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436B1 - 디스크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436B1
KR101513436B1 KR1020080135456A KR20080135456A KR101513436B1 KR 101513436 B1 KR101513436 B1 KR 101513436B1 KR 1020080135456 A KR1020080135456 A KR 1020080135456A KR 20080135456 A KR20080135456 A KR 20080135456A KR 101513436 B1 KR101513436 B1 KR 101513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guide lever
lever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7503A (ko
Inventor
서재갑
배원열
방현문
박병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436B1/ko
Priority to US12/632,983 priority patent/US8499314B2/en
Priority to EP09178718A priority patent/EP2202743B1/en
Priority to JP2009286841A priority patent/JP2010157309A/ja
Priority to CN200910259942.0A priority patent/CN101770791B/zh
Publication of KR2010007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15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화, 슬림화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적용될 수 있는 디스크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크 로딩장치는 제1가이드레버, 제2가이드레버, 트리거레버, 척키유닛, 슬라이더, 커넥팅유닛을 가지는데, 커넥팅유닛은 제1디스크 또는 제2디스크가 로딩되는 경우 제2가이드레버와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트리거레버의 회전력이 슬라이더로 전달되는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크 로딩장치{DISC LOADING DEVICE}
본 발명은 디스크 로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의 로딩을 위한 트레이 없이 직접 디스크를 삽입하는 디스크 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플레이어는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나 BD(Blue-ray Disc) 등과 같은 디스크에 광을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위치로 디스크를 로딩시키는 로딩장치를 구비한다.
차량장착용 또는 모바일용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디스크의 로딩을 위한 트레이 없이 직접 디스크를 삽입하여 로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의 디스크, 예를 들면, 80mm와 120mm 디스크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구별하여 로딩시키기 위한 로딩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로딩장치는 서로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구별하여 로딩시키기 위해서 장착되는 디스크 상측에 디스크의 크기를 식별하는 기구부품들을 구비하고 있다. 즉 로딩 장치는 디스크 상측에 복수의 가이드레버, 슬라이더, 커넥터 등을 구비하여 80mm와 120mm 디스크를 구별하여 디스크를 로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로딩장치는 점점 소형화, 슬림화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적용할 수 없게 됨에 따라 두께가 얇은 로딩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로딩 메커니즘을 이루는 기구부품들을 디스크 바깥부분에 위치시켜 소형화, 슬림화된 디스크 로딩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크 로딩장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1디스크와 제2디스크의 로딩이 가능하도록 로딩영역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과 상기 로딩영역 외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와 간섭하도록 상기 로딩영역 내부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레버;와 상기 로딩영역 외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와 간섭하도록 상기 로딩영역 내부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레버;와 상기 로딩영역 외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와 간섭하도록 상기 로딩영역 내부로 연장되는 트리거레버;와 상기 로딩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1디스크 또는 상기 제2디스크를 척킹하는 척킹유닛;과 상기 로딩영역 외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척킹유닛을 동작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트리거레버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트리거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더로 전달하는 커넥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유닛은 상기 제1디스크 또는 상기 제2디스크가 로딩되는 경우 상기 제2가이드레버와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상기 트리거레버의 회전력이 상기 슬라이더로 전달되는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유닛은 회동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버와 연동하는 커넥팅캠과, 병진운동과 회동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커넥팅캠과 상기 트리거레버와 연동하는 커넥팅로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캠은 상기 커넥팅로더와 연동하도록 제3연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팅로더는 상기 제3연결홈에 삽입되는 제3연결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캠은 상기 제2가이드레버와 연동하도록 제4연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가이드레버는 상기 제4연결홈에 삽입되는 제4연결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로더는 상기 트리거레버와 연동하도록 제1구속부, 제2구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거레버는 상기 제1구속부, 제2구속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출력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캠이 상기 제2가이드레버와 연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출력돌기는 상기 제1구속부에 구속되고, 상기 커넥팅캠이 상기 제2가이드레버와 연동하는 경우 상기 출력돌기는 상기 제2구속부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와 연동하는 간격조정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간격조정플레이트와 