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001B1 -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로딩할 수 있는 cd 플레이어용 디스크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로딩할 수 있는 cd 플레이어용 디스크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001B1
KR960016001B1 KR1019930011451A KR930011451A KR960016001B1 KR 960016001 B1 KR960016001 B1 KR 960016001B1 KR 1019930011451 A KR1019930011451 A KR 1019930011451A KR 930011451 A KR930011451 A KR 930011451A KR 960016001 B1 KR960016001 B1 KR 960016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disc
roller
disk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398A (ko
Inventor
쯔또무 도요구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9625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00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632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521961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2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15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0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or absence of record in accessible stored position or on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11B17/0404Servo control with parallel drive roller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로딩할 수 있는 CD 플레이어용 디스크 드라이브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실시예의 요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장치의 두 주 프레임장치 사이의 연결부를 상세히 도시한 제1도의 구조의 하부면을 도시한 저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업" 및 "다운"위치의 피버트 프레임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상호 작동하는 로딩 로울러와 가이드판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장치의 턴테이블상에 장착 디스크를 위치시키는 장치 요부의 여러 요소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장착 로울러 구동모터와 랙 구조를 상호 연결시키는 구동 연결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형성하는 여러 프레임과 측면부재의 구성 및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
제10도는 큰 직경의 디스크 장착과, 이 상태의 여러 레버와 관련 요소에 의해 형성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와 유사하지만, 디스크를 제위치에 고정시키고 클램프를 턴테이블상에 안착시키도록 분리된 디스크 클램프를 지지한 요소를 도시한 평면도.
제12도는 적은 디스크의 장착과, 이 상태의 여러 레버와 관련 요소에 의해 형성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제13도 및 제14도는 로드된 디스크의 직경에 의하여 변화하게 될 로딩 로울러와 디스크 가이드핀 사이의 간격을 허용한 구조를 도시한 측면 정면도.
제13도 내지 제17도는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 및 결점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의 서두에 논의한 종래 기술장치에서 볼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CD 플레이어 12, 13 : 디스크
15 : 로딩 입구 16 : 로딩 슬롯
17 : 로딩 로울러 21 : 로크장치
22, 23 : 감지 탐침 24 : 턴테이블
32, 33 : 측면부재 48 : 구동기구
50 : 아이들기어 51 : 래크
53 : 센서기구 60, 61 : 슬롯
63 : 로크핀 73, 74 : 로크판
79 : 스위치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정확히 로딩시킬 수 있는 "슬롯-인" 로딩형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슬롯-인 로딩형 장치를 사용하는 CD 플레이어는 자동차형 스테레오 시스템에 관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다. 제15도 및 제16도는 종래의 슬롯인 로딩형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도면에서, 디스크 로딩 통로 또는 슬롯(1)에는 작동위치를 디스크를 이동시키기 위해 디스크(3)와 상호 작동하는 디스크 로딩 로울러(2)를 마련하고 있다.
디스크가 로딩되었을때, 로딩 로울러(2)는 디스크(3)와 맞물리고 제1설정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디스크(3)가 로딩되지 않았을때는, 로딩 로울러(2)는 반대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로딩 로울러(2)에 부가하여, 장치는 안내판(4)을 포함하여, 이는 로딩 로울러가 접촉하는 이에 디스크(3)의 반대편이 맞물리는 방법으로 위치한다. 도면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딩 로울러(2)는 소경 중심부와 외측 테이퍼 대경단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동시에, 안내판(4)은 디스크와 접촉하는 그 표면이 오목하게 구부러지도륵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로딩 로울러(2)와 안내판(4)에 디스크(3)가 맞물리고, 긁히거나 마모 등의 손상으로부터 보호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종래 장치에 있어서, 12㎝ 또는 8㎝ 등의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로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즉 대경의 12㎝ 디스크를 로딩시킬 수 있도록 두 디스크중 큰 것의 유입이 이루어지기에 충분히 넓은 로딩 슬롯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은 일정한 방법으로 많은 다른 치수의 장치를 고정화하도록 하여, 적은 8㎝ 직경 디스크(5)를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시켰을때, 디스크는 적은 센터링력이 가해져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중심 이동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로딩 로울러(2)의 바로 뒤의 안내 슬롯에 적은 디스크 안내장치를 마련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내장치는 로딩 슬롯안에 고정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그 자체가 큰 12㎝ 디스크의 로딩을 방해한다.
테이퍼 로딩 로울러(2)에 인접하여 위치한 디스크 안내판(4)은 레코딩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디스크의 외주연에서만 안내판과 로울러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목하게 구성되고, 큰 직경 디스크의 유입을 위해 충분한 간극을 세트한 경우에는 작은 직경의 디스크를 로딩시켜서 과도한 간극이 발생될때 디스크는 지연 또는 부적절한 로딩을 유발시키는 슬립이 발생하면서 파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반대로, 간극을 적은 직경 디스크에 의해 세트되어 있다면 큰 직경 디스크를 삽입할때 정보를 녹음하는 디스크의 표면과 안내판 사이에 과잉 접촉이 발생되어 긁히는 등의 손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상이나 부적절한 센터링없이 디스크 드라이브의 턴테이블상에 소경 및 대경 디스크 모두를 쉽게 로딩시킬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대경 디스크를 디스크 드라이브상에 삽입했을때 직경 감지 탐침이 큰 직경을 감지하고 가동 디스크 가이드를 언로크시키고 그 연후에 레버를 분리시키도록 가이드를 유도하여 대경 디스크의 통로를 형성하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가이드는 대경 디스크가 장치로부터 언로크되는 시간까지 소경 디스크를 안내하기에 적합한 위치로 가이드가 귀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로크된다.
