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531A -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531A
KR20110054531A KR1020090111209A KR20090111209A KR20110054531A KR 20110054531 A KR20110054531 A KR 20110054531A KR 1020090111209 A KR1020090111209 A KR 1020090111209A KR 20090111209 A KR20090111209 A KR 20090111209A KR 20110054531 A KR20110054531 A KR 20110054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frame
gear
coupled
cushion
ro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2035B1 (ko
Inventor
김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90111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0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쿠션프레임의 전방쪽으로 돌출된 메인로드부재(32)를 이용해 체형이 큰 탑승자도 편안하게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게 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전체적인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여 중량 감소 및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익스텐션 장치는 직선이동기구(30)와 회전기구(40)가 함께 혼합되어 이루어진 구성으로, 상기 직선이동기구(30)를 구성하는 메인로드부재(32)가 쿠션프레임(1)의 전방으로 일정하게 직진하여 돌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기구(40)를 구성하는 회전로드부재(45)에 외관을 형성하는 쿠션커버가 양호하게 씌워지게 되므로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시트쿠션, 익스텐션, 모터

Description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전후방향 길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시트는 착석시 안락감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트 착석자의 하체를 밑에서 지지하는 시트쿠션과,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 및, 머리와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시트쿠션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서, 다양한 신체적 조건을 가진 탑승자에게 최적의 편의성을 제공하기에 부족한 면이 있었다.
즉, 종래의 시트쿠션은 다리가 긴 탑승자인 경우 허벅지를 충분히 지지하여 주지 못함으로써 탑승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로부터 불만이 제기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전방쪽 일부분이 시트쿠션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메커니즘을 구비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리가 긴 탑승자도 충분히 허벅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탑승자에게 최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쿠션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아서 동작하는 익스텐션모터와; 상기 익스텐션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쿠션프레임의 전방쪽으로 돌출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쿠션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기어기구와; 상기 기어기구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쿠션프레임의 전방쪽으로 돌출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어기구와 연결되어 설치된 직선이동기구와; 상기 기어기구 및 상기 직선이동기구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쿠션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프레임의 전방쪽으로 돌출된 메인로드부재를 이용해 체형이 큰 탑승자도 편안하게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게 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전체적인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여 중량 감소 및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익스텐션 장치는 직선이동기구와 회전기구가 함께 혼합되어 이루어진 구성으로, 상기 직선이동기구를 구성하는 메인로드부재가 쿠션프레임의 전방으로 일정하게 직진하여 돌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기구를 구성하 는 회전로드부재에 외관을 형성하는 쿠션커버가 양호하게 씌워지게 되므로 외관미가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의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중 상기 시트쿠션에는 시트 착석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쿠션의 길이를 전방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가 필요에 따라 장착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의 골격을 이루는 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고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아서 동작하는 익스텐션모터(10)와, 상기 익스텐션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된 기어기구(20)와, 상기 기어기구(20)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어기구(20)와 연결되어 설치된 직선이동기구(30)와, 상기 기어기구(20) 및 상기 직선이동기구(30)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쿠션프레임(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기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익스텐션모터(10)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는 탑승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통상적으로 상기 쿠션프레임(1)의 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익스텐션모터(10)로 전원을 공급하는 매개체는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익스텐션모터(10)는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 밑에서 모터축(11)이 상기 쿠션프레임(1)의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는 바, 이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기어기구(20)는, 상기 모터축(1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21)와, 상기 제1기어(21)와 직각방향으로 치합되어서 회전하는 제2기어(22)와, 상기 제2기어(22)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2기어(22)와 치합되고 전방 끝은 상기 직선이동기구(30) 및 상기 회전기구(40)와 일체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2기어(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후퇴하도록 직선 이동하는 리드스크류(23)와, 상기 제1,2기어(21,22)를 감싸면서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 밑면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리드스크류(23)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기어박스(24)로 구성된다.