연동하도록 제3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조정플레이트는 상기 제3걸림돌기에 결속되도록 제4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정플레이트는 상기 트리거레버를 가압하는 제2간격조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정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상기 제2가이드레버의 회전을 유도하여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상기 제2가이드레버를 상기 제2디스크로부터 이격시키는 연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정플레이트는 제1간격조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디스크가 로딩되는 경우 상기 제1간격조정돌기가 통과하는 관통부와, 상기 상기 제2디스크가 로딩되는 경우 상기 제1간격조정돌기와 간섭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연동하고, 상기 제2가이드레버는 제1가이드레버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연동하도록 제1연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가이드레버는 상기 제1연결돌기를 수용하는 제1연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레버는 상기 제2가이드레버와 연동하도록 제1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가이드레버는 상기 제1걸림돌기에 지지되는 제2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로더는 상기 커넥팅로더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조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크 로딩장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1디스크와 제2디스크의 로딩이 가능하도록 로딩영역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과 상기 로딩영역 외부에서 서로 링크되어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로딩영역 내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와 상기 로딩영역 외부에서 서로 링크되어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로딩영역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는 복수의 제2가이드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디스크가 상기 로딩영역으로 로딩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레버는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를 구속하여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에 의해서 상기 제1디스크의 척킹위치가 결정되고, 상기 제2디스크가 상기 로딩영역으로 로딩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레버는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를 구속 해제하여 상기 로딩영역의 외부로 이동하는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와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레버에 의해서 상기 제2디스크의 척킹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로딩장치는 두께가 현저히 감소하여 1인치(inch) 이하의 디스크 플레이어 등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레버는 하나의 회동축을 가지게 됨으로써 디스크의 로딩/언로딩 동작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팅유닛은 제1디스크 또는 제2디스크 로딩 시 선택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제1디스크의 동작과 제2디스크의 동작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디스크 로딩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로딩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로딩메커니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에 장착되는 로딩메커니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로딩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크가 로딩/언로딩하는 방향을 X 방향, X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Y 방향이라 한다. X 방향은 디스크가 로딩되는 방향을 X1 방향, X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X2 방향으로 구분하고, Y 방향은 Y1 방향, Y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Y2 방향으로 구분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로딩장치는 메인프레임(10)과, 메인프레임(10)과 결합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서브프레임(100)을 구비한다. 메인프레임(10)과 서브프레임(10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디스크를 로딩시키기 위해서 로딩메커니즘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또한 로딩메커니즘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1디스크(1)와 제2디스크(2)를 구별하여 로딩한다. 여기서 제1디스크(1)는 소경(예를 들면, 80mm)으로 형성되고 제2디스크(2)는 대경(예를 들면, 120mm)으로 형성되는데, 제1디스크(1)와 제2디스크(2)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총칭하여 디스크로 설명한다.
메인프레임(10)에는 디스크를 내부로 진입시키는 로딩모터(13), 이송롤러(12), 기어유닛(20)이 장착된다. 디스크 삽입구(11) 근처에는 디스크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 광센서 등이 설치된다.
로딩모터(13)는 스위치, 광센서 등에 의해서 디스크가 감지되는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한다.
이송롤러(12)는 디스크와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이동시킨다. 이송롤러(12)의 외면은 마찰력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롤러(12)는 디스크 삽입구(11) 근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어유닛(20)은 로딩모터(13)의 동력을 이송롤러(12)로 전달한다. 기어유닛(20)은 벨트(21) 및 풀리(22)를 이용하여 로딩모터(13)와 연결되고, 중계기어군(23)을 이용하여 이송롤러(12)와 연결된다. 이외에도 기어유닛(20)은 웜기어(24), 중계기어군(23)을 구비하여 동력을 전달하고 감속비를 조절한다. 특히 중계기어군(23) 중 어느 하나는 슬라이더(30)의 랙(31)과 맞물려 슬라이더(30)를 이동시키는데, 이에 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이처럼 로딩모터(13), 이송롤러(12), 기어유닛(20)은 메인프레임(10)에 장착되어 디스크를 디스크 로딩장치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서브프레 임(100)에 장착되는 디스크 가이드 메커니즘에 의해서 디스크는 디스크 로딩장치의 내부에서 척킹 위치로 안내된다.
