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493B1 - 중량물 탑재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탑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493B1
KR890002493B1 KR1019860008156A KR860008156A KR890002493B1 KR 890002493 B1 KR890002493 B1 KR 890002493B1 KR 1019860008156 A KR1019860008156 A KR 1019860008156A KR 860008156 A KR860008156 A KR 860008156A KR 890002493 B1 KR890002493 B1 KR 890002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mounting
conveyed
suspension
heav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928A (ko
Inventor
준지 사까모도
쓰요시 와다나베
시게오 오까미즈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모도 켕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2590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832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6263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2470Y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모도 켕이찌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3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4Vehic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량물 탑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중량물 탑재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측면도.
제5도는 탑재부의 확대정면도.
제6(a)도는 베이스테이블의 평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측면도.
제7(a)도는 좌우이동테이블의 평면도.
제7(b)도는 제7(a)도의 정면도.
제8(a)도는 전후이동테이블의 평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측면도.
제9도는 탑재(회전)테이블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디 2 : 텍트콘베이어
4 : 부품반송콘베이어 6 : 제1콘베이어
7 : 제1탑재부 9 : 제2콘베이어
10 : 제2탑재부 35 : 모우터
36 : 보올나사 40 : 베이스테이블
41 : 좌우이동테이블 42 : 전후이동테이블
43 : 회전테이블(탑재테이블) 46,52,65 : 서어보모우터
46a,52a : 랙기어 46b,52b : 피니언기어
CL: 클러치 EG: 엔진
FS: 프론트서스펜션 RS: 리어서스펜션
ST: 스테이션 Sn: 시각센서
PST: 위치결정스테션 SC: 서어보제어수단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립공정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중량물 탑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보디를 반송하는 보디반송라인에, 이 라인에서 반송되는 보디에 대해서, 엔진을 탑재하는 스테이션과, 프론트 및 리어서스펜션을 탑재하는 스테이션이 따로따로 설정되어, 각 스테이션마다 엔진, 각 서스펜션을 순차적으로 보디에 탑재하도록 하는 것은 실용화되고 있다. 또, 상기 자동차의 보디에 엔진을 부착할 경우, 오오버헤드콘베이어에 보디를 매어달고 이것을 텍트반송하는 한편, 엔진납재스테이션의 중량물 탑재부의 테이블에 엔진을 재치하고, 보디가 탑재스테이션에 왔을때에, 상기 탑재부에 의해서 엔진을 들어 올려서 이것을 보디에 부착한다고 하는 방식이 널리 채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단순히 엔진을 들어올리게 하면 엔진과 보디가 간섭해버리는 불편이 있으며, 자동탑재의 경향에 있는 금일, 그와같은 불편의 해결은 중요한 과제이다.
그리하여, 종래의 중량물 탑재장치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59-206266호 공보에 개시된바와 같이, 탑재테이블을 상하방향, 전후방향, 좌우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착설하고, 이 탑재테이블을 보디와 엔진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탑재궤도로서 구동하며, 보디와 엔진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공보기재의 장치에서는, 보디를 오우버헤드콘베이어에 매어달때에 보디가 기울게 매어달리는등, 보디와 중량물 탑재장치간에 위치어긋남이 있을때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여전히 엔진과 보디가 간섭하는 염려가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소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오우버헤드콘베이어에 매어단 보디의 위치를 검출하여, 탑재궤도의 위치보정을 해주면 되는 것이나, 상기 종래 공보기재의 장치에서는, 단순히 탑재테이블을 상하방향, 전후방향, 좌우방향으로 이동자재로 하고 있을뿐이므로, 정밀도가 좋은 위치보정이 어려운 것이였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차종이 다른 보디를 반송가능한 보디반송라인에 있어서, 엔진과 프론트 및 리어서스펜션을 1개의 스테이션에서 동시에 보디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텍트반송물의 오차를 흡수해서 중량물과 텍트반송물과의 가섭을 방지할 수 있는 중량물 탑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은, 반송물을 각 작업스테이션에서, 일시정지하도록 반송되는 텍트반송수단과, 작업스테이션에서 일시정지한 반송물의 정지위치를 검출하는 반송물정지위치 검출수단과, 반송물에 대하여, 중량물을 자동적으로 탑재하는 중량물 탑재작업스테이션과, 상기 중량물 탑재작업스테이션에 설치되어, 반송물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이 상면에, 중량물을 위치결정재치하는 탑재부와, 이 탑재부를, 상기 전후,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중량물 탑재수단과, 상기 중량물 탑재수단의 구동부에, 작업량 및 작업타이밍을 지령함과 동시에, 상기 반송물정지위치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반송물정지위치 어긋남량을 산출하여, 이 양에 의거해서 구동부에 작동량을 지령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자동차의 조립라인에는, 차종이 다른 보디(1)를 1방향으로 반송가능한 텍트콘베이어(2)가 천정쪽에 착설되어 있어서, 이 보디(1)는, 보디텍트콘베이어(2)로 안내되는 L형 행거(3)로 매어달아서, 빨리보냄, 정지등을 반복하면서 텍트반송되게 되어있다.
