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327B1 - 워크 반송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 - Google Patents

워크 반송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327B1
KR960016327B1 KR1019920018062A KR920018062A KR960016327B1 KR 960016327 B1 KR960016327 B1 KR 960016327B1 KR 1019920018062 A KR1019920018062 A KR 1019920018062A KR 920018062 A KR920018062 A KR 920018062A KR 960016327 B1 KR960016327 B1 KR 960016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stopper
base member
support seat
movab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751A (ko
Inventor
요시끼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나까무라 유우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나까무라 유우이찌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7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워크 반송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워크 지지 장치를 갖춘 컨베이어 행거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컨베이어 행거에 있어서 프론트용 지지 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컨베이어 행거에 있어서 프론트용 지지 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컨베이어 행거에 있어서 리어용 지지 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컨베이어 행거에 있어서 리어용 지지 장치의 평면도.
제6도는 제2도에 도시된 프론트용 지지 장치가 긴 몸체를 지지할때의 측면도.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리어용 지지 장치가 약간 긴 몸체를 지지할때의 측면도.
제8도는 제4도에 도시된 리어용 지지 장치가 긴 몸체를 지지할때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워크(자동차의 몸체)10 : 컨베이어 행거
20 : 프론트용 워크 지지 장치21 : 리어용 워크 지지 장치
25 : 지지좌26 : 베이스 부재
35 : 고정 스토퍼40 : 가동자
43 : 가동 스토퍼45 : 웨이트
50 : 지지좌51 : 베이스 부재
60 : 고정 스토퍼65,66,67 : 가동자
72 : 제1가동 스토퍼73 : 웨이트
84 : 제2가동 스토퍼85 : 제3가동 스토퍼
86,87 : 웨이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립 공장 등에 사용되고 있는 몸체 반송 설비의 컨베이어 행거 등에 적합한 워크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립 공장과 같이 자동차의 몸체를 취급하는 공장 등에 있어서, 몸체를 반송하기 위해 컨베이어 행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트롤리식의 컨베이어 행거를 사용하는 반송 설비는, 워크 즉 몸체의 반송 경로에 따라서 건물의 천정측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 레일에 현수된 행거에 의해 몸체의 소정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행거와 몸체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컨베이어 행거의 하부에는 지지좌가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좌상에 몸체 하부의 사이드실(sill)을 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좌의 근방에 스토퍼가 고정되어 있고, 이 스토퍼에 의해, 사이드실의 단부나 호일 하우스의 입상벽의 위치를 규제하므로써 몸체의 전후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종이 변하면 사이드실 길이가 변화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컨베이어 행거에 사용되고 있는 스토퍼는 고정식이기 때문에, 사이드실 길이가 가장 긴 차종에 맞춘 위치에 스토퍼가 부착되고 있었다. 이때문에, 차종의 증가 등에 따라서 사이드실 길이가 복수 종류로 될 경우에, 동일의 행거를 사용하면, 사이드실이 짧은 차종을 반송할 때에 스토퍼가 유효하게 작동될 수 없고, 전후방향으로 몸체의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일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실 길이 등의 워크의 길이가 달라도, 워크를 소정 위치에 유지할 수 있게한 워크 반송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완수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워크를 실은 지지좌를 갖춘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고 또 이 베이스 부재의 상방에 소정높이에 돌출하는 고정 스토퍼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고 또 소정높이에 돌출한 상태의 기립 위치로부터 상기 지지좌의 높이 부근까지 강하한 상태의 퇴피 위치에 걸처 승강 가능한 가동 스토퍼와, 상기 가동 스토퍼를 상기 기립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힘을 발생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가압 수단의 일 실시예는 웨이트(중추)이지만, 웨이트 대신 스프링을 사용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워크 반송 방법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 부재상의 지지좌상에 워크를 상방으로부터 하강해서 실을 때에, 워크가 하강도중에 가동 스토퍼를 눌러내릴 때에는 고정 스토퍼 또는 다른 가동 스토퍼가 워크 단부를 규제하고, 워크가 하강 도중에 가동 스토퍼와 접촉하지 않을때에는 가동 스토퍼가 워크의 단부를 규제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워크의 종류에 따라 워크를 상기 지지좌에 실음으로써 상기 고정 스토퍼와 상기 가동 스토퍼의 어느 한쪽의 스토퍼를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본 발명의 워크 반송 장치에 있어서, 길이가 짧은 워크를 지지좌에 실은 경우에는, 워크의 단이 가동 스토퍼에 닿지 않기 때문에, 가동 스토퍼가 가압 수단에 의해 기립 위치로 유지된다. 이 경우, 워크의 입상벽이 가동 스토퍼에 대향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 가동 스토퍼에 의해 워크의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된다.