서브프레임(100)에는 제1디스크(1)를 제1로딩영역(1a)으로 안내하고, 제2디스크(2)를 제2로딩영역(2a)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110a, 110b), 복수의 제2가이드레버(120a, 120b)가 장착된다.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110a, 110b)는 제2로딩영역(2a) 외부에서 서브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로딩영역(2a)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110a, 110b) 각각은 그 일단에 마련되는 제1회동축(111)이 제2로딩영역(2a) 외부에 위치하고, 그 타단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돌기(112)가 제1로딩영역(1a)과 제2로딩영역(2a) 경계선 근처에 위치한다.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110a, 110b)는 디스크 로딩장치 내부로 로딩되는 제1디스크(1), 제2디스크(2)와 간섭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110a, 110b)는 서로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회동한다.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110a, 110b) 각각은 연결 플레이트(130)에 의해서 결속되는데, 연결 플레이트(130)의 제1연결돌기(132)가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110a, 110b)의 제1연결홈(113)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속된다. 이때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의 제1연결홈(113)과 좌측 제1가이드레버(110b)의 제1연결홈(113)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1연결홈(113)과 대응하는 제1연결돌기(132)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다.
연결 플레이트(130)는 서브프레임(100)에 Y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 치되고, 제1스프링(131)에 의해서 Y2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이로 인해 좌측 제1가이드레버(110b)는 제1회동축(11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고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는 제1회동축(11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는다. 다만 좌측 제1가이드레버(110b)의 제1가이드돌기(112)와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의 제1가이드돌기(112)가 제1로딩영역(1a)에 진입하지 않도록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1스톱퍼(115)가 서브프레임(100)에 설치된다. 제1스톱퍼(115)에 의해서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와 링크되어 있는 좌측 제1가이드레버(110b)도 회동이 제한된다.
연결 플레이트(130)의 일 측에는 서브프레임(100)에 X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격조정플레이트(140)가 마련된다. 간격조정플레이트(140)는 슬라이더(30), 트리거레버(40), 연결 플레이트(130)와 연동하는데, 이에 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복수의 제2가이드레버(120a, 120b)는 제2로딩영역(2a) 외부에서 서브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로딩영역(2a)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복수의 제2가이드레버(120a, 120b) 각각은 그 일단에 마련되는 제2회동축(121)이 제2로딩영역(2a) 외부에 위치하고, 그 타단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돌기(122)가 제2로딩영역(2a) 내부에 위치한다. 좌측 제2가이드레버(120b)의 제2회동축(121)에는 제2스프링(128)이 설치되어 좌측 제2가이드레버(120b)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하고, 우측 제2가이드레버(120a)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이때 우측 제2가이드레버(120a)는 우측 제2가이드레버(120a)의 제2스톱 퍼(125)가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의 제1걸림돌기(114)에 의해서 걸려 있기 때문에 회동이 제한된다. 복수의 제2가이드레버(120a, 120b)는 디스크 로딩장치의 내부로 로딩되는 제2디스크(2)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가이드레버(120a, 120b)는 서로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회동한다. 우측 제2가이드레버(120a)의 제2연결돌기(124)가 좌측 제2가이드레버(120b)의 제2연결홈(123)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속된다. 따라서 우측 제2가이드레버(120a)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좌측 제2가이드레버(120b)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에는 제1걸림돌기(114)가 형성되고 우측 제2가이드레버(120a)에는 제2스톱퍼(125)와 제2걸림돌기(126)가 형성된다. 제1걸림돌기(114)가 제2스톱퍼(125)에 의해서 구속되는 경우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이 제한되고, 제1걸림돌기(114)가 제2스톱퍼(125)로부터 구속 해제되는 경우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처럼 복수의 제1가이드레버(110a, 110b)는 복수의 제2가이드레버(120a, 120b)에 의해서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되는데, 이에 관해서는 동작과 관련하여 추후 자세히 설명한다.