상기 텍트콘베이어(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평행으로 엔진(EG)과 프론트서스펜션(FS) 및 리어서스펜션(RS)을 1방향으로 반송가능한 부속반송콘베이어(4)가 바닥면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부품반송콘베이어(4)에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엔진(EG)과 프론트서스펜션(FS)이 선행반송되고, 리어서스펜션(RS)이 후행반송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텍트콘베이어(2)와 부품반송콘베이어(4)와의 사이에 걸처지는 적소에는, 보디(1)에 대하여, 엔진(EG)과 프론트서스펜션(FS) 및 리어서스펜션(RS)을 동시에 탑재하는 1개의 스테이션(ST)이 설정되어 있다.
이 스테이션(ST)의 반송방향의 선행위치에는, 부품반송콘베이어(4)로 선행반송되어온 엔진(EG)과 프론트서스펜션(FS)을 텍트콘베이어(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콘베이어(6)와, 이 제1콘베이어(6)로 이동되어온 엔진(EG)과 프론트서스펜션(FS)의 조립체를 적재하고, 텍트콘베이어(2)로 반송되어온 보디(1)의 앞부분의 규정위치에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조립체(EG)(FS)를 탑재할 수 있도록 떠올리는 제1탑재부(7)가 착설되어 있다.
또, 이 스테이션(ST)의 반송방향의 후행위치에는, 부품반송콘베이어(4)로 후행반송되어온 리어서스펜션(RS)을 텍트콘베이어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콘베이어(9)와, 이 제2콘베이어(9)로 이동되어온 리어서스펜션(RS)을 적재하고, 텍트콘베이어(2)로 반송되어온 보디(1)의 후부의 규정위치에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리어서스펜션(RT)을 탑재할 수 있도록 떠올리는 제2탑재부(10)가 착설되어 있다. 또, 상기 텍트콘베이어의 반송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의 탑재부가 위치하는 스테이션(ST)의 바로앞에서 차종에 따라 다른 보디의 위치를 검출하는 4개의 시각센서(Sn)가 배치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상세하게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제1콘베이어(6)는, 상단부의 이송로울러콘베이어(6a)와 하단부의 되돌림 로울러콘베이어(6b)와의 상하 2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송로울러콘베이어(6a)의 로울러는, 진동모우터(12)(12)에 의헤 텍트콘베이어(2)방향회동으로 구동됨과 동시에, 되돌림 로울러콘베이어(6b)의 로울러는, 전동모우터(13)에 의해 부품반송콘베이어(4)방향회동으로 구동되게 되어있다.
상기 제1콘베이어(6)의 시단(始端)쪽에는, 상기 부품반송콘베이어(4)의 바로밑에 위치하는 탈하(脫荷)용 리프터(15)가 착설되며, 이 탈하용리프터(15)에는, 유압기구(16)로 구동되는 팬터그래프(17)로 지지된 로울러콘베이어(18)가 착설되며, 이 로울러콘베이어(18)는, 하단로울러콘베이어(6b)에 일치하는 하강위치(D)와, 상단로울러콘베이어(6a)에 일치하는 상승위치(u)와, 부품반송콘베이어(4)로부터 엔진(EG)과 프론트서스펜션(FS)을 인수하는 탈하상승위치(u')에 승강되게 되었으며, 각 승강위치(u')(u)(D)는 마이크로스위치(19a)(19b)(19c)로 각각 검출된다.
