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216Y1 - 시트 쿠션 - Google Patents

시트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216Y1
KR970000216Y1 KR2019940028649U KR19940028649U KR970000216Y1 KR 970000216 Y1 KR970000216 Y1 KR 970000216Y1 KR 2019940028649 U KR2019940028649 U KR 2019940028649U KR 19940028649 U KR19940028649 U KR 19940028649U KR 970000216 Y1 KR970000216 Y1 KR 970000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slide
seat
hole
adjus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917U (ko
Inventor
남동국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8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216Y1/ko
Publication of KR9600139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2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트 쿠션
제1도는 종래에 따른 시트의 사용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쿠션 2 : 슬라이드
10 : 회동구 10a, 20a : 힌지
20 : 조절수단 21 : 조절축
21a : 손잡이 21b : 나사부
22 : 제1이절링크 22a : 체결공
23 : 제2이절링크 23a : 연통공
본 고안은 시트 쿠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조수석 및 운전석의 시트 쿠션을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한 시트 쿠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a)에 있어서,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 백(b)은 뒤로 젖혀질 수 있게 후면에 리클라이너(c)가 장착되어 있고 시트 쿠션(d)은 전휴로 움직여 조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e)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시트 쿠션(d)을 앞으로 움직여 놓으면 운전자 및 조수석의 승차자의 허벅지 부위가 시트 쿠션(d)과 밀착되지 않고 틈이 생기게 되어 주행중 차량의 급정지 및 회전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기 곤란하였으며, 운전자의 경우 사고 발생의 우려도 컸다.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시트 쿠션이 전후로 슬라이드 되는 것은 물론 높이조절이 가능한 시트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시트 쿠션을 전후로 슬라이드시킬 경우 발생되는 허벅지 부위의 공간이 제거되도록 시트 쿠션의 앞부분의 각도를 조정하여 안정된 자세로 승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후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드가 저면에 설치된 시트 쿠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1)의 후단이 회동되게 힌지(10a) 연결되고 하단이 슬라이드(2)에 고정된 회동구(10)와, 상기 회동구(10)가 회동되게 시트쿠션(1)의 전단에 설치되며, 슬라이드(2)에 고정된 조절수단(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인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20)은 일단에 손잡이(21a)가 형성되고 하단에 나사부(21b)가 형성된 조절축(21)과 상기 조절축(21)의 나사부(21b)에 체결되는 체결공(22a)이 형성된 제1이절링크(22)와, 상기제1이절링크(22)와 양끝단에 힌지(20a) 연결되고, 조절축(21)의 타단이 끼워지는 연통공(23a)이 설치된 제2이절링크(23)가 구비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쿠션(1)의 후단 저면에 회동되게 회동구(10)를 힌지(10a) 연결하고 전단 저면에는 조절수단(20)을 장착한 다음 회동구(10)와 조절수단(20)을 슬라이드(2)에 고정시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은 승차자의 신체에 맞게 레바(3)를 잡고 시트쿠션(1)을 전후로 이동시킨 다음 조절수단(20)의 손잡이(21a)를 회전시켜 허벅지와 접촉되는 시트쿠션(1)의 높이를 조절하여 안정된 자세로 승차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은 조절수단(20)으로 조절축(21)의 손잡이(21a)를 회전시키면 나사부(21b)에 체결된 제2이절링크(23)가 당겨지거나 밀려나가게 되는데 이때 힌지(20a) 연결된 제1이절링크(22)도 같이 동작되게 되는 것으로 시트쿠션(1)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즉, 시트쿠션(1)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시트쿠션(1)의 전후 이동으로 생기는 허벅지와 시트쿠션(1)이 밀착되어 안정된 자세로 승차할 수 있는 것으로 안전운전이 되며 승차자는 안락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시트쿠션(1)이 전후 이동됨은 물론 조절수단(20)을 장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 것으로 안정된 자세로 승차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는 안전운전이 되게 하며, 승차자에게는 안락감을 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전후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드가 저면에 설치되는 시트 쿠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1)의 후단에 회동될 수 있도록 힌지(10a) 연결되고 하단이 슬라이드(2)에 고정된 회동구(10)와 ; 상기 회동구(10)에 체결된 시트 쿠션(1)이 회동되게 시트 쿠션(1)의 전단 저면에 설치되며, 슬라이드(2)에 고정된 조절수단(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20)은 일단에 손잡이(21a)가 형성되고 타단에 나사부(21b)가 형성된 조절축(21)과, 상기 조절축(21)의 나사부(21b)에 연통되게 끼워지는 체결공(22a)이 형성된 제1이절링크(22)와, 상기 제1이절링크(22)의 양끝단에 힌지(20a) 연결되고 조절축(21)의 끝단에 체결되는 연통공(23a)이 설치된 제2이절링크(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쿠션.
KR2019940028649U 1994-10-31 1994-10-31 시트 쿠션 KR970000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649U KR970000216Y1 (ko) 1994-10-31 1994-10-31 시트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649U KR970000216Y1 (ko) 1994-10-31 1994-10-31 시트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17U KR960013917U (ko) 1996-05-17
KR970000216Y1 true KR970000216Y1 (ko) 1997-01-10

Family

ID=1939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649U KR970000216Y1 (ko) 1994-10-31 1994-10-31 시트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2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17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3511B1 (en) Seat and headrest arrangement for a vehicle
KR980001243A (ko) 어린이용 의자
GB2170099A (en) Armrest device for an automotive seat
KR970000216Y1 (ko) 시트 쿠션
KR200150394Y1 (ko) 시트 백의 허리 지지 조절장치
KR960007631Y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각도조절장치
KR100282924B1 (ko) 차량용 시이트의 보울스터 조절장치
KR100203768B1 (ko) 차량의 출몰식 시트 헤드레스트
KR200299184Y1 (ko) 유아용 안전시트
KR100187146B1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 받침장치
JP2932203B2 (ja) 自動車の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調整装置
KR10038761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터 조절장치
KR970004130Y1 (ko) 시트
KR200149825Y1 (ko) 자동차 의자의 헤드레스트 구조
KR950008611Y1 (ko) 자동차용 발받침대의 답판 위치조절장치
KR0115886Y1 (ko) 차량용 아암레스트의 구조
KR19980045138U (ko)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Side Suppor)조정장치
KR0127545B1 (ko) 자동차의 아암레스트
KR0114636Y1 (ko) 시트용 룸바서포트구조
KR980008729A (ko) 자동차 세퍼레이트 시트용 볼스터(Bolster) 조절장치
KR200143560Y1 (ko)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
KR20070050289A (ko)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
KR950008607Y1 (ko) 자동차용 일체형 시트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KR0119229Y1 (ko) 자동차용 전방시트
KR100205891B1 (ko) 시트쿠션의 대퇴부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