메인프레임(10)에는 디스크가 삽입되는 경우 슬라이더(30)를 X2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는 트리거레버(40), 커넥팅유닛(50)이 장착된다.
트리거레버(40)는 제2로딩영역(2a) 외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트리거레버(40)는 제3회동축(41)과, 제3회동축(41)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입력아 암(42)과 출력아암(43)을 구비한다. 제3회동축(41)과 출력아암(43)은 제2로딩영역(2a) 외부에 위치하고 입력아암(42)은 제2로딩영역(2a) 내부에 위치한다. 입력아암(42)은 제1디스크(1), 제2디스크(2)와 간섭하는 입력돌기(42a)를 구비하고, 출력아암(43)은 커넥팅유닛(50)에 구속되는 출력돌기(43a)를 구비한다.
커넥팅유닛(50)은 제3회동축(41)에서 회동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넥팅캠(51)과, 트리거레버(40)의 출력아암(43)과 슬라이더(30)의 지지부(32) 사이에서 병진운동 및 회동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넥팅로더(52)를 구비한다. 여기서 커넥팅캠(51)과 커넥팅로더(52)는 서로 링크되어 있는데, 커넥팅캠(51)의 제3연결홈(53)에 커넥팅로더(52)의 제3연결돌기(54)가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커넥팅로더(52)는 메인프레임(10)에서 병진운동 및 회동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커넥팅로더(52)의 제3연결돌기(54)가 메인프레임(10)의 커넥팅홈(56)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또한 커넥팅로더(52)는 보조돌기부재(57)를 구비하는데, 보조돌기부재(57)는 탄성 변형된 상태로 커넥팅홈(56)에 삽입되기 때문에 커넥팅로더(5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또한 보조돌기부재(57)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트리거레버(40)가 커넥팅로더(52)를 시계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커넥팅로더(52)는 제3연결돌기(54)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더볼어 제3연결돌기(54)와 보조돌기부재(57)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커넥팅홈(56)에 삽입되어 Y 방향으로 병진운동도 가능하다.
또한 커넥팅로더(52)는 트리거레버(40)의 출력돌기(43a)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제1구속부(58)와 제2구속부(59)한다. 커넥팅로더(52)는 병진운동을 함에 따라 제1구속부(58), 제2구속부(59)에 선택적으로 출력돌기(43a)가 구속되는데, 이에 관해서는 추후 자세히 설명한다.
메인프레임(10)에는 X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슬라이더(30)가 설치된다. 슬라이더(30)는 제3스프링(33)에 의해서 X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데, 슬라이더(30)의 랙(31)이 기어유닛(20)의 중계기어(23)와 맞물리는 경우 X2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만 디스크가 로딩되는 않은 경우 슬라이더(30)는 제3스프링(33)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도 3 및 도 4와 같이 슬라이더(30)의 랙(31)과 기어유닛(20)의 중계기어(23)는 맞물려 있지 않다. 이에 도 6과 같이 슬라이더(30)의 랙(31)과 기어유닛(20)의 중계기어(23)가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30)를 X2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슬라이더(30)를 트리거레버(40), 커넥팅유닛(50)과 연동시켜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데, 이하에서 디스크 로딩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크가 로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크(1)가 로딩되는 경우 제1디스크(1)는 제1가이드돌기(112)와 간섭한다.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고 좌측 제1가이드레버(110b)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다. 그러나 제1걸림돌기(114)가 제2스톱퍼(125)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좌측 제1가이드레버(110b)는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와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 하지 못한다. 제1디스크(1)는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의 제1가이드돌기(112)와 좌측 제1가이드레버(110b)의 제1가이드돌기(112)에 의해서 척킹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제1디스크(1)는 입력돌기(42a)와 간섭한다. 트리거레버(4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입력아암(42), 출력아암(4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출력아암(4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출력돌기(43a)가 커넥팅로더(52)의 제1구속부(58)에 구속되고, 출력돌기(43a)가 제1구속부(58)에 구속된 상태에서 트리거레버(40)가 계속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커넥팅로더(52)는 제3연결돌기(54)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때 커넥팅로더(52)의 회전량만큼 슬라이더(30)가 소정 거리 이동한다. 슬라이더(30)가 소정 거리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30)의 랙(31)이 기어유닛(20)의 중계기어(23)와 맞물리고, 슬라이더(30)는 X2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30)는 척킹유닛(60), 간격조정플레이트(140)와 연동한다.
