wt%의 Si, 0.5∼3.0wt%의 Mn, 0.02∼0.2wt%의 P, 0.05wt% 이하의 S, 0.03∼0.2wt%의 Al, 0.01wt% 이하의 N, 0.001∼0.2wt%의 Nb 및 0.0001∼0.008wt%의 B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에, 또한 0.1∼1.5wt%의 Cu, 0.1∼1.5wt%의 Ni 및 0.01∼1.5wt%의 Mo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에, 열간조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열간마무리압연공정을 실시하고, 압연된 강판을 코일로 권취한 후, 어닐링공정에서 권취한 코일을 스트립상태로 풀린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가열속도≥1℃/초, 700∼950℃의 소둔온도에서 열연판 재결정처리를 실시하고, 다음에 압하율이 50%∼95%인 냉간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70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결정어닐링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성분조성이 1.0∼2.0wt%의 Si, 1.5∼3.0wt%의 Mn, 0.05∼0.2wt%의 P 및 0.1∼0.5wt%의 Ni를 함유하고, 또한
    2×Si+Mn+20×P+Ni≥6,
    2.0≤(2×Si/28+P/31)/(Mn/55+0.5×Ni/59)≤3.5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4. 0.01wt% 이하의 C, 0.1∼2.0wt%의 Si, 0.5∼3.0wt%의 Mn, 0.02∼0.2wt%의 P, 0.05wt% 이하의 S, 0.03∼0.2wt%의 Al, 0.01wt% 이하의 N, 0.001∼0.2wt%의 Nb 및 0.0001∼0.008wt%의 B를 함유하고 , 또한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이 또한 0.005∼0.06%의 Ti을 함유하고, 48≤(Ti/48-N/14-S/32)×P≤0.0015의 관계를 만족하며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에, 열간조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내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열간마무리압연공정을 실시하고, 압연된 강판을 코일로 권취한 후, 어닐링공정에서 권취한 코일을 스트립상태로 풀린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가열속도≥1℃/초, 700∼950℃의 소둔온도에서 열연판 재결정처리를 실시하고, 다음에 압하율이 50%∼95%인 냉간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70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결정어닐링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5. 0.01wt% 이하의 C, 0.1∼2.0wt%의 Si, 0.5∼3.0wt%의 Mn, 0.02∼0.2wt%의 P, 0.05wt% 이하의 S, 0.03∼0.2wt%의 Al, 0.01wt% 이하의 N, 0.001∼0.2wt%의 Nb 및 0.0001∼0.008wt%의 B를 함유하고 , 또한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과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에, 열간조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내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열간마무리압연공정을 실시하고, 압연된 강판을 권취한 후, 어닐링공정에서 권취한 코일 그대로 600≤T≤900, T×t≥3800[T : 소둔온도(℃), t : 소둔시간(hr)]의 소둔조건으로 열연판 재결정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압하율이 50%∼95%의 냉간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70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결정어닐링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마무리압연공정에서 Ar3변태점 이상의 온도에서 열간마무리압연을 시작하고, 상기 열간마무리압연 도중에 압연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20℃/초 이상의 냉각속도로 30℃ 이아의 냉각을 실시하여 Ar3변태점 이하의 온도로 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운동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의 압연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조압연공정 및 열간마무리압연공정에서 열간조압연의 압하율에 대한 열간마무리압연의 압하율의 비가 0.8∼1.2이고, 또한 열간조압연의 종료온도가 (Ar3변태점-50℃) 이상, (Ar3변태점+100℃) 이하, 또한 열간마무리압연이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의 압연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8. 0.01wt% 이하의 C, 0.1∼2.0wt%의 Si, 0.5∼3.0wt%의 Mn, 0.02∼0.2wt%의 P, 0.05wt% 이하의 S, 0.03∼0.2wt%의 Al, 0.01wt% 이하의 N, 0.001∼0.2wt%의 Nb 및 0.0001∼0.008wt%의 B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에 0.1∼1.5wt%의 Cu, 0.1∼1.5wt%의 Ni 및 0.01∼1.5wt%의 Mo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로서, 인장강도(Ts)가 35kgf/㎟ 이상이고 랙포드 값(r값)과 Ts가 r×Ts≥10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마무리압연공정에서, Ar3변태점 이상의 온도에서 열간마무리압연을 시작하고, 상기 열간마무리압연 도중에 압연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20℃/초 이상의 냉각속도로 30℃ 이상의 냉각을 실시하여Ar3변태점 이하의 온도로 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의 압연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조압연 및 열간마무리압연공정에서 열간조압연의 압하율에대한 열간마무리압연의 압하율의 비가 0.8∼1.2이고, 또한 열간조압연의 종료온도가 (Ar3변태점-50℃) 이상, (Ar3변태점+100℃) 이하, 또한 열간마무리압연이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의 압연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1. 