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860B1 -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860B1
KR102014860B1 KR1020180013734A KR20180013734A KR102014860B1 KR 102014860 B1 KR102014860 B1 KR 102014860B1 KR 1020180013734 A KR1020180013734 A KR 1020180013734A KR 20180013734 A KR20180013734 A KR 20180013734A KR 102014860 B1 KR102014860 B1 KR 102014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extension
back cover
hing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503A (ko
Inventor
오병찬
강전일
백인선
김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to KR1020180013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8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30Seat or seat part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plural parts or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seat)에 장착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쿠션 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래킷에 대하여 후단부가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구동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고 배면을 통해 상기 리드스크류의 전방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구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익스텐션부와; 상기 익스텐션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윙가이드와; 상기 익스텐션부의 배면에 나란히 배치되되 상대적으로 상기 익스텐션부를 전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의 힌지축을 가짐으로써, 상기 힌지축을 매개로 하여 상기 익스텐션부에 끌려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스윙가이드와 결합하여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익스텐션부의 상대적인 선회 범위를 제공하는 하부의 선회규제축을 갖는 백커버와; 각기 전방단부가 상기 백커버의 배면 상단부에 핀결합하고 후방단부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축선상에 핀결합함으로써 상기 백커버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됨에 따라 전방으로 신장되거나 후방으로 절첩되는 좌우 한 쌍의 2절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시트쿠션의 연장으로 인한 처짐 현상을 해소하고 컴팩트한 구성을 가지며 작동시 마찰,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EXTENSION SYSTEM FOR SEAT CUSHION}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seat)에 장착되는 메커니즘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큰 체구의 착석자를 위해 시트쿠션(seat cushion)의 전방 단부를 연장시켜 주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은 시트쿠션으로부터 단순히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는 구성만을 취하는 관계로, 이에 의해 받쳐지는 쿠션부재, 즉 발포재(foam)은 착석자의 허벅지 부위에 의해 강하게 눌러짐에 따라 실제로는 연장되는 부분이 아래로 처진 결과가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한국특허등록 제10-1601545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등록일자: 2016.03.02.), 한국특허등록 제10-1662390호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등록일자: 2016.09.27.), 한국특허등록 제10-1686751호 '시트 쿠션의 파워 익스텐션 장치'(등록일자: 2016.12.08.)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익스텐션 메커니즘에 의해 시트쿠션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익스텐션 커버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상방향으로 선회하는 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돌출된 익스텐션 부위로 인한 시트쿠션의 처짐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발명들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쿠션의 연장으로 인한 처짐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종래기술로 제안된 특허들과 비교하여 보다 컴팩트한 구성을 가지면서 작동시 마찰,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에 있어서, 시트쿠션 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래킷에 대하여 후단부가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구동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고 배면을 통해 상기 리드스크류의 전방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구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익스텐션부와; 상기 익스텐션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윙가이드와; 상기 익스텐션부의 배면에 나란히 배치되되 상대적으로 상기 익스텐션부를 전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의 힌지축을 가짐으로써, 상기 힌지축을 매개로 하여 상기 익스텐션부에 끌려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스윙가이드와 결합하여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익스텐션부의 상대적인 선회 범위를 제공하는 하부의 선회규제축을 갖는 백커버와; 각기 전방단부가 상기 백커버의 배면 상단부에 핀결합하고 후방단부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축선상에 핀결합함으로써 상기 백커버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됨에 따라 전방으로 신장되거나 후방으로 절첩되는 좌우 한 쌍의 2절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저면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2절링크의 후방단부가 핀결합하는 상기 축선에 고정 힌지부를 가지고, 상기 2절링크의 링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힌지부의 궤적을 따라 상기 연결 힌지부를 지지하는 원호가이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은 판면의 좌,우측부에 상기 좌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하는 센터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패널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은 상기 익스텐션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힌지축과 결합하는 힌지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가이드와 상기 스윙가이드는 상기 익스텐션부의 좌우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축과 상기 선회규제축은 상기 백커버의 좌우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익스텐션부는, 배면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리드스크류의 전방단부에 힌지결합하고 좌우 양측단부에 상기 힌지가이드와 상기 스윙가이드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익스텐션 브래킷과, 상기 익스텐션 브래킷의 전방에 일체로 결합하는 익스텐션 커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에 의하면 익스텐션부는 리드스크류의 구동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백커버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향 회동하도록 동작함으로써 시트쿠션의 연장으로 인한 처짐 현상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2절링크의 신장 또는 절첩되는 구성에 의해 종래 슬라이드 레일에 의한 가이드와 비교하여 더 컴팩트한 메커니즘을 제공함과 동시에 종래 슬라이드 운동을 링크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작동시 마찰,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이 적용된 시트쿠션 시스템의 작동 전,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시트쿠션 시스템에 적용된 시트쿠션 익스텐션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시스템의 조립도로서 작동과정을 구분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트쿠션 시스템(10)에서 시트쿠션을 이루는 쿠션부재, 즉 발포재(foam)가 얹히는 시트쿠션 프레임(11)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100)은 시트쿠션 프레임(11)의 저면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프레임(11)의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익스텐션부(110)가 도 1의 비작동 위치에서 도 2의 최대한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로까지 슬라이드 및 선회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익스텐션부(110)와 함께 좌우 한 쌍의 힌지가이드(121) 및 스윙가이드(122), 백커버(130), 좌우 한 쌍의 2절링크(140) 및 가이드 플레이트(150), 리드스크류(160) 등을 포함한다.