이 로울러콘베이어(18)는, 전동모우터(20)에 의해, 보디반송레일(2)방향회동으로 구동된다.
상기 제1콘베이어(6)의 종단부쪽에는, 되돌림용리프터(21)가 착설되며, 이 되돌림용리프터(21)에는, 유압기구(22)로 구동되는 패터그래프(23)로 지지된 로울러콘베이어(24)가 착설되며, 이 로울러콘베이어(24)는, 하단로울러콘베이어(6b)에 일치하는 하강위치(D)와, 상단로울러콘베이어(6a)에 일치하는 상단위치(u)에 승강되도록 되어있어서, 각 승강위치(u)(D)는 마이크로스위치(25a)(25b)로 각각 검출된다.
이 로울러콘베이어(24)는, 전동모우터(26)에 의해 부품반송콘베이어(4)방향회동으로 구동된다.
상기 탈하용리터(15)의 로울러콘베이어(18)의 위에는, 부품반송콘베이어(4)로부터 탈하된 엔진(EG)과 프론트서스펜션(FS)을 적재하는 재치판(28)이 실려지며, 이 재치판(28)은 이송로울러콘베이어(6a)의 위에 3개, 되돌림용리프터(21)의 로울러콘베이어(24)의 위에 1개가 각각 실려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탈하용리프터(15)의 로울러콘베이어(18)상의 재치판(28)은, 이송로울러콘베이어(6a)의 (A)위치에 이송되어, (B)위치를 거쳐서 (C)위치에서 빈것으로되며, 이어서 되돌림용리프터(21)의 로울러콘베이어(24)에 이송되어, 이 로울러콘베이어(24)의 하강으로 로울러콘베이어(6b)에 이송되며, 이 되돌림 로울러콘베이어(6b)로 이송되어 하강위치(D)의 탈하용리프터(15)의 로울러콘베이어(18)에 이송되며, 이 로울러콘베이어(24)의 탈하상승위치(u')에의 상승으로 부품반송콘베이어(4)로부터 엔진(EG)과 프론트서스펜션(FS)이 적재된후, 이 로울러콘베이어(24)의 상승위치(u)의 하강으로, 재차 이송로울러콘베이어(6a)의 (A)위치에 이송되는 사이클을 되풀이 한다.
상기 각 로울러콘베이어(16a)(18)(28)의 적소에는, 각 재치판(28)…(28)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스토퍼(29)(29)가 착설되어 있다.
한편, 이송로울러콘베이어(6a)의 (C) 위치는, 상기 텍트콘베이어(2)의 바로밑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 (C)위치에는, (C)위치에 이송되어온 엔진(EG)과 프론트서스펜션(FS)을 적재한 재치판(28)을 제1탑재부(7)위에 밀어내는 동시에, 제1탑재부(7)상의 빈 재치판(28)을 이송로울러콘베이어(6a)의 (C)위치에 되돌리기 위한 압인기구(30)가 착설되어 있다.
