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912B1 -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912B1
KR100886912B1 KR1020070053978A KR20070053978A KR100886912B1 KR 100886912 B1 KR100886912 B1 KR 100886912B1 KR 1020070053978 A KR1020070053978 A KR 1020070053978A KR 20070053978 A KR20070053978 A KR 20070053978A KR 100886912 B1 KR100886912 B1 KR 100886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chassis
disc
optical
cla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5860A (ko
Inventor
김진정
박재봉
박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한정밀
주식회사 유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한정밀, 주식회사 유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한정밀
Priority to KR102007005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912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6Means for locking th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는 상호 결합되며, 그들 사이의 어느 일 방향에 디스크 입출구가 마련된 상ㆍ하부 케이스들; 상기 상ㆍ하부 케이스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 섀시; 상기 디스크 입출구를 통해 로딩되는 광 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메인 섀시에 설치되는 턴 테이블; 상기 메인 섀시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턴 테이블로 로딩된 광 디스크를 클램핑하는 디스크 클램핑장치; 및, 상기 디스크 클램핑장치의 일측을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메인 섀시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시 상기 디스크 클램핑장치가 상기 턴 테이블로부터 미리 정해진 허용범위 이상으로 더 이격되어지는 방지하는 이격방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structure for disc separation prevention of optical disc pla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클램핑부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드와 디스크 치우침 방지유닛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에 도시한 디스크 치우침 방지유닛의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2에 도시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클램핑부와 디스크 가이드 및 디스크 치우침 방지유닛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직경 120mm의 광 디스크와 직경 80mm의 광 디스크가 로딩될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롤러 업/다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롤러 업/다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 롤러 업/다운장치의 제1구동바와 위치 안내 스프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200 : 턴 테이블
300 :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
400 : 롤러 업/다운장치
500 : 디스크 클램핑장치
600 : 데이타 처리장치
900 : 광 디스크 플레이어
본 발명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슬롯 인 타입(slot in type)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Compact Disc)와 DVD(Digital Versatile Disc) 같은 광 디스크는 자기기록 테이프 및 LP 레코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밀도의 기록재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도 보관이 가능하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와서는 이러한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디스크를 로딩하는 방식에 따라 트레이 타입 광 디스크 플레이어와 슬롯 인 타입 광 디스크 플레이어로 나누어진다.
트레이 타입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프론트 패널의 도어를 통해 출입하는 트레이에 의해 디스크를 로딩하는 방식의 광 디스크 플레이어를 말하고, 슬롯 인 타입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슬롯에 디스크를 삽입하면 롤러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디스크를 로딩하는 방식의 광 디스크 플레이어를 말한다.
이들 타입의 광 디스크 플레이어들 중 슬롯 인 타입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트레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콤팩트화가 용이하다. 따라서, 슬롯 인 타입 광 디스크 플레이어는 자동차용 음향기기나 영상기기 등에 많이 채용되고 있다.
한편, 슬롯 인 타입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경우,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되는 광 디스크를 클램핑하기 위하여 디스크 클램핑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즉, 디스크 클램핑장치는 턴 테이블로부터 그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턴 테이블로 로딩된 광 디스크를 그 상부에서 클램핑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디스크 클램핑장치의 경우, 턴 테이블이 고속으로 회전되면, 그 미리 정해진 일정간격의 허용범위 이상으로 더 이격되어지는 문제, 즉, 디스크 클램핑장치가 턴 테이블로부터 미리 정해진 허용범위 이상으로 더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는 턴 테이블 상의 광 디스크가 더 이상 디스크 클램핑장치에 의해 클램핑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고자 턴 테이블에서 디스크 클램핑장치를 자기력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턴 테이블 상에 자석을 설치하기도 하지만, 이와 같은 자석은 디스크 클램핑장치를 과도하게 끌어당기거나 너무 약하게 끌어당기는 등 그 자력조절이 매우 난해하기 때문에, 자석만으로 디스크 클램핑장치를 적절하게 홀딩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턴 테이블이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에도 턴 테이블로부터 미리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디스크 클램핑장치가 그 턴 테이블에서 미리 정해진 허용범위 이상으로 더 이격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는 상호 결합되며, 그들 사이의 어느 일 방향에 디스크 입출구가 마련된 상ㆍ하부 케이스들; 상기 상ㆍ하부 케이스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 섀시; 상기 디스크 입출구를 통해 로딩되는 광 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메인 섀시에 설치되는 턴 테이블; 상기 메인 섀시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턴 테이블로 로딩된 광 디스크를 클램핑하는 디스크 클램핑장치; 및, 상기 디스크 클램핑장치의 일측을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메인 섀시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시 상기 디스크 클램핑장치가 상기 턴 테이블로부터 미리 정해진 허용범위 이상으로 더 이격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격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클램핑장치는 상기 메인 섀시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프 