리드스크류(160)는 시트쿠션 프레임(도 3의 10)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래킷(도 4a의 161)에 의해 후단부가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162)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전후방향으로 구동된다.
익스텐션부(110)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익스텐션 커버(111)와 후방의 익스텐션 브래킷(112)이 일체로 결합된 구성이며, 익스텐션 브래킷(112)은 배면을 통해 리드스크류(160)의 전방단부(160a)에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리드스크류(160)의 전후 구동으로 익스텐션부(16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힌지가이드(121)와 스윙가이드(122)는 익스텐션 브래킷(112)의 좌우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힌지가이드(121)는 상측에 스윙가이드(122)는 하측에 설치된다.
백커버(130)는 익스텐션부(110)의 배면에 나란히 배치되고 좌우 양측단부에는 각각 힌지축(131)과 선회규제축(132)이 상하로 구비된다. 힌지축(131)은 상기한 힌지가이드(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선회규제축(132)은 스윙가이드(122)에 형성되는 슬롯(122a)에 결합함으로써 백커버(130)를 기준으로 보면 익스텐션부(110)는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전방의 상하로 선회하되 상기 스윙가이드(122)에 의해 선회범위가 제공된다(도 5a 내지 도 5c 참조). 이와 동시에, 백커버(130)는 힌지축(131)을 매개로 익스텐션부(110)와 결합하고 있으므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익스텐션부(110)에 끌려 함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좌우 한 쌍의 2절링크(140)는 각 전방단부가 매개 브래킷(141)을 통해 백커버(130)의 배면 상단부에 핀결합하고, 각 후방단부는 상대적으로 시트쿠션 프레임(11)에 고정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50)에 고정된 축선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50)에 구비되는 고정 힌지부(151)에 상기 2절링크(140)의 후방단부가 핀결합한다. 이에 따라, 백커버(13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경우 2절링크(140)는 신장되거나(도 4a -> 도4b -> 도 4c) 후방으로 절첩된다(도 4c -> 도 4b -> 도 4a).
그리고, 익스텐션부(11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백커버(130)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선회하는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 백커버(130)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2절링크(140)의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해 각 2절링크(140)를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50)에는 원호가이드(152)가 형성된다. 원호가이드(152)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절링크(140)의 링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힌지부(142)의 이동 궤적을 따라 형성되고, 연결 힌지부(142)는 원호가이드(152)에 결합하여 이를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지지된다.