상기 직선이동기구(30)는,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 윗면에서 좌우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양단이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파이프부재(31)와, 상기 파이프부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양단이 상기 파이프부재(31)에 끼워져서 설치된 메인로드부재(32)와, 상기 메인로드부재(32)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양단이 상기 메인로드부재(32)의 전방쪽 부위에 결합되어 고정되면서 양단 사이의 중간부가 상기 리드스크류(23)의 끝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서포트로드부재(33)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기구(40)는,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 밑면에서 양단이 상기 쿠션프레임(1)의 좌우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 회전축부재(41)와, 상기 회전축부재(41)에 일단이 고정 결합된 후방회전링크(42)와, 상기 제1회전링크(42)의 타단과 회전핀부재(43)를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일단이 상기 리드스크류(23)의 끝과 결합되어서 상기 서포트로드부재(33)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전방회전링크(44)와, 상기 회전축부재(41)에 양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면서 양단 사이의 중간부에 상기 전방회전링크(44)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로드부재(4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로드부재(33)의 중간부에는 로드브라켓(34)이 후방쪽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로드브라켓(34)의 양측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23)의 끝과 상기 전방회전링크(44)의 일단이 각각 덧대여져서 결합볼트(51)를 매개로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의 상태는 리드스크류(23)가 후방쪽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고정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23)와 로드브라켓(34)을 매개로 결합된 직선이동기구(30)도 쿠션프레임(1)이 있는 후방쪽으로 이동하여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리드스크류(23) 및 상기 직선이동기구(30)와 로드브라켓(34)을 매개로 결합된 회전기구(40)는 상기 쿠션프레임(1)의 하측으로 최대한 다운(down)된 상태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탑승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익스텐션모터(10)를 구동시키고, 상기 익스텐션모터(10)의 구동에 의해 제1,2기어(21,22)가 회전하여 도 6의 상 태의 리드스크류(23)가 전방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리드스크류(23)와 로드브라켓(34)을 매개로 결합된 서포트로드부재(33)는 도 3의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상기 서포트로드부재(33)의 이동력은 메인로드부재(32)로 전달되어 상기 메인로드부재(32)는 파이프부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도 7과 같이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되면서 전개된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리드스크류(23)가 전방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메인로드부재(32)가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되면, 동시에 후방회전링크(42)와 전방회전링크(43)는 회전을 하여 회전핀부재(43)가 도 3의 상태에서 도 7의 상태와 같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회전로드부재(45)도 도 3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도 7과 같이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메인로드부재(32)는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되는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메인로드부재(32)와 상기 회전로드부재(45)에는 쿠션커버(미도시)가 감싸여져서 씌워져 있기 때문에, 시트 착석자는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된 상기 메인로드부재(32)의 쿠션커버위에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게 됨으로써, 탑승자는 최적의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시트 착석자가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된 메인로드부재(32)의 쿠션커버위에 다리를 올려놓게 되면 상기 메인로드부재(32)는 하중이 받게 되는데, 상기 메인로드부재(32)에 집중된 하중은 서포트로드부재(33)에 의해 충분히 지지되고 또한 기어기구(20)와 회전기구(40)를 통해 상기 쿠션프레임(1)쪽으로 충분히 분산되므로, 집중하중에 의한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된 메인로드부재(32)는 탑승자의 스위치 조작으로 리드스크류(23)가 후방쪽으로 이동할 때에 복귀하게 됨으로써,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된 메인로드부재(32)를 이용해 체형이 큰 탑승자도 편안하게 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게 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록 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구성이지만 전체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화된 구성이므로 중량 감소 및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익스텐션 장치는 직선이동기구(30)와 회전기구(40)가 함께 혼합되어 이루어진 구성으로, 상기 직선이동기구(30)를 구성하는 메인로드부재(32)가 쿠션프레임(1)의 전방으로 일정하게 직진하여 돌출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기구(40)를 구성하는 회전로드부재(45)에 외관을 형성하는 쿠션커버가 양호하게 씌워지게 되므로 외관미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가 구비된 쿠션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와 도 5는 도 1에서 쿠션프레임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6은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기어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작동 후 도면으로, 도 3에서 작동 후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쿠션프레임 10 - 익스텐션모터
11 - 모터축 20 - 기어기구
21 - 제1기어 22 - 제2기어
23 - 리드스크류 24 - 기어박스
30 - 직선이동기구 40 - 회전기구
51 - 결합볼트

Claims (6)

