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0289A -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289A
KR20070050289A KR1020050107675A KR20050107675A KR20070050289A KR 20070050289 A KR20070050289 A KR 20070050289A KR 1020050107675 A KR1020050107675 A KR 1020050107675A KR 20050107675 A KR20050107675 A KR 20050107675A KR 20070050289 A KR20070050289 A KR 20070050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ist
gear
sea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욱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7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0289A/ko
Publication of KR2007005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43Back-rests or cushions shape of the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 B60N2/99Side-rest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측면 지지구와 허리 지지구를 하나의 조절 레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탑승자의 허리를 지지하고 탑승자의 옆구리 부위를 지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14)을 기준으로 회전 동작하는 조절 레버(10), 상기 조절 레버(10)의 회전축(14)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조절 기어(16), 상기 조절 레버(10)의 회전축의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홀(24)이 상하로 형성되고 지지대(30)에 의해 시트 프레임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구(32), 상기 조절 기어(16)와 맞물려 시트 등받이의 전후로 동작하는 허리 지지부 조절부(20), 상기 조절 기어(16)와 맞물려 동작하는 측면 지지부(50)로 구성된다.
차량, 시트, 측면 지지, 허리 지지

Description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A driver's waist and side support strucuture in automobiles' seat}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 시트의 허리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a 선의 선단면도로서, 시트의 측면 지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 시트의 허리 지지 장치와 측면 지지 장치의 통합 구성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도 4의 A 부분의 상세도면.
도 5b는 도 4의 A 부분의 상세도면으로서, 조절 레버를 조작하였을 때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높이 조절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측면 지지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c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측면 지지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조절 레버 14 : 회전축
16 : 조절 기어 20 : 허리 지지부 조절부
32 : 높이 조절구 50 : 측면 지지부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시트의 측면 지지구와 허리 지지구를 하나의 조절 레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시트의 내부에는 승객의 요추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허리 지지장치가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의 허리지지장치는 시트프레임(1)의 양쪽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로드(3)와, 이 회전 로드(3)의 중앙에 용접 등으로 부착된 허리지지판(2)과, 시트 상으로 노출된 상기 회전 로드(3)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전후조절 레버(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후조절 레버(4)를 회전조작시키면, 회전 로드(3)가 전방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허리지지판(2)이 전방으로 시트표면을 돌출시키며 이동된다. 이에 따라, 승객의 요추 부분이 상기 전방으로 돌출된 허리지지판(2)에 받쳐지게 된다.
프론트 시트 백 본체의 양측면에는 시트 백 본체와 일체로 지지부를 형성하여 탑승자의 옆구리를 지지하므로서 탑승자의 자세를 편안하게 함과 동시에 회전시에 상반신의 좌우이동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측면 지지 구조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을 살펴보면,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 시트의 등받이 양측에는 측면 지지구가 설치된다. 도 2b는 도 2a의 a-a선의 선단면도로서, 측면 지지구(5)가 회전축(c)에 의해 조립되어 있어 조절 레버(6)의 조절에 의해 측면 지지구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옆구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은 스포츠가 또는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과 같이 고속 주행이나 험로 주행이 주목적인 차량의 경우 운전자의 안전한 운전과 탑승자의 편안함을 추구하기 위해 채택되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허리지지판(2)과 측면 지지구(5)를 하나의 시트에 집약하여 운전의 편리함과 안락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탑승자의 측면 지지구(5)는 힌지 조립되어 있어 힌지 연결점을 중심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에는 지지에 의한 편안함보다는 허리가 조여드는 느낌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면 