슬라이더(30)는 제1슬릿(34)과 제2슬릿(35)을 구비하고, 척킹유닛(60)은 제1슬릿(34)과 제2슬릿(35) 각각에 삽입되는 제1척킹돌기(61)와 제2척킹돌기(62)를 구비한다. 제1슬릿(34)과 제2슬릿(35)은 경사면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30)가 X2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척킹돌기(61)와 제2척킹돌기(62)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척킹유닛(60)의 클램프(미도시)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크를 척킹한다. 이때 제1디스크(1)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제1가이드돌기(112)에는 단차부(112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디스크(1)는 제1가이드돌기(112)와 이격된다.
또한 슬라이더(30)는 제3걸림돌기(36)를 구비하고, 간격조정플레이트(140)는 제3걸림돌기(36)와 결속되는 제4걸림돌기(143)를 구비한다. 슬라이더(30)가 X2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3걸림돌기(36)와 제4걸림돌기(143)는 서로 결속되기 때문에 간격조정플레이트(140)도 X2 방향으로 이동한다.
간격조정플레이트(140)는 연결 플레이트(130), 트리거레버(40)와 연동한다.
간격조정플레이트(140)는 제1간격조정돌기(141)를 구비하고, 연결 플레이트(130)는 제1간격조정돌기(141)가 통과하는 관통부(133)와, 제1간격조정돌기(141)와 간섭하는 접촉부(134)를 구비한다. 간격조정플레이트(140)가 X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간격조정돌기(141)는 관통부(133)를 통과하고, 접촉부(134)와는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간격조정플레이트(140)은 연결플레이트(130)과 연동하지 않는다.
간격조정플레이트(140)는 제2간격조정돌기(142)를 구비하는데, 간격조정플레이트(140)가 X2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간격조정돌기(142)는 트리거레버(40)의 출력아암(43)에 걸리게 된다. 즉 제2간격조정돌기(142)는 트리거레버(40)의 출력아암(43)을 가압함에 따라 입력아암(4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입력돌기(42a)는 제1디스크(1)로부터 이격된다.
결국 제1디스크(1)는 제1가이드돌기(112)로부터 이격되고, 입력돌기(42a)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크가 로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디스크(2)가 로딩되는 경우 제2디스크(2)는 제2가이드돌기(122), 제1가이드돌기(112)와 간섭한다.
제2디스크(2)가 제2가이드돌기(122)와 간섭하는 경우 우측 제2가이드레버(120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링크되어 있는 좌측 제2가이드레버(120b)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걸림돌기(114)는 제2스톱퍼(125)로부터 구속 해제되고, 제2걸림돌기(126)에 지지된다. 이후 제2디스크(2)가 계속적으로 로딩되면서 제1가이드돌기(112)와 간섭하는 경우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좌측 제1가이드레버(110b)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국 제1가이드레버(110a, 110b)의 제1가이드돌기(112)와 제2가이드레버(120a, 120b)의 제2가이드돌기(122)는 제2로딩영역(2a)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되고 제2디스크(2)는 제1가이드레버(110a, 110b)의 제1가이드돌기(112)와 제2가이드레버(120a, 120b)의 제2가이드돌기(122)에 의해서 척킹 위치가 결정된다.