드라이브안에 장착된 레버수단은 로딩된 디스크의 직경에 반응하고 로딩된 디스크의 직경에 대한 형성을 취한다. 레버수단은 큰 디스크가 유입될때까지 적은 디스크에 적합한 형상으로 로크된다. 이때에 레버수단은 언로크된다. 이러한 수단은 디스크의 외주연 모서리를 감지하고 대경에 적합한 형상으로 장치를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디스크가 드라이브 안으로 안내된 것을 통하는 가이드 슬롯과 제1 및 제2이동가능 디스크 가이드와, 제1 및 제2디스크 가이드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미끄럼 기구와, 제2직경은 제1직경보다 크며, 제1위치는 제1직경을 갖는 디스크를 가이드 하도록 위치하고 제2위치는 제2직경을 갖는 디스크를 가이드 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예정된 제1 및 제2위치에서 제1 및 제2이동가능 가이드를 선택적으로 로킹하기 위한 로크기구와, 제1직경을 가지는 디스크를 위하여 적절한 위치로부터 동일한 것을 해제하고 제2직경을 가지는 디스크를 위하여 적절한 새로운 제2위치로 움직이도록 디스크 가이드를 허용하도록 로크 배열과 작동가능하게 배열되며 삽입된 디스크의 직경에 감응하는 센서기구를 포함하는 디스크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는, 가이드 슬롯내에 위치하고, 중앙부 및 2개의 돌출 축방향 단부를 가지며, 로울러의 축방향 단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단부로 돌출한 2개의 돌출 축방향 단부를 가지는 로딩 로울러와, 상기 로딩 로울러에 나란히 놓는 방법으로 가이드 슬롯내에 배치되고, 오목면을 가지고, 디스크가 로딩 로울러에 의해 제2대향면상에 접촉하며 가이드판에 의하여 제1면상에 접촉하게 되는 드라이브 안으로 부하되는 방식으로 로딩 로울러에 대하여 배열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과 로딩 로울러가 그들의 외주면 엣지부에 단지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가이드판은 로딩 로울러쪽으로 편향되는 방식으로 가이드 슬롯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고, 로딩 로울러의 돌출 축방향 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안으로 리세스를 형성하며, 상기 리세스는 로딩 로울러의 축방향 단부가 제1직경을 가지는 로딩 디스크를 위하여 적절한 거리에 간격진 가이드판 및 로딩 로울러를 상기 리세스내에 수용하게 될때 로딩 로울러의 크기 및 형태에 대하여 크기화 및 형태화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미끄럼 기구는, 제1 및 제2가이드 슬롯을 구성하며 서로 겹쳐서 배열된 제1 및 제2플랫 미끄럼판과, 상부 프레임의 면에 고정되고 제1 및 제2미끄럼판의 제1가이드 슬롯내에 수용된 제1 및 제2미끄럼 가이드핀과,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가이드판의 제2가이드 슬롯내에 수용된 제3미끄럼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이동가능 디스크 가이드는 각기 제1 및 제2미끄럼판상에 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미끄럼 가이드핀이 제1슬롯의 안쪽을 향한 단부에 근접할때 제1 및 제2미끄럼판은 제1 및 제2이동가능 디스크 가이드의 최대 간격을 성취하는 방식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미끄럼 가이드핀이 제1슬롯의 바깥쪽을 향한 단부에 결합할때 제1 및 제2미끄럼판은 이동가능 디스크 가이드의 최소 간격을 성취하는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미끄럼판의 제1가이드 슬롯은 배열하게 되며, 상기 최소 간격은 제1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최대 간격은 제2직경과 동일한 디스크 드라이브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기 제1 및 제2미끄럼판의 바깥쪽을 향한 단부에 피봇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및 제2미끄럼판이 제1 및 제2이동가능 디스크 가이드가 최소 간격에 의해 분리하게 되고 제1 및 제2로크판 제1로크위치로 회전하게 되는 위치라고 여겨질때 제1 및 제2로크핀은 각기 결합한 리세스를 형성한 제1 및 제2로크판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미끄럼판이 제1 및 제2이동가능 디스크 가이드가 최소 간격에 의해 분리되고 제1 및 제2로크판이 제2로크위치로 회전하게 되는 위치라고 여겨 劾?상기 제1 및 제2로크판은 제1 및 제2미끄럼 가이드핀과 결합한 스토퍼부를 형성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있어서는, 감지기구는 제1 및 제2로크판상에 설치된 제1 및 제2탐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탐침은 탐침과 제1직경을 갖는 디스크의 외주면 엣지 사이에서 접촉이 없는 위치라고 여겨지며 상기 제1 및 제2탐침은 제2직경을 갖는 디스크가 가이드 슬롯안으로 삽입되게 될때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고, 이런 조건하에서 제1 및 제2탐침의 움직임은 제1로킹위치로부터 제2로킹위치로 떨어져서 제1 및 제2로크판을 회전되게 디스크 드라이브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제8실시예에 있어서는, 레버수단은, 상부 프레임에 피봇가능하게 설치되고, 스위치를 지지하며, 드라이브 끝으로 디스크의 로딩의 신호표시를 만들고 드라이브 안으로 디스크의 삽입에 대응한 레버기구를 작동하는 제1경사진 레버와 상기 제1경사진 레버상에 설치되고, 드라이브 안으로 로드된 디스크의 외주면 엣지와 결합가능하도록 배열된 접촉수단과, 상기 제1경사진 레버의 단부와 단부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드라이브 안으로 로드된 디스크의 외주면 엣지와 결합가능한 엣지 감지핀을 포함한 제2경사진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경사진 레버는 드라이브 안으로 로드된 디스크가 배치된 위에 상기 드라이브내에 배치된 턴테이블을 실질적으로 향하며, 접촉수단과 엣지 감지핀을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디스크 드라이브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있어서, 제1경사진 레버는 제1 및 제2피봇판 부재를 포함한 플랜지 부재를 구비하며, 제1피봇판 부재는 안쪽으로 회전가능한 방향에서 편향되고 제1미끄럼판상에서 피봇하게 설치되며, 예정된 기구에서 레버수단을 로크하는 방식으로 플랜지 부재와 결합가능한 로크부재를 가지며, 로크부재와 플랜지 사이에서 결합을 해제하는 방식으로 가이드 슬롯안으로 제2직경을 갖는 디스크의 삽입체에 대응하여 위치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형태를 취하고 있다.