한편, 가동 스토퍼에 닿을 것 같은 길이를 가진 워크를 지지할 때에는, 워크의 일부가 가동 스토퍼에 실리므로써 가동 스토퍼가 퇴피 위치까지 강하한다. 이 경우에는 워크의 입상벽이 고정 스토퍼에 대향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 고정 스토퍼에 의해 워크의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도면에 표시된 컨베이어 행거(10)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컨베이어 행거(10)는, 자동차의 몸체 반송 설비에 있어서 워크의 일예로서의 몸체(A)를 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시된 컨베이어 행거(10)는 가이드 레일(11)을 따라서 주행 가능한 베이스 프레임(12)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13,14)과, 사이드 프레임(13,14)의 하단부터 몸체(A)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로어 프레임(15,16) 등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전방측의 로어 프레임(15)의 근방에, 몸체(A)의 전방부를 지지하기 위한 프론트용 워크 지지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후측의 로어 프레임(16)에, 몸체(A)의 후부를 지지하기 위한 리어용 워크 지지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용 워크 지지 장치(20)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되고 있다. 상기 도면에 표시되는 것 같이, 지지 장치(20)는, 로어 프레임(15)상에 위치하는 지지좌(25)와, 로어 프레임(15)의 전방에 연장되는 베이스 부재(26) 및 보조 서포트 부재(2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좌(25)는, 몸체(A)의 사이드실(A1)을 하측부터 떠받침으로서, 몸체(A)를 소정높이에 지지한다. 베이스 부재(26)는, 브래킷(28,29)을 거쳐서 로어 프레임(15)에 고정되고 있다.
베이스 부재(26)의 전단 근처 부분에, 고정 스토퍼(35)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스토퍼(35)의 기부(36)는 조정 기구(37)에 의해, 베이스 부재(26)에 대한 길이 방향의 위치를 어느정도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고정 스토퍼(35)의 상단은 지지좌(25)보다 높은 위치에 돌출하고 있다. 이 고정 스토퍼(35)는 몸체(A)의 전륜용 호일 하우스(A2)의 입상벽(A3)과 대향한다.
고정 스토퍼(35)의 근방에, 시소형의 포론트용 가동자(40)가 설치되고 있다. 이 가동자(40)는 베어링(41)에 의해 수평축 주위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42)와, 상기 고정 스토퍼(35)보다 지지좌(25)에 가까운 위치에 돌출하는 스토퍼(43)와, 웨이트(45)를 갖춘 아암부(46) 등으로 이루어진다. 베어링(41)은, 조정기구(47)에 의해 베이스 부재(26)에 대한 길이 방향의 위치를 어느정도의 범위에서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가동 스토퍼(43)는, 제2도에 표시된 것 같이 지지좌(25)보다 높은 위치에 돌출한 상태의 기립 위치로부터, 제6도에 표시된 것 같이 지지좌(25)의 높이 부근까지 내린 상태의 퇴피 위치에 걸쳐서, 승강 가능하게 하고 있다.
가압 수단의 일예로서의 웨이트(45)는 가동 스토퍼(43)를 상기 기립 위치(제2도의 상태)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중량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가동 스토퍼(43)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 웨이트(45)의 자중에 의해 기립 위치로 유지된다.
프론트용 워크 지지 장치(21)는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되는 것처럼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표시된 것처럼, 지지 장치(21)는, 로어 프레임(16)상에 위치하는 지지좌(50)와, 로어 프레임(16)의 후방에 연장되는 베이스 부재(51)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좌(50)는 몸체(A)의 사이드실(A1)을 하측부터 떠받침으로서, 몸체(A)를 소정 높이에 지지한다.
