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725A - 차량용 시트 및 그 시트에 의한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지지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및 그 시트에 의한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지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725A
KR20060122725A KR1020060046818A KR20060046818A KR20060122725A KR 20060122725 A KR20060122725 A KR 20060122725A KR 1020060046818 A KR1020060046818 A KR 1020060046818A KR 20060046818 A KR20060046818 A KR 20060046818A KR 20060122725 A KR20060122725 A KR 20060122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w
passenger
headrest
vehicl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오스께 스기모또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2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시트백 및 헤드 레스트의 착석시의 쾌적성을 확보하면서, 충돌시의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 지지를 보다 빠르게 행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제공을 도모하는 것이다.
승무원/여객(C)에게 차량 후방으로의 하중(F)이 작용하였을 때에 헤드 레스트(3)를 차량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10)과, 헤드 레스트(3)의 전방 이동과 동시에 시트백(2)의 상부를 차량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20)을 마련함으로써, 승무원/여객(C)에게 차량 후방으로의 하중(F)이 작용하였을 때에 승무원/여객 두부(Ch)를 재빨리 구속하여,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 지지를 빠르게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전방 이동 수단(10) 및 상기 상부 돌출 수단(20)을 이용함으로써 통상은 헤드 레스트(3) 및 시트백(2)의 상부의 쿠션성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착석시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시트백, 헤드 레스트, 이동 수단, 돌출 수단, 연동 기구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및 그 시트에 의한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 지지 방법{VEHICLE SEAT AND METHOD OF SUPPORTING DRIVER/PASSENGER US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승무원/여객의 착석 상태를 상반신 부분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 및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3은 도2 중 A부의 확대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동 기구의 주요부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동 기구의 주요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시트
2 : 시트백
3 : 헤드 레스트
10 :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
11 :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
12 : 하중 입력부
13 : 지지축(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의 회전 중심)
20 :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
21 : 이동 부재
22, 22A, 22B : 연동 기구
23 : 링크 부재
24 : 제1 캠
25 : 제2 캠
26 : 피니언 기어
27 : 래크 기어
C : 승무원/여객
Cb :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
Ch : 승무원/여객의 두부
Cn : 승무원/여객의 경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119616호 공보(제4 페이지, 도1)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에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을 지지하도록 한 차량용 시트 및 그 시트에 의한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 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충돌시에 승무원/여객 경부(頸部)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키는 차량용 시트로서, 시트백의 승무원/여객 몸통부 흉부(胸部)와 대응하는 부위에 에너지 흡수 카세트를 배치하는 동시에, 헤드 레스트에 에너지 흡수체를 배치하고, 이들 에너지 흡수 카세트와 에너지 흡수체를 상대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승무원/여객 두부(頭部)와 승무원/여객 몸통부 흉부와의 리바운드 속도차 및 리바운드 개시시의 시간차를 단축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119616호 공보(제4 페이지, 도1)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시트에서는, 에너지 흡수 카세트 및 에너지 흡수체는 시트백 및 헤드 레스트의 내부에 각각 매설되어 승무원/여객의 몸통부 흉부 및 두부로부터 받는 하중에 대한 반력을 조정하는 것이며, 적극적으로 승무원/여객 방향, 즉 차량 전방으로 변위시키는 것이 아니므로 충돌시에 승무원/여객의 몸통부 흉부 및 두부를 지지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우려가 있다.
또한, 시트백 상부에 상기 에너지 흡수 카세트를 배치하고 있지만, 이 에너지 흡수 카세트는 승무원/여객으로부터 받는 하중에 신속하게 반응할 필요가 있어 소정 경도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통상 운전 상태에서는 시트백 상부의 지지면이 상기 에너지 흡수 카세트에 의해 단단해져 착석시의 쾌적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한편, 그 에너지 흡수 카세트의 전방면을 쿠션재로 덮은 경우에는, 승무원/여객 하중을 충분하고 또한 신속하게 에너지 흡수 카세트에 전달할 수 없다.