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상기 메인 섀시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각도만큼 굴곡진 자유단으로 형성되되 상기 자유단인 타단이 상기 클램프 섀시에 걸림으로써 상기 디스크 클램핑장치를 탄성가압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섀시는 그 후단부 양측이 상기 메인 섀시에서 돌출된 고정편에 일정각도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격방지부재의 자유단은 상기 클램프 섀시의 후단부 중앙을 탄성가압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상기 메인 섀시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각도만큼 굴곡진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 섀시의 후단부 중앙을 탄성가압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 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클램핑부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드와 디스크 치우침 방지유닛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에 도시한 디스크 치우침 방지유닛의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또한, 도 7a와 도 7b는 도 2에 도시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클램핑부와 디스크 가이드 및 디스크 치우침 방지유닛을 도시한 평면도들이고,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 직경 120mm의 광 디스크와 직경 80mm의 광 디스크가 로딩될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며,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롤러 업/다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또,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롤러 업/다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 롤러 업/다운장치의 제1구동바와 위치 안내 스프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900)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900)는 슬롯에 디스크를 삽입하면 롤러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디스크를 로딩하는 방식의 광 디스크 플레이어 즉, 슬롯 인 타입 광 디스크 플레이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900)는 자동차용 음향기기나 영상기기에 채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900)는 일측에 디스크 입출구(125)가 마련된 케이스(100),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어 광 디스크(90)를 회전시키는 턴 테이블(200), 턴 테이블(200)에서 회전되는 광 디스크(90)에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광 디스크(90)의 데이타를 재생하는 데이타 처리장치(600), 롤러(310)를 이용하여 외부의 광 디스크(90)를 턴 테이블(200)로 로딩시키거나 턴 테이블(200)에 로딩된 광 디스크(90)를 외부로 언로딩시키는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300), 광 디스크(90)가 로딩되거나 언로딩됨에 따라 롤러(310)를 일정높이만큼 올리거나 내리는 롤러 업/다운장치(400), 턴 테이블(200)로 로딩된 광 디스크(90)를 클램핑하는 디스크 클램핑장치(500), 및 광 디스크 플레이어(900)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700)를 포함한다.
먼저, 케이스(100)부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100)는 대략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프레임 역할을 하는 하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커버 역할을 하는 상부 케이스(120), 및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20)의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 섀시(180)로 구성되며,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20)의 일측면 예를 들면, 전면에는 케이스(100) 내부로의 광 디스크(90)의 입출을 위한 디스크 입출구(125)가 마련된다. 따라서, 광 디 스크(90)는 이 디스크 입출구(125)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로딩되며, 또 이 디스크 입출구(125)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에서 외부로 언로딩된다.
메인 섀시(180)는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20)의 사이 중 하부 케이스(110)에 설치되되, 진동이나 충격 등을 일정부분 완화 및 흡수하는 다수의 댐퍼(190)를 매개로 하부 케이스(110)에 설치된다. 따라서, 메인 섀시(180)는 하부 케이스(110)에 일정크기의 진동이나 충격 등이 가해질 경우에도 이 다수의 댐퍼(190)로 인하여 비교적 그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 이때, 메인 섀시(180)는 하부 케이스(110)보다 그 전후 길이가 다소 짧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110)의 후방향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케이스(110)의 전면에 형성된 디스크 입출구(125)와 메인 섀시(180)의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에는 전술한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3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섀시(180)의 후단부 양측에는 각각 전술한 디스크 클램핑장치(5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181)이 설치되며, 이 고정편들(181)에는 각각 설치홀(182)이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크 클램핑장치(500) 예를 들면, 후술될 디스크 클램핑장치(500)의 클램프 섀시(510)는 이 고정편(181)과 그 설치홀(182)을 통해 메인 섀시(180)에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메인 섀시(180)의 후단부 중앙에는 디스크 클램핑장치(500) 예를 들면, 후술될 디스크 클램핑장치(500)의 클램프 섀시(510)의 후단을 탄성 가압하여 턴 테이블(200)의 고속 회전시 디스크 클램핑장치(500)가 턴 테이블(200)로부터 미리 정해진 허용범위 이상으로 더 이격 되어지는 을 방지하는 이격방지부재(185)가 설치된다. 이때, 이격방지부재(185)는 일단이 메인 섀시(180)에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각도만큼 굴곡진 자유단으로 형성되되 그 자유단인 타단이 디스크 클램핑장치(500)의 클램프 섀시(510)에 걸림으로써 디스크 클램핑장치(500)를 탄성 가압하는 판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120)와 하부 케이스(110)의 사이 중 디스크 입출구(125)에 인접한 상부 케이스(120)에는 디스크 입출구(125)를 통해 삽입되는 광 디스크(90)가 턴 테이블(200) 상에 안착되도록 광 디스크의 로딩 경로(90)를 가이드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디스크 가이드(130)가 설치된다. 이때, 디스크 가이드(130)는 삽입되는 광 디스크(90)를 가이드하면서 삽입되는 광 디스크(90)에 흠이나 스크래치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재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 광 디스크(90)의 로딩 경로를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면, 그 전단부에서 후방향으로 갈수록 하측의 하부 케이스(110)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디스크 가이드(130)의 사이 예를 들면, 상부 케이스(120)와 디스크 가이드(130)의 사이 중 디스크 가이드(130)에는 디스크 입출구(125)를 통해 턴 테이블(200)로 로딩되는 광 디스크(90)가 디스크 입출구(125)의 일측 가장자리 측이나 타측 가장자리 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크 치우침 방지유닛(140)이 설치된다.