0.01wt% 이하의 C, 0.1∼2.0wt%의 Si, 0.5∼3.0wt%의 Mn, 0.02∼0.2wt%의 P, 0.05wt% 이하의 S, 0.03∼0.2wt%의 Al, 0.01wt% 이하의 N, 0.001∼0.2wt%의 Nb 및 0.0001∼0.008wt%의 B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이 또한 0.1∼1.5wt%의 Cu, 0.1∼1.5wt%의 Ni 및 0.01∼1.5wt%의 Mo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에, 열간조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열간마무리압연공정을 실시하고, 압연된 강판을 권취한 후, 어닐링공정에서 권취한 코일 그대로 600≤T≤900, T×t≥3800[T : 소둔온도(℃), t : 소둔시간(hr)]의 소둔조건으로 열연판 재결정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압하율이 50%∼95%의 냉간압연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70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2. 제6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성분조성이 1.0∼2.0wt%의 Si, 1.5∼3.0wt%의 Mn, 0.05∼0.2wt%의 P 및 0.1∼1.5wt%의 Ni를 함유하고, 또한
    2×Si+Mn+20×P+Ni≥6,
    2.0≤(2×Si/28+P/31)/(Mn/55+0.5×Ni/59)≤3.5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3. 0.01wt% 이하의 C, 0.1∼2.0wt%의 Si, 0.5∼3.0wt%의 Mn, 0.02∼0.2wt%의 P, 0.05wt% 이하의 S, 0.03∼0.2wt%의 Al, 0.01wt% 이하의 N, 0.001∼0.2wt%의 Nb 및 0.0001∼0.008wt%의 B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이 또한 0.005∼0.06%의 Ti을 함유하고, 48≤(Ti/48-N/14-S/32)×P≤0.0015의 관계를 만족하며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에, 열간조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내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열간마무리압연공정을 실시하고, 압연된 강판을 코일로 권취한 후, 어닐링공정에서 권취한 코일 그대로 600≤T≤900, T×t≥3800[T : 소둔온도(℃), t : 소둔시간(hr)]의 소둔조건으로 열연판 재결정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압하율이 50%∼95%인 냉간압연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70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결정어닐링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4. 0.01wt% 이하의 C, 0.1∼2.0wt%의 Si, 0.5∼3.0wt%의 Mn, 0.02∼0.2wt%의 P, 0.05wt% 이하의 S, 0.03∼0.2wt%의 Al, 0.01wt% 이하의 N, 0.001∼0.2wt%의 Nb 및 0.0001∼0.008wt%의 B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이 또한 0.1∼1.5wt%의 Cu, 0.1∼1.5wt%의 Ni 및 0.01∼1.5wt%의 Mo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함유하고, 또한 0.005∼0.06%의 Ti을 함유하고, 48≤(Ti/48-N/14-S/32)×P≤0.0015의 관계를 만족하며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에, 열간조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열간마무리압연공정을 실시하고, 압연된 강판을 코일로 권취한 후, 어닐링공정에서 권취한 코일을 스트립상태로 풀린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가열속도≥1℃/초, 700∼950℃의 소둔온도에서 열연판 재결정처리를 실시하고, 다음에 압하율이 50%∼95%인 냉간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70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결정어닐링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5. 0.01wt% 이하의 C, 0.1∼2.0wt%의 Si, 0.5∼3.0wt%의 Mn, 0.02∼0.2wt%의 P, 0.05wt% 이하의 S, 0.03∼0.2wt%의 Al, 0.01wt% 이하의 N, 0.001∼0.2wt%의 Nb 및 0.0001∼0.008wt%의 B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이 또한 0.1∼1.5wt%의 Cu, 0.1∼1.5wt%의 Ni 및 0.01∼1.5wt%의 Mo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함유하고, 또한 0.005∼0.06%의 Ti을 함유하고, 48≤(Ti/48-N/14-S/32)×P≤0.0015의 관계를 만족하며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에, 열간조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열간마무리압연공정을 실시하고, 압연된 강판을 권취한 후, 어닐링공정에서 권취한 코일그대로 600≤T≤900, T×t≥3800[T : 소둔온도(℃), t : 소둔시간(hr)]의 소둔조건으로 열연판 재결정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압하율이 50%∼95%인 냉간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70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결정어닐링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6. 0.01wt% 이하의 C, 0.1∼2.0wt%의 Si, 0.5∼3.0wt%의 Mn, 0.02∼0.2wt%의 P, 0.05wt% 이하의 S, 0.03∼0.2wt%의 Al, 0.01wt% 이하의 N, 0.001∼0.2wt%의 Nb 및 0.0001∼0.008wt%의 B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과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에, 열간조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이하다 되는 열간마무리압연공정을 실시한 후, 650℃ 이상의 온도에서 권취하고, 다음으로 압하율이 50%∼95%인 냉간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70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결정어닐링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7. 0.01wt% 이하의 C, 0.1∼2.0wt%의 Si, 0.5∼3.0wt%의 Mn, 0.02∼0.2wt%의 P, 0.05wt% 이하의 S, 0.03∼0.2wt%의 Al, 0.01wt% 이하의 N, 0.001∼0.2wt%의 Nb 및 0.0001∼0.008wt%의 B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이 또한 0.1∼1.5wt%의 Cu, 0.1∼1.5wt%의 Ni 및 0.01∼1.5wt%의 Mo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함유하며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에, 열간조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열간마무리압연공정을 실시한 후, 650℃ 이상의 온도에서 권취하고, 다음으로 압하율이 50%∼95%인 냉간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70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결정어닐링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성분조성이 1.0∼2.0wt%의 Si, 1.5∼3.0wt%의 Mn, 0.05∼0.2wt%의 P 및 0.1∼1.5wt%의 Ni를 함유하고, 또한
