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560Y1 -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560Y1
KR200143560Y1 KR2019960016210U KR19960016210U KR200143560Y1 KR 200143560 Y1 KR200143560 Y1 KR 200143560Y1 KR 2019960016210 U KR2019960016210 U KR 2019960016210U KR 19960016210 U KR19960016210 U KR 19960016210U KR 200143560 Y1 KR200143560 Y1 KR 200143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eat back
seat
support plate
rais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6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751U (ko
Inventor
김자엽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16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560Y1/ko
Publication of KR9800017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7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승차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의 하단 내부에 제공되는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에 있어서, 허리받침의 조절단을 무단으로 형성하여 허리받침의 융기상태 조절 자유도를 증대시켜 승차자의 신체를 최적의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승차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의 하측 외부에 회전 조절 가능하게 돌출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일측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왕복 이동하는 링크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 왕복 이동하는 링크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핸들의 조작력에 의하여 시트 백 하단의 융기상태를 조정하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가 시트 백 하단의 융기상태를 유지하도록 핸들의 힌지부에 제공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작동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이 적용되는 시트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핸들 7 : 링크
11 : 서포트 플레이트 13 : 멈춤부재
15 : 치열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받침의 조절폭을 미세하게 하여 승차자의 인체를 최적의 상태로 지지해주는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크게 승차자 체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이 시트 쿠션의 후방에서 일정한 기울기로 고정되거나 기울기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 백으로 구성된다.
이 시트 백은 승차자의 등을 안락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인체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시트 백의 하단에는 승차자의 신체조건에 상응하도록 융기 상태로 조절가능한 허리받침이 내장된다.
이 허리받침은 시트 백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노브를 회전시키므로 승차자의 신체에 적정한 융기 상태로 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은 그 조절단이 일정단 즉 4단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받침의 융기상태 조절 자유도가 저하되어 승차자 신체를 최적의 상태로 지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허리받침의 조절단을 무단으로 형성하여 허리받침의 융기상태 조절 자유도를 증대시키므로 승차자의 신체를 최적의 상태로 지지하는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은, 승차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의 하측 외부에 회전 조절 가능하게 돌출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일측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직선 왕복 이동하는 링크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는 링크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핸들의 조작력에 의하여 시트 백 하단의 융기상태를 조정하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가 시트 백 하단의 융기상태를 유지하도록 핸들의 힌지부에 제공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 작동을 제한하는 회전제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제어수단은 치차 결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서포트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작용력이 링크와 핸들로 전달되는 작용력을 지지하여 핸들의 역회전을 제한하는 멈춤부재를 포함한다.
[작용]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은 시트 백의 융기상태를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에 일단이 왕복 이동 운동하는 링크를 개재하여 핸들에 연결시키고 핸들의 힌지부에 회전 제한수단을 형성시키므로 시트 백의 하단부의 융기상태 조절의 자유도를 증대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이 적용되는 시트의 사시도로서, 도면 부호 1을 시트 쿠션(1)이라 지칭한다.
이 시트 쿠션(1)은 승차자 체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며, 그 후방에는 승차자의 등을 지지하는 기트 백(3)이 경사각 조절 가능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시트 백(3)은 승차자가 안락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신체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며, 그 하단부에는 승차자의 허리부분을 지지하는 허리받침(미도시)이 내장되어 있다.
이 허리받침은 시트 백(3)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5)의 조작에 의하여 시트 백(3)의 하단부 융기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핸들(5)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핀(4)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로 이루는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링크(7)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8)로 결합된다. 이러한 링크(7)의 다른 일단은 시트 백(3)에 전, 후 방향으로 내장된 가이드 부재(9)에 의하여 시트 백(3) 내에서 제한된 범위만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 링크(7)의 일단에는 시트 백(3)의 하단을 융기시키는 서포트 플레이트(11)가 힌지(12)로 결합된다. 이 힌지(12)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서포트 플레이트(11)가 왕복 이동할 때, 가이드 부재(19) 및 서포트 플레이트(11)가 가이드 부재(9)와 간섭되지 않도록 힌지(12)의 일측에 링크(7)의 일단과 서포트 플레이트(11)를 결합시키고, 힌지(12)의 다른 일측을 가이드 부재(9)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2도에서는 힌지(12)로 결합된 링크(7)와 서포트 플레이트(11)가 가이드 부재(9) 뒤에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5)에 가해지는 조작력은 힌지(8)와 링크(7) 및 힌지(12)를 통하여 서포트 플레이트(11)로 전달되어, 시트 백(3)의 하단 융기상태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변화된 서포트 플레이트(11)의 융기 상태는 시트 백(3)에 가해지는 승차자의 체중에 의하여 후퇴하려는 성향을 갖는다. 이를 방지하여 변화된 융기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핸들(5)의 하측에는 핸들(5)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수단의 멈춤부재(13)가 구비되어 있다.