이때, 디스크 치우침 방지유닛(140)은 디스크 입출구(125)로 삽입되는 광 디스크(90)에 각각 접촉되도록 디스크 입출구(125)의 중앙부 양측에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되 삽입되는 광 디스크(9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ㆍ제2디스크 접촉돌기(151,161)를 구비하여, 삽입되는 광 디스크(90)가 제1ㆍ제2디스크 접촉돌기(151,161)에 동시에 접촉되면서 삽입될 경우에만 제1ㆍ제2디스크 접촉돌기(151,161)가 디스크 입출구(125)의 양단부측으로 각각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삽입되는 광 디스크(90)가 디스크 입출구(125)의 일측 가장자리 측이나 타측 가장자리 측으로 치우쳐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치우침 방지유닛(140)은 디스크 가이드(130)의 일측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디스크 가이드(130)에 설치되는 제1힌지부(154)와 제1힌지부(154)로부터 디스크 가이드(13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1연장부(158)와 제1힌지부(154)로부터 디스크 입출구(125)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2연장부(159)를 갖는 제1회전플레이트(150); 디스크 가이드(130)의 타측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디스크 가이드(130)에 설치되는 제2힌지부(164)와 제1연장부(158)와 일정면적이 겹쳐지도록 제2힌지부(164)로부터 디스크 가이드(13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3연장부(168)와 제2힌지부(164)로터 디스크 입출구(125)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4연장부(169)를 갖는 제2회전플레이트(160); 제1연장부(158)가 디스크 가이드(130)의 타측방향으로 계속 향하도록 디스크 가이드(130)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제1회전플레이트(150)의 일측을 탄성력으로 잡아당기는 제1플레이트 당김스프링(153); 제3연장부(168)가 디스크 가이드(130)의 일측방향으로 계속 향하도록 디스크 가이드(130)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제2회전플레이트(160)의 일측을 탄성력으로 잡아당기는 제2플레이트 당김스프링(163); 제3연장 부(168)를 향하도록 제1연장부(158)에서 제3연장부(168)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제1걸림돌기(155); 제1연장부(158)를 향하도록 제3연장부(168)에서 제1연장부(158)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제2걸림돌기(165); 제2걸림돌기(165)가 끼워지도록 제1연장부(158)에 형성되되 제1ㆍ제2회전플레이트들(150,160)이 동시에 회전됨에 따라 제2걸림돌기(165)가 이동되어지는 경로 형상으로 형성된 제1슬라이딩홀(156); 제1걸림돌기(155)가 끼워지도록 제2연장부(159)에 형성되되 제1ㆍ제2회전플레이트들(150,160)이 동시에 회전됨에 따라 제1걸림돌기(155)가 이동되어지는 경로 형상으로 형성된 제2슬라이딩홀(166); 제1ㆍ제2회전플레이트들(150,160)이 동시에 회전되지 않고 제2회전플레이트(160)만이 회전될 때 제2걸림돌기(165)가 걸리도록 제1연장부(158)에 형성되되 제1슬라이딩홀(156)에 이어지게 형성된 제1회전방지홈(157); 및, 제1ㆍ제2회전플레이트들(150,160)이 동시에 회전되지 않고 제1회전플레이트(150)만이 회전될 때 제1걸림돌기(155)가 걸리도록 제2연장부(159)에 형성되되 제2슬라이딩홀(166)에 이어지게 형성된 제2회전방지홈(167)을 더 구비하되, 전술한 제1ㆍ제2디스크 접촉돌기(151,161)는 제2연장부(159)의 끝단과 제4연장부(169)의 끝단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광 디스크(90)가 디스크 입출구(125)의 중앙부로 삽입될 경우에는 그 광 디스크(90)가 제1디스크 접촉돌기(151)와 제2디스크 접촉돌기(161)를 동시에 접촉하면서 삽입되어지기 때문에, 각 회전플레이트들(150,160)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들(155,165)은 각 회전방지홈(157,167)에 걸리지 않고 각 슬라이딩홀들(156,166)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지는 바, 이들 회전플레이트들(150,160)의 전방향 연장부에 각각 결합된 제1디스크 접촉돌기(151)와 제2디스크 접촉돌기(161)는 각각 디스크 입출구(125)의 양단부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광 디스크(90)가 디스크 입출구(125)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광 디스크(90)가 디스크 입출구(125)의 일측 가장자리 측이나 타측 가장자리 측으로 치우쳐서 삽입될 경우에는 그 광 디스크(90)가 제1디스크 접촉돌기(151)와 제2디스크 접촉돌기(161)를 동시에 접촉하면서 삽입되어지는 것이 아니고 그 디스크 접촉돌기들(151,161) 중 어느 하나만을 접촉하면서 삽입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플레이트들(150,160) 