지지구를 조절하는 레버와 허리 지지구를 조절하는 레버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차량의 조립 공정이 증가되고, 실제 사용시 사용자가 레버를 착 각하여 조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시트의 측면 지지구와 허리 지지구를 하나의 조절 레버로 조절할 수 있고 측면 지지구는 탑승자의 신체에 맞추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차량 탑승자의 허리를 지지하고 탑승자의 옆구리 부위를 지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14)을 기준으로 회전 동작하는 조절 레버(10), 상기 조절 레버(10)의 회전축(14)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조절 기어(16), 상기 조절 레버(10)의 회전축의 단부가 삽입되는 하부 고정홀(34) 및 상부 고정홀(36)이 상하로 형성되고 지지대(30)에 의해 시트 프레임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구(32), 상기 조절 기어(16)와 맞물려 시트 등받이의 전후로 동작하는 허리 지지부 조절부(20), 상기 조절 기어(16)와 맞물려 동작하는 측면 지지부(5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허리 지지부 조절부(20)는 시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기어(24), 로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어(24)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허리 지지 로드(2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 지지부(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높이 조절구(32)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본체(54), 상기 본체(54)의 중간부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기어(52), '⊃'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부는 탑승자의 옆구리를 지지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54)의 중심축상에 설치되는 지지 로드(58), 상기 본체(54)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 로드(58)의 중간부를 회전가능하게 위치시키는 가이드(5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포츠카 또는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과 같이 고속 주행이나 험로 주행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의 경우 주행 도중 운전자와 차량 탑승자의 안전한 주행을 위해서는 차량 시트에 운전자와 탑승자의 신체를 편하게 받쳐줄 수 있는 지지 구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을 사용하도록 한다.
우선, 차량 시트(1)의 시트 프레임의 일측에는 지지대(30)에 의해 플레이트 형태의 높이 조절구(32)를 고정하도록 한다. 지지대(30)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 조절구(32)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고정홀(34)과 상부 고정홀(36)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조절 레버(10)를 이용하여 조작하려는 대상이 허리 지지부 조절부 또는 측면 지지부 여부에 따라 조절 레버(10)의 회전축을 하부 고정홀(34) 또는 상부 고정홀(36)에 삽입하도록 한다.
허리 지지부 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조절 레버를 조작하도록 한다.
우선, 조절 레버(10)의 회전축(14)을 높이 조절구(32)의 하부 고정홀(34)에 삽입하도록 하여, 회전축(14)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절 기어(16)가 허리 지지부 조절부(20)의 제 1 기어(24)와 맞물리도록 한다.
조절 기어(16)와 제 1 기어(24)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조절 레버(10)를 회전축(14)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 1 기어(24)가 회전하게 되고, 제 1 기어(24)의 일측 즉, 조절 기어(16)와 제 1 기어(24)의 맞물림 위치의 반대편에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허리 지지 로드(2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차량 시트의 등받이 하부에서 돌출되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허리 지지를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조절 레버(10)를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하면 허리 지지 로드(2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시트의 측면 지지부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조절 레버를 조작하도록 한다.
조절 레버(10)를 당겨 조절 레버(10)의 회전축(14)이 하부 고정홀(34)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 조절 레버(10)를 상부로 밀어 올려 조절 레버(10)의 회전축(14)이 상부 고정홀(36)에 삽입되도록 한다.
조절 레버(10)가 상부로 이동하면 회전축(14)에 설치되어 있는 조절 기어(16)와 제 1 기어(24)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조절 기어(16)는 제 2 기어(52)와 결합된다.
조절 기어(16)가 제 2 기어(52)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절 레버(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제 2 기어(52)는 차량 시트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 2 기어(52)는 본체(54)의 중간부에 수직을 이루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일단부는 가이드(56)에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조절 레버(10)를 회전조작하면 제 2 기어(52)가 이동하면서 가이드(56)가 동작되도록 한다.
