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138U -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Side Suppor)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Side Suppor)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138U
KR19980045138U KR2019960058278U KR19960058278U KR19980045138U KR 19980045138 U KR19980045138 U KR 19980045138U KR 2019960058278 U KR2019960058278 U KR 2019960058278U KR 19960058278 U KR19960058278 U KR 19960058278U KR 19980045138 U KR19980045138 U KR 199800451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upport
backrest
inner end
panel
ba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엽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8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138U/ko
Publication of KR19980045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13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 B60N2/99Side-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1Worm and worm gear artic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등받이프레임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패널과, 등받이 내부에서 외측단이 상기 패널의 후단부 소정 위치에 힌지결합되고, 내측단에는 랙기어부가 형성되어 외력의 인가시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좌우 한쌍의 작동부재와, 등받이의 일측면 외측으로부터 등받이 내부로 끼워져 설치되며, 내측단에는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상의 랙기어부에 동시에 맞물리는 웜이 형성된 조정레버와, 상기 등받이프레임상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좌우 직선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므로써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조작에 의하여 사이드서포트가 내외측으로 조정되도록 하여 승차감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코너링시 승차자의 상체가 급격히 쏠리는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Side Suppor)조정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Side Suppor)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용차 등의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 양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설치되는 사이드서포트가 승차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조정되도록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주행중 코너링시에 상체의 급격한 쏠림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의 등받이에는 그 양측면으로부터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이드서포트가 설치되어 주행중 코너링시와 같이 차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 승차자의 상체가 급격히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승차자가 보다 안락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는 별도의 지지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와 같이 신체조건이 왜소하거나 또는 일반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몸집이 큰 사람인 경우에는 사이드서포트가 제 역할을 발휘하지 못하고 오히려 불편함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사이드서포트는 별도의 지지장치가 없기 때문에 급격한 코너링시에 상체의 쏠림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여 안전사고의 원인이 된다고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운전자 또는 승차자의 조작에 의하여 사이드서포트가 내외측으로 조정되도록 하여 승차감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코너링시 승차자의 상체가 급격히 쏠리는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부분단면을 보인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 조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시트18 : 패널
22 : 랙기어부24 : 작동부재
26 : 웜(Worm)28 : 조정레버
30 : 가이드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등받이프레임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패널과, 등받이 내부에서 외측단이 상기 패널의 후단부 소정 위치에 힌지결합되고, 내측단에는 랙기어부가 형성되어 외력의 인가시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좌우 한쌍의 작동부재와, 등받이의 일측면 외측으로부터 등받이 내부로 끼워져 설치되며, 내측단에는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상의 랙기어부에 동시에 맞물리는 웜이 형성된 조정레버와, 상기 등받이프레임상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좌우 직선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부분단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사시도로서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 조정장치(10)는 자동차 시트(12)의 사이드서포트(14)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등받이프레임(16)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패널(18)과, 등받이(20) 내부에 설치되며 외측단이 상기 패널(18)의 후단부 소정 위치에 힌지결합되고, 내측단에는 랙기어부(22)가 형성되어 외력의 인가시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좌우 한쌍의 작동부재(24)와, 등받이(20)의 일측면 외측으로부터 내부로 끼워져 설치되며, 내측단에는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24)상의 랙기어부(22)에 동시에 맞물리는 웜(26)이 형성된 조정레버(28)와, 상기 등받이프레임상에 설치되어 상기 각 작동부재(24)의 좌우 직선이동이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각 작동부재(24)의 내측단에 형성되는 랙기어부(2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또는 승차자가 시트(12)에 앉은 상태에서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사이드서포트(14)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등받이(20)의 일측면외측으로 돌출된 조정레버(28)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조정레버(28)의 내측단에 형성된 웜(26)이 동일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랙기어부(22)에 의하여 상기 웜(26)과 맞물림 좌우 한쌍의 작동부재(24)가 동시에 외측 또는 동시에 내측으로 직선이동된다.
이와 같은 작동부재(24)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사이드서포트(14)의 내부에 삽입된 패널(18)이 등받이프레임(16)을 축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동작에 의하여 사이드서포트(14)가 좌우방향으로 조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정동작중 상기 작동부재(24)의 직선이동은 상기 가이드부재(30)의 가이드작용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자동차 시트에서 사이드서포트가 운전자 또는 다른 승차자의 직접조작에 의하여 조정됨에 따라 승차감이 보다 향상될 수 있고, 급격한 코너링시에 승차자의 상체가 급격하게 쏠리는 현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 시트(12)의 사이드서포트(14)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등받이프레임(16)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패널(18)과;
    등받이(20) 내부에서 설치되며 외측단이 상기 패널(18)의 후단부 소정 위치에 힌지결합되고, 내측단에는 랙기어부(22)가 형성되어 외력의 인가시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좌우 한쌍의 작동부재(24)와;
    등받이(20)의 일측면 외측으로부터 내부로 끼워져 설치되며, 내측단에는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24)상의 랙기어부(22)에 동시에 맞물리는 웜(26)이 형성된 조정레버(28)와;
    상기 등받이프레임상에 설치되어 상기 각 작동부재(24)의 좌우 직선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작동부재(24)의 내측단에 형성되는 랙기어부(2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 조정장치.
KR2019960058278U 1996-12-27 1996-12-27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Side Suppor)조정장치 KR199800451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278U KR19980045138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Side Suppor)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278U KR19980045138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Side Suppor)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138U true KR19980045138U (ko) 1998-09-25

Family

ID=5399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278U KR19980045138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Side Suppor)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13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615B1 (ko) * 2000-12-13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터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615B1 (ko) * 2000-12-13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터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6379B2 (ja) シフトチェンジ連動のヘッドレスト制御方法および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KR19980045138U (ko)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서포트(Side Suppor)조정장치
KR0139449Y1 (ko) 높이조절 암레스트
KR0134828B1 (ko) 자동차용 시트 헤드 레스트
KR19980052625U (ko) 형상변경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KR10038761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터 조절장치
KR970000216Y1 (ko) 시트 쿠션
KR980008729A (ko) 자동차 세퍼레이트 시트용 볼스터(Bolster) 조절장치
KR200150394Y1 (ko) 시트 백의 허리 지지 조절장치
KR100203768B1 (ko) 차량의 출몰식 시트 헤드레스트
KR19980043182U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전.후이동조절장치
KR100410928B1 (ko)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헤드 레스트
KR960009968Y1 (ko) 상하이동되는 요추받침구가 설치된 자동차용 시트
KR970004130Y1 (ko) 시트
KR0163338B1 (ko) 허리받이쿠션이 내장된 자동차의 시트
KR0128138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구조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0164340B1 (ko) 프론트시트 헤드레스트틸트장치
KR19980027961A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KR0114636Y1 (ko) 시트용 룸바서포트구조
KR100195052B1 (ko) 차량용 시트 바닥판의 경사도 조절장치
KR19980022842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9980038619U (ko) 자동차시트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0213840Y1 (ko) 시트 등받이 회전장치
KR950008607Y1 (ko) 자동차용 일체형 시트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