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221A -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221A
KR20130073221A KR1020110140952A KR20110140952A KR20130073221A KR 20130073221 A KR20130073221 A KR 20130073221A KR 1020110140952 A KR1020110140952 A KR 1020110140952A KR 20110140952 A KR20110140952 A KR 20110140952A KR 20130073221 A KR20130073221 A KR 20130073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upled
base
leg rest
vehic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7281B1 (ko
Inventor
김윤호
김지원
서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1014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2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품간 결합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내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되고, 구성 부품수의 간소화를 통해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작동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LEG REST APPARATUS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의 다리부분을 지지하여 보다 향상된 승차감 및 편의성을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에는 승객의 착좌를 위한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1)과,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시트백(1)의 상부에 구비된 헤드레스트(2)와,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백(1)은 시트쿠션(3)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이로 인해 승객은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 시트는 승객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차량을 이용한 장거리 이동시 승객이 불편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쿠션의 전방부에 승객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서 승객의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작동력 향상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는, 시트쿠션의 전면에서 시트쿠션프레임에 결합된 베이스브라켓;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브라켓; 일단은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브라켓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이 전방으로 펼쳐지는 동작을 할 때에 탄성력을 이용해서 상기 회전브라켓의 작동력을 증폭시키는 작동력증폭기구;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을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브라켓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브라켓과 상기 구동모터를 연결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브라켓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브라켓에 결합된 슬라이드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이 회전을 할 때에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이 상기 회전브라켓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링크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베이스브라켓은 상기 베이스브라켓의 전면 좌우부에 각각 고정되게 결합된 베이스서포트브라켓; 및 상기 구동모터의 설치를 위해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결합된 모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서포트브라켓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면브라켓; 상기 측면브라켓의 바깥측면에 상기 측면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고정레일브라켓; 및 상기 한 쌍의 측면브라켓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커버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력증폭기구는 상기 베이스서포트브라켓에 일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스프링결합축; 상기 측면브라켓에 일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스프링지지축; 및 상기 스프링결합축에 감겨진 상태로 일단은 상기 스프링결합축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지지축에 걸려져서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 스파이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력증폭기구는 상기 스프링결합축의 끝에 결합되어서 상기 스파이럴스프링이 상기 스프링결합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축회전하는 리드스크루; 상기 리드스크루가 회전할 때에 상기 리드스크루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리드스크루에 결합된 이동너트; 상기 이동너트와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너트와 함께 상기 베이스브라켓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이동브라켓; 및 일단은 상기 이동브라켓의 양측부를 관통하고 타단은 상기 힌지축과 이격된 상기 측면브라켓을 관통해서 상기 이동브라켓과 상기 측면브라켓에 대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브라켓은 상기 고정레일브라켓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레일브라켓과 결합된 이동레일브라켓; 상기 이동레일브라켓과 일체로 결합된 레일커버브라켓; 및 상기 레일커버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승객의 다리를 지지하는 메인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베이스브라켓의 양쪽 측면에 일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하부링크; 상기 하부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중간링크; 및 상기 중간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메인브라켓의 저면에 타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상부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브라켓의 바깥 측면에는 각각 링크브라켓이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링크브라켓에 상기 중간링크의 가운데 부위가 링크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브라켓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이동브라켓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가이드구멍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구멍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는, 부품간 결합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내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되고, 구성 부품수의 간소화를 통해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작동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로서, 레그 레스트 장치의 작동 전 상태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에서 작동력증폭기구와 동력전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에서 링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의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라 시트에 착좌한 승객의 다리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차량 시트에 구비된 레그 레스트 장치(4)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3)의 전면에서 시트쿠션프레임에 결합된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브라켓(20)과, 일단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브라켓(2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회전브라켓(20)이 전방으로 펼쳐지는 동작을 할 때에 탄성력을 이용해서 상기 회전브라켓(20)의 작동력을 증폭시키는 작동력증폭기구(3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회전브라켓(20)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0)와, 상기 구동모터(50)의 동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을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브라켓(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브라켓(20)과 