중 어느 하나의 회전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돌기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들(150,160) 중 다른 하나의 회전플레이트에 형성된 회전방지홈에 걸리게 되는 바, 이들 회전플레이트들(150,160)의 전방향 연장부에 각각 결합된 디스크 접촉돌기들 중 광 디스크(90)가 접촉되는 어느 하나의 디스크 접촉돌기는 디스크 입출구(125)의 단부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디스크 입출구(125)로 삽입되어지는 광 디스크(90)는 디스크 입출구(125)에서 단부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존재하는 이 어느 하나의 디스크 접촉돌기에 걸리게 되어 결국 디스크 입출구(125)의 내부로 삽입될 수 없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 디스크 치우침 방지유닛(140)을 이용하면, 삽입되는 광 디스크(90)가 디스크 입출구(125)의 일측 가장자리 측이나 타측 가장자리 측으로 치우쳐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크 치우침 방지유닛(140)이 이상과 같이 구성될 경우, 디스크 가이드(130)의 중앙부에는 제1디스크 접촉돌기(151)와 제2디스크 접촉돌기(161)가 미 리 정해진 일정간격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135)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디스크 접촉돌기(151)와 제2디스크 접촉돌기(161)가 이 회전방지턱(135)으로 인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간격 이내로 가까워지지 못하게 되는 바, 제1회전플레이트(150)와 제2회전플레이트(160)는 제1디스크 접촉돌기(151)와 제2디스크 접촉돌기(161) 사이의 간격이 더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고, 회전 후에는 다시 원래의 위치까지만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ㆍ하부 케이스들(110,120)의 사이 중 디스크 입출구(125)에 인접한 상부 케이스(120)에는 디스크 입출구(125)로 광 디스크(90)가 삽입됨을 감지함과 아울러 삽입되는 광 디스크(90)의 직경 크기를 인식하기 위한 다수의 디스크 감지스위치들이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 감지스위치들은 전술한 중앙제어장치(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중앙제어장치(700)는 이러한 디스크 감지스위치들을 통하여 광 디스크(90)의 삽입 여부와 그 직경 크기를 인식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광 디스크(90)의 로딩, 언로딩, 및 기타 제반 제어동작을 구별해서 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중앙제어장치(700)는 직경 80mm의 광 디스크(90)가 로딩된 다음 언로딩될 경우, 이를 언로딩시키는 롤러(310)의 회전수를 일정부분 줄여 직경 80mm의 광 디스크(90)가 디스크 입출구(125)의 외부로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일실시예로, 디스크 감지스위치들은 디스크 입출구(125)로 삽입되는 광 디스크(90)의 직경이 80mm인지 아니면 120mm인지를 인식하기 위한 제1디스크 감지스위치(121)와 제2디스크 감지스위치(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디스크 감지스위치(121)는 디스크 입출구(125)로 삽입되는 광 디스크(90)의 직경이 80mm일 때와 120mm일 때 모두 광 디스크(90)의 로딩 및 언로딩에 따라 온/오프되도록 상부 케이스(120)의 일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제2디스크 감지스위치(122)는 디스크 입출구(125)로 삽입되는 광 디스크(90)의 직경이 120mm일 때에만 광 디스크(90)의 로딩 및 언로딩에 따라 온/오프되도록 제1디스크 감지스위치(121)의 인접한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제어장치(700)는 광 디스크(90)가 디스크 입출구(125)로 삽입될 경우, 제1디스크 감지스위치(121)의 동작으로 광 디스크(90)의 삽입 여부를 인식할 수 있게 되고, 또 제2디스크 감지스위치(122)의 동작으로 광 디스크(90)의 직경 크기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참조번호 131은 제1회전플레이트(150)의 제1힌지부(154)가 끼워지도록 디스크 가이드(130)의 일측 후방부에 형성된 제1회전돌기를 지칭한 것이고, 참조번호 132는 제2회전플레이트(160)의 제2힌지부(164)가 끼워지도록 디스크 가이드(130)의 타측 후방부에 형성된 제2회전돌기를 지칭한 것이며, 참조번호 152는 제1플레이트 당김스프링(153)이 걸리도록 제1회전플레이트(150)의 제1힌지부(154)에 형성된 제1스프링 돌기를 지칭한 것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162는 제2플레이트 당김스프링(163)이 걸리도록 제2회전플레이트(160)의 제2힌지부(164)에 형성된 제2스프링 돌기를 지칭한 것이며, 참조번호 170은 후술될 제1디스크 레버 록킹부재(545)의 록킹 해제를 위한 록킹해제돌기이다.