또한, 이것은 헤드 레스트의 에너지 흡수체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시트백 및 헤드 레스트의 착석시의 쾌적성을 확보하면서, 충돌시의 승무원/여객 등 부분의 지지를 보다 빠르게 하도록 한 차량용 시트 및 그 시트에 의한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 지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는, 승무원/여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의 상단부에, 승무원/여객의 두부를 지지하는 헤드 레스트를 설치하고 있어 승무원/여객의 차량 후방으로의 이동 하중이 시트백에 작용하였을 때에 헤드 레스트를 차량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과, 상기 헤드 레스트의 전방 이동과 동시에 승무원/여객의 등 상부를 지지하는 시트백 상부를 차량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을 설치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1은 승무원/여객의 착석 상태를 상반신 부분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2는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 및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3은 도2 중 A부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시트(1)는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와 마찬가지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무원/여객(C)의 등(Cb)을 지지하는 시트백(2)의 상단부에, 승무원/여객(C)의 두부(Ch)를 지지하는 헤드 레스트(3)를 설치하고 있고, 시트백(2)에 승무원/여객(C)의 차량 후방으로의 이동 하중(F)이 작용하였을 때에 헤드 레스트(3)를 차량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10)과, 상기 헤드 레스트(3)의 전방 이동과 동시에 승무원/여객(C)의 등(Cb)의 상부[제1 흉추(胸椎) 부분]를 지지하는 시트백(2)의 상부를 차량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20)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시트(1)에 의한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 지지 방법은, 시트백(2)에 승무원/여객(C)의 차량 후방으로의 이동 하중(F)이 작용하였을 때에 헤드 레스트(3)를 차량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승무원/여객(C)의 등(Cb)의 상부를 지지하는 시트백(2)의 상부를 차량 전방으로 돌출시켜 승무원/여객(C)의 두부(Ch)와 등(Cb) 상부의 상대 변위량을 축소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10)은 도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2)의 상부를 중심(O)으로 하여 전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부(11a)에 승무원/여객(C)의 등(Cb)으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후방으로의 하중(F)을 받는 하중 입력부(12)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단부(11b)에 헤드 레스트(3)를 부착한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2)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상단부(11b)가 도시하지 않은 시트백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축(13)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그 지지축(13)이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의 회전 중심(O)이 되고, 또한 그 상단부(11b)에 헤드 레스트(3)의 스테이(3a)를 결합하고 있다. 또한,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의 하단부(11a)에 설치한 하중 입력부(12)는, 등(Cb)의 중앙 부분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백(2)에 승무원/여객(C)의 차량 후방으로의 이동 하중(F)이 작 용하여 승무원/여객(C)의 등(Cb)이 시트백(2)을 하중(F)에 의해 차량 후방으로 가압하였을 때에, 도1 중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중 입력부(12)를 후방으로 압동하고, 이에 의해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가 지지축(13)을 중심(0)으로 하여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헤드 레스트(3)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상기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20)은 시트백(2)의 상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어 승무원/여객(C)의 등(Cb)의 상부를 압박 가능한 이동 부재(21)와, 헤드 레스트(3)의 전방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이동 부재(21)를 전방 이동하는 연동 기구(22)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이동 부재(21)는 전방 단부에 승무원/여객(C)의 등(Cb)의 상부를 압박하는 정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압박부(21a)와, 이 압박부(21a)의 후면 중앙부로부터 차량 후방으로 돌출하는 지지대(21b)에 의해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이동 부재(21)는 가이드 부분(21G)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상기 연동 기구(22)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측과 상기 이동 부재(21)측을 연결하여,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의 헤드 레스트(3)를 전방 이동시키는 회전량을 이동 부재(21)의 전방 이동량으로 변환하는 링크 부재(2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1 및 도3에서는 실선 위치가 통상 상태, 파선 위치가 충돌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즉, 상기 링크 부재(23)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13)에 일체적으로 결합한 회전 부재(14)의 주연부와 상기 이동 부재(21)의 지지대(21b)를 회 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고, 이 연결 상태에서 링크 부재(23)는 이동 부재(21)의 이동 방향, 즉 차량 상하 방향(V)에 대해 경사각(θ)을 갖고 경사시키고 있다.