상기 제1탑재부(7)는, 제5도에 상세히 도시한바와 같이, 바닥면(32)에 설치된 기대(基台)(33)위의 탑재부본체(34)가 보디반송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탑재부본체(34)는, 모우터(35)로 구동되는 보올나사(36)에 의해 이동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탑재부본체(34)에는 승강용실린더(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실린더(38)의 피스톤로드(39)상부에는 베이스테이블(40)의 하면이 고정되고, 이 베이스테이블(40)의 위에 좌우이동테이블(41), 이 좌우이동테이블(41)의 위에 전후이동테이블(42), 이 전후이동테이블(42)의 위에 회전테이블(탑재테이블)(43)이 각각 포개어 쌓여저 있으며, 베이스테이블(40)과 탑재부본체(34)와의 사이에는, 각 테이블(40)~(43)의 상승력으로 보조하기 위한 스프링(44)이 개설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테이블(40)의 상면에는, 제6(a)도 및 제6(b)도에 상세히 도시한바와 같이, 보디반송방향과 직교하는 좌우이동테이블(41)의 안내용레일(45)(45)과, 상기 좌우이동테이블(41)을 구동하는 서어보모우터(46) 및 이에 연결되는 피니언(46b)과, 이 서어보모우터(46)와 피니언(46b)의 사이에서 상기 좌우이동테이블(41)의 구동을 자동과 수동으로 절환하는 클러치(CL)와, 또 좌우이동테이블(41)의 슬라이드 위치조정용실리니더(Cy)(Cy)와, 좌우이동테이블(41)의 원점확인용 스위치(47)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좌우이동테이블(41)의 하면에는, 제7(a)도 및 제7(b)도에 상세히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레일(45)(45)에 감합하는 레일받침블록(48)(48)과, 상기 피니언기어(46b)와 맞물리는 랙기어(46a)와 또, 상기 스위치(47)에 당접하는 원점확인용블록(49)등이 배설되며, 이 좌우이동테이블(41)의 상면에는, 아래쪽으로 신장하여 상기 슬라이드 위치조절용실린더(Cy)(Cy)의 피스톤로드(RC)(RC)에 당접하는 위치조정판(50)(50)과, 보디반송방향으로 신장하는 전후이동테이블(42)의 레일받침블록(51)…(51)과, 상기 전후이동테이블(42)을 구동하는 서어보모우터(52) 및 이것에 연결되는 피니언(52b)과, 이 서어보모우터(52)와 피니언(52b)의 사이에서 상기 전후이동테이블(42)의 구동을 자동과 수동으로 절환하는 클러치(CL)와, 또 전후이동 테이블(42)의 슬라이드 위치조절용실린더(Cy)(Cy)와, 전후이동테이블(42)의 원점확인용스위치(53)등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전후이동테이블(42)의 하면에는, 제8(a)도 및 제8(b)도에 상세히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레일받침블록(51)…(51)에 감합하는 레일(55)(55)와, 상기 피니언기어(52b)와 맞물리는 랙기어(52a)와 또, 상기 스위치(53)에 당접하는 원점확인용블록(56)등이 배설되며, 이 전후이동테이블(42)의 상면에는, 아래쪽으로 신장하여 상기 슬라이드 위치조절용실린더(Cy)(Cy)의 피스톤로드(RC)(RC)에 당접하는 위치조정판(57)(57)과, 회전테이블(43)의 회전안내용중심베어링(58)과, 회전안내용블록(59)…(59)등이 착설되어 있다.
상기 회전테이블(43)의 하면에는, 제9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중심베어링(58)에 감합하는 중심축(61)과, 상기 회전안내용블록(59)…(59)에 감합하는 안내로울러(62)…(62)등이 착설되며, 이 회전테이블(43)의 상면에는, 위치결정부재(63), 너트런너(64), 기준핀(67)등이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테이블(43)의 중심축(61)의 풀리(65a)와 서어보모우터(65)와의 사이에 벨트(66)가 걸처저서 서어보모우터(65)에 의해 회전테이블(43)이 회전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해서 회전테이블(43)은 바닥면(32)에 대하여 전후방향, 좌우방향, 상하방향으로 이공가능하게, 또는 상하축둘레를 회전가능하게 착설되며, 또 상기 랙·피니언기구(46a)(46b)(52a)(52b) 및 서어보모우터(46)(52), 벨트(66) 및 서어보모우터(65)에 의해서, 회전테이블(43)을 바닥면에 대하여 이동 및 회전시키는 서어보제어수단(SC)이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클러치(CL)에 의해 자동, 수동의 절환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콘베이어(9)와, 제2탑재부(10)는 각각 제1콘베이어(6)와 제1탑재부(7)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이면, 부품반송콘베이어(4)에 의해, 엔진(EG)과 프론트서스펜션(FS), 및 리어서스펜션(RS)이 스테이션(ST)으로 반송되어오면, 제1콘베이어(6)의 탈하용리프터(15)의 재치판(28)에 엔진(EG)과 프론트서스펜션(FS)이 적재되고, 제2콘베이어(9)의 탈하용리프터(15)의 재치판(28)에 리어서스펜션(RS)이 적재된다.
각 탈하용리프터(15)(15)로부터 각 재치판(28)(28)이 제1콘베이어(6)와 제2콘베이어(9)에 각각 바꾸어 실려지며, 제1콘베이어(6)에서는 재치판(28)이 (A)위치에서부터 (B)위치에 이송되는 동안에 엔진(EG)과 프론트서스펜션(FS)이 조립되어서 (C)위치로 이송되며, 제2콘베이어(9)에서는 재치판(28)이 (A)위치에서부터 (B)위치를 거처서 (C)위치에 이송된다.