상기 구동모터(50)를 연결하는 동력전달기구(50)와, 상기 회전브라켓(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브라켓(10)에 결합된 슬라이드브라켓(60)과, 상기 회전브라켓(20)이 회전을 할 때에 상기 슬라이드브라켓(60)이 상기 회전브라켓(2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슬라이드브라켓(6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링크기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은 기역(ㄱ)자 모양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상단쪽의 끝단부는 시트쿠션(3)의 전방쪽 가운데 부위에서 시트쿠션프레임(미도시)에 고정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이 시트쿠션프레임에 밀착되도록 접힌 상태(도 1의 상태)이면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선단부는 플로어패널을 향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이 시트쿠션프레임에 대해 펼쳐진 상태(도 9의 상태)가 되면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선단부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는 고정부품으로, 선단부가 플로어패널을 향하도록 설치된 구조가 되어야만 상기 회전브라켓(20)이 베이스브라켓(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가 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더브라켓(40)이 회전브라켓(2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전면 좌우부에 각각 고정되게 결합된 베이스서포트브라켓(11)과, 상기 구동모터(40)의 설치를 위해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결합된 모터브라켓(1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브라켓(20)은 상기 베이스서포트브라켓(11)에 힌지축(21a)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면브라켓(21)과, 상기 측면브라켓(21)의 바깥측면에 상기 측면브라켓(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고정레일브라켓(22)과, 상기 한 쌍의 측면브라켓(21)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커버브라켓(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작동력증폭기구(30)는 상기 베이스서포트브라켓(11)에 일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스프링결합축(31)과, 상기 측면브라켓(21)에 일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스프링지지축(32)과, 상기 스프링결합축(31)에 감겨진 상태로 일단은 상기 스프링결합축(31)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지지축(32)에 걸려져서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 스파이럴스프링(33)과, 상기 스프링결합축(31)의 끝에 결합되어서 상기 스파이럴스프링(33)이 상기 스프링결합축(3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핀(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동력전달기구(50)는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축회전하는 리드스크루(51)와, 상기 리드스크루(51)가 회전할 때에 상기 리드스크루(5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리드스크루(51)에 결합된 이동너트(52)와, 상기 이동너트(52)와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너트(52)와 함께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이동브라켓(53)과, 일단은 상기 이동브라켓(53)의 양측부를 관통하고 타단은 상기 힌지축(21a)과 이격된 상기 측면브라켓(21)을 관통해서 상기 이동브라켓(53)과 상기 측면브라켓(21)에 대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회전축(5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40)의 모터축(미도시)은 기어박스 속에 구비된 웜기어와 동력전달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리드스크루(51)는 웜기어를 통해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축회전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브라켓(60)은 상기 고정레일브라켓(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레일브라켓(22)과 결합된 이동레일브라켓(61)과, 상기 이동레일브라켓(61)과 일체로 결합된 레일커버브라켓(62)과, 상기 레일커버브라켓(6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승객의 다리를 지지하는 메인브라켓(63)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기구(70)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양쪽 측면에 일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하부링크(71)와, 상기 하부링크(71)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중간링크(72)와, 상기 중간링크(72)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메인브라켓(43)의 저면에 타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상부링크(7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측면브라켓(21)의 바깥 측면에는 각각 링크브라켓(74)이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링크브라켓(74)에 상기 중간링크(72)의 가운데 부위가 링크축(75)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는 전체적인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링크기구(70)가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는 상기 이동브라켓(53)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이동브라켓(53)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가이드구멍(81a)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81)과, 상기 가이드브라켓(8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구멍(81a)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82a)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블록(8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레그 레스트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레그 레스트 장치(4)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로서 이때의 레그 레스트 장치(4)는 시트쿠션(3)의 전면에서 플로어패널을 향하도록 접혀진 상태이다.
도 1과 같은 작동 전 상태에서 구동모터(40)로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모터(40)가 동작하면,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으로 도 4에 도시된 리드스크루(51)가 축회전하고, 상기 리드스크루(51)의 축회전에 의해 이동너트(52)는 도 4의 도시 상태에서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이동너트(52)가 상승 이동하면 이동브라켓(53)과 가이드브라켓(81)도 함께상승 이동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가이드브라켓(81)의 이동은 가이드블록(82)에 형성된 가이드돌기(82a)가 안내하게 된다.
상기 이동브라켓(53)이 도 4의 도시 상태에서 상승 이동하면 회전축(54)이 이동브라켓(53)의 이동력을 측면브라켓(21)으로 전달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측면브라켓(21)은 힌지축(21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을 하면서 선단이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측면브라켓(21)은 고정레일브라켓(22) 및 커버브라켓(23)과 일체화 되어 회전브라켓(20)을 구성하는 부품이므로, 상기 측면브라켓(21)이 회전을 하게 되면, 회전브라켓(20)은 전체적으로 도 2의 도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회전하여 상승한 상태가 된다.
한편, 측면브라켓(21)이 상승 회전할 때에는 스파이럴스프링(33)이 상기 측면브라켓(21)의 작동력을 증폭시키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회전브라켓(20)은 더욱 빠르고 상승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슬라이더브라켓(60)은 더욱 빠르게 펼쳐지는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측면브라켓(21)이 도 4와 같은 상태일 때 스파이럴스프링(33)은 압축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후 측면브라켓(21)이 상승하는 회전을 할 때에는 압축된 스파이럴스프링(33)의 탄성 복원력을 추가로 지원받게 되는 바, 이에 따라 회전브라켓(20)은 스파이럴스프링(33)의 탄성력을 통해 더욱 빠르게 상승 회전하는 동작을 하게 되고, 결국에는 슬라이더브라켓(60)도 더욱 빠르게 펼쳐지는 동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브라켓(20)이 회전할 때에는 링크기구(70)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링크기구(70)도 함께 작동을 하게 된다.
