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223B1 -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223B1
KR101470223B1 KR1020130125724A KR20130125724A KR101470223B1 KR 101470223 B1 KR101470223 B1 KR 101470223B1 KR 1020130125724 A KR1020130125724 A KR 1020130125724A KR 20130125724 A KR20130125724 A KR 20130125724A KR 101470223 B1 KR101470223 B1 KR 101470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eat
hinge pin
link arm
bols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임호섭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30125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2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 B60N2/99Side-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의 양 사이드에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서포트 플레이트를 링크 구조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서포트 플레이트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추어 볼스터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가 소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를 통해 탑승자를 시트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탑승자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고, 차량의 고급화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APPARATUS FOR SEAT SIDE BOLSTER OF VEHICLE}
본 발명은 시트백 측면부의 볼스터 뷸륨량을 탑승자의 체형에 맞추어 조절 가능한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기본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의 몸을 지지하기 위한 시트가 구비되고, 시트의 양 사이드에는 볼스터가 구비되어 차량의 선회시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가 원심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탑승자가 시트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탑승자의 체형은 사람마다 모두 상이한데 비해, 종래의 시트 볼스터는 돌출량이 초기 시트 설계시 결정되어 제작되기에, 다양한 체형에 맞추어 볼스터의 불륨량을 조절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최적의 지지감을 제공해줄 수 없었다.
구체적으로,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의 체형이 클 경우 볼스터의 돌출량을 작게 해주어야만 탑승자가 시트에서 답답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볼스터는 돌출량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체형이 큰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였다.
또한, 탑승자의 체형이 작을 경우에는 볼스터의 돌출량을 크게 해주어 탑승자의 몸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볼스터의 돌출량을 조절하지 못함에 따라 체형이 작은 탑승자의 몸이 제대로 지지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5-0123205호에는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일례로서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한 볼스터프레임이 장착된 구조가 제시되어 있는 데, 상기 볼스터프레임은 차량 선회시 운전자의 상체가 한쪽방향으로 쏠릴 때에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회전하면서 운전자의 상체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구성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회전식 볼스터프레임도 승객의 체형에 따라 볼스터의 돌출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구성으로, 승객을 안정된 자세로 지지해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5-0123205 (2005.12.2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볼스터의 돌출량을 조절함으로써 탑승자를 보다 안정되도록 지지해줄 수 있는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시트 양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된 베이스 브라켓;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후단부에 힌지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와 베이스 브라켓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관절 구조로 이루어져 관절의 각도가 변화되도록 구성된 링크 암; 및 상기 링크 암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링크 암의 각도 변화를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고, 동작시 링크 암의 각도가 변화됨으로써 서포트 플레이트가 베이스 브라켓과 연결된 힌지축을 기점으로 회전되어 사이드 볼스터의 돌출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암은 제1힌지핀을 통해 베이스 브라켓의 전단부에 설치된 제1링크; 및 제2힌지핀을 통해 제1링크와 연결되고 제3힌지핀을 통해 서포트 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연결된 제2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의 전단에는 길이방향 측 양단부에 조립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의 전단에는 길이방향 측 양단부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어 조립부와 삽입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의 조립부와 제2링크의 결합부가 상호 삽입 연결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제2힌지핀이 조립부와 결합부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는, 시트 프레임에 설치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이 연장 형성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마련된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연장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연장된 스크류부; 및 양단부가 가이드 레일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고, 스크류부가 관통 체결되어 액츄에이터의 작동시 스크류부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설치되어 링크 암까지 연장된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암의 제1링크와 제2링크를 연결하는 제2힌지핀에는 제2힌지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 브라켓이 마련되고, 구동기구의 와이어가 연결 브라켓까지 연장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의 슬라이딩 부재에는 와이어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고, 각각의 와이어가 시트 양 사이드로 연장되어 시트 양 사이드 볼스터의 돌출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과 링크 암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탄성부재는 고정기구의 와이어가 당겨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볼스터의 돌출량을 조절함으로써 탑승자를 보다 안정되도록 지지해줄 수 있다.