각 로울러콘베이어(6)(9)의 (C)(C)위치에 있어서, 각 재치판(28)(28)은 압인기구(30)(30)에 의해 제1탑재부(7)와 제2탑재부(10)에 각각 이송된다.
한편, 행거(3)에 매어달린 자동차의 보디(2)가 연속콘베이어에 의해서 연속반송되어, 이것이 소정의 위치에 오면, 보디(1)는 피이더에 의해서 텍트콘베이어(2)에 끌려들어가며, 이 콘베이어(2)에 의해서 텍트반송된다. 이 자동차의 보디(1)가 텍트콘베이어(2)의 위치결정스테이션(PST)에 정지하면, 시각센서(Sn)로 보디(1)의 위치(차종에 따라서 달라지는 축간거리등)가 검출되며, 이 센서(Sn)의 출력은 제어유니트(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된다. 이 제어유니트에서는 미리 보디 및 엔진의 종류에 대응한 탑재궤도의 데이터가 기억되며, 이 탑재궤도의 데이터는 시각센서(Sn)의 출력에 따라서 궤도원점보정됨과 동시에, 상기 탑재스테이션(ST)의 제1탑재부(7) 및 제2탑재부(10)의 탑재부(10)의 탑재부본체(34)(34)가 당해 보디(1)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거친이동을 하게 된다.
다음에 이 보디(1)가 위치결정스테이션(PST)으로부터 텍트반송되어서 탑재스테이션(ST)에서 정지하고, 또 제1콘베이어(6)에 의해서 반송되어온 엔진(EG) 및 프론트서스펜션(FS)이 제1탑재부(7)의 회전테이블(43)위에 재치되고, 위치결정부재(63)에 의하여 위치결정되면, 상기 탑재궤도의 보정데이터에 대응한 구동신호가 제어유니트로부터 제1탑재부(7)의 서오보모우터(46)(52)(65) 및 실린더(38)의 유압공급회로에 인가된다. 이렇게하면, 이 제1탑재부(7)에서는, 실린더(38)가 작동하여 베이스테이블(40)이 상승하고, 또 서어보모우터(46)(52)(65)가 회전하여 그 구동력이 랙·피니언기구(46a)(46b)(52a)(52b) 혹은 벨트(66)를 개재해서 전후이동테이블(41), 좌우이동테이블(42) 및 회전테이블(43)로 전달되며, 이동테이블(41)(42)이 전후방향, 좌우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회전테이블(43)이 회전되어, 이에 의하여 회전테이블(43)위의 엔진(EG) 및 프론트서스펜션(FS)은 상기 시각센서(Sn)의 출력에 따라서 궤도원점위치보정되어 정밀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소정의 탑재궤도에 의하여 자동차의 보디(1)에 향해서 이송되며, 기준핀(67)이 자동차의 보디(1)의 기준구멍에 계합되면, 너트런터(64)가 작동하여 엔진(EG) 및 프론트서스펜션(FS)이 보디(1)에 자동적으로 부착되며, 부착종료후는 상기 탑재궤도를 역으로 통과해서, 각 레이블(40)(41)(42)(43)은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동시에, 제2탑재부(10)과 상승해서 보디(1)의 후부의 규정위치에 아래쪽으로부터 리어서스펜션(RS)을 탑재하고, 너트런너(64)에 의해 보디(1)에 체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차종이 다른 보디(1)에 1개의 스테이션(ST)으로 엔진(EG)과 프론트서스펜션(FS) 및 리어서스펜션(RS)을 동시에 탑재할 수 있는 동시에 탑재테이블을 반송방향에 대해서,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하축둘레에 회전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보디의 위치어긋남이 있는 경우라도 탑재궤도를 정밀도좋게 보정할 수 있어, 보디와 엔진등과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자동탑재를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CL)를 사용해서 제1, 제2탑재부(7)(10)를 수동으로 절환해서 구동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어보제수단으로 서어보모우터 및 실린더를 사용하였으나, 이들 서어보모우터 및 실린더이외의 구동수단이라도 된다. 또 서어보제수단은 랙·피니언기구가 아니고, 스크루우나사를 사용해서 구성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위치결정스테이션(PST)의 시각센서(Sn)로 검출한 보디(1)의 위치를 제어유니트에 기억된 데이터에 부가한 형식으로 보정하였으나, 이것은 바닥면(32)과 기대(34)와의 사이에 별도로, 반송방향에 대하여 전후,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부재를 착설하여, 이 슬라이드부재를 서어보재어등에 의해서 작동시키므로서 시행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중량을 탑재장치에 의하면, 1개의 스테이션에 설치된 제1탑재부에는 엔진과 