제2디스크(2)가 로딩됨에 따라 좌측 제2가이드레버(120b)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좌측 제2가이드레버(120b)의 제4연결돌기(127)는 커넥팅캠(51)의 제4연결홈(55)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 제2가이드레버(120b)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커넥팅캠(51)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커넥팅캠(5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커넥팅로더(52)는 Y1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2디스크(2)는 입력돌기(42a)와 간섭하고, 입력아암(42)과 출력아암(43)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출력아암(4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출력돌기(43a)는 커넥팅로더(52)의 제2구속부(59)에 구속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 이, 커넥팅캠(51)이 좌측 제2가이드레버(120b)와 연동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커넥팅캠(51)과 링크되어 있는 커넥팅로더(52)가 Y1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출력돌기(43a)는 제1구속부(58)에 구속되지 아니하고 제2구속부(59)에 구속된다. 이처럼 출력돌기(43a)가 제1구속부(58)에 구속되지 아니한 채로 제2구속부(59)에 구속될 때까지 소정 시간 동안 공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이용하여 커넥팅유닛(50)은 트리거레버(40)의 회전력이 슬라이더(30)로 전달되는 타이밍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제1디스크(1)가 제1로딩영역(1a)에 로딩되는 시간과 제2디스크(2)가 제2로딩영역(2a)에 로딩되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제1디스크(1)가 제1로딩영역(1a)에 로딩이 완료되거나, 제2디스크(2)가 제2로딩영역(2a)에 완료되는 경우 슬라이더(30)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커넥팅유닛(50)이 제2가이드레버(120b)와 연동하여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후 출력돌기(43a)가 제2구속부(59)에 구속된 상태에서 트리거레버(40)가 계속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커넥팅로더(52)는 제3연결돌기(54)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커넥팅로더(52)의 회전량만큼 슬라이더(30)가 소정 거리 이동한다. 슬라이더(30)가 소정 거리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30)의 랙(31)이 기어유닛(20)의 중계기어(23)와 맞물려서 슬라이더(30)는 X2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30)는 척킹유닛(60), 간격조정플레이트(140)와 연동하는데, 이는 제1디스크(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슬라이더(30)는 제1슬릿(34)과 제2슬릿(35)을 구비하고, 척킹유닛(60)은 제1슬릿(34)과 제2슬릿(35) 각각에 삽입되는 제1척킹돌기(61)와 제2척킹돌기(62)를 구비한다. 제1슬릿(34)과 제2슬릿(35)은 경사면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30)가 X2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척킹돌기(61)와 제2척킹돌기(62)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척킹유닛(60)의 클램프(미도시)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디스크를 척킹한다.
또한 슬라이더(30)는 제3걸림돌기(36)를 구비하고, 간격조정플레이트(140)는 제3걸림돌기(36)와 결속되는 제4걸림돌기(143)를 구비한다. 슬라이더(30)가 X2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3걸림돌기(36)와 제4걸림돌기(143)는 서로 결속되기 때문에 간격조정플레이트(140)도 X2 방향으로 이동한다.
간격조정플레이트(140)는 연결 플레이트(130), 트리거레버(40)와 연동한다.