1. 디스크 로딩장치의 개략구성
제1도는 차량용으로 적합한 CD 플레이어(11)의 사시도이다. 상기 장치는 중앙 큰 직경(12㎝)형태 디스크(12)(이하, 큰 직경 디스크라고 함) 및 작은 직경(8㎝) 디스크(13)(이하, 작은 직경 디스크라고 함)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장치의 새시는 프레임 또는 단면(14)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4)은 로딩 삽입구 또는 입구(15)를 형성한 구조를 포함한다. 크고 작은 디스크가 로딩 슬롯(16)의 내부로 입구(15)를 통하여 삽입하게 될때 그들은 그안에 배치된 로딩 로울러(17)와 접촉하기 시작한다. 상 ?배열은 로딩 로울러(17)정면에 배치된 작은 디스크 가이드(18, 19)와, 상기 작은 디스크 가이드(18, 19)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미끄럼가능한 가이드 위치 변화장치(20)와, 로드된 디스크의 크기에 의존한 미리 선택된 위치에서 작은 디스크가이드(18, 19)와 위치변화장치(20)를 고정한 로크장치(21)와, 상기 로크장치(21)상에 배치된 디스크 직경 감지 탐침(22, 23)과, 턴테이블(14)과 클램프 해제 아암(25, 26)을 포함한다.
2. 프레임 구조의 개략구성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부분을 형성한 프레임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면으로부터 인지할 수 있듯이, 상기 언급한 작은 디스크 가이드(18, 19), 가이드 위치변화장치(20), 상부 프레임부재(전술한 요소와 연결됨), 상기 언급한 디스크 로딩 로울러(17) 및 턴테이블(24)은 참고번호 29로 일반적으로 표시된 피봇 프레임 배열과 작동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상부 프레임(27)은 그들의 상부 판부재(31)내에 헝성된 클램프 조립체 개구(30)를 제공한다. 상부 프레임(27)은 하방으로 의존한 플랜지 또는 측면부재(32, 33)를 포함한다. 가이드 위치변화장치(20) 및 로크장치(21)는 상부 판부재(31)의 상부면상에 배치하게 된다. 디스크 상부면 안내판(35)은 그들의 엣지와 거의 동일 중심 사이의 위치에 상부판 부재의 하부면상에 설치하게 된다. 제6도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상기 안내판(35)은 로딩 슬롯(16)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로딩 로울러(17) 위에 위치한 오목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내판(35)의 오목형태는 로드된 디스크의 외주부가 실질적으로 접촉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가이드 로울러의 돌출구조와 협동하게 된다.
하부 프레임 부재(28)는 로드된 디스크의 모든 부분이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하게 된다.
하부 프레임 부재(28)는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의 의존한 측면부재(32, 33)가 진동 댐핑 부시(36)를 통하여 연결하도록 위치하며 상부 프레임(27)의 아래에 배열하게 된다. 이 경우에 부시는 안쪽으로 연장한 접속 플랜지(32a, 33a)에 의해 그들에 대항하여 사이에 끼워지고, 하부 프레임 부재(28)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배열에 따라, 상부 프레임(27)은 그안의 어떤 진동이 연결된 차량 새시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부터 하부 프레임 부재(28)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하부 프레임 부재(28)상에 매달려 있으며, 상부 프레임(27)의 도달을 방지하고, 턴테이블 및 광픽업은 그위에 지지하게 된다.
피봇 프레임(29)은 로딩 입구(15)의 양측에 배치되며, 로딩 로울러(17)의 단부상에 피봇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피봇 아암(38, 39)을 포함한다. 피봇 프레임(29)은 피봇 아암(38)으로부터 피봇 아암(39)으로 연장하며 필수적인 디스크 서스펜션판(37)을 포함한다. 상기 판은 로딩입구(15)보다 더 작은 레벨로 배열된다.
아암(38, 39)은 핀(40)을 경유하여 상부 프레임(27)의 측면부재(32, 33)와 피봇적으로 연결된다. 아암(38, 39)의 다른 단부는 스프링 접속핀(41)으로 형성된다. 측면부재(32, 33)는 상응한 접속핀(43)으로 형성된다. 비틀림 스프링(42)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핀과 작동가능하게 상호 결합한다. 상기 스프링(42)은 제4도(즉, 화살표 a의 방향에서 편향됨)나 제5도(화살표 b의 방향)에 도시된 위치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유지되도록 상부 프레임(27)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아암(38, 39)을 편향하여 스냅 작용하도록 배열하게 된다.
피봇 프레임(29)이 그 상부 또는 "상승"위치(제4도에 도시됨)에 있을때 디스크 상부면 가이드판(35)은 디스크 안으로 로드된 디스크를 적절히 접촉하며 디스크 로딩 로울러(17)와 협동하는 방식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피봇 프레임(29)이 그 하부 또는 "하부"위치라고 가정하면 디스크 상부면 가이드판(35)은 제5도에 도시된 위치라고 예상되고 로딩 로울러(17)위로 현수된다. 동시에 디스크 서스펜션판(37)은 수평위치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피봇 프레임(29)이 제5도에서 돕천?위치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디스크는 디스크 턴테이블(24)위에 내려가게 된다.
3. 디스크 로딩 로울러 구조
로딩 로울러(17)는 제6도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축방향 중앙부가 작은 직경을 갖는 방식으로 배열되므로 요소의 직경은 테이퍼를 형성하도록 그들의 축방향 단부쪽으로 증가한다. 이전에 게재된 바와 같이 피봇아암(38, 39)은 동일한 회전축에 관하여 피봇하는 방식으로 로딩 로울러(17)의 단부상에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암(38, 39)이 반시계 방향에서 완전히 피봇가능할때 디스크 상부면 가이드판(35) 및 로딩 로울러(17)는 서로 적절히 근접하게 된다.