턴 테이블(200)은 케이스(100)의 내부 중 메인 섀시(180)에 설치되며, 전술 한 중앙제어장치(700)의 제어에 따라 광 디스크(9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턴 테이블(200)은 광 디스크(90)를 고속 또는 저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턴 테이블(200)의 상부에는 전술한 디스크 클램핑장치(500)를 홀딩하기 위한 자석(21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턴 테이블(200)이 광 디스크(90)를 매우 빠른 고속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도 이 자석(212)이 디스크 클램핑장치(500)를 홀딩하고 또 전술한 이격방지부재(185)가 디스크 클램핑장치(500)를 탄성 가압하기 때문에, 디스크 클램핑장치(500)는 광 디스크(90)를 클램핑하는 위치 즉, 디스크 클램핑장치(500)가 턴 테이블(2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로 부터 미리 정해진 허용범위 이상으로 더이상 이격되지 않게 된다. 또한, 턴 테이블(200)의 하부 일측에는 후술될 광 픽업을 감지하기 위한 광 픽업 감지스위치(2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중앙제어장치(700)는 이 광 픽업 감지스위치(230)의 광 픽업 감지여부에 따라 턴 테이블(200)의 회전 및 그 정지를 제어하게 된다.
데이타 처리장치(600)는 턴 테이블(200)의 측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데이타 처리장치(600)는 턴 테이블(200)의 측면에 위치한 메인 섀시(18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타 처리장치(600)는 소정 파장의 광을 이용하여 광 디스크(90)에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광 디스크(90)의 데이타를 재생하는 광 픽업(610)과, 공정진행에 따라 광 픽업(610)을 이송하는 광 픽업 이송유닛(620)으로 구성된다. 이때, 광 픽업(610)은 CD나 DVD에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데이타를 재생하기 위하여 범용적 사용되는 광 픽업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광 픽업 이송유닛(620)은 볼 스크류 방식을 이용하여 광 픽업(610)을 이송한 다. 즉, 광 픽업 이송유닛(620)은 광 픽업(610)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볼 너트(621), 이 볼 너트(621)에 끼워지되 광 픽업(610)의 이송경로 예를 들면, 턴 테이블(200)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그 일측 방사상 방향으로 향해지는 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볼 스크류 축(623), 볼 스크류 축(623)에 평행하게 배치되되 볼 스크류 축(623)으로부터 광 픽업(610)의 폭 크기에 상당하는 크기만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이드 축(626), 광 픽업(610)의 타측면에 고정되며 가이드 축(626)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627), 볼 스크류 축(623)의 일측단에 결합되는 볼 스크류 기어(625), 볼 스크류 축(623)을 따라 광 픽업(610)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중앙제어장치(700)의 제어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슬래드 모터(622), 및 슬래드 모터(622)의 축에 결합되며 슬래드 모터(622)의 회전력을 볼 스크류 기어(625) 측으로 전달하는 슬래드 모터 기어(6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중앙제어장치(700)의 제어에 따라 광 픽업(610)을 턴 테이블(200)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하고자 할 경우, 광 픽업 이송유닛(620)은 그 구비된 슬래드 모터(622)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구현하게 되고, 광 픽업(610)은 이 슬래드 모터(622)를 통해 발생 및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볼 스크류 축(623)을 따라 이송되어지게 된다.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300)는 전술한 상ㆍ하부 케이스(110)들의 사이 중 디스크 입출구(125)에 인접한 하부 케이스(11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광 디스크(90)를 턴 테이블(200)로 로딩시키거나 턴 테이블(200)에 로딩된 광 디스 크(90)를 외부로 언로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300)는 그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광 디스크(90)를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는 롤러(310), 롤러 축(3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일측단 예를 들면, 후방의 단부가 롤러 축(320)에 결합되고 타측단 예를 들면, 전방의 단부는 롤러(310)가 전술한 메인 섀시(180)의 하부로 이동되거나 메인 섀시(180)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부 케이스(110)에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브라켓(340), 롤러 축(320)의 일단에 결합되는 축기어(330), 롤러(31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롤러회전모터(350), 롤러회전모터(350)의 축에 결합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기어(360), 및 롤러회전모터(350)의 회전력을 축기어(330)로 전달시키도록 축기어(330)와 구동기어(360)의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종동기어들(370)을 포함한다.