베이스 부재(51)는 브래킷(52,53)을 거쳐서 로어 프레임(16)에 고정되고 있다. 베이스 부재(51)는, 조정기구(55)에 의해 브래킷(53)에 대한 폭방향의 위치를 어느정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51)의 후단 근처부분에, 고정 스토퍼(60)가 설치되고 있다. 고정 스토퍼(60)의 기부(61)는, 조정 기구(62)에 의해, 베이스 부재(51)에 대한 길이 방향의 위치를 어느정도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고정 스토퍼(60)의 상단은 지지좌(50)보다 높은 위치에 돌출하고 있다. 이 고정 스토퍼(60)는, 몸체(A)의 후륜용 호일 하우스(A5)의 입상벽(A6)과 대향한다.
고정 스토퍼(60)의 근방에, 시소형의 제1리어용 가동자(65)와, 제2리어용 가동자(66)과, 제3리어용 가동자(67)가 설치되고 있다. 제1가동자(65)는 베어링(70)에 의해 수평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부(71)와, 상기 고정 스토퍼(60)보다도 지지좌(50)에 가까운 위치에 돌출하는 가동 스토퍼(72)와, 웨이트(73)를 갖춘 아암부(74) 등을 구비해서 구성되고 있다. 축부(71)은, 조정 기구(77)에 의해, 베이스 부재(51)에 대한 전후방향의 위치를 어느정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가동 스토퍼(72)는, 제4도에 표시된 것 같이 지지좌(50)보다도 높은 위치에 돌출한 상태의 기립 위치로부터, 제7도에 표시된 것 같이 지지좌(50)의 높이 부근까지 내린 상태의 퇴피 위치에 걸쳐서, 승강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제2가동자(66) 및 제3가동자(67)도 베어링(80,81)에 의해 수평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부(82,83)와, 고정 스토퍼(60)보다 지지좌(50)에 가까운 위치에 돌출하는 가동 스토퍼(84,85)와, 웨이트(86,87)을 갖춘 아암부(88,8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축부(82,83)는, 조정 기구(95,96)에 의해, 베이스 부재(51)에 대한 전후 방향의 위치를 어느정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프론트용 지지 장치(20)와 리어용 지지 장치(21)를 구비한 컨베이어 행거(10)를 사용해서 몸체(A)를 반송하는 경우, 이하에 기술한 것 같이 사이드실(A1)의 길이에 따라서, 프론트용 지지 장치(20)의 가동 스토퍼(43)와 리어용 지지 장치(21)의 가동 스토퍼(72,84,85)가 선택적으로 작동함으로써, 몸체(A)가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다.
즉, 제2도에 표시된 것처럼, 프론트용 지지 장치(20)에 있어서 비교적 짧은 몸체(A)가 지지좌(25)상에 지지될 경우, 사이드실(A1)의 전단이 가동 스토퍼(43)에 닿지 않기 때문에, 가동 스토퍼(43)는 웨이트(45)의 중량에 의해 기립 위치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가동 스토퍼(43)에 의해, 몸체(A)의 입상벽(A3)의 전방에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이 프론트용 지지 장치(20)에 있어서 비교적 긴 몸체(A)가 지지되는 경우에는, 제6도에 표시한 것 같이, 사이드실(A1)의 전단부가 가동 스토퍼(43)의 위에 타기 때문에 몸체(A)의 중량에 의해 가동 스토퍼(43)가 눌러내려진다. 이 경우, 고정 스토퍼(35)에 의해, 몸체(A)의 입상벽(A3)의 전방에의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리어용 지지 장치(21)에 있어서, 제4도에 표시된 것 같이 가장 짧은 몸체(A)가 지지좌(50)상에 지지될 경우, 사이드실(A1)의 후단이 가동 스토퍼(72,84,85)에 닿지 않기 때문에, 모든 가동 스토퍼(72,84,85)는 웨이트(73,86,87)의 중량에 의해 기립 장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1가동 스토퍼(72)에 의해, 몸체(A)의 입상벽(A6)의 후방에의 이동이 규제된다.