제2디스크(2)가 로딩됨에 따라 제1가이드레버(110a, 110b)는 제2로딩영역(2a) 외부로 벗어나게 되고, 제1가이드레버(110a, 110b)와 링크되어 있는 연결 플레이트(130)는 Y1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1가이드레버(110a, 110b)의 제1걸림돌기(114)는 제2가이드레버(120a, 120b)의 제2스톱퍼(125)로부터 구속 해제되어 제2가이드레버(120a, 120b)의 제2걸림돌기(126)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간격조정플레이트(140)가 X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간격조정돌기(141)는 접촉부(134)와 간섭하게 된다. 여기서 제1간격조정돌기(141)와 접촉부(134)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격조정플레이트(140)가 계속적으로 X2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간격조정돌기(141)가 접촉부(134)를 밀어주고 연결 플레이트(130)는 Y1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결 플레이트(130)는 Y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동시에 제1걸림 돌기(114)는 제2걸림돌기(126)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우측 제2가이드레버(120a)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뿐만 아니라 우측 제1가이드레버(110a)와 링크되어 있는 좌측 제1가이드레버(110b)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우측 제2가이드레버(120a)와 링크되어 있는 좌측 제1가이드레버(110b)도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제1가이드레버(110a, 110b)의 제1가이드돌기(112)와 제2가이드돌기(120a, 120b)의 제2가이드돌기(122)는 제2디스크(2)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간격조정플레이트(140)는 제2간격조정돌기(142)를 구비하는데, 간격조정플레이트(140)가 X2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간격조정돌기(142)는 트리거레버(40)의 출력아암(43)을 가압한다. 이에 입력아암(4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입력돌기(42a)는 제1디스크(1)로부터 이격된다.
결국 제1디스크(2)는 제1가이드돌기(112), 제2가이드돌기(122)로부터 이격되고, 입력돌기(42a)로부터 이격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로딩메커니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에 장착되는 로딩메커니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로딩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크가 로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크가 로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제1디스크 2: 제2디스크
1a: 제1로딩영역 2a: 제2로딩영역
10: 메인프레임 30: 슬라이더
40: 트리거레버 50: 커넥팅유닛
100: 서브프레임 110: 제1가이드레버
120: 제2가이드레버

Claims (16)

  1.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1디스크와 제2디스크의 로딩이 가능하도록 로딩영역을 형성하는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과
    상기 로딩영역 외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와 간섭하도록 상기 로딩영역 내부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레버;와
    상기 로딩영역 외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와 간섭하도록 상기 로딩영역 내부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레버;와
    상기 로딩영역 외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와 간섭하도록 상기 로딩영역 내부로 연장되는 트리거레버;와
    상기 로딩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1디스크 또는 상기 제2디스크를 척킹하는 척킹유닛;과
    상기 로딩영역 외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척킹유닛을 동작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트리거레버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트리거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더로 전달하는 커넥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유닛은 상기 제1디스크 또는 상기 제2디스크가 로딩되는 경우 상기 제2가이드레버와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상기 트리거레버의 회전력이 상기 슬라이더로 전달되는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유닛은 회동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버와 연동하는 커넥팅캠과, 병진운동과 회동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커넥팅캠과 상기 트리거레버와 연동하는 커넥팅로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캠은 상기 커넥팅로더와 연동하도록 제3연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팅로더는 상기 제3연결홈에 삽입되는 제3연결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캠은 상기 제2가이드레버와 연동하도록 제4연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가이드레버는 상기 제4연결홈에 삽입되는 제4연결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로더는 상기 트리거레버와 연동하도록 제1구속부, 제2구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거레버는 상기 제1구속부, 제2구속부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출력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캠이 상기 제2가이드레버와 연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출력돌기는 상기 제1구속부에 구속되고, 상기 커넥팅캠이 상기 제2가이드레버와 연동하는 경우 상기 출력돌기는 상기 제2구속부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와 연동하는 간격조정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간격조정플레이트와 연동하도록 제3걸림돌기를 구비하 고,