이렇게, 시트 볼스터의 돌출량을 조절하여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편안한 탑승감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고급화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를 시트 프레임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조립도.
도 5는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구동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를 시트 프레임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5는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구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의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시트 양 사이드 프레임(10)에 설치된 베이스 브라켓(200); 상기 베이스 브라켓(200)의 후단부(220)에 힌지축(50)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100);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00)와 베이스 브라켓(200)의 전단부(2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관절 구조로 이루어져 관절의 각도가 변화되도록 구성된 링크 암(300); 및 상기 링크 암(30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링크 암(300)의 각도 변화를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고, 동작시 링크 암(300)의 각도가 변화됨으로써 서포트 플레이트(100)가 베이스 브라켓(200)의 연결된 힌지축(50)을 기점으로 회전되어 사이드 볼스터의 돌출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기구(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 브라켓(200)에 설치된 서포트 플레이트(100)는 탑승자의 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일정 곡률로 형성하여 시트 볼스터의 형상이 변형되는 않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서포트 플레이트(100)의 회전을 통해 사이드 볼스터의 돌출량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바, 서포트 플레이트(100)의 후단부를 베이스 브라켓(200)의 후단부에 힌지축(50)으로 연결하여 서포트 플레이트(100)가 베이스 브라켓(20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서포트 플레이트(100)가 힌지축(50)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베이스 브라켓(200)은 시트 양 사이드의 시트백 프레임(10)에 설치고정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00)와 베이스 브라켓(200)의 전단부(240)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관절 구조로 이루어져 관절의 각도가 변화됨으로써 서포트 플레이트(100)를 회전운동시키는 링크 암(300)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 암(300)은 제1힌지핀(20)을 통해 베이스 브라켓(200)의 전단부(240)에 설치된 제1링크(320); 및 제2힌지핀(30)을 통해 제1링크(320)와 연결되고 제3힌지핀(40)을 통해 서포트 플레이트(100)의 타측면에 연결된 제2링크(3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링크 암(300)은 제1링크(320)와 제2링크(340)가 상호 회전되도록 연결된 관절 구조를 이룬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1링크(320)는 베이스 브라켓(200)의 전단부(240)에 설치되는데, 베이스 브라켓(200)은 시트백 프레임(20)에 설치 고정되어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바, 제1링크(320)와 베이스 브라켓(200)을 연결하는 제1힌지핀(20)은 링크 암(300)의 회전 중심으로 작용된다.
상기의 제1링크(320)에는 베이스 브라켓(200)과 연결된 반대 단부에 제2링크(340)가 제2힌지핀(30)을 통해 연결되고, 제2링크(340)는 제1링크(320)와 연결된 반대 단부에 제3힌지핀(40)을 통해 서포트 플레이트(100)의 타측면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의 링크 암(300)은 제1링크(320)와 제2링크(340)가 연결된 부분을 기점으로 제1링크(320)와 제2링크(340) 간의 각도 변화에 따라 서포트 플레이트(100)의 회전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이러한 링크 암(300)은 구동기구(400)의 구동력을 통해 각도가 변화되는데, 와이어(420)와 액츄에이터(460)의 동작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본 발명의 구동기구(400)에 대해서는 하기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을 참조하여 링크 암(3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고정기구(400)의 와이어(420)는 제1링크(320)와 제2링크(340)를 연결하는 제2힌지핀(30)에 연결되고, 액츄에이터(460)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420)가 당겨짐에 따라 제2힌지핀(30)도 함께 당겨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링크 암(300)은 제1링크(320)와 제2링크(340) 사이의 각도가 벌어지게 되고, 각도가 벌어진 만큼 