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4870A -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4870A
KR20100074870A KR1020080133417A KR20080133417A KR20100074870A KR 20100074870 A KR20100074870 A KR 20100074870A KR 1020080133417 A KR1020080133417 A KR 1020080133417A KR 20080133417 A KR20080133417 A KR 20080133417A KR 20100074870 A KR20100074870 A KR 20100074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frame
seat back
side bolster
seat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6295B1 (ko
Inventor
안상우
이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80133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2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 B60N2/99Side-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중 코너링 등과 같은 상황의 발생 여부에 따라 사이드볼스터가 시트백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자동적 및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탑승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정감 있게 승차할 수 있도록 한다.
사이드볼스터, 코너링, 시트백

Description

차량용 시트{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백에 구성되는 사이드볼스터에 관련된 기술이다.
차량에 탑재된 시트에는 사이드볼스터가 구비되는데, 특히 운전자의 시트에는 시트백 양쪽에 사이드볼스터가 구비되어, 시트백이 운전자의 상체 뒷부분뿐만 아니라 일부 측면도 지지해 주어 보다 안정된 착좌 자세를 형성해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시트에는 상기 사이드볼스터가 단지 시트백에서 차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어서, 그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즉, 차량의 코너링 등과 같은 경우에는 사이드볼스터가 평상시보다 더 돌출되면, 탑승자가 더 편안히 의지할 수 있어서 안정감을 얻을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코너링 등과 같은 경우보다는 함몰되어 탑승자의 움직임이 불편하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이지만, 현재의 사이드볼스터는 이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중 코너링 등과 같은 상황의 발생 여부에 따라 사이드볼스터가 시트백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자동적 및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탑승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정감 있게 승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 차량용 시트는
시트백프레임의 측면에 시트의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사이드볼스터와;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측방으로 기울어지는 탑승자의 상체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이동되도록 설치된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이동변위를 변환하여 상기 사이드볼스터에 전달하여, 상기 사이드볼스터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동력전환수단과;
상기 사이드볼스터를 후방으로 원복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제1탄성부재와;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원복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제2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환수단은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회동축을 제공하는 회동링크와;
상기 회동링크의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대한 회동변위를 상기 사이드볼스터가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회동되는 변위로 전환하도록, 상기 사이드볼스터의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작동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링크는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상하방향에 평행한 회동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회동링크에 대하여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상하방향에 평행한 회동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볼스터와 상기 시트백프레임 사이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코일부가 상기 회동링크에 삽입되어 구동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중 코너링 등과 같은 상황의 발생 여부에 따라 사이드볼스터가 시트백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자동적 및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탑승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정감 있게 승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는 시트백프레임(1)의 측면에 시트의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사이드볼스터(3)와; 상기 시트백프레임(1)의 측방으로 기울어지는 탑승자의 상체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시트백프레임(1)에 대해 이동되도록 설치된 가압플레이트(5)와; 상기 가압플레이트(5)의 이동변위를 변환하여 상기 사이드볼스터(3)에 전달하여, 상기 사이드볼스터(3)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동력전환수단과; 상기 사이드볼스터(3)를 후방으로 원복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제1탄성부재(7)와; 상기 가압플레이트(5)를 전방으로 원복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제2탄성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차량의 주행중 코너링 등과 같은 경우에 탑승자의 상체가 옆으로 쏠리면, 상기 가압플레이트(5)가 탑승자의 상체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게 되고, 이 이동변위를 상기 동력전환수단으로 전환하여 사이드볼스터(3)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회동시킴으로써, 옆으로 쏠리는 탑승자의 측면을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환수단은 상기 시트백프레임(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5)를 지지하는 회동축을 제공하는 회동링크(9)와, 상기 회동링크(9)의 상기 시트백프레임(1)에 대한 회동변위를 상기 사이드볼스터(3)가 상기 시트백프레임(1)에 대해 전방으로 회동되는 변위로 전환하도록, 상기 사이 드볼스터(3)의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작동부재(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시트백프레임(1)에는 상기 회동링크(9)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힌지구멍이 형성된 힌지형성부(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동링크(9)는 상기 힌지형성부(13)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플레이트(5)는 상기 회동링크(9)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회동링크(9)를 통해 상기 시트백프레임(1)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볼스터(3)의 작동부재(11)는 상기 회동링크(9)에 의해 밀리면, 상기 사이드볼스터(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받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회동링크(9)는 상기 시트백프레임(1)에 대해 상기 시트백프레임(1)의 상하방향에 평행한 회동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5)는 상기 회동링크(9)에 대하여 상기 시트백프레임(1)의 상하방향에 평행한 회동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7)는 상기 볼스터와 상기 시트백프레임(1) 사이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15)는 코일부가 상기 회동링크(9)에 삽입되어 구동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어있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5에서는 도면을 간략 명료하게 표현하기 위해 시트백프레임(1)의 일측에만 가압플레이트(5)와 회동링크(9) 및 사이드볼스터(3)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양쪽에 대칭적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좌측의 상태는 통상적인 차량의 주행상태로서, 탑승자의 상체는 옆으로 기울지 않은 경우로서, 상기 사이드볼스터(3)는 상기 제1탄성부재(7)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이다. 차량이 선회주행을 하는 경우에는 탑승자의 상체가 옆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때 탑승자의 상체에 의해 상기 가압플레이트(5)는 도 5의 우측과 같은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가압플레이트(5)의 이동은 상기 회동링크(9)를 회동시키게 되고, 상기 회동링크(9)는 상기 제2탄성부재(15)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작동부재(11)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사이드볼스터(3)가 상기 제1탄성부재(7)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시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회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볼스터(3)는 시트백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기울어지는 탑승자의 상체를 측면에서 지지해 주게 되어, 탑승자는 보다 안정된 느낌으로 승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차량이 직진 주행의 상태로 돌아오게 되면, 상기 가압플레이트(5)를 가압하던 상체가 이동하므로 상기 가압플레이트(5)는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함께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고, 이 힘은 상기 제2탄성부재(15)가 제공하고 상기 사이드볼스터(3)가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하는 힘은 상기 제1탄성부재(7)가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볼스터(3)는 다시 도 5의 좌측과 같은 상태로 원위치되어 탑승자가 지나치게 구속되어 불편하지 않도록 한다.
결국, 상기와 같은 차량용 시트는 보통의 직진 주행 상태 등에서는 탑승자를 구속하지 않아 자유로운 탑승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차량의 코너링 등에서는 사이드볼스터(3)가 탑승자의 측방을 지지하여 안정된 승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1은 시트백프레임에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우측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1의 후방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1의 하측에서 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을 비교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시트백프레임 3; 사이드볼스터
5; 가압플레이트 7; 제1탄성부재
9; 회동링크 11; 작동부재
13; 힌지형성부 15; 제2탄성부재