    2×Si+Mn+20×P+Ni≥6,
    2.0≤(2×Si/28+P/31)/(Mn/55+0.5×Ni/59)≤3.5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9. 0.01wt% 이하의 C, 0.1∼2.0wt%의 Si, 0.5∼3.0wt%의 Mn, 0.02∼0.2wt%의 P, 0.05wt% 이하의 S, 0.03∼0.2wt%의 Al, 0.01wt% 이하의 N, 0.001∼0.2wt%의 Nb 및 0.0001∼0.008wt%의 B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이 또한 0.005∼0.06%의 Ti을 함유하고, 48≤(Ti/48-N/14-S/32)×P≤0.0015의 관계를 만족하며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에, 열간조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열간마무리압연공정을 실시한 후, 650℃ 이상의 온도에서 권취하고, 다음으로 압하율이 50%∼95%인 냉간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70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결정어닐링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20. 0.01wt% 이하의 C, 0.1∼2.0wt%의 Si, 0.5∼3.0wt%의 Mn, 0.02∼0.2wt%의 P, 0.05wt% 이하의 S, 0.03∼0.2wt%의 Al, 0.01wt% 이하의 N, 0.001∼0.2wt%의 Nb 및 0.0001∼0.008wt%의 B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C, Nb, Al, N, Si, Mn 및 P의 각 함유량이 식
    5≤Nb/C≤30, 10≤Al/N≤80,
    16≤(3≤Si/28+200×P/31)/(Mn/55)≤40
    의 관계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함유하는 기본성분조성이 또한 0.1∼1.5wt%의 Cu, 0.1∼1.5wt%의 Ni 및 0.01∼1.5wt%의 Mo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함유하고, 또한 0.005∼0.06%의 Ti을 함유하고, 48≤(Ti/48-N/14-S/32)×P≤0.0015의 관계를 만족하며 나머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강재에, 열간조압연공정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가 되는 열간마무리압연공정을 실시한 후, 650℃ 이상의 온도에서 권취하고, 다음으로 압하율이 50%∼95%인 냉간압연을 실시하고, 계속해서 700∼950℃의 온도범위에서 재결정어닐링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마무리압연공정에서, Ar3변태점 이상의 온도에서 열간마무리압연을 시작하고, 상기 열간마무리압연 도중에 압연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20℃/초 이상의 냉각속도로 30℃ 이상의 냉각을 실시하여 Ar3변태점 이하의 온도로 하고, 계속해서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의 압연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조압연 및 열간마무리압연공정에서 열간조압연의 압하율에 대한 열간마무리압연의 압하율의 비가 0.8∼1.2이고, 또한 열간조압연의 종료온도가 (Ar3변태점-50℃) 이상, (Ar3변태점+100℃) 이하, 또한 열간마무리압연이 Ar3변태점 이하 500℃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윤활을 실시하면서 Ar3변태점 이하의 합계압하율이 50% 이상 95% 이하의 압연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9930010531A 1992-06-08 1993-06-08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970000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47606 1992-06-08
JP92-177606 1992-06-08
JP92-147488 1992-06-08
JP92-147607 1992-06-08
JP4147606A JP3043902B2 (ja) 1992-06-08 1992-06-08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14760792A JP3301633B2 (ja) 1992-06-08 1992-06-08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4147488A JP3043901B2 (ja) 1992-06-08 1992-06-08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及び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16291292A JP2948416B2 (ja) 1992-06-22 1992-06-22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92-162912 1992-06-22
JP92-219198 1992-08-18
JP21919892A JP2908641B2 (ja) 1992-08-18 1992-08-18 深絞り性に優れる薄鋼板の製造方法
JP00187893A JP3369619B2 (ja) 1993-01-08 1993-01-08 深絞り性及び延性に優れる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93-001878 1993-01-08
JP93-010858 1993-01-26
JP05010858A JP3142975B2 (ja) 1993-01-26 1993-01-26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821A KR940005821A (ko) 1994-03-22
KR970000406B1 true KR970000406B1 (ko) 1997-01-09

Family

ID=2756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531A KR970000406B1 (ko) 1992-06-08 1993-06-08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60493A (ko)