한쪽의 서스펜션과의 조립체가 적재되고, 제2탑재부에는 다른쪽의 서스펜션이 적재됨과 동시에, 각 탑재부는, 보디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1개의 스테이션에서 엔진과 프론트 및 리어서스펜션을, 차종에 따라 다른 보디의 규정위치에 동시에 탑재할 수 있고, 또, 상기 탑재테이블을 반송방향에 대하여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또한 상하축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착설하고, 이 회전(탑재)테이블을 이동 및 회전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텍트반송물과 탑재부와의 위치어긋남을 흡수하고, 중량물과, 텍트반송물과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자동차의 조립라인의 간략화, 조립의 스피이드업등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반송물을 각 작업스테이션에서, 일시정지하도록 반송하는 텍트반송수단과, 작업스테이션에서 일시정지한 반송물의 정지위치를 검출하는 반송물정지위치 검출수단과, 반송물에 대하여, 중량물을 자동적으로 탑재하는 중량물 탑재작업스테이션과, 상기 중량물 탑재작업스테이션에 설치되어, 반송물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이 상면에, 중량물을 위치결정재치하는 탑재부와, 이 탑재부를 상기 전후,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중량물 탑재수단과, 상기 중량물 탑재수단의 구동부에, 작업량 및 작동타이밍을 지령함과 동시에, 상기 반송물정지위치 검출수단으로부터 신호에 의하여, 반송물정지위치 어긋남량을 산출하고, 이 양에 의거해서, 구동부에 작동량을 지령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탑재장치.
KR1019860008156A 1985-10-08 1986-09-29 중량물 탑재장치 KR890002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5902 1985-10-08
JP60225902A JPS6283259A (ja) 1985-10-08 1985-10-08 重量物搭載装置
JP162639 1985-10-22
JP1985162639U JPH0522470Y2 (ko) 1985-10-22 1985-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928A KR870003928A (ko) 1987-05-06
KR890002493B1 true KR890002493B1 (ko) 1989-07-10

Family

ID=6900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156A KR890002493B1 (ko) 1985-10-08 1986-09-29 중량물 탑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4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928A (ko) 1987-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4979A (en) Weighty object mounting systems
CN111630462B (zh) 车身装配站
US4723356A (en) Weighty object mounting systems
KR20120049726A (ko) 자동차용 사이드패널 생산시스템
KR900001019B1 (ko) 중량물 탑재장치
JPH0218272B2 (ko)
KR890002493B1 (ko) 중량물 탑재장치
JPH0753512B2 (ja) ドア位置決め搬送台車
JP2561291B2 (ja) 車体の移載装置
JP2506292Y2 (ja) 無人搬送車に対するワ―クの移載装置
JPH09309473A (ja) 車体位置補正搬送システム
JPH0522470Y2 (ko)
JP2712980B2 (ja) 昇降搬送装置の昇降レール位置決め装置
JPH034435B2 (ko)
JP2580328B2 (ja) 昇降作業台付き搬送装置
CN215325216U (zh) 托架装置和运输系统
KR910008201B1 (ko)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자동반송시스템의 리프터(Lifter)장치
JPH0130675B2 (ko)
JP2685188B2 (ja) 車両組立ラインの搬送装置
JPH0624314Y2 (ja) ドア位置決め装置
JPS6265822A (ja) 台車式搬送装置
JPS617106A (ja) 荷受渡し設備
JPS61145028A (ja) 被搬送物卸し装置
JPH0130674B2 (ko)
JPH07115310B2 (ja) 昇降作業台のセンタ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