따라서, 광 디스크(90)를 로딩시키거나 언로딩시켜야 할 경우, 중앙제어장치(700)는 롤러회전모터(350)에 소정 시그날을 전송하여 롤러회전모터(35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광 디스크(90)를 로딩 또는 언로딩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상과 같은 롤러회전모터(350)의 회전에 의하여 롤러(3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도, 그 롤러(310)가 광 디스크(90)의 밑면에 접촉되지 못하면 롤러(310)의 마찰에 의한 회전력은 광 디스크(90)에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광 디스크(90)는 로딩 또는 언로딩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광 디스크(90)의 로딩 또는 언로딩 작업이 필요할 경우, 롤러 브라켓(340)은 롤러가 메인 섀시(180)의 상부로 이동되어 그 상단면이 광 디스크(90)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하여야 한다. 즉, 광 디스크(90)의 로딩 또는 언로딩 작업이 필요할 경우, 롤러 업/다운장치(400)는 이 롤러 브라켓(34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여 그 롤러(310)가 광 디스크(90)를 로딩 또는 언로딩시킬 수 있도록 그 롤러(310)를 미리 정해진 위치만큼 올려야 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롤러 브라켓(340)은 하부 케이스(110)에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하부 케이스(110)에는 이 롤러 브라켓(340)이 장착되도록 그 양측 단부에 각각 장착홈(112)이 마련된 장착편(111)이 형성되며, 롤러 브라켓(340)의 전방 단부의 양측면에는 각 장착홈(112)에 끼워지도록 각각 장착돌기(341)가 형성된다. 따라서, 롤러 브라켓(340)은 그 양측면의 장착돌기(341)가 하부 케이스(110)의 장착편(111)에 마련된 각 장착홈(112)에 끼워짐으로써 하부 케이스(110)에 대하여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롤러 브라켓(340)의 전면 양측에는 각각 후술될 브라켓 당김스프링(343)이 걸리도록 스프링 걸림돌기(342)가 형성되며, 각 스프링 걸림돌기(342)에는 스프링 걸림돌기(342)와 하부 케이스(110)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브라켓 당김스프링(343)이 설치된다. 이때, 브라켓 당김스프링(343)은 롤러 브라켓(340)의 전면을 계속 그 하부 케이스(110)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롤러 브라켓(340)은 브라켓 당김스프링(343)이 그 전면을 계속 당기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계속 그 전면부가 하부 케이스(110)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형태, 즉, 그 후방에 설치된 롤러(310)가 메인 섀시(180)의 상부로 이동되어 광 디스크(90)를 로딩 또는 언로딩시킬 수 있는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브라켓 당김스프링(343)은 스프링 걸림돌기(342)와 하부 케이스(110)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롤러 업/다운장치(400)는 하부 케이스(110)에 설치되며, 광 디스크(90)가 턴 테이블(200)로 로딩되거나 턴 테이블(200)에서 언로딩됨에 따라 롤러(310)를 일정높이만큼 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한다.