제1링크(320)와 베이스 브라켓(200)을 연결하는 제1힌지핀(20)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서포트 플레이트(10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링크(320)와 제2링크(340)의 결함관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링크(320)의 전단에는 길이방향 측 양단부에 조립부(3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340)의 전단에는 길이방향 측 양단부에 결합부(342)가 돌출 형성되어 조립부(322)와 삽입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320)의 조립부(322)와 제2링크(340)의 결합부(342)가 상호 삽입 연결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제2힌지핀(30)이 조립부(322)와 결합부(342)를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방향이라 함은 도 2에서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2링크(340)에는 길이방향의 양 끝단부에 결합부(342)를 돌출시키고, 제1링크(320)의 양 끝단부에는 결합부(342)를 감싸도록 형성된 조립부(322)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렇게, 제1링크(320)의 조립부(322)에 제2링크(340)의 결합부(322)가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제1링크(320)와 제2링크(340) 간의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링크(320)의 조립부(322)와 제2링크(340)의 결합부(342)가 상호 끼워져 조립된 상태에서 제2힌지핀(30)이 길이방향으로 조립부(322)와 결합부(342)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제1링크(320)와 제2링크(340)는 제2힌지핀(30)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동기구(400)는, 도 5서 볼 수 있듯이,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442)이 연장 형성된 고정 브라켓(440); 상기 고정 브라켓(440)에 마련된 액츄에이터(460); 상기 액츄에이터(460)에서 연장되어 고정 브라켓(440)을 관통 후 가이드 레일(442)을 따라 연장된 스크류부(462); 및 양단부가 가이드 레일(442)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고, 스크류부(462)가 관통 체결되어 액츄에이터(460)의 작동시 스크류부(462)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레일(44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부재(480); 상기 슬라이딩 부재(480)에 설치되어 링크 암(300)까지 연장된 와이어(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400)의 슬라이딩 부재(480)에는 와이어(420)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고, 각각의 와이어(420)가 시트 양 사이드로 연장되어 시트 양 사이드에 마련된 브라켓 베이스(200)를 지나 링크 암(30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고정기구(400)는 하나의 액츄에이터(460)로, 시트 양 사이드의 볼스터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액츄에이터(460)로 좌우 볼스터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패키지 설계에 유리하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복수의 액츄에이터(460)를 설치하여 양 사이드 볼스터의 돌출량을 각각 별개로 조절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기구(400)의 액츄에이터(460) 작동은 전자 제어를 통해 탑승자의 체형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탑승자가 직접 자신의 체형에 맞추어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고정 브라켓(440)에 설치된 액츄에이터(460)의 작동에 의해 스크류부(462)가 회전되면, 스크류부(462)에 체결된 슬라이딩 부재(480)가 가이드 레일(44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볼스터의 돌출량을 크게 설정해야 할 경우 액츄에이터(460)의 작동을 통해 슬라이딩 부재(48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슬라이딩 부재(480)에 연결된 와이어(420)가 당겨짐으로써 와이어(420) 끝단에 연결된 링크 암(300)의 관절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고정기구(400)의 와이어(420)는 링크 암(3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기구(400)의 와이어(420)는 링크 암(300)의 제1링크(320) 또는 제2링크(340)에 설치되어도 작동되는데 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구동기구(400)의 최소한의 구동력으로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제1링크(320)와 제2링크(340)를 연결하는 제2힌지핀(30)에 와이어(420)를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링크 암(300)의 제1링크(320)와 제2링크(340)를 연결하는 제2힌지핀(30)에는 제2힌지핀(3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 브라켓(500)이 마련되고, 구동기구(400)의 와이어(420)가 연결 브라켓(500)까지 연장되어 연결될 수 있다.