제7도 및 제8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 프레임(29)은 참고번호 46과 피니언 기어(47)로 일반적으로 나타낸 감속기어에 의해 프레임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로울러 구동모터(45)에 의해 로딩 로울러(17)의 축에 관하여 피봇가능하게 배열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모터는(제3도에서 잘 알 수 있듯이) 하부 프레임(28)의 하부 전방 오른쪽 구석에 위치하게 된다.
피봇 프레임(29)이 제7도 및 제8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때, 구동기구(48)는 피봇아암(49)을 작동하도록 배열하게 된다는 것은 주목할만하다. 상기 아암(49)은 큰 직경단면(50a)과 작은 직경단면(50b)을 갖는 아이들 기어(50)를 이송하도록 배열된다. 큰 직경단면(50a)은 작은 직경단면(50b)이 래크(51)와 결합가능하게 배열되는 동안 피니언 기어(47)와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래크(51)는 작은 직경단면(50b)과 결합의 외부 및 안으로 래크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된 전자기 작동기(52)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게 된다.
상기 구조와 같이, 로울러 구동모터(45)가 활성화될때 디스크 로딩 로울러는 회전을 유발하며, 크고 작은 디스크는 턴테이블(24) 바로 위의 위치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디스크 로딩 작동의 성취를 탐지하기 위해 로딩 단부 센서 배열은 제공된 참고번호 53에 의해 일반적으로 나타내게 된다. 디스크가 제자리에 있을때, 센서 배열(53)의 출력은 전자기 작동기(52)를 작동하도록 하며, 래크(51)를 아이들 기어(50)의 작은 직경단면(50b)과 맞물리도록 한다.
래크(51) 및 아이들 기어(50)의 결합에 따라서 제7도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제8도에 도시한 위치로 피봇 프레임(29)을 회전하도록 패크(51)를 따라 가동한다.
4. 작은 직경 디스크 가이드의 구성
직경 d1(제1도 참고)을 갖는 작은 직경 디스크가 작은 디스크 가이드(18, 19) 사이에서 장치의 로딩 중앙을 표시한 라인 RC를 따라서 삽입하게 될때 디스크의 중심은 로딩 중심 라인에 자동적으로 배열된다. 이와 반대로 큰 직경 디스크가 삽입될때 가이드 위치변화장치(20)는 활동화되며, 방해되지 않는 로딩 슬롯(16)에 디스크가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미끄러진다.
5. 가이드 변위 기구의 구성
제9도에는 가이드 위치변화장치(20)를 특징으로 한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다. 상기 배열에서 신장 미끄럼판(54, 55)은 코일 스프링(58, 59)이 서로를 통하여 서로 편향하여 적용하도록 배열되며, 피봇판(56, 57)과 연결하게 된다. 미끄럼판(54)(이후, 왼쪽 미끄럼판이라 함)은 부재의 세로길이에 거의 평행하여 연장한 2개의 신장 슬롯(60, 61)으로 형성하게 된다. 짧은 슬롯(62)은 슬롯(60, 61)으로 통상 연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한 단부에 형성하게 된다.
오른쪽 미끄럼판(55)(후에 설명할 것임)은 도시된 방법으로 신장 슬롯(64, 65)으로 형성하게 된다. 로크핀(63)은 슬롯 아래로 연장하도록 배열된 왼쪽 미끄럼판(54)을 고정한다. 비교적 짧은 슬롯(66)은 오른쪽 미끄럼판(55)의 오른쪽 단부에 형성되며, 그안에 작은 디스크 가이드(19)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로크핀(67)은 오른쪽 미끄럼판(55)의 왼쪽 단부에 형성하게 되며, 상부 프레임(27)에 형성된 참고번호 없는 슬롯을 통하여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제1가이드핀(68)은 참고번호 없는 슬롯에 가장 가까운 상부 프레임(27)상에 제공되며, 왼쪽 미끄럼판(54)의 제1미끄럼 가이드 슬롯(60)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제2가이드핀(69)은 또한 상부 프레임(27)의 상부면에 제공하게 되며, 오른쪽 미끄럼판(55)의 제3가이드 슬롯(64)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더구나, 이 배열에서 피봇 프레임(56, 57)은 각기 개구(56a, 57a)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는 작은 디스크 가이드(18, 19)의 상부 축부(18a, 19a)를 수용하도록 배열하게 된다.
피봇 프레임(56, 57)으로 그들 한 단부에 부착된 코일스프링(58, 59)은 상부 프레임(27)의 상부판 부재(31)로부터 돌출한 접속 러그(참고번호 없음)에 부착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은 도면에서 본 바와 같이 서로를 향하여 안쪽으로 회전하도륵 피봇판(56, 58)을 편향하려 한다.
제12도에서 잘 볼 수 있듯이, 가이드핀(68)에 왼쪽 미끄럼판(54)의 제1미끄럼 슬롯(60)의 왼쪽 단부에 위치하고, 오른쪽 미끄럼판의 제2가이드핀(69)이 제3가이드 슬롯(64)의 오른쪽 단부에 위치하게 될때 미끄럼 가이드핀(70)은 왼쪽 미끄럼판(54)의 제2가이드 슬롯(61)에서 중앙위치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오른쪽 미끄럼판(55)의 제4미끄럼 슬롯(65)은 중앙위치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작은 디스크 가이드는 작은 디스크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적절히 위치하게 된다.
적합한 실시예에 따라서, 가이드 위치변화장치(20)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의 삽입구 또는 입구안으로 큰 디스크의 삽입시 작은 디스크 가이드(18, 19)를 적절히 제위치시키는 방법으로 작동하게 된다.