가이드(56)의 일단부에는 지지 로드(58)의 중간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지지 로드(58)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본체(54)의 이동에 의해 지지 로드(58)도 회전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지지 로드(58)의 일단부는 본체(54)의 중심축상에 연결되어 있고, 지지 로드(58)의 중간부는 가이드(56)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지지 로드(58)는 도 7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지지 로드(58)의 동작은 본체(54)와의 연결 지점과 가이드(56)와의 연결 지점을 기준으로 하므로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의 이동은 타원 운동과 유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로드(58)는 하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작하지 않고, 본체(54)와의 연결 지점과 가이드(56)와의 연결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옆구리를 자연스럽게 지지할 수 있다. 즉, 탑승자의 신체 중 옆구리 부분은 원형이나 직선형태가 아니므로 두개의 기준점을 기주으로 하여 지지 로드가 타원으로 운동할 때 지지 효과가 상승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측면 지지구와 허리 지지구를 하나의 조절 레버로 조절할 수 있어 조립 공정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의 측면 지지구는 두개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신체의 편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 탑승자의 허리를 지지하고 탑승자의 옆구리 부위를 지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설치되어 있는 로드 형태의 회전축(14)을 기준으로 회전 동작하는 조절 레버(10), 상기 조절 레버(10)의 회전축(14)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조절 기어(16), 상기 조절 기어(16)와 맞물려 시트 등받이의 전후로 동작하는 허리 지지부 조절부(20), 상기 조절 레버(10)의 회전축의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홀(24)이 상하로 형성되고 지지대(30)에 의해 시트 프레임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구(32), 상기 조절 기어(16)와 맞물려 동작하는 측면 지지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지지부 조절부(20)는 시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기어(24), 로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어(24)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허리 지지 로드(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높이 조절구(32)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본체(54), 상기 본체(54)의 중간부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기어(52), '⊃'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부는 탑승자의 옆구리를 지지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54)의 중심축상에 설치되는 지 지 로드(58), 상기 본체(54)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 로드(58)의 중간부를 회전가능하게 위치시키는 가이드(5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높이 조절구(32)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본체(54), 상기 본체(54)의 중간부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기어(52), '⊃'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부는 탑승자의 옆구리를 지지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54)의 중심축상에 설치되는 지지 로드(58), 상기 본체(54)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 로드(58)의 중간부를 회전가능하게 위치시키는 가이드(5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
KR1020050107675A 2005-11-10 2005-11-10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 KR20070050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675A KR20070050289A (ko) 2005-11-10 2005-11-10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675A KR20070050289A (ko) 2005-11-10 2005-11-10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289A true KR20070050289A (ko) 2007-05-15

Family

ID=3827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675A KR20070050289A (ko) 2005-11-10 2005-11-10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02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84B1 (ko) * 2009-10-23 2012-02-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시트 평가용 더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84B1 (ko) * 2009-10-23 2012-02-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시트 평가용 더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693B2 (en) Seating area adjuster
JPH0711647Y2 (ja) ヘツドレスト装置
JPH04231228A (ja) フットレスト装置
US4540217A (en) Headrest device for a vehicle seat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20070050289A (ko) 차량 시트의 운전자 허리 및 측면 지지 구조
KR100551769B1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연동형 시트 틸트장치
JPH09109746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H05176825A (ja) シートの可動式ヘッドレスト構造
KR101143788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럼버 서포트
JPH0527088Y2 (ko)
KR100398106B1 (ko) 차량용 시트쿠션 스프링의 위치조절장치
KR100297135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100472241B1 (ko) 자동차 뒷좌석의 기울기 조절 장치
JPH0459174B2 (ko)
KR970000216Y1 (ko) 시트 쿠션
JPH0236246B2 (ko)
KR200150394Y1 (ko) 시트 백의 허리 지지 조절장치
JPH0591928A (ja) 機械的に位置調整するジヤツキ
KR100515728B1 (ko) 지지부재를 구비한 시트 조립체
JPH082298A (ja) シートクッション長可変機構
JPH07195969A (ja) シートのリフター機構
KR20030037001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JPH0489009A (ja) 車両用シートの面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S595404Y2 (ja) ヘツドレストの前後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