리어용 지지 장치(21)에 있어서, 약간 긴 몸체(A)가 지지될 때에는, 제7도에 표시한 것 처럼 제1가동 스토퍼(72)의 위에 사이드실(A1)의 후단부가 탑승함으로서, 제1가동 스토퍼(72)가 퇴피 위치까지 내린다. 제2가동 스토퍼(84)와 제3가동 스토퍼(85)는, 각각 기립 위치 그대로이다. 따라서 이 경우, 제2가동 스토퍼(84)에 의해, 입상벽(A6)의 후방에의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 보다 긴 몸체(A)의 경우에는, 제2가동 스토퍼(84)가 눌러내려지고, 제3가동 스토퍼(85)가 기립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제3가동 스토퍼(85)에 의해, 입상벽(A6)의 후방에의 이동이 규제된다.
제8도에 표시한 것 같이, 가장 긴 몸체(A)가 지지되는 경우에는, 모든 가동 스토퍼(72,84,85)의 위에 몸체(A)가 탑승된다. 이 경우에는 고정 스토퍼(60)가 몸체(A)의 입상벽(A6)에 대항함으로서, 몸체(A)의 후방에의 이동이 규제된다.
상술한 것처럼, 사이드실(A1)의 길이에 따라서 가동 스토퍼(43,72,84,85)가 선택적으로 동작함으로써, 몸체(A)의 전후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해, 복수 종류의 사이드실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스토퍼(43,72,84,85)는 어느 것이나 웨이트(45,73,86,87)의 중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기립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복귀용의 작동기가 불필요하고, 구조가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작동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다.
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즈음하여, 가동 스토퍼의 수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하면 좋다. 또, 프론트용 지지 장치(20) 및 리어용 지지 장치(21)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가동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으면,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의 길이에 따라서 가동 스토퍼가 자동적으로 기립위치 또는 회피 위치에 절환되므로써, 워크의 길이에 불구하고, 소정의 위치 결정 기능을 완수할 수 있다.

Claims (12)

  1. 워크를 실은 지지좌를 갖추고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고 또 베이스 부재의 상방에 소정 높이 돌출하며 상기 지지좌상의 워크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 스토퍼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워크와 다른 종류의 워크의 이동을 저지하는 기립 위치로부터 상기 지지좌의 높이 부근까지 강하한 상태의 퇴피 위치에 걸쳐서 상기 워크에 의해 승강되는 가동 스토퍼와, 상기 가동 스토퍼를 상기 기립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키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2. 워크를 실은 지지좌를 갖춘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지지좌를 끼워 그 전측, 후측에 각각 설치되고 또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방에 소정 높이에 돌출하는 전후의 고정 스토퍼와, 상기 전후의 고정 스토퍼의 적어도 한쪽의 전후 방향 내측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고 또 소정 높이에 돌출한 상태의 기립 위치로부터 상기 지지좌의 높이 부근까지 강하한 상태의 퇴피 위치에 걸쳐서 승강 가능한 가동 스토퍼와, 상기 가동 스토퍼를 상기 기립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키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스토퍼가 위치를 변경해서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스토퍼가 위치를 변경해서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수평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일단을 상기 기립 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타단에 가압 수단의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한 가동자의 상기 일단이 가동 스토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수평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일단을 상기 기립 위치까지 상승시키도록 타단에 가압 수단의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한 가동자의 상기 일단이 상기 가동 스토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 수단으로 웨이트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 수단으로 웨이트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토퍼 및 상기 가동 스토퍼가 위치 조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토퍼 및 상기 가동 스토퍼가 위치 조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11. 공장 건물의 천정에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로어 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로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진행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상면에 워크를 실은 지지면을 구성한 워크를 실은 지지좌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고 또 이 베이스 부재의 상방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좌상의 워크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 스토퍼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고 또 일정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워크와 다른 종류의 워크의 이동을 저지하는 기립 위치로부터 상기 지지좌의 높이 부근까지 강하한 상태의 퇴피 위치에 걸쳐서 상기 워크에 의해 승강되는 가동 스토퍼와, 상기 가동 스토퍼를 상기 기립 위치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키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장치.