EP (1) EP0574814B2 (ko)
KR (1) KR970000406B1 (ko)
AU (1) AU652694B2 (ko)
CA (1) CA2097900C (ko)
DE (1) DE6931747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4625B9 (en) * 1994-02-15 2001-12-05 Kawasaki Steel Corporation High tension alloyed molten zinc-plated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plating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f manufacturing the same
FR2728490B1 (fr) * 1994-12-21 1997-01-24 Lorraine Laminag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ande d'acier destinee a la fabrication par emboutissage et re-emboutissage de recipients en acier
JP3420370B2 (ja) * 1995-03-16 2003-06-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547181C1 (de) * 1995-12-16 1996-10-10 Krupp Ag Hoesch Krup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ltgewalzten, höherfesten Bandstahles mit guter Umformbarkeit bei isotropen Eigenschaften
CN1083902C (zh) * 1996-12-24 2002-05-01 川崎制铁株式会社 矩形拉延性优良的薄钢板及其制造方法
BE1011066A3 (fr) * 1997-03-27 1999-04-06 Cockerill Rech & Dev Acier au niobium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produits plats a partir de celui-ci.
JPH1150211A (ja) * 1997-08-05 1999-02-23 Kawasaki Steel Corp 深絞り加工性に優れる厚物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305987A (ja) 1998-04-27 1999-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キスト音声変換装置
DE19858073C2 (de) * 1998-12-16 2003-04-24 Max Planck Inst Eisenforschung Verfahren zur Erzeugung von dünnen Warmbändern aus Stahl mit verbesserter Tiefziehfähigkeit
KR100664433B1 (ko) * 2000-04-07 2007-01-0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변형 시효 경화 특성이 우수한 열연 강판, 냉연 강판 및용융 아연 도금 강판,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CN1286999C (zh) * 2000-06-20 2006-11-29 杰富意钢铁株式会社 薄钢板及其制造方法
WO2002022893A1 (fr) * 2000-09-12 2002-03-21 Kawasaki Steel Corporation Tole d'acier plaquee trempee a chaud presentant une resistance elevee a la traction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100516459B1 (ko) * 2000-10-31 2005-09-23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직송압연법에 의한 연질냉연강판의 제조방법
JP4414883B2 (ja) * 2002-06-28 2010-02-10 ポスコ 成形性及び溶接性に優れた超深絞り用高強度冷延薄鋼板とその製造方法
US20050115649A1 (en) * 2003-03-27 2005-06-02 Tokarz Christopher A. Thermomechanical processing routes in compact strip production of high-strength low-alloy steel
US20060037677A1 (en) * 2004-02-25 2006-02-23 Jfe Steel Corporation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R2879216B1 (fr) * 2004-12-13 2007-04-20 D M S Sa Procede de recuit d'une bande d'acier inoxydable
JP5391607B2 (ja) * 2008-08-05 2014-01-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外観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91606B2 (ja) * 2008-08-05 2014-01-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409225B (zh) * 2010-09-21 2014-05-07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超细晶冷轧if钢及其生产方法
CN109136754B (zh) * 2018-08-31 2020-11-24 包头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冷轧低合金高强度钢及其生产方法
CN109136755B (zh) * 2018-08-31 2020-11-24 包头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用冷轧高强度钢及其生产方法
CN111206199A (zh) * 2020-02-28 2020-05-29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采用热镀锌工艺生产oa板的方法
EP3875626A1 (de) * 2020-03-06 2021-09-08 ThyssenKrupp Rasselstein GmbH Verpackungsblecherzeugnis
CN112795849B (zh) * 2020-11-20 2022-07-12 唐山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1300Mpa级高韧性热镀锌钢板及其生产方法
CN113088794B (zh) * 2021-04-16 2022-03-22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低△r值IF钢热镀锌钢板及其制备方法
CN113122691B (zh) * 2021-04-16 2022-03-22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低△r值微碳钢热镀锌钢板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7280A (en) * 1972-12-23 1975-07-29 Nippon Steel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and product obtained thereby