즉, 롤러 업/다운장치(400)는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 일측단에 배치되되 하부 케이스(110)의 일측면을 따라 일정거리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구동바(410), 상기 제1구동바(410)를 일정거리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일측면에 설치된 피니언(460),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 타측단에 배치되되 하부 케이스(110)의 타측면을 따라 일정거리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구동바(440), 및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단에 제1구동바(410)가 연결되고 타측단에는 제2구동바(440)가 연결되는 회전암(430)을 포함하며, 제1구동바(410)와 회전암(430)이 피니언(460)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2구동바(440)가 하부 케이스(110)의 타측면을 따라 일정거리 왕복 이동되면서 롤러(310)를 업/다운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1구동바(410)의 전방향 일정구간에는 피니언(460)에 맞물리도록 랙(412)이 형성된다. 따라서, 피니언(460)에 랙(412)이 맞물릴 경우, 제1구동바(410)는 피니언(460)의 회전에 따라 랙(412)의 구간 크기만큼 이동된다. 이때, 제1구동바(410)는 하부 케이스(110)의 일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데, 제1구동바(410)가 하부 케이스(110)에서 그 후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된 위치는 그 랙(412)의 전방향 단부가 상기 피니언(460)에 맞물리기 직전의 위치 즉, 그 랙(412)의 전방향 단부가 피니언(460)의 후단부로부터 매우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이다. 따라서, 제1구동바(410)가 어떠한 외부 외력에 의하여 하부 케이스(110)의 전방향으로 조금이라도 움직이지 않을 경우, 피니언(460)에 전달되는 동력은 랙(412)에 전달되지 못하게 되는 바, 제1구동바(410)는 하부 케이스(110)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제1구동바(410)의 전방향 일측 예를 들면, 상기 랙(412)의 후단부 측에는 외부 부재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도록 접촉돌기(4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부재에 의해 접촉돌기(411)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구동바(410)는 접촉돌기(411)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하부 케이스(110)의 전방향으로 일정부분 움직이게 되는 바, 제1구동바(410)의 랙(412)은 피니언(460)에 맞물리게 된다. 그 결과, 제1구동바(410)는 피니언(460)에 의해 전달되어지는 동력에 의해 그 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구동바(410)가 하부 케이스(110)에서 그 전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된 위치는 그 랙(412)의 후방향 단부가 피니언(460)의 전방향 단부에 맞물린 위치이다. 여기서, 제1구동바(410)의 랙(412)이 피니언(460)에 맞물리도록 접촉돌기(411)에 외력을 가하는 부재는 후술될 구동유닛(540)의 슬라이드 암(560)일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바(410)의 후방향 일측에는 제1구동바(410)가 전후로 왕복 이동될 때 그 이동되어야할 최대 위치를 안내하는 위치안내 스프링(420)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위치안내 스프링(420)은 토션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구동바(41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때 제1구동바(410)가 그 전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과 함께 제1구동바(410)가 그 후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토션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위치안내 스프링(420)은 제1구동바(41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때 그 제1구동바(410)의 이동 방향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제1구동바(410)의 후방향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1구동바(410)의 후방향 일측면에 대향되는 하부 케이스(110)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전술한 접촉돌기(411)에 외력이 가해져서 제1구동바(410)가 그 전방향으로 이동되어질 경우, 토션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위치안내 스프링(420)은 제1구동바(410)의 이동 방향인 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1구동바(410)가 그 전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또 공정의 진행과 피니언(460)의 역회전에 의해 제1구동바(410)가 그 후방향으로 이동되어질 경우, 토션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위치안내 스프링(420)은 제1구동바(410)의 이동방향인 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1구동바(410)가 그 후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제1구동바(410)는 그 전방향과 그 후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될 수 있게 되며, 제1구동바(410)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는 제반 후속 동작들 또는 제1구동바(410)의 이동된 다음 진행되는 제반 후속 동작들은 매우 정확하게 진행되어진다. 특히, 제1구동바(410)는 그 후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되어지기 때문에, 제1구동바(410)에 형성된 랙(412)은 피니언(460)에 맞물리지 않는 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외부 외력이 접촉돌기(411)에 가해지지 않는 한 제1구동바(410)는 피니언(460)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된다.
피니언(460)은 하부 케이스(110)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서로 다른 직경의 제1기어부와 제2기어부를 갖는 다단 기어로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피니언(460)의 제1기어부는 하부 케이스(110)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전술한 제1구동바(410)의 랙(412)과 연동되도록 배치되고, 제2기어부는 제1기어부의 외측 곧, 하부 케이스(110)의 타측면 방향에 일체로 형성되되 전술한 디스크 로딩/언로딩장치(300)의 종동기어들(370)에 연동되도록 그 전단부가 종동기어들(370) 중 어느 하나의 후단부에 맞물리게 배치된다. 따라서, 종동기어들(370)이 회전되면, 피니언(460)의 제2기어부 및 제1기어부도 종동기어(37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지며, 전술한 랙(412)은 이러한 피니언(460)의 제1기어부에 연동되어 그 전방향이나 후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구동바(440)는 제1구동바(410)가 전방향과 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그 반대방향들인 후방향과 전방향으로 이동되며, 축홀(442)과 스위치 누름돌기(444)를 구비한다.