  1. 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고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아서 동작하는 익스텐션모터(10)와;
    상기 익스텐션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된 기어기구(20)와;
    상기 기어기구(20)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어기구(20)와 연결되어 설치된 직선이동기구(30)와;
    상기 기어기구(20) 및 상기 직선이동기구(30)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쿠션프레임(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기구(40);
    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모터(10)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 밑에서 모터축(11)이 상기 쿠션프레임(1)의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어기구(20)는,
    상기 모터축(1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21)와;
    상기 제1기어(21)와 직각방향으로 치합되어서 회전하는 제2기어(22)와;
    상기 제2기어(22)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2기어(22)와 치합되고 전방 끝은 상기 직선이동기구(30) 및 상기 회전기구(40)와 일체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2기어(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후퇴하도록 직선 이동하는 리드스크류(23)와;
    상기 제1,2기어(21,22)를 감싸면서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 밑면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리드스크류(23)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기어박스(2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기구(30)는,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 윗면에서 좌우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양단이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파이프부재(31)와;
    상기 파이프부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양단이 상기 파이프부재(31)에 끼워져서 설치된 메인로드부재(32)와;
    상기 메인로드부재(32)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양단이 상기 메인로드부재(32)의 전방쪽 부위에 결합되어 고정되면서 양단 사이의 중간부가 상기 리드스크류(23)의 끝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서포트로드부재(3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40)는,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 밑면에서 양단이 상기 쿠션프레임(1)의 좌우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 회전축부재(41)와;
    상기 회전축부재(41)에 일단이 고정 결합된 후방회전링크(42)와;
    상기 제1회전링크(42)의 타단과 회전핀부재(43)를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일단이 상기 리드스크류(23)의 끝과 결합되어서 상기 서포트로드부재(33)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전방회전링크(44)와;
    상기 회전축부재(41)에 양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면서 양단 사이의 중간부에 상기 전방회전링크(44)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로드부재(4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로드부재(33)의 중간부에는 로드브라켓(34)이 후방쪽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로드브라켓(34)의 양측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23)의 끝과 상기 전방회전링크(44)의 일단이 각각 덧대여져서 결합볼트(51)를 매개로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20090111209A 2009-11-18 2009-11-18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592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209A KR101592035B1 (ko) 2009-11-18 2009-11-18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209A KR101592035B1 (ko) 2009-11-18 2009-11-18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531A true KR20110054531A (ko) 2011-05-25
KR101592035B1 KR101592035B1 (ko) 2016-02-05

Family

ID=4436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209A KR101592035B1 (ko) 2009-11-18 2009-11-18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0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967B1 (ko) * 2015-01-07 2016-03-02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자동차 시트 착석부의 쿠션 스프링 장력조절장치
KR20160081267A (ko) 2014-12-31 2016-07-08 (주) 보쉬전장 차량의 전동시트의 구동부의 임팩트 노이즈 저감용 스핀들 타입의 모터 구조
US9821682B2 (en) 2014-11-25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20190105259A (ko) * 2018-03-05 2019-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어린이 시트 텐셔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1515B2 (ja) * 2003-07-16 2009-01-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装置
JP4438556B2 (ja) * 2004-08-06 2010-03-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クッション長可変の車両用シー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1682B2 (en) 2014-11-25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20160081267A (ko) 2014-12-31 2016-07-08 (주) 보쉬전장 차량의 전동시트의 구동부의 임팩트 노이즈 저감용 스핀들 타입의 모터 구조
KR101598967B1 (ko) * 2015-01-07 2016-03-02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자동차 시트 착석부의 쿠션 스프링 장력조절장치
KR20190105259A (ko) * 2018-03-05 2019-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어린이 시트 텐셔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035B1 (ko) 2016-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4610B2 (ja) 車両座席
CN107284312B (zh) 铰接机械大腿延伸部的复合装饰伸出联动装置系统
US9821682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CN105667353B (zh) 可后倾座椅
US20130134753A1 (en) Vehicle seat and commercial vehicle
KR101046295B1 (ko) 차량용 시트
KR20110054531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2014180983A (ja) 乗物用シート
CN104364120B (zh) 适于车辆座椅的脚蹬以及车辆座椅
KR20130073221A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200476827Y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499998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372960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KR101559182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N102826027A (zh) 可自动调整角度和前后位置的车载座椅、沙发靠背头枕
KR101470215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JP2016049961A (ja) 車両用後席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475520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506351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470216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593846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20150019160A (ko) 차량용 좌석
KR20120136556A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20150045020A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KR101956985B1 (ko)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