EP0048761B1 (en) * 1980-03-31 1984-07-04 Kawasaki Steel Corporation High-tensile, cold-rolled steel plate with excellent formability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as well as high-tensile, galvanized steel plate with excellent formability,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PS592725B2 (ja) * 1980-05-27 1984-01-2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熱硬化性を有する深絞り用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S6045689B2 (ja) 1982-02-19 1985-10-11 川崎製鉄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にすぐれた冷延鋼板の製造方法
US4504326A (en) 1982-10-08 1985-03-12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super deep drawability
JPS60174852A (ja) * 1984-02-18 1985-09-09 Kawasaki Steel Corp 深絞り性に優れる複合組織冷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US4793401A (en) 1985-12-12 1988-12-27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thin steel sheets having an improved processability
JPH0668129B2 (ja) * 1988-07-13 1994-08-31 川崎製鉄株式会社 深絞り性に優れた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H02149624A (ja) * 1988-11-29 1990-06-08 Sumitomo Metal Ind Ltd 成形性の良好な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法
US4973367A (en) * 1988-12-28 1990-11-27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eep-drawability
CA2022907C (en) * 1989-08-09 1994-02-01 Mitsuru Kitamur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sheet
TW203628B (ko) * 1989-09-11 1993-04-11 Kawasaki Steel Co
JPH0753890B2 (ja) * 1989-12-28 1995-06-0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深絞り用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法
JPH03294463A (ja) * 1990-04-11 1991-12-25 Nippon Steel Corp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EP0691415B2 (en) 1991-03-15 2005-08-24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formability, hot-dip zinc coated high-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she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97900A1 (en) 1993-12-09
AU4012793A (en) 1993-12-09
US5360493A (en) 1994-11-01
DE69317470T3 (de) 2002-05-08
EP0574814A3 (en) 1997-01-29
EP0574814B1 (en) 1998-03-18
EP0574814A2 (en) 1993-12-22
DE69317470T2 (de) 1998-07-09
CA2097900C (en) 1997-09-16
KR940005821A (ko) 1994-03-22
DE69317470D1 (de) 1998-04-23
EP0574814B2 (en) 2001-11-21
AU652694B2 (en) 199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406B1 (ko) 심인발성이 뛰어난 고강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64433B1 (ko) 변형 시효 경화 특성이 우수한 열연 강판, 냉연 강판 및용융 아연 도금 강판,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US7959747B2 (en) Method of making cold rolled dual phase steel sheet
JP5082451B2 (ja) 深絞り性と延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冷延鋼板を用い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01226741A (ja) 伸びフランジ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55586B2 (ko)
JPS6386819A (ja) 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4367205B2 (ja) 鋼板の歪時効処理方法および高強度構造部材の製造方法
JP4826694B2 (ja) 薄鋼板の耐疲労特性改善方法
JPH02163318A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3466298B2 (ja) 加工性に優れた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4346625A (ja) 耐時効性、プレス成形性の優れた焼付硬化型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3925063B2 (ja) プレス成形性と歪時効硬化特性に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18987B2 (ja) 耐時効性に優れた塗装焼付硬化型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96076B2 (ja) 局部変形能に優れる超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776381B2 (ja) 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2003013176A (ja) プレス成形性と歪時効硬化特性に優れた高延性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65646A (ja) 深絞り性に優れる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2908641B2 (ja) 深絞り性に優れる薄鋼板の製造方法
JP3420313B2 (ja)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3401297B2 (ja) 深絞り性と化成処理性と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3366661B2 (ja)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5392223B2 (ja) 歪時効硬化特性に優れた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461482A (zh) 钢板、部件及其制造方法
JP2019059963A (ja) 低降伏比を有する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