게다가, 가이드 위치변화장치(20)의 작동결과로 가이드(18, 19)의 제위치에 기인하여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크의 위치조정이 확실하게 된다.
이 경우, 가이드는 로크장치(21)에 의해 위치에서 로크하게 되며, 가이드 슬롯(60, 64)의 중심에 거의 위치하게 된다. 동시에 가이드핀(70)은 오른쪽 미끄럼판(54)내에 형성된 제2가이드 슬롯(61)내의 도시된 위치라고 여겨진다. 오른쪽 미끄럼판(55)의 가이드 슬롯(65)과 더불어 중앙위치 및 작은 디스크 가이드(18, 19)가 작은 디스크 안내를 위하여 적절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고 여겨진다.
6. 로크장치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 로크장치는 핀 결합 리세스(71, 72)가 각각 형성된 거의 삼각 로크판(73, 74)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리세스(7l, 72)는 실시예가 제12도에 도시된 조건이라고 여겨질때 로크핀(63, 67)을 수용하기 위하여 배열된다. 이 조건에서, 미끄럼판(54, 55)은 서로에 대하여 또는 장치의 새시에 대하여 둘중의 하나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 조건에서, 코일스프링(75, 76)은 리세스(71, 72)가 로크핀(63, 67)과 덜커덕 자유결합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방향에서 회전하도륵 하는 방식으로 銓?로크판(73, 74)을 편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삼각 로크판(73, 74)은 상기 가이드(18, 19)(제9도 참고)의 축부(l8a, 19a)를 수용하기 위하여 배열된 개구(73a, 74a)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로크핀(63, 67)이 상기 리세스(71, 72)내에 수용하게 될때 가이드(18, 19)의 운동을 방지하게 된다.
로크판(73, 74)은 플랫 단부(77, 78)를 형성한다. 상기 부분은 장치가 슬라이드판(54, 55) 및 가이드(18, 19)의 내부 운동을 방지하도록 제10도 및 제11도에서 도시한 조건이라고 여겨질때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이것은 물론 배열을 다시 로크하며 작은 직경 디스크를 위하여 위치한 쪽으로 가이드(18, 19)의 내부 운동을 방지한다.
7. 디스크 직경 검출기의 구성
감지 탐침(22, 23)은 삼각 로크판(71, 72)의 구석에 제공되고, 로딩 슬롯(16)의 입구 또는 삽입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감지 탐침(22, 23)은 로딩 입구(15)와 가이드(18, 19) 사이에 위치하며, 적절히 해제하도록 로크장치(21)를 허용한 로크 해제기능을 제공한다. 제12도에서 인지할 수 있듯이 가이드(18, 19)는 작은 디스크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위치에서 로크하게 되며, 센서 탐침(22, 23)은 작은 디스크의 직경보다 큰 거리에 간격져 있게 된다.
그러나, 큰 디스크가 로딩 슬롯(16)안으로 로딩 입구(15)를 통하여 삽입될때 디스크의 외주면은 스프링(75, 76)의 편향에 대항하여 회전하도록 로크판(73, 74)을 유도한 감지 탐침(22, 23)과 결합한다. 상기 회전은 로크핀(63, 67)과 결합을 벗어나 리세스(71, 72)를 움직이므로 로크된 상태로부터 미끄럼판(54, 55)을 해제한다.
8. 로딩 단부 감지 기구
제10도 내지 제12도는 검출될 디스크의 로딩의 성취를 할 수 있는 배열을 상세히 도시한다.
상기 기구는 디스크의 양 형태의 로딩의 성취를 검출하기 위하여 배열을 허용하며, 크고 작은 디스크의 직경의 차를 허락한다. 상기 디스크가 상기 턴테이블(24)(즉, 로딩의 단부)위에 위치하도록 지적하게 될때 전자기 작동기(52)는 여기하게 된다. 상기 작동기(52)의 작동을 트리거하는 스위치(79)는 축 또는 핀(80)상에 상부 프레임(29)의 상부판 부재상에서 피봇하게 된 벨 크랭크형 레버(81)상에 설치하게 된다. 이 배열에서, 레버(81)의 짧은 아암은 제2각도 레버(85)의 한 단부에 형성된 리세스(83) 뼁?수용된 핀(82)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레버는 상부판 부재(31)상에 또한 제공된 핀(84)이 피봇하도록 배열된다.
제2레버(85)는, 제1레버(81)가 제2디스크 가이드 배열(87)을 제공하는 동안 디스크 가이드 부재(86)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배열에서, 제1레버(81)는 축(88)에 관하여 피봇가능한 스위치 작동 레버(89)와 협동하게 된다. 상기 레버(89)는 크고, 작은 디스크의 외주면 엣지와 결합가능한 디스크 접촉핀(90)을 제공한다. 코일스프링(91, 92)은 제1도에 나타낸 방법으로 작동 레버(89)와 제2각도 레버(85)를 연결한다. 코일스프링(92)은 로드된 디스크의 외주면 엣지쪽으로 안쪽으로 제1 및 제2디스크 가이드(86, 87)를 이동하는 방식으로 레버 배열을 회전하기 위하여 편향이 적용된다.
제1각도 레버(81)는 한 단부에 상방으로 회전된 플랜지(93)를 제공한다. 상기 플랜지(93)는 이후에 설정될 방법으로 제1 및 제2각도 레버(81, 85)를 선택적으로 로크하는 스토퍼(94)와 협동하도록 배열하게 된다.
작은 디스크가 로드될때, 스토퍼(94)는 뒤로 젖혀진 플랜지(93)와 결합하고, 도시된 위치에서 디스크 가이드(86, 87)를 로크하거나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1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라고 여겨진다. 상기 위치는 턴테이블(24)의 상부를 지나 중앙위치에 작은 디스크를 위치하는 것과 같다. 로드된 디스크가 핀(90)과 결합하게 될때 스위치(97)는 작동 레버(89)의 합성 움직임에 의해 폐쇄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79)의 폐쇄는 전자기 작동기(52)를 작동한다.