Claims (4)

  1. 시트백프레임의 측면에 시트의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사이드볼스터와;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측방으로 기울어지는 탑승자의 상체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이동되도록 설치된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이동변위를 변환하여 상기 사이드볼스터에 전달하여, 상기 사이드볼스터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동력전환수단과;
    상기 사이드볼스터를 후방으로 원복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제1탄성부재와;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원복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제2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환수단은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회동축을 제공하는 회동링크와;
    상기 회동링크의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대한 회동변위를 상기 사이드볼스터가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회동되는 변위로 전환하도록, 상기 사이드볼스터의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작동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링크는 상기 시트백프레임에 대해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상하방향에 평행한 회동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회동링크에 대하여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상하방향에 평행한 회동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4. 청구항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볼스터와 상기 시트백프레임 사이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코일부가 상기 회동링크에 삽입되어 구동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KR1020080133417A 2008-12-24 2008-12-24 차량용 시트 KR101046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417A KR101046295B1 (ko) 2008-12-24 2008-12-24 차량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417A KR101046295B1 (ko) 2008-12-24 2008-12-24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870A true KR20100074870A (ko) 2010-07-02
KR101046295B1 KR101046295B1 (ko) 2011-07-04

Family

ID=4263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417A KR101046295B1 (ko) 2008-12-24 2008-12-24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2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149B1 (ko) * 2013-10-17 2014-09-1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440147B1 (ko) * 2013-10-17 2014-09-1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470223B1 (ko) * 2013-10-22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CN105539227A (zh) * 2016-02-21 2016-05-04 陈可钗 一种侧靠式客运交通座椅
US10369913B2 (en) 2016-09-01 2019-08-06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ies with adjustable side bolster cushions
US20200180480A1 (en) * 2018-12-10 2020-06-11 Hyundai Motor Company Seat back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1048B (zh) * 2012-08-31 2017-08-2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排座椅靠背骨架
KR101425887B1 (ko) 2013-07-04 2014-08-0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018B1 (ko) * 2000-12-13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의 볼스터 조절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149B1 (ko) * 2013-10-17 2014-09-1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440147B1 (ko) * 2013-10-17 2014-09-1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470223B1 (ko) * 2013-10-22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CN105539227A (zh) * 2016-02-21 2016-05-04 陈可钗 一种侧靠式客运交通座椅
US10369913B2 (en) 2016-09-01 2019-08-06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ies with adjustable side bolster cushions
US20200180480A1 (en) * 2018-12-10 2020-06-11 Hyundai Motor Company Seat back for vehicle
CN111284377A (zh) * 2018-12-10 2020-06-1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座椅靠背
KR20200070717A (ko) * 2018-12-10 2020-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US10814754B2 (en) * 2018-12-10 2020-10-27 Hyundai Motor Company Seat back for vehicle
CN111284377B (zh) * 2018-12-10 2023-03-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座椅靠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6295B1 (ko) 201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295B1 (ko) 차량용 시트
JP5394036B2 (ja) 車両用シート
US9796302B2 (en) Seat for vehicles
KR20060122725A (ko) 차량용 시트 및 그 시트에 의한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지지 방법
KR20090112436A (ko)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JP2014180983A (ja) 乗物用シート
CN210502413U (zh) 侧翼可调式汽车座椅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506351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499998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20110054531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0461123B1 (ko) 럼버 서포트를 이용한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
KR101252497B1 (ko) 리어시트 편의 장치
JP3123994U (ja) ヘッドレスト
KR20110031781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5609601B2 (ja) オットマン装置
KR101725007B1 (ko)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헤드레스트 폴딩 장치
CN216231825U (zh) 一种可双向使用的汽车座椅
JP2001238753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KR100551769B1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연동형 시트 틸트장치
JP2010179883A (ja) 車両用シート
JPH07265169A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2008230265A (ja) ヘッドレスト
JP2008254721A (ja) 車両用シート
JP4631800B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作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