    상기 간격조정플레이트는 상기 제3걸림돌기에 결속되도록 제4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플레이트는 상기 트리거레버를 가압하는 제2간격조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상기 제2가이드레버의 회전을 유도하여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상기 제2가이드레버를 상기 제2디스크로부터 이격시키는 연결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플레이트는 제1간격조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디스크가 로딩되는 경우 상기 제1간격조정돌기 가 통과하는 관통부와, 상기 상기 제2디스크가 로딩되는 경우 상기 제1간격조정돌기와 간섭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연동하고, 상기 제2가이드레버는 제1가이드레버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연동하도록 제1연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가이드레버는 상기 제1연결돌기를 수용하는 제1연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버는 상기 제2가이드레버와 연동하도록 제1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2가이드레버는 상기 제1걸림돌기에 지지되는 제2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로더는 상기 커넥팅로더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보조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6. 삭제
KR1020080135456A 2008-12-29 2008-12-29 디스크 로딩장치 KR101513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456A KR101513436B1 (ko) 2008-12-29 2008-12-29 디스크 로딩장치
US12/632,983 US8499314B2 (en) 2008-12-29 2009-12-08 Disc loading device to load different size discs
EP09178718A EP2202743B1 (en) 2008-12-29 2009-12-10 Disc loading device
JP2009286841A JP2010157309A (ja) 2008-12-29 2009-12-17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CN200910259942.0A CN101770791B (zh) 2008-12-29 2009-12-23 光盘装载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456A KR101513436B1 (ko) 2008-12-29 2008-12-29 디스크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503A KR20100077503A (ko) 2010-07-08
KR101513436B1 true KR101513436B1 (ko) 2015-04-21

Family

ID=4206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456A KR101513436B1 (ko) 2008-12-29 2008-12-29 디스크 로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99314B2 (ko)
EP (1) EP2202743B1 (ko)
JP (1) JP2010157309A (ko)
KR (1) KR101513436B1 (ko)
CN (1) CN101770791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6148A (ja) * 2004-12-13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2023A (en) * 1987-06-23 1991-06-04 Sony Corporation Disc drive arrangement for CD player and the like capable of loading different size discs
NL8903114A (nl) * 1989-12-20 1991-07-16 Philips Nv Platenspeler, alsmede detectie-eenheid ten gebruike in de platenspeler.
JP3511668B2 (ja) * 1994-02-25 2004-03-29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CN1177805A (zh) * 1996-09-21 1998-04-01 德利信电机股份有限公司 光盘装载装置
KR100433415B1 (ko) * 2002-06-10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US7140031B2 (en) * 2002-12-02 2006-11-21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loading apparatus
CN1667731A (zh) * 2004-03-12 2005-09-14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光盘装载装置和方法
US7895612B2 (en) 2004-12-13 2011-02-22 Panasonic Corporation Disk loading device having positioning and detection levers that move entirely outside an outermost circumference of an area occupied by a disk mounted therein
JP2007073162A (ja) 2005-09-09 2007-03-22 Kimuratan Corp ディスク搬送機構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6148A (ja) * 2004-12-13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2743A2 (en) 2010-06-30
EP2202743B1 (en) 2013-03-20
KR20100077503A (ko) 2010-07-08
US8499314B2 (en) 2013-07-30
CN101770791A (zh) 2010-07-07
US20100169902A1 (en) 2010-07-01
EP2202743A3 (en) 2011-09-14
JP2010157309A (ja) 2010-07-15
CN101770791B (zh)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415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101106642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EP1308948B1 (en) Changer-type disk device
JP2005228465A (ja) 光ディスクプレイヤ
WO2009090716A1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101513436B1 (ko) 디스크 로딩장치
US8220008B2 (en) Disk apparatus with resilient member on cam mechanism connecting a main slider to a sub-slider
US8255935B2 (en) Slot-in type disk apparatus in which a disk is directly operated by a lever
KR20040000618A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US8046782B2 (en) Tray carry-out method for disc changer device
US8095942B2 (en) Disc changer device
US8042125B2 (en) Disc changer device
US7958522B2 (en) Slot-in type disk apparatus
JP5035274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KR100461297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100886912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
US8205221B2 (en) Slot-in type disk apparatus having link arm with folded piece
KR100886911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치우침 방지 구조체
US7428739B2 (en) Disc release apparatus for disc player
JP2010157309A5 (ko)
KR100886913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램핑 구조체
JP4331163B2 (ja) スロットイン型ディスク装置
KR20050079336A (ko) 초박형 슬롯인타입 드라이브 장치
JP2015172987A (ja) ディスク装置
KR20080105858A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감지 및 인식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