한편, 좌우의 가이드 플레이트(150)는 그 사이에 상측에 위치하는 센터패널(170)의 판면의 좌,우측부에 각각 결합하여 지지되고, 센터패널(170)은 시트쿠션 프레임(도 3의 10)의 저면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리드스크류(160)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요소들(110, 121, 122, 130, 140, 150), 특히 백커버(130)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2절링크(140)와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50)까지도 센터패널(170)을 통해 시트쿠션 프레임(11) 측에 지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100)은 별도로 모듈화하여 상기 센터패널(170)을 통해 시트쿠션 프레임(11)에 장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가 간편해진다. 이에 반해, 상기한 종래기술의 선행특허들에서는 슬라이드 레일 구성을 통한 시스트쿠션 프레임과의 결합구조, 기타 시트쿠션 프레임 측에 설치되는 스윙가이드 등으로 인해 익스텐션 시스템만의 독립된 모듈화를 구현하기 어렵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에서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 시트쿠션 시스템 11: 시트쿠션 프레임
100: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 110: 익스텐션부
111: 익스텐션 커버 112: 익스텐션 브래킷
121: 힌지가이드 122: 스윙가이드
130: 백커버 131: 힌지축
132: 선회규제축 140: 2절링크
141: 매개 브래킷 142: 연결 힌지부
150: 가이드 플레이트 151: 고정 힌지부
152: 원호가이드 160: 리드스크류
161: 고정브래킷 162: 구동모터
170: 센터패널

Claims (5)

  1. 삭제
  2.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에 있어서,
    시트쿠션 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래킷에 대하여 후단부가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구동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고 배면을 통해 상기 리드스크류의 전방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구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익스텐션부와;
    상기 익스텐션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윙가이드와;
    상기 익스텐션부의 배면에 나란히 배치되되 상대적으로 상기 익스텐션부를 전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의 힌지축을 가짐으로써, 상기 힌지축을 매개로 하여 상기 익스텐션부에 끌려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스윙가이드와 결합하여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익스텐션부의 상대적인 선회 범위를 제공하는 하부의 선회규제축을 갖는 백커버와;
    각기 전방단부가 상기 백커버의 배면 상단부에 핀결합하고 후방단부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축선상에 핀결합함으로써 상기 백커버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됨에 따라 전방으로 신장되거나 후방으로 절첩되는 좌우 한 쌍의 2절링크; 및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저면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2절링크의 후방단부가 핀결합하는 상기 축선에 고정 힌지부를 가지고, 상기 2절링크의 링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힌지부의 궤적을 따라 상기 연결 힌지부를 지지하는 원호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판면의 좌,우측부에 상기 좌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하는 센터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패널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힌지축과 결합하는 힌지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힌지가이드와 상기 스윙가이드는 상기 익스텐션부의 좌우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축과 상기 선회규제축은 상기 백커버의 좌우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부는
    배면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리드스크류의 전방단부에 힌지결합하고, 좌우 양측단부에 상기 힌지가이드와 상기 스윙가이드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익스텐션 브래킷과;
    상기 익스텐션 브래킷의 전방에 일체로 결합하는 익스텐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
KR1020180013734A 2018-02-05 2018-02-05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 KR102014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734A KR102014860B1 (ko) 2018-02-05 2018-02-05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734A KR102014860B1 (ko) 2018-02-05 2018-02-05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503A KR20190094503A (ko) 2019-08-14
KR102014860B1 true KR102014860B1 (ko) 2019-08-27

Family

ID=6762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734A KR102014860B1 (ko) 2018-02-05 2018-02-05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989B1 (ko) * 2019-12-11 2024-05-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이동장치
CN111706658B (zh) * 2020-06-10 2021-08-17 重庆市机电设计研究院 利用高精度丝杆实现精密圆弧转动的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751B1 (ko) * 2015-09-25 2016-12-14 주식회사다스 시트 쿠션의 파워 익스텐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390B1 (ko) * 2014-09-01 2016-10-05 주식회사다스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751B1 (ko) * 2015-09-25 2016-12-14 주식회사다스 시트 쿠션의 파워 익스텐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503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9608B1 (en) Adjustable bolster assembly
US7614693B2 (en) Seating area adjuster
US20170028875A1 (en) Vehicle seat
US8414055B2 (en) Vehicle seat
US7510228B2 (en) Se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KR20070023836A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페달 조립체
KR100790535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1904976B1 (ko) 시트의 쿠션부 틸트 익스텐션 장치
KR102014860B1 (ko) 시트쿠션용 익스텐션 시스템
KR102235731B1 (ko)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2002010863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219742B1 (ko) 차량용 시트쿠션의 길이조절장치
CA3038553C (en) Diving cushion for a reversible seat
JP4032827B2 (ja)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KR101326505B1 (ko) 차량용 후석 시트백 리클라이너
KR20200080843A (ko) 견인휠을 이용한 와이어 구동형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 장치
JP2016159869A (ja) 乗物用シート
JP2001026232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20136554A (ko) 리어시트 편의 장치
JPH09202167A (ja) サスペンションシート
KR20210067582A (ko) 시트 쿠션의 사이드부 익스텐션 장치
JP2589861Y2 (ja) 後席用パワーシート
KR102415251B1 (ko) 푸시형 작동블록을 구비한 차량용 럼버서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