  12.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 부재상의 지지좌상에 워크를 상방으로부터 하강해서 실을 때에, 워크가 하강도중에 가동 스토퍼를 눌러내릴 때에는 고정 스토퍼 또는 다른 가동 스토퍼가 워크 단부를 규제하고, 워크가 하강 도중에 가동 스토퍼와 접촉하지 않을 때에는 가동 스토퍼가 워크의 단부를 규제함으로써 복수 종류의 워크의 종류에 따라 워크를 상기 지지좌에 실음으로써 상기 고정 스토퍼와 상기 가동 스토퍼의 어느 한쪽의 스토퍼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방법.
KR1019920018062A 1991-10-03 1992-10-02 워크 반송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 KR960016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80563 1991-10-03
JP1991080563U JP2548013Y2 (ja) 1991-10-03 1991-10-03 ワーク支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751A KR930007751A (ko) 1993-05-20
KR960016327B1 true KR960016327B1 (ko) 1996-12-09

Family

ID=1372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062A KR960016327B1 (ko) 1991-10-03 1992-10-02 워크 반송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40249A (ko)
JP (1) JP2548013Y2 (ko)
KR (1) KR960016327B1 (ko)
DE (1) DE4233056C2 (ko)
NL (1) NL19273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K287159B6 (sk) 1999-06-21 2010-02-08 Rofa-Lehmer F�Rderanlagen Gmbh Zariadenie na dopravu a spôsob dopravy vyrobených alebo čiastočne vyrobených vozidiel
IT246948Y1 (it) * 1999-12-17 2002-04-10 Fata Group S P A Impianto di lavorazione con dispositivo di blocco e centratura discocche in stazioni di lavorazioni.
JP3976223B2 (ja) * 2000-09-14 2007-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搬送装置および車体搬送方法
JP3976224B2 (ja) * 2000-09-22 2007-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ア
ITMI20002824A1 (it) * 2000-12-22 2002-06-22 Geico Spa Impianto automatico modulare per il trasporto e per il trattamento disuperfici di scocche di veicoli e similari
JP4336161B2 (ja) * 2003-08-11 2009-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の移載装置
DE102004008506B4 (de) * 2004-02-20 2007-10-11 Audi Ag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Teilen im Kraftfahrzeug-Karosseriebau
US20060032728A1 (en) * 2004-08-10 2006-02-16 Smith J R Apparatus for removing vehicle from vehicle assembly conveyor system
DE102006046050B4 (de) * 2006-09-28 2021-04-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srichten einer Fahrzeugrohkarosserie
JP4538820B2 (ja) * 2008-02-05 2010-09-08 株式会社ダイフク 摩擦駆動トロリーコンベヤ
JP4562008B2 (ja) * 2008-02-14 2010-10-13 株式会社ダイフク 吊り下げ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61A (en) * 1869-08-31 Improvement in railway freight-cars
US2792927A (en) * 1947-05-17 1957-05-21 Mechanical Handling Sys Inc Load carriers for use in overhead trolley conveyor systems
RO63797A (fr) * 1968-12-30 1979-01-15 Niesky Waggonbau Veb Dispositif pour fixer les containers
JPS6018580B2 (ja) * 1978-03-08 1985-05-11 株式会社ダイフク トロリ−コンベヤにおけるハンガ−の被搬送物支持ア−ム変向装置
US4234278A (en) * 1978-10-31 1980-11-18 Electro-Pneumatic International Gmbh Locking devices for cargo and the like
DE2931320C2 (de) * 1979-08-01 1982-09-02 Otfrid Dr. 8000 München Grabert Vorrichtung zum Sichern von Gegenständen gegen Verrutschen beim Transport
FR2479785A1 (fr) * 1980-04-02 1981-10-09 Renault Balancelle polyvalente pour chaines d'assemblage de produits manufactures, notamment de vehicules automobiles
US4341161A (en) * 1980-05-08 1982-07-2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Workpiece hanger carriage