그런데, 상기 링크 부재(23)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 부재(14)에 연결되어 있지만, 그 회전 부재(14)는 지지축(13)과 일체이므로, 결과적으로 그 지지축(13)에 일체적으로 결합한 상기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측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헤드 레스트(3)를 전방 이동하기 위해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가 회전하면, 지지축(13)을 거쳐서 상기 회전 부재(14)가 도면 중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상기 링크 부재(23)는 차량 상하 방향(V)에 대한 경사각(θ')이 커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 부재(21)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시트(1) 및 그 시트(1)에 의한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 지지 방법에 따르면, 시트백(2)에 승무원/여객(C)의 차량 후방으로의 이동 하중(F)이 작용하면,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10)에 의해 헤드 레스트(3)가 전방 이동하여 승무원/여객 두부(Ch)를 재빨리 차량 전방에서 구속(지지)하는 동시에,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20)에 의해 시트백(2)의 상부를 전방으로 돌출시켜 승무원/여객(C)의 등(Cb)의 상부를 차량 전방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충돌시의 승무원/여객 등 부분의 지지를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10)으로 승무원/여객 두부(Ch)를 재빨리 구속하였을 때에, 두부(Ch)와 등(Cb)의 상부의 상대 변위량을 축소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두부(Ch)와 몸(Cd)의 상대 가속도를 축소하여 승무원/여객(C)의 경부(Cn)로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10)은 헤드 레스트(3)를 전체적으로 차량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20)은 이동 부재(21)에 의해 시트백(2)의 내부로부터 그 상부를 강제적으로 밀어내도록 되어 있으므로, 통상 상태에서는 그들 헤드 레스트(3) 및 시트백(2)의 상부의 쿠션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시트백(2) 및 헤드 레스트(3)의 착석시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10)을, 시트백(2)의 상부를 중심(O)으로 하여 전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부(11a)에 승무원/여객(C)의 등(Cb)으로부터 입력되는 차량 후방으로의 하중(F)을 받는 하중 입력부(12)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단부(11b)에 헤드 레스트(3)를 부착한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로 구성하였으므로, 승무원/여객(C)에게 후방으로의 하중(F)이 작용하면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가 순식간에 회전하여 헤드 레스트(3)를 차량 전방으로 즉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후방 충돌시나 전방면 충돌에 의한 리바운드시에 승무원/여객(C)의 두부(Ch)가 후방 이동하는 것을 보다 전방에서 구속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승무원/여객(C)의 경부(Cn)로의 부하를 더욱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20)을, 시트백(2)의 상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어 승무원/여객(C)의 등(Cb)의 상부를 압박 가능한 이동 부재(21)와, 헤드 레스트(3)의 전방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이동 부재(21)를 전방 이동하는 연동 기구(22)에 의해 구성하였으므로, 시트백(2)에 승무원/여객(C)의 차량 후방으로의 이동 하중(F)이 작용하면 상기 헤드 레스트(3)의 전방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 부재(21)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헤드 레스트(3)의 전방 이동에 타임 러그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시트백(2)의 상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어, 두부(Ch)와 등(Cb)의 상부의 상대 변위량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연동 기구(22)를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측과 이동 부재(21)측을 연결하여,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의 헤드 레스트(3)를 전방 이동시키는 회전량을 이동 부재(21)의 전방 이동량으로 변환하는 링크 부재(23)로 구성하였으므로, 이동 부재(21)를 헤드 레스트(3)의 전방 이동으로 연동시키는 데 있어서,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측과 이동 부재(21)측을 단순히 링크 부재(23)로 연결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연동 기구(22)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여 서술하는 것으로 하고, 도4는 연동 기구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20)이, 이동 부재(21)와 연동 기구(22A)에 의해 구성되지만,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동 기구(22A)를 상기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제1 캠(24)과, 상기 이동 부재(21)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캠(24)에 미끄럼 접촉하는 제2 캠(2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캠(24)은 그 회전 중심을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를 결합한 지지축(13)에 결합하고, 제2 캠(25)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는 캠면(24a)은 차량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차량 전방으로 돌출하는 만곡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캠(25)은 이동 부재(21)의 지지대(21b)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제1 캠(24)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는 캠면(25a)은 차량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차량 후방으로 돌출하는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그 캠면(25a)은 상기 제1 캠(24)의 캠면(24a)에 상시 접촉한다.
