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184Y1 - 유아용 안전시트 - Google Patents

유아용 안전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184Y1
KR200299184Y1 KR20-2002-0028610U KR20020028610U KR200299184Y1 KR 200299184 Y1 KR200299184 Y1 KR 200299184Y1 KR 20020028610 U KR20020028610 U KR 20020028610U KR 200299184 Y1 KR200299184 Y1 KR 200299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infant
angl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수
Original Assignee
이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수 filed Critical 이춘수
Priority to KR20-2002-0028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1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1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등받이의 각도 조절에 따라 좌석이 전후 이동하여 탑승자에게 최적의 안락함을 줄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안전시트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안전 시트는 좌대 시트에 고정된 등받이의 각도 변경시 좌대 시트는 고정된 상태에서 등받이만 소정 각도로 변경되므로 등받이가 눕혀진 상태에서 하체 가 전방으로 나가게 되므로 유아의 엉덩이가 시트의 절반 정도에 걸터앉아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허리가 받혀지지 않은 상태가 되어 앉아 있는 상태가 불안하여 안전 시트에 앉아있는 것을 꺼리게 되며 장시간 운행 시 유아의 허리가 아프게 되는 문제점과 플 풀랫(flat)이 안되므로 수면시 유아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등받이(300)가 주축(8)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었을 때, 등받이(300)의 하단에 경첩으로 결합된 좌석(2)이 등받이의 각도에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시트부(200)의 전방으로 출몰 또는 몰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시트.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유아용 안전시트

Description

유아용 안전시트{A baby safety seat}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에 장착되어 유아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충돌 시 자동차에서 밖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유아용 안전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의 각도 조절에 따라 좌석이 전후 이동하여 탑승자에게 최적의 안락함을 줄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안전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유아용 안전 시트에 대한 중요성은 새삼 강조하지 않아도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도로교통법 개정에 따라 유아용 안전 시트의 부착을 의무화하도록 되어 있어 안전법규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유아용 안전 시트로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따른 대부분의 유아용 안전 시트는 통상 등받이 각도나 앉는 자세 등 유아의 자세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등받이와 유아가 앉게 되는 좌대 시트를 유아의 몸에 맞게 만들고, 시트 벨트를 사용하여 안전시트를 자동차 시트에 고정하고, 안전시트에 구비된 벨트로 유아를 고정하여 불의의 사고시 유아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여 줄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안전 시트는 좌대 시트에 고정된 등받이의 각도 변경시 좌대 시트는 고정된 상태에서 등받이만 소정 각도로 변경되므로 등받이가 눕혀진 상태에서 하체 즉, 엉덩이가 전방으로 나가게 되므로 유아의 엉덩이가 시트의 절반 정도에 걸터앉아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허리가 받혀지지 않은 상태가 되어 앉아 있는 상태가 불안하여 안전 시트에 앉아있는 것을 꺼리게 되며 장시간 운행 시 유아의 허리가 아프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아의 수면을 위하여 풀 플랫(flat)을 할 경우 좌대와 등받이가 기복이 있어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여 불안감을 느끼게 되며, 장시간 탑승 시 몸이 아프게 되는 상태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 각도로 회동되는 등받이와 전후 슬라이딩 가능한 좌석을 경첩으로 힌지하여 등받이의 각도 조절에 따라 좌석이 전후 이동되도록 하여 탑승자에게 최적의 안락함을 줄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안전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안전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측면도.
도 3은 안전시트를 평평한 상태로 조절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좌석과 시트부의 결합상태를 나탄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좌석 4: 슬라이드홈
6: 각도조절레바 8: 주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안전시트는 차량의 의자에 얹혀지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얹혀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200)와, 상기 시트부(20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등받이(300)로 구성된 공지의 안전시트에 있어서, 상기한 등받이(300)의 하단에 좌석(2)을 경첩으로 힌지하여 그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하여 주축(8)을 중심으로 등받이(300)가 소정 각도 회전되었을 때, 좌석(2)이 소정 각도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시트부(200)의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시트부(200)의 양측으로는 탑승자가 좌우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2)를 입상 설치하고 지지부(12)의 내측면으로는 슬라이드 홈(4)을 형성하여 좌석(2)의 양쪽 측면에 돌설 된 슬라이드돌기(10)를 끼워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주축(8)은 시트부(200)의 좌우에 입상 설치된 지지부(12)와 등받이(300)의 측면을 관통하여 나사 체결 가능한 봉 상의 주축(8)이 끼워져 체결너트로 받침대(12)와 등받이(300)를 주축(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한다.
이때 주축(8)의 중심축은 등받이(300)의 끝단부 즉, 등받이(300)와 좌석(2)을 결합한 경첩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 등받이(300)의 각도 조절시 주축(8)을 축으로 하여 등받이(300) 하단부가 이동되면서 좌석(2)을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다.
등받이(300)의 측면으로는 각도조절레바(6)가 결합되고 이 각도조절레바(6)는 시트부(200)의 좌우에 입설된 지지부(12)에 결합된 각도조절기어부(14)에 결합하여 기어 맞물림에 의하여 등받이(300)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통상의 자동차 시트에 안전시트를 놓고 차량내에 장착된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안전시트를 차량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차량에 고정된 안전시트에 유아를 앉히게 되는 경우 조절레바(6)를 해탈시켜 등받이(300)의 각도를 조절하고 이때 등받이(300)의 하단에 좌석(2)이 경첩으로 힌지되고 상기 좌석(2)은 시트부(200)의 슬라이드홈(4)내에서 자유로이 전후 이동 가능하므로 주축(8)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등받이(300)의 각도에 따라 전방 혹은 후방으로의 이동되므로 좌석(2)이 시트부(200)의 전방으로 출몰되거나 몰입되어 착좌감이 보다 뒤어난 것이다.
유아의 수면을 위하여 각도조절레바(6)를 해탈시켜 등받이(300)를 일자로 유지하면 등받이(300)가 주축(8)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좌석(2)을 전방으로 밀면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수면 시 유아의 몸이 안전시트에 의하여 베기는 현상이 없어 유아의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좌석(2)과 등받이(300)를 평행한 상태로 유지하고 하는 경우 우선 시트부(200)를 회전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등받이의 각도 조절에 따라 좌석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므로 유아의 신체와 자세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등받이와 좌석이 경첩으로 힌지되어 있어 평면 상태로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의자에 얹혀지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얹혀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부(200)와, 상기 시트부(20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등받이(300)로 구성된 공지의 안전시트에 있어서, 상기한 등받이(300)가 주축(8)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었을 때, 등받이(300)의 하단에 경첩으로 결합된 좌석(2)이 등받이의 각도에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시트부(200)의 전방으로 출몰 또는 몰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석은 시트부(200)의 내측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에 좌석의 양단측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가 끼워져 전후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축(8)의 중심축은 등받이(300)와 좌석(2)을 결합한 경첩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켜 등받이(300)의 각도 조절시 주축(8)을 축으로 하여 등받이(300) 하단부가 이동되면서 좌석(2)을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시트.
KR20-2002-0028610U 2002-09-24 2002-09-24 유아용 안전시트 KR200299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610U KR200299184Y1 (ko) 2002-09-24 2002-09-24 유아용 안전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610U KR200299184Y1 (ko) 2002-09-24 2002-09-24 유아용 안전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184Y1 true KR200299184Y1 (ko) 2003-01-03