이 멈춤부재(13)는 핸들(5)의 고정 핀(4)부 외측에 형성된 치열(15)에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핸들(5)의 정방향(제2도에서) 회전을 제한하여 서포트 플레이트(11)의 후퇴성향을 저지시킨다. 그리고 멈춤부재(13)는 항상 핸들(5)의 치열(15) 일측에 선택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토오션 스프링(17)에 의하여 지지된다. 즉 토오션 스프링(17)은 멈춤부재(13)를 치열(15)에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이 적용되는 시트에 승차자가 승차할 때, 승차자의 신체에 적절하지 않으면 핸들(5)을 제2도의 a와 같이 조작한다.
그러면 핸들(5)은 선회되면서 힌지(8)를 통하여 링크(7)의 일단을 가이드 부재(9)의 안내를 받으면서 직선 이동시킨다.
이 때 링크(7)에 힌지(12)로 결합된 서포트 플레이트(11)는 가상선 a와 같이 이동되어 시트 백(3)의 하단을 융기시켜 승차자의 신체에 적절하도록 융기상태를 조절한다. 서포트 플레이트(11)에 가해지는 승차자의 지지력은 힌지(12), 링크(7), 힌지(8) 그리고 핸들(5)을 통하여 전달되는데, 멈춤부재(13)가 치열(15)에 결합되어 지지하므로 핸들(5)의 정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시트 백(3) 하단의 융기상태가 유지된다.
반대로 신체조건이 다른 승차자가 승차하여 시트 백(3)의 융기상태가 너무 높다는 것을 느낄 때, 멈춤부재(13)와 치열(15)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고, 가상선 a상태일 때에는 핸들(5)을 제2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이 때, 핸들(5)에 가해진 조작력을 힌지(8), 링크(7), 힌지(12)를 통하여 서포트 플레이트(11)로 전달되어 시트 백(3) 하단의 융기 상태를 재조절한다. 물론 이 때에도 서포트 플레이트(11)에 가해지는 승차자의 지지력은 상기와 같이 전달되고, 멈춤부재(13)가 치열(15)에 결합되어 지지하므로 핸들(5)이 더 이상 정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시트 백(3) 하단의 융기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변화되는 융기상태는 특정 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치열(15)의 간격만큼 미소하게 조절 가능하다. 이는 곧 다양한 신체조건을 작은 승차자의 승차공간을 안락하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안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은 서포트 플레이트를 무단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시트 백 하단부의 융기상태를 회전 제한수단으로 고정시키므로, 시트 백 하단의 융기상태 조절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승차자를 최적의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승차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의 하측 외부에 회전 조절 가능하게 돌출 장착되는 핸들(5)과, 상기 핸들의 일측에 그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왕복 이동하는 링크(7)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 왕복 이동하는 링크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핸들의 조작력에 의하여 시트 백 하단의 융기상태를 조정하는 서포트 플레이트(11)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가 시트 백 하단의 융기상태를 유지하도록 핸들의 힌지부에 제공되어 상기 핸들의 회전작동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수단은 치차 결합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서포트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작용력이 링크와 핸들로 전달되는 작용력을 지지하여 핸들의 역회전을 제한하는 멈춤부재(13)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
KR2019960016210U 1996-06-18 1996-06-18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 KR200143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6210U KR200143560Y1 (ko) 1996-06-18 1996-06-18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6210U KR200143560Y1 (ko) 1996-06-18 1996-06-18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751U KR980001751U (ko) 1998-03-30
KR200143560Y1 true KR200143560Y1 (ko) 1999-06-15

Family

ID=1945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6210U KR200143560Y1 (ko) 1996-06-18 1996-06-18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5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751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662B1 (ko) 경사가능등받이를구비한어린이용좌석
JPH10258654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KR200143560Y1 (ko) 차량용 시트의 허리받침
JPH0133368B2 (ko)
JP2917287B2 (ja) シートバック
KR200150394Y1 (ko) 시트 백의 허리 지지 조절장치
KR200142290Y1 (ko) 시트쿠션 사이드 써포트성 자동조절장치
KR0126404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시이트
KR100551769B1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연동형 시트 틸트장치
KR100197255B1 (ko) 차량의 시트 백의 허리 지지장치
KR970000216Y1 (ko) 시트 쿠션
KR19990018485U (ko) 시트의 시트백 높이 조절장치
JPH0451629Y2 (ko)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100506026B1 (ko) 헤드 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시트
KR20030021087A (ko)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KR950008607Y1 (ko) 자동차용 일체형 시트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JPH07257248A (ja) 車両用中折れシート
JPH0228978Y2 (ko)
KR100302419B1 (ko) 이동가능한차량용시트쿠션장치
KR0111311Y1 (ko) 브레이크 연동식 차량 시트 등받이 럼버
KR0138383Y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 구조
KR20030037001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JPH0489009A (ja) 車両用シートの面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H023624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