이와 반대로 큰 디스크가 장치안으로 로드될때 미끄럼판(55)은 스토퍼(94)가 디스크 가이드(86, 87)상에서 로크를 해제할 위치라고 여겨지는 방식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큰 디스크의 삽입시 감지 탐침(22, 23)의 외부 움직임은 제10도에 도시된 위치로 경사진 레버(81, 85)를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피봇판(56, 57)을 번갈아 움직이는 방식으로 로크판(73, 74)을 움직인다. 상기 조건에서 큰 디스크가 완전히 삽입될때 핀(90)은 전자기 작동기(52)의 작동을 트리거하며 동일한 외주면 엣지에 의해 접촉하게 되어 적절히 위치하게 된다.
클램프 해제 아암(25, 26)은 시간이 디스크의 로딩이 상기 디스크 및 턴테이블(24) 위로 동일하게 성취되고 서스펜스되도록 할때까지 자기 클램프(95)의 하부 외부 엣지(96)와 접촉하도록 배열하게 된다. 그러나 로딩을 따라서 해제 아암은 예를들어, 동일 도면에서 파단라인으로 도시되며 제11도에서 굵은 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이동하도록 허용하게 된다. 상기 운동은 자기 클램프(95)가 턴테이블쪽으로 하부에 위치하게 할 수 있으며, 동일의 하부 또는 중심에 그 자체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허용 磯?
[작동]
상기 설명한 배열의 작동은 큰 디스크가 로딩 입구(15)로 삽입되게 되면 디스크 감지 탐침(22, 23)은 외부로 힘을 받게 되므로 로크판(73, 74)은 로크장치(21)의 설정을 해제하고 회전하도록 하며 가이드 위치변화장치(20)의 주부분을 형성한 미끄럼판(54, 55)의 운동을 유발하도록 하게 한다.
이것에 따라서, 큰 디스크는 로딩 로울러(17)에 의하여 접촉하게 되며 장치의 안으로 움직이게 된다. 디스크 가이드(18, 19)는 외방으로 움직이며, 미끄럼판(54, 55)을 또한 외방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다음 스토퍼(94)는 그안에 상방으로 회전된 플랜지(93)의 결합이 해제되는 방식으로 이동하게 된다. 디스크는 누르게 될 부분인 디스크 가이드(86, 87)와 접촉하게 되며, 그안의 핀(90)이 스위치 작동레버(89)의 운동을 경유하여 상기 스위치(79)를 트리거하는 방식으로 누르게 되는 설정위치라고 여겨진 ?
스위치(79)의 폐쇄는 전자기 작동기(52)의 작동을 유발하며, 래크(51)와 아이들 기어(50)가 결합하도록 한다. 로딩 로울러 구동모터(45)와 관련한 구동에 기인하여 아이들 기어가 래크(51) 아래로 작동하며, 상부프레임(29)을 하부로 위치하게 한다. 로드 디스크는 턴테이블(24)의 상부쪽으로 낮추게 하며 동시에 아암(25, 26)은 디스크를 제위치에 고정하고 턴테이블(24)의 허브를 결합하도록 클램프(95)를 허용하며 클램프(95)를 분리하여 지지한다.
큰 디스크가 로드될때, 작은 디스크 가이드(18, 19)는 그들 사이의 분리가 최소 디스크의 폭과 동일하게 되도록 움직이는 것이 주목할만하다. 따라서, 미끄럼판(54, 55)은 로크판(73, 74)내에 형성된 리세스(73, 74)가 로크핀(63, 67)과 결합하는 위치를 벗어나고 미끄럼 가이드핀(68, 69)과 결합된 안으로 스토퍼부(77, 78)를 움직이게 하는 방법으로 로크판(73, 74)을 피봇하도록 하는 대향방향에서 움직이게 된다.
이와 반대로, 작은 디스크가 로드될때 로크판(73, 74)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리세스(71, 72)가 로크핀(63, 67)과 결합한 위치를 유지한다. 게다가, 디스크 직경 감지 탐침(22, 23)은 미끄럼판(54, 55)과 서로 로크된 위치에서 작은 디스크 기이드(18, 19)에 의해 중심에 있는 작은 디스크의 통로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작은 디스크가 장치안으로 완전히 움직이게 될때 핀(90)은 래크(51) 및 아이들 기어(50)를 트리거하는 방법으로 누르게 되고, 상부 프레임(29)은 하부에 위치하며, 거의 동일한 작동은 동일 방법으로 형성된 큰 디스크의 로딩의 단부에서 처리하게 된다.
제13도 및 제14도는 로드될 디스크의 직경에 따라서 변화하게 될 가이드판(35)과 로딩 로울러(17) 사이에서 형성된 간격을 허용한 배열을 도시한다. 이 경우, 가이드판은 그안에 수용된 돌출 로딩 로울러(17)의 축방향 단부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된 크기 및 외형을 갖는 리세스를 형성한다. 가이드판(25)은 적절한 스프링 또는 탄성중합체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이드 로울러쪽으로 편향하게 된다. 작은 디스크가 로딩 로울러(17)에 삽입하게 될때 가이드판(35)은 제14도에 도시된 위치라고 여겨진 ?
상기 간극은 단지 디스크의 적절한 외주면 엣지 단면이 제16도에 도시한 방법으로 로울러에 의해 접촉할수 있도록 선택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큰 디스크가 삽입하게 될때 큰 디스크는 작은 디스크만큼 힘을 갖고, 같은 방법으로 물릴 수 있는 정도로 로울러와 핀 사이의 간극을 증가하도록 거기에 적용된 편향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현수하게 된다.