즉, 회전브라켓(20)이 회전을 하기 전 링크기구(70)는 도 6과 같이 하부링크(71)와 상부링크(73)가 중간링크(73)에 밀착되도록 접혀져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회전브라켓(20)이 회전을 하고 나면 도 7 및 도 8과 같이 하부링크(71)와 상부링크(73)가 완전히 펼쳐져서 길이가 늘어난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브라켓(20)이 회전을 할 때에 링크기구(70)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동작하게 되면 상부링크(73)와 결합된 메인브라켓(63), 메인브라켓(63)과 결합된 레일커버브라켓(62), 레일커버브라켓(62)과 결합된 이동레일브라켓(61)은 전체적으로 고정레일브라켓(22)을 따라 도 7 및 도 8과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해서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4)의 작동 후 도면이다.
따라서, 시트 착석자인 승객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펼쳐진 메인브라켓(63)상에 다리부분을 얹어져 편안한 승차감을 누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과 같은 작동 후의 레그 레스트 장치(4)는 구동모터(40)의 동력으로 이동너트(52)가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도 2와 같은 작동 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4)는 한 쌍의 측면브라켓(21)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동력전달기구(50)에 의해 부품간 결합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바, 이 결과 레그 레스트 장치(4)의 내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4)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동력전달기구(50) 및 링크를 사용한 구성으로 구성 부품수의 간소화를 통해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실내공간에 적합한 패키지를 갖출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그 레스트 장치(4)는 회전브라켓(20)이 상승하는 회전을 할 때에 스파이럴스프링(33)의 탄성력을 추가로 보조 받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회전브라켓(20)은 더욱 빠르고 상승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슬라이더브라켓(60)은 더욱 빠르게 펼쳐지는 동작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동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3 - 시트쿠션 4 - 레그 레스트 장치
10 - 베이스브라켓 20 - 회전브라켓
30 - 작동력증폭기구 40 - 구동모터
50 - 동력전달기구 60 - 슬라이드브라켓
70 - 링크기구

Claims (11)

  1. 시트쿠션(3)의 전면에서 시트쿠션프레임에 결합된 베이스브라켓(10);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브라켓(20);
    일단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브라켓(2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회전브라켓(20)이 전방으로 펼쳐지는 동작을 할 때에 탄성력을 이용해서 상기 회전브라켓(20)의 작동력을 증폭시키는 작동력증폭기구(30);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회전브라켓(20)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0); 및
    상기 구동모터(50)의 동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을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브라켓(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브라켓(20)과 상기 구동모터(50)를 연결하는 동력전달기구(50);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브라켓(10)에 결합된 슬라이드브라켓(60);
    상기 회전브라켓(20)이 회전을 할 때에 상기 슬라이드브라켓(60)이 상기 회전브라켓(2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슬라이드브라켓(6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링크기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전면 좌우부에 각각 고정되게 결합된 베이스서포트브라켓(11); 및
    상기 구동모터(40)의 설치를 위해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결합된 모터브라켓(1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20)은 상기 베이스서포트브라켓(11)에 힌지축(21a)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면브라켓(21);
    상기 측면브라켓(21)의 바깥측면에 상기 측면브라켓(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고정레일브라켓(22); 및
    상기 한 쌍의 측면브라켓(21)을 연결하도록 결합된 커버브라켓(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력증폭기구(30)는 상기 베이스서포트브라켓(11)에 일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스프링결합축(31);
    상기 측면브라켓(21)에 일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스프링지지축(32); 및
    상기 스프링결합축(31)에 감겨진 상태로 일단은 상기 스프링결합축(31)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지지축(32)에 걸려져서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 스파이럴스프링(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동력증폭기구(30)는 상기 스프링결합축(31)의 끝에 결합되어서 상기 스파이럴스프링(33)이 상기 스프링결합축(3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핀(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50)는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축회전하는 리드스크루(51);
    상기 리드스크루(51)가 회전할 때에 상기 리드스크루(5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리드스크루(51)에 결합된 이동너트(52);
    상기 이동너트(52)와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너트(52)와 함께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이동브라켓(53); 및
    일단은 상기 이동브라켓(53)의 양측부를 관통하고 타단은 상기 힌지축(21a)과 이격된 상기 측면브라켓(21)을 관통해서 상기 이동브라켓(53)과 상기 측면브라켓(21)에 대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회전축(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브라켓(60)은 상기 고정레일브라켓(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레일브라켓(22)과 결합된 이동레일브라켓(61);
    상기 이동레일브라켓(61)과 일체로 결합된 레일커버브라켓(62); 및
    상기 레일커버브라켓(6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승객의 다리를 지지하는 메인브라켓(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70)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양쪽 측면에 일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하부링크(71);
    상기 하부링크(71)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중간링크(72); 및