Family

ID=4939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610U KR200299184Y1 (ko) 2002-09-24 2002-09-24 유아용 안전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1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08Y1 (ko) * 2012-08-22 2014-04-09 이지영 수납 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08Y1 (ko) * 2012-08-22 2014-04-09 이지영 수납 공간을 구비한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792B2 (en) Child seat for a motor vehicle
US6196629B1 (en) Vehicular child safety seat
EP0770516B1 (en) Vehicle seat with a retractable sub seat
KR960033882A (ko) 일체형 부스터 좌석 및 호환 모듈을 갖는 차량용 좌석
KR200299184Y1 (ko) 유아용 안전시트
JPH10166917A (ja) 自動車用シート
CN115379964A (zh) 汽车座椅及汽车
CN108454478B (zh) 一种座椅及汽车
US11820257B2 (en) Vehicle seat arrangement
KR100346472B1 (ko) 자동차의 시트백 측부 높낮이 조절장치
KR200140918Y1 (ko) 시트 쿠션의 조절장치
KR100506026B1 (ko) 헤드 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시트
JPH0429811Y2 (ko)
JPS60110541A (ja) 自動車用フロントシ−ト構造
KR100267682B1 (ko) 버스용 시트
KR200222500Y1 (ko) 자동차 회전의자
KR970000216Y1 (ko) 시트 쿠션
KR0133312Y1 (ko) 유아 보호용 보조쿠션이 설치된 자동차
CN201021250Y (zh) 学童汽车座椅
KR0128138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구조
KR19980037917U (ko) 승용차 리어시트용 사이드 헤드레스트 구조
JPS6313743Y2 (ko)
KR19980052625U (ko) 형상변경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KR200149825Y1 (ko) 자동차 의자의 헤드레스트 구조
JPH068764A (ja) 子供用シート付き自動車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