Claims (2)

  1. 크기가 다른 디스크를 로딩하기 위한 디스크 로딩 장치에 있어서, 드라이브내에 디스크가 도입되는 로딩 슬롯과, 로딩 슬롯에 배치되고, 중앙부와 2개의 경사진 축방향 단부를 구비한 로딩 롤러와, 로딩 슬롯에 배치되고, 로딩 롤러와 병렬로 배치된 오목면을 갖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는 롤러의 축방향 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2개의 축방향 단부는 중앙부로부터 롤러의 단부까지 경사져 있으며, 상기 가이드판은 드라이브내에 적개되는 디스크가 가이드판에 의해 제1면상에 접촉 품?로딩 롤러에 의해 대향의 제2면상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로딩 롤러에 대해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판 및 로딩 롤러는 디스크가 외주 엣지부에서만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판은 로딩 롤러를 향하여 편의되는 방식으로 로딩 슬롯에 탄성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판에는 상기 경사진 축방향 단부 및 롤러가 수납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로딩 롤러의 축방향 단부가 오목부에 수납될때 가이드판 및 로딩 롤러가 크기가 다른 디스크의 최소 직경 디스크를 로딩하기에 적합한 거리로 이격되도록 로딩 롤러와 유사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KR1019930011451A 1987-06-23 1993-06-23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로딩할 수 있는 cd 플레이어용 디스크 드라이브 KR960016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96,259 1987-06-23
JP1987096259U JPH051003Y2 (ko) 1987-06-23 1987-06-23
JP87-96259 1987-06-23
JP62163285A JP2521961B2 (ja) 1987-06-30 1987-06-30 ディスクロ−ディング装置
JP87-163285 1987-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398A KR930020398A (ko) 1993-10-19
KR960016001B1 true KR960016001B1 (ko) 1996-11-25

Family

ID=264374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580A KR960016000B1 (ko) 1987-06-23 1988-06-23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로딩할 수 있는 cd 플레이어용 디스크 드라이브
KR1019930011451A KR960016001B1 (ko) 1987-06-23 1993-06-23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로딩할 수 있는 cd 플레이어용 디스크 드라이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580A KR960016000B1 (ko) 1987-06-23 1988-06-23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로딩할 수 있는 cd 플레이어용 디스크 드라이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22023A (ko)
EP (1) EP0296829B1 (ko)
KR (2) KR960016000B1 (ko)
DE (1) DE388757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2664A3 (fr) * 1988-11-17 1991-04-30 Staar Sa Dispositif de chargement, d'ejection et de centrage pour disques de diametres differents.
JPH02183458A (ja) * 1989-01-09 1990-07-18 Clarion Co Ltd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US5226028A (en) * 1989-02-16 1993-07-06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Centering mechanism for automotive disk player
DE4004562B4 (de) * 1989-02-16 2008-05-08 Pioneer Electronic Corp. In ein Fahrzeug eingebauter Plattenspieler
US5173893A (en) * 1989-03-03 1992-12-22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isc double insertion preventing mechanism for disc player
DE4008006A1 (de) * 1989-03-13 1990-10-04 Pioneer Electronic Corp Plattenabspieleinrichtung
US5031171A (en) * 1989-03-27 1991-07-0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Centering mechanism for automotive disc player
US5119354A (en) * 1989-04-06 1992-06-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reproducing apparatus
KR920002327Y1 (ko) * 1989-07-15 1992-04-09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디스크형 기록매체 장전장치
JPH0679405B2 (ja) * 1989-08-11 1994-10-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NL8903113A (nl) * 1989-12-20 1991-07-16 Philips Nv Platenspeler, alsmede centreerinrichting ten gebruike in de platenspeler.
US5195077A (en) * 1990-01-31 1993-03-16 Clarion Co., Ltd. Disc loading mechanism for large and small disks
EP0457388A1 (en) * 1990-05-14 1991-11-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c player, and actuating unit for use in the disc player
JP2665130B2 (ja) * 1992-08-10 1997-10-22 三星電子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イヤメカニズム
BE1007180A3 (fr) * 1993-05-12 1995-04-18 Staar Sa Dispositif permettant le chargement correct de cassettes dans un logement d'introduction d'appareils de lecture et/ou d'enregistrement.
JP2901847B2 (ja) * 1993-07-26 1999-06-07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US5493551A (en) * 1993-07-26 1996-02-20 Tanashin Denki Co., Ltd. Disk loading/unloading apparatus for compact disks of different diameters
JP3402408B2 (ja) * 1994-11-02 2003-05-0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搬送装置
JP3638655B2 (ja) * 1995-03-03 2005-04-1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US5940355A (en) * 1996-03-29 1999-08-17 Cygnet Storage Solutions Data storage device including a transport mechanism for moving disk storage media between a plurality of removable magazines and a disk drive
KR100207680B1 (ko) * 1996-05-17 1999-07-15 윤종용 로울러 디스크 로딩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어
JPH11162068A (ja) 1997-11-28 1999-06-18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JPH11259945A (ja) 1998-03-16 1999-09-24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JPH11265542A (ja) 1998-03-16 1999-09-28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排出装置
JP3648375B2 (ja) 1998-03-16 2005-05-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の動力伝達機構
JP3725351B2 (ja) * 1998-10-20 2005-12-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
JP2001016171A (ja) 1999-06-29 2001-01-19 Sanyo Electric Co Ltd ノイズ除去回路
US6512730B1 (en) * 1999-07-14 2003-01-28 Lg Electronics Inc. Disk receiving and transferring device for a disk drive
US6880160B1 (en) * 1999-07-14 2005-04-12 Lg Electronics Inc. Device for transferring a disk in a disk drive
JP3801842B2 (ja) 2000-06-01 2006-07-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619133B2 (ja) * 2000-08-31 2005-0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US6839898B2 (en) * 2001-04-27 2005-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drive
JP2003109275A (ja) * 2001-09-28 2003-04-11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搬送装置