    상기 중간링크(72)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메인브라켓(43)의 저면에 타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상부링크(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면브라켓(21)의 바깥 측면에는 각각 링크브라켓(74)이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링크브라켓(74)에 상기 중간링크(72)의 가운데 부위가 링크축(75)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라켓(53)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이동브라켓(53)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가이드구멍(81a)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81); 및
    상기 가이드브라켓(8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구멍(81a)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82a)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블록(8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20110140952A 2011-12-23 2011-12-23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1307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952A KR101307281B1 (ko) 2011-12-23 2011-12-23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952A KR101307281B1 (ko) 2011-12-23 2011-12-23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221A true KR20130073221A (ko) 2013-07-03
KR101307281B1 KR101307281B1 (ko) 2013-09-11

Family

ID=4898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952A KR101307281B1 (ko) 2011-12-23 2011-12-23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2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28B1 (ko) * 2013-12-20 2015-05-07 현대다이모스(주) 시트 쿠션 길이 조절 장치
KR101725414B1 (ko) * 2015-12-24 2017-04-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CN107351737A (zh) * 2016-05-09 2017-11-1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搁腿装置
WO2018074725A1 (ko) * 2016-10-17 2018-04-26 현대다이모스(주) 뒤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레그레스트
US11548424B2 (en) 2020-08-12 2023-01-10 Hyundai Motor Company Power leg rest for vehicle
CN116394817A (zh) * 2023-05-29 2023-07-07 吉林省华奥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基于乘用车辆腿托钢珠滑轨滑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295B1 (ko) * 2014-07-25 2016-09-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레그레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367A (ja) * 1998-11-30 2000-06-13 Ikeda Bussan Co Ltd 電動オットマン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28B1 (ko) * 2013-12-20 2015-05-07 현대다이모스(주) 시트 쿠션 길이 조절 장치
KR101725414B1 (ko) * 2015-12-24 2017-04-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US9963055B2 (en) 2015-12-24 2018-05-08 Hyundai Dymos Incorporated Leg rest apparatus for vehicle seat
CN107351737A (zh) * 2016-05-09 2017-11-1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搁腿装置
CN107351737B (zh) * 2016-05-09 2020-06-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搁腿装置
US10232756B2 (en) 2016-05-09 2019-03-19 Hyundai Motor Company Leg rest apparatus
CN109789826A (zh) * 2016-10-17 2019-05-21 现代坦迪斯株式会社 具有防扭曲功能的腿托
WO2018074725A1 (ko) * 2016-10-17 2018-04-26 현대다이모스(주) 뒤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레그레스트
US10864835B2 (en) 2016-10-17 2020-12-15 Hyundai Transys Incorporated Leg rest having distortion preventing function
CN109789826B (zh) * 2016-10-17 2021-06-15 现代坦迪斯株式会社 具有防扭曲功能的腿托
US11548424B2 (en) 2020-08-12 2023-01-10 Hyundai Motor Company Power leg rest for vehicle
CN116394817A (zh) * 2023-05-29 2023-07-07 吉林省华奥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基于乘用车辆腿托钢珠滑轨滑动装置
CN116394817B (zh) * 2023-05-29 2023-08-29 吉林省华奥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基于乘用车辆腿托钢珠滑轨滑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281B1 (ko)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281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2299335B1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JP6510785B2 (ja) レッグレスト装置
KR100993996B1 (ko) 자동차 시트용 암레스트 장치
TR201413194A2 (tr) Döner ve yatar araç koltuğu düzeneği.
JP2010502498A (ja) 車両座席
KR101381575B1 (ko) 차량용 시트
CN109987006A (zh) 用于车辆座椅的可调节大腿支撑件
KR101372960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JP6427385B2 (ja) 車両用後席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476827Y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232075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1307280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200475520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US20130285431A1 (en) Rear headrest mechanism used in the passenger seats of motor vehicles
KR101470216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232078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1559182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232076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20150045020A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JP5609601B2 (ja) オットマン装置
KR102546970B1 (ko) 캠핑 차량용 시트 프레임
JP5578054B2 (ja) オットマン装置
JP5521791B2 (ja) 車両用シートの折り畳み式オットマン装置
KR101232077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