JPS5774311U (ko) * 1980-10-27 1982-05-08
JPS5791714U (ko) * 1980-11-28 1982-06-05
JPS6028708B2 (ja) * 1981-03-19 1985-07-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生産ライン用可傾式ハンガ−
JPS57203608A (en) * 1981-06-04 1982-12-14 Honda Motor Co Ltd Article suspension conveyance unit for overhead conveyor
US4464998A (en) * 1982-03-25 1984-08-14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Hanger device for trolley conveyor
DE3222202C2 (de) * 1982-06-12 1986-09-25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12 Ottobrunn Riegelelement zum Arretieren von Frachtstücken im Frachtraum von Luftfahrzeugen
DD227670A1 (de) * 1984-08-28 1985-09-25 Werkzeugmasch Okt Veb Foerdereinrichtung zum lagefixierten transportieren und bereitstellen von handhabungsgegenstaenden
US4579062A (en) * 1984-12-24 1986-04-01 Mid-West Conveyor Company, Inc. Automatic latching assembly for car body carriers
FR2582622B1 (fr) * 1985-05-29 1988-01-08 Bennes Marrel Dispositif porte-conteneurs a fonctions multiples
DE3543193C1 (de) * 1985-12-06 1987-03-2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aengebahnfoerderanlage zum Transport von Karosserien
US4770455A (en) * 1986-10-21 1988-09-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Passively activated prehensile digit for a robotic end effector
DE3642431C1 (de) * 1986-12-12 1988-05-1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oerdereinrichtung zum Foerdern von Kraftfahrzeugkarosserien
JPH0671883B2 (ja) * 1987-06-09 1994-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吊下げ搬送装置
JP2844073B2 (ja) * 1989-01-19 1999-01-06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キャリヤ自走式コンベヤ
JPH0818550B2 (ja) * 1989-06-07 1996-02-28 株式会社ダイフク 吊下げ搬送設備
JP2761598B2 (ja) * 1989-12-08 1998-06-04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キャリヤにおける被搬送物受け具
DE3943077A1 (de) * 1989-12-27 1991-07-04 Airbus Gmbh Riegelelement zum arretieren von frachtstuec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33056A1 (de) 1993-04-08
US5340249A (en) 1994-08-23
KR930007751A (ko) 1993-05-20
NL192732B (nl) 1997-09-01
JPH0532308U (ja) 1993-04-27
NL9201707A (nl) 1993-05-03
DE4233056C2 (de) 1995-02-09
JP2548013Y2 (ja) 1997-09-17
NL192732C (nl) 1998-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327B1 (ko) 워크 반송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
CN100393603C (zh) 可行驶的升降装置
KR920017882A (ko) 화물처리용 차량
KR920001419Y1 (ko) 차량 정비용 승강기의 차륜고정장치
JPH03186510A (ja) 自走体使用の搬送設備
EP0963904A1 (en) Transport system with suspended load and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on board
JPS62163854A (ja) 吊下げ搬送設備
JPH0524795A (ja) 昇降装置
JPH02100914A (ja) 被搬送物の持上げ傾動装置
JPH0240598B2 (ko)
KR0128471Y1 (ko) 이동용 로봇트지지장치
JP2712980B2 (ja) 昇降搬送装置の昇降レール位置決め装置
JPS6234886Y2 (ko)
JP2580328B2 (ja) 昇降作業台付き搬送装置
JP2682695B2 (ja) 吊下げ搬送装置
JP2571013B2 (ja) クレーンの昇降キャレッジ案内装置
JP2830589B2 (ja) 搬送装置の昇降荷支持手段位置決め装置
KR930007947Y1 (ko) 승강식 재치대를 가진 화물운반차
JP2006290512A (ja) 車体搬送装置
JP2516186Y2 (ja) ボデー移載装置
JPH02208159A (ja) リフター付き搬送用移動体
JP2561643Y2 (ja) パレタイザーの移動装置
KR100387497B1 (ko) 라인 이재 차량의 센터링 장치
JPH10139387A (ja) ワーク組付用台車
JPH04321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