만약, 고정기구(400)의 와이어(420)가 제2힌지핀(30)에 단순 결합되면, 와이어(420)가 제2힌지핀(30)을 당기는 동작시 와이어(420)의 끝단부가 꺽여 내구 성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게 될 경우 와이어(420)가 손상되어 끈어질 수 있는바, 제2힌지핀(3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2힌지핀(30)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 브라켓(500)을 통해 고정기구(400)의 와이어(420)를 연결함으로써 와이어(420)의 꺽임없이 제2힌지핀(30)을 당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브라켓(500)은 상기 제1링크(320)에 형성된 조립부(322) 사이로 노출되는 제2힌지핀(30)에 설치하고, 구동기구(400)의 와이어(420)를 연결 브라켓(500)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브라켓(200)과 링크 암(300)에는 탄성부재(120)가 설치되고, 탄성부재(120)는 고정기구(400)의 와이어(420)가 당겨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20)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될 수 있다.
이처럼, 베이스 브라켓(200)과 링크 암(300)에 연결된 탄성부재(120)를 통해 링크 암(300)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링크 암(300)의 작동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플레이트(100)를 원위치로 원복시켜야 할 경우 고정기구(400)의 작동력이 해제시키거나 반대로 작동시키면 와이어(420)가 링크 암(300)을 풀어줌으로써 탄성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링크 암(300)이 초기 각도로 복원되어 서포트 플레이트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초기상태에서는 고정기구(400)의 액츄에이터(46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로, 탄성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링크 암(300)의 각도가 변화되지 않는다. 즉, 링크 암(300)의 제1링크(320)와 제2링크(340)의 각도가 제일 작은 상태이고, 이에 따라 서포트 플레이트(10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는 체형이 큰 탑승자가 착좌할 경우 초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체형이 작은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하여 볼스터의 돌출량이 필요할 경우 고정기구(400)의 액츄에이터(460)의 작동됨에 따라 스크류부(462)가 회전되고, 스크류부(462)가 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480)가 하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와이어(420)를 당기게 된다.
이렇게 와이어(420)가 당겨짐에 따라 제1링크(320)와 제2링크(340)를 연결한 제2힌지핀(30)이 하방으로 당겨져 이동됨으로써 제1힌지핀(20)을 통해 베이스 브라켓(100)에 연결된 제1링크(320)가 회전되고, 회전되는 제1링크(320)에 연결된 제2링크(340)가 회전방향으로 밀림에 따라 제1링크(320)와 제2링크(340)의 각도가 커지게 된다.
즉, 서포트 플레이트(100)가 제2링크(340)에 의해 밀리어 힌지축(50)을 중심으로 베이스 브라켓(200)에서 회전됨으로써 시트 볼스터의 돌출량이 커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체형이 작은 탑승자를 충분히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반대로, 체형이 큰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하거나, 시트 볼스터의 돌출량이 크게 필요하지 않을 경우, 고정기구(400)의 액츄에이터(460) 작동을 통해 스크류부(46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부재(480)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이로 인해 와이어(420)의 당김력이 느슨해진다.
이렇게, 고정기구(400)의 와이어(420)가 링크 암(300)을 당겨주는 힘이 제거됨에 따라 베이스 브라켓(200)과 링크 암(300)에 연결된 탄성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제1링크(320)가 원위치로 돌아가고, 제2링크(340)도 제1링크(320)를 따라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서포트 플레이트(100)가 힌지축(50)을 기점으로 다시 회전되어 초기 위치로 원복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는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볼스터의 돌출량을 조절함으로써 탑승자를 보다 안정되도록 지지해줄 수 있다.