따라서,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 캠(24)이 회전하면, 그 캠면(24a)에서 제2 캠(25)의 캠면(25a)을 차량 전방으로 압박하므로, 이동 부재(21)는 차량 전방으로 밀어내어져 시트백(2)의 상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동 기구(22A)를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제1 캠(24)과, 상기 이동 부재(21)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캠(24)에 미끄럼 접촉하는 제2 캠(25)에 의해 구성하였으므로,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의 회전량을 제1 및 제2 캠(24, 25)을 거쳐서 즉시 이동 부재(21)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헤드 레스트(3)의 전방 이동에 타임 러그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시트백(2) 상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측과 이동 부재(21)측 사이에 제1 캠(24) 및 제2 캠(25)을 개재시키는 간단한 구성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연동 기구(22A)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캠면(24a, 25a)의 형상에 따라 이동 부재(21)의 이동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어, 승무원/여객(C)의 등(Cb)의 상부의 압박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서술하는 것으로 하고, 도5는 연동 기구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20)이 이동 부재(21)와 연동 기구(22B)에 의해 구성되지만,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동 기구(22B)를 상기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6)와, 상기 이동 부재(21)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26)에 맞물리는 래크 기어(2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피니언 기어(26)는 이동 부재(21)의 지지대(21b)의 하방에 배치하는 동시에, 그 회전 중심을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를 결합한 지지축(13)에 결합하고,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의 회전에 수반하여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래크 기어(27)는 이동 부재(21)의 지지대(21b)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26)에 상시 맞물린다.
따라서,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의 회전에 수반하여 피니언 기어(26)가 회전하면, 이에 맞물린 래크 기어(27)와 함께 이동 부재(21)는 차량 전방으로 밀어내어져 시트백(2)의 상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동 기구(22B)를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6)와, 이동 부재(21)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 언 기어(26)에 맞물리는 래크 기어(27)에 의해 구성하였으므로,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의 회전량을 피니언 기어(26) 및 래크 기어(27)를 거쳐서 즉시 이동 부재(21)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헤드 레스트(3)의 전방 이동에 타임 러그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시트백(2)의 상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는 동시에,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11)측과 이동 부재(21)측 사이에 피니언 기어(26)와 래크 기어(27)를 개재시키는 간단한 구성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연동 기구(22B)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래크 기어(27)에 기어 피치가 다른 배리어블 래크 기어를 이용함으로써, 이동 부재(21)의 이동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어, 승무원/여객(C)의 등(Cb) 상부의 압박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실시 형태를 여러가지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무원/여객의 차량 후방으로의 이동 하중이 시트백에 작용하면,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에 의해 헤드 레스트가 전방 이동하여 승무원/여객 두부를 재빨리 차량 전방에서 구속(지지)하는 동시에,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에 의해 시트백 상부를 전방으로 돌출시켜 승무원/여객의 등 상부를 차량 전방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충돌시의 승무원/여객 등 부분의 지지를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은 헤드 레스트를 차량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은 시트백 상부를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수단이므로, 통상은 그들 헤드 레스트 및 시트백 상부의 쿠션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시트백 및 헤드 레스트의 착석시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7)

  1. 승무원/여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의 상단부에, 승무원/여객의 두부를 지지하는 헤드 레스트를 설치한 차량용 시트이며,
    승무원/여객의 차량 후방으로의 이동 하중이 시트백에 작용하였을 때에 헤드 레스트를 차량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과,
    상기 헤드 레스트의 전방 이동과 동시에, 승무원/여객의 등 상부를 지지하는 시트백 상부를 차량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헤드 레스트 전방 이동 수단은 시트백 상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부에 승무원/여객으로부터 차량 후방으로의 하중이 입력되는 하중 입력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단부에 헤드 레스트를 부착한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트백 상부 돌출 수단은 시트백 상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어 승무원/여객의 등 상부를 압박 가능한 이동 부재와,
    헤드 레스트의 전방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이동 부재를 전방 이동하는 연동 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연동 기구는 상기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측과 상기 이동 부재측을 연결하여,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의 헤드 레스트를 전방 이동시키는 회전량을 이동 부재의 전방 이동량으로 변환하는 링크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5. 제3항에 있어서, 연동 기구는 상기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제1 캠과, 상기 이동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캠에 미끄럼 접촉하는 제2 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6. 제3항에 있어서, 연동 기구는 상기 헤드 레스트 지지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이동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래크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7. 승무원/여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의 상단부에, 승무원/여객의 두부를 지지하는 헤드 레스트를 설치한 차량용 시트이며,
    승무원/여객의 차량 후방으로의 이동 하중이 시트백에 작용하였을 때에, 헤드 레스트를 차량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승무원/여객의 등 상부를 지지하는 시트백 상부를 차량 전방으로 돌출시켜 승무원/여객의 두부와 등 상부의 상대 변위량을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에 의한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 지지 방법.