JP3845576B2 (ja) * 2001-12-07 2006-11-15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910489B2 (ja) * 2002-05-23 2007-04-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865664B2 (ja) * 2002-07-19 2007-01-1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位置決め機構
JP3892369B2 (ja) * 2002-09-03 2007-03-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AU2003232667A1 (en) * 2002-12-02 2004-06-23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loading apparatus
EP2328150B1 (en) * 2003-03-31 2013-06-26 Clarion Co., Ltd. Disk drive and disk loading mechanism
JP4243525B2 (ja) * 2003-10-20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156490B2 (ja) * 2003-10-28 2008-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搬送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TWM254697U (en) * 2003-12-17 2005-01-01 Lite On It Corp Slot-in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2005310206A (ja) * 2004-04-16 2005-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ク装置
KR100598117B1 (ko) * 2004-07-29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이격장치 및 디스크 이격방법
TWM270457U (en) * 2004-12-28 2005-07-11 Accesstek Inc Sucking-type optical disk drive
TWM270456U (en) * 2004-12-28 2005-07-11 Accesstek Inc Positioning structure for sucking-type optical disk drive
TWI320924B (en) * 2005-02-02 2010-02-21 Teac Corp Disc device
JP4325564B2 (ja) * 2005-02-02 2009-09-02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7770190B2 (en) * 2005-02-18 2010-08-03 Teac Corporation Disk unit having at least one limit switch for detecting a size of an inserted disk
US7853963B2 (en) * 2005-02-23 2010-12-14 Tohei Industrial Co., Ltd. Disk storage medium processing apparatus
WO2007046422A1 (ja) * 2005-10-19 2007-04-26 Pioneer Corporation 搬送装置、および記録媒体駆動装置
JP4265596B2 (ja) * 2005-11-14 2009-05-2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7840972B2 (en) * 2006-02-16 2010-11-23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Optical dis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7226921A (ja) * 2006-02-27 2007-09-06 Sony Corp 磁気ヘッド装置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JP4687566B2 (ja) * 2006-05-24 2011-05-2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8140455A (ja) * 2006-11-30 2008-06-19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2008226339A (ja) * 2007-03-12 2008-09-25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再生機のディスク二重挿入防止装置。
TWM331729U (en) * 2007-09-17 2008-05-01 Topray Technologies Inc Large and small disk holding device
WO2009040970A1 (ja) * 2007-09-28 2009-04-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ディスク装置
US8289651B2 (en) * 2007-11-16 2012-10-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to control heat dissipation in hard-disk drives
KR101513436B1 (ko) * 2008-12-29 2015-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로딩장치
KR101806359B1 (ko) * 2012-01-11 201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노출형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2832A (en) * 1977-03-16 1981-11-24 Cheeseboro Robert G Radial-tracking programmable record player with record handling door mechanism
JPS56114163A (en) * 1980-02-15 1981-09-08 Pioneer Electronic Corp Size select mechanism of autoloading player
JPS57130260A (en) * 1981-02-05 1982-08-12 Pioneer Electronic Corp Auto loading record player
US4580256A (en) * 1981-12-09 1986-04-01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Automatic disc loading apparatus
BE892952A (fr) * 1982-04-23 1982-08-16 Staar Sa Dispositif automatique pour tourne-disques de mise en position operative d'un disque.
BE895735A (fr) * 1983-01-28 1983-05-16 Staar Sa Dispositif automatique de mise en position operative d'un disque dans un tourne-disque
JPS59142935U (ja) * 1983-03-11 1984-09-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オ−トロ−デイングデイスクプレ−ヤ
JPS6060045U (ja) * 1983-09-30 1985-04-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フロントロ−デイングデイスクプレ−ヤ
AU564899B2 (en) * 1983-10-27 1987-08-27 Sony Corporation Compact disk player
US4641298A (en) * 1984-02-06 1987-02-03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Auto loading disc player
JPS60214469A (ja) * 1984-04-11 1985-10-26 Pioneer Electronic Corp オ−トロ−デイングデイスクプレ−ヤ
DE3513040A1 (de) * 1984-04-11 1985-11-07 Pioneer Electronic Corp., Tokio/Tokyo Automatischer plattenspieler
JPS60231966A (ja) * 1984-04-30 1985-11-18 Sony Corp ディスクロ−ディング装置
JPS60251555A (ja) * 1984-05-25 1985-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円盤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96829B1 (en) 1994-02-02
KR890001059A (ko) 1989-03-18
US5022023A (en) 1991-06-04
DE3887577T2 (de) 1994-05-19
KR930020398A (ko) 1993-10-19
EP0296829A3 (en) 1991-06-26
EP0296829A2 (en) 1988-12-28
DE3887577D1 (de) 1994-03-17
KR960016000B1 (ko) 199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001B1 (ko)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로딩할 수 있는 cd 플레이어용 디스크 드라이브
US5173894A (en) Automatic disc loading and centering apparatus
US5031169A (en) Recording disc player for discs of different diameter
US7290273B2 (en) Disc cartridge
US20030161243A1 (en) Disk apparatus
US6542453B1 (en) Recording medium read device
EP0158359B1 (en) Disc case
US7069567B2 (en) Disc device with transport roller bracket restraining detection protrusions away from outer peripheral edge of disc
US6201781B1 (en) Disc player
EP1002315B1 (en) Disc loading mechanism of disc apparatus
JPS6341645Y2 (ko)
US6236541B1 (en) Disc cartridge
US5642246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for different sized cassette which utilizes the cassette housing to engage or disengage the drive means
JP2521961B2 (ja) ディスクロ−ディング装置
US6226253B1 (en) Disk driving apparatus
JPH0529981B2 (ko)
JP2587153Y2 (ja) 記録媒体の挿入装置
JPS60224172A (ja) 光デイスクカセツト
JPH0789423B2 (ja) 記録部材の挿入方向検出装置
KR100244528B1 (ko) 디스크재생장치
US6259582B1 (en) Chucking device in FDD
JPS5833628B2 (ja) 記録円盤の再生装置
JPH039164Y2 (ko)
US5299077A (en) Disk player-recorder
JPH056385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