이렇게, 시트 볼스터의 돌출량을 조절하여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편안한 탑승감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고급화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서포트 플레이트 120:탄성부재
200:베이스 브라켓 300:링크 암
320:제1링크 340:제2링크
400:고정기구 420:와이어
440:고정 브라켓 442:가이드 레일
460:액츄에이터 462:스크류부
480:슬라이더 부재

Claims (7)

  1. 시트 양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된 베이스 브라켓;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후단부에 힌지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와 베이스 브라켓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복수의 관절 구조로 이루어져 관절의 각도가 변화되도록 구성된 링크 암; 및
    상기 링크 암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링크 암의 각도 변화를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고, 동작시 링크 암의 각도가 변화됨으로써 서포트 플레이트가 베이스 브라켓과 연결된 힌지축을 기점으로 회전되어 사이드 볼스터의 돌출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암은 제1힌지핀을 통해 베이스 브라켓의 전단부에 설치된 제1링크; 및
    제2힌지핀을 통해 제1링크와 연결되고 제3힌지핀을 통해 서포트 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연결된 제2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의 전단에는 길이방향 측 양단부에 조립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의 전단에는 길이방향 측 양단부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어 조립부와 삽입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의 조립부와 제2링크의 결합부가 상호 삽입 연결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제2힌지핀이 조립부와 결합부를 관통하여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시트 프레임에 설치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이 연장 형성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마련된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에서 연장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연장된 스크류부; 및 양단부가 가이드 레일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고, 스크류부가 관통 체결되어 액츄에이터의 작동시 스크류부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설치되어 링크 암까지 연장된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5.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암의 제1링크와 제2링크를 연결하는 제2힌지핀에는 제2힌지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 브라켓이 마련되고, 구동기구의 와이어가 연결 브라켓까지 연장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의 슬라이딩 부재에는 와이어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고, 각각의 와이어가 시트 양 사이드로 연장되어 시트 양 사이드 볼스터의 돌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과 링크 암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탄성부재는 고정기구의 와이어가 당겨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20130125724A 2013-10-22 2013-10-22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Active KR101470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724A KR101470223B1 (ko) 2013-10-22 2013-10-22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724A KR101470223B1 (ko) 2013-10-22 2013-10-22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223B1 true KR101470223B1 (ko) 2014-12-08

Family

ID=5267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724A Active KR101470223B1 (ko) 2013-10-22 2013-10-22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2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8205A (zh) * 2013-12-30 2014-04-2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调节车辆座椅侧翼宽度的调节组件
KR101664066B1 (ko) * 2015-04-30 2016-10-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유닛
KR101725413B1 (ko) * 2015-12-24 2017-04-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20200070717A (ko) * 2018-12-10 2020-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529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시트 쿠션 사이드 볼스터의 위치 가변 장치
JP2004141664A (ja) * 2002-10-25 2004-05-20 L & P Property Management Co シートボルスタ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seatbolstersystemapparatusandmeathod)
KR20100074870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529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시트 쿠션 사이드 볼스터의 위치 가변 장치
JP2004141664A (ja) * 2002-10-25 2004-05-20 L & P Property Management Co シートボルスタ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seatbolstersystemapparatusandmeathod)
KR20100074870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8205A (zh) * 2013-12-30 2014-04-2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调节车辆座椅侧翼宽度的调节组件
KR101664066B1 (ko) * 2015-04-30 2016-10-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유닛
KR101725413B1 (ko) * 2015-12-24 2017-04-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20200070717A (ko) * 2018-12-10 2020-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KR102644560B1 (ko) 2018-12-10 2024-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952B2 (en) Adjustable bolster assembly
CN103182973B (zh) 用于腰部支撑件的调整装置和调整腰部支撑件的方法
US8020933B2 (en) Lumbar support device of seat for vehicles
US9371011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US7614693B2 (en) Seating area adjuster
JP4322212B2 (ja) シザーズ人間工学サポート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939512B2 (en) Seat assembly and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US9694716B2 (en) Vehicle seat
JP4620665B2 (ja) 自動車シート用の自動車シートバック構造
KR101664697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US20120025582A1 (en) Seat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US9415714B2 (en) Lumber support apparatus for vehicle
CN110352145B (zh) 具有可调节座椅靠背和/或可调节座垫的车辆座椅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593846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1725413B1 (ko)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4301014B2 (ja) シートバックのサイドサポート構造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2016049961A (ja) 車両用後席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2014860B1 (ko)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
EP1571064A1 (en) Adjustable pedal and steering mechanism
KR101326505B1 (ko) 차량용 후석 시트백 리클라이너
KR101252497B1 (ko) 리어시트 편의 장치
KR20200080843A (ko) 견인휠을 이용한 와이어 구동형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