KR1020060046818A 2005-05-26 2006-05-25 차량용 시트 및 그 시트에 의한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지지 방법 KR200601227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53973A JP2006327406A (ja) 2005-05-26 2005-05-26 車両用シートおよびそのシートによる乗員の背部支持方法
JPJP-P-2005-00153973 2005-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725A true KR20060122725A (ko) 2006-11-30

Family

ID=3692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818A KR20060122725A (ko) 2005-05-26 2006-05-25 차량용 시트 및 그 시트에 의한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지지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73636A1 (ko)
EP (1) EP1726476A2 (ko)
JP (1) JP2006327406A (ko)
KR (1) KR20060122725A (ko)
CN (1) CN18764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1852B2 (en) * 2006-06-08 2008-07-22 Lear Corporation Actuatable back panel for a vehicle seat
KR100794046B1 (ko) * 2006-08-10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로킹 구조
US20080100118A1 (en) * 2006-10-27 2008-05-01 Lear Corporation Dynamic headrest
WO2009027761A1 (en) * 2007-08-29 2009-03-05 Kongsberg Automotive Ab Anti-whiplash backdrive system
US20110012400A1 (en) * 2007-08-29 2011-01-20 Mike Golin Vehicle seat with a stowable head restraint and an anti-whiplash system
KR101015447B1 (ko) * 2007-11-27 2011-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엑티브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US8408639B2 (en) * 2008-03-31 2013-04-02 Honda Motor Co., Ltd. Vehicle seat
US8205941B2 (en) 2008-07-30 2012-06-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ctive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JP5572978B2 (ja) * 2009-03-27 2014-08-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WO2010112227A1 (de) * 2009-04-01 2010-10-07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und fahrzeugsitz
CN101712290B (zh) * 2009-08-18 2012-06-20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头枕
JP5509799B2 (ja) * 2009-11-12 2014-06-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システム
KR101389067B1 (ko) * 2012-05-02 2014-04-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좌석 안전벨트 시스템
EP2698277B1 (en) 2012-08-13 2016-03-23 Schukra Gerätebau GmbH Headrest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a headrest
US9481277B1 (en) * 2015-09-23 2016-1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headrest
CN107048784B (zh) * 2017-06-05 2020-04-28 绿地集团森茂园林有限公司 一种树池座椅及应用该座椅的树池
JP7078011B2 (ja) * 2019-05-08 2022-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KR102537861B1 (ko) 2021-04-21 2023-05-31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시트용 서포트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76435A (zh) 2006-12-13
US20060273636A1 (en) 2006-12-07
EP1726476A2 (en) 2006-11-29
JP2006327406A (ja)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2725A (ko) 차량용 시트 및 그 시트에 의한 승무원/여객의 등 부분지지 방법
EP1924465B1 (en)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JP5099226B2 (ja) 車両用シート
US6957858B2 (en) Dynamic flip-up head restraint
US8297698B2 (en) Mechatronic vehicle safety seat
JP6977592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WO2019107451A1 (ja) 乗物用シート
JP2001146127A (ja) 自動車用シート
JP2005178774A (ja) 乗物シート構造、およびそのような構造を有するシートを備えた乗物
JP2010184667A (ja) 車両用シート
KR100461104B1 (ko) 자동차용 프론트시트의 리클라이너 잠금장치
JP5317721B2 (ja) 乗物用シート
KR20080043052A (ko) 자동차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JP2914947B2 (ja) 自動車用シート
JP2010058744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4967303B2 (ja) 車両用シートの支持構造
JPH1080338A (ja) 自動車用シート
JP5456354B2 (ja) 乗物用シート
JP7495591B2 (ja) 乗物用シート
US20230202354A1 (en) Vehicle seat
KR100341901B1 (ko) 등받이시트의 각도조절용 리클라이닝 레버의 설치구조
JP2020083173A (ja) 乗物用シート
JP5087982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2010179883A (ja) 車両用シート
JP4742739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