축홀(442)은 전술한 롤러 축(320)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홀로 제2구동바(440)의 전방향 일측에 형성되되, 전방이 제2구동바(440)의 낮은 위치에 위치되고 후방은 상대적으로 제2구동바(440)의 높은 위치에 위치된 장공의 호(弧)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롤러 축(320)이 축홀(442)의 후방에 위치한 높은 위치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구동바(440)가 그 후방향으로 이동되면, 롤러 축(320)은 축홀(442)을 따 라 이동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축홀(442)은 그 전방이 낮은 위치에 위치되고 그 후방은 높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롤러 축(320)은 제2구동바(440)의 낮은 위치로 내려가게 된다. 또,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제2구동바(440)가 그 전방향으로 이동되면, 롤러 축(320)은 축홀(442)을 따라 그 후방으로 이동되어 원래의 위치 곧, 제2구동바(440)의 높은 위치로 올라가게 된다.
스위치 누름돌기(444)는 제2구동바(440)가 그 후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될 시 후술될 안착스위치(711)를 누르도록 제2구동바(440)의 후방향 일측에 형성되되, 돌기 형태로 형성된다. 즉, 스위치 누름돌기(444)는 제2구동바(440)가 그 후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될 시 안착스위치(711)를 누르게 되어 안착스위치(711)를 온(on)시키게 되며, 이후, 제2구동바(440)가 그 전방향으로 이동될 시에는 안착스위치(711)의 눌러진 부분에서 떨어지게 되어 안착스위치(711)를 오프(off)시키게 된다. 따라서, 중앙제어장치(700)는 이 스위치 누름돌기(444)의 이동에 의한 안착스위치(711)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광 픽업 이송유닛의 구동 여부 등 광 디스크 플레이어(900)의 전체 구동을 적절히 제어하게 된다.
회전암(430)은 제1구동바(41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제2구동바(440)로 전달하는 부재로, 그 중앙부는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양단은 각각 제1구동바(410)의 전단부와 제2구동바(440)의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1구동바(410)가 하부 케이스(110)의 전방향으로 이동되면, 이 이동되는 힘은 그 중앙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암(430)을 통해 제2구동바(440)에 전달되어지는 바, 제2구동바(440)는 하부 케이스(110)의 후방향으로 이 동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제1구동바(410)가 하부 케이스(110)의 후방향으로 이동되면, 이 이동되는 힘은 회전암(430)을 통해 제2구동바(440)로 전달되어지고, 제2구동바(440)는 하부 케이스(110)의 전방향으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한편, 디스크 클램핑장치(500)는 메인 섀시(180)의 상부에 설치되어, 턴 테이블(200)로 로딩된 광 디스크(90)를 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클램핑장치(500)는 메인 섀시(18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프 섀시(510)와, 클램프 섀시(510)에 설치되되 광 디스크(90)가 로딩됨에 따라 전술한 롤러 업/다운장치(400)를 구동되게 하는 구동유닛(540)을 포함한다.
클램프 섀시(5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대략 턴 테이블(200)에 로딩되는 광 디스크(90)의 후반부 절반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클램프 섀시(510)는 그 후단부 양측이 전술한 메인 섀시(180)의 고정편(181)에 일정각도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전단부 중앙에는 광 디스크(90)를 클램핑하기 위한 원반 형상의 클램프(520)가 구비된다. 이때, 클램프(520)는 클램프 섀시(510)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측 일부분에 금속 재질을 구비하여 전술한 턴 테이블(200)의 자석(212)에 붙게 된다.
따라서, 광 디스크(90)가 턴 테이블(200)로 로딩될 때, 이 로딩되는 광 디스크(90)는 일정각도로 상하 회동되는 클램프 섀시(510)와 메인 섀시(180)의 사이로 끼워지게 되고, 끼워진 후에는 턴 테이블(200) 상에 안착되어지게 된다. 다음, 광 디스크(90)가 턴 테이블(200) 상에 안착되면, 클램프는 턴 테이블(200)의 자석으로 인한 자기력과 자체 중력 및 전술한 이격방지부재(185)의 탄성 가압력 등에 의해 턴 테이블(200)에 붙게 된다. 따라서, 광 디스크(90)는 클램프(520)와 턴 테이블(200)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클램핑된다.
구동유닛(540)은 클램프 섀시(510)의 후방 일측과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각각 로딩되는 광 디스크(90)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걸리도록 제1ㆍ제2디스크 걸림돌기(541,543)가 형성된 한쌍의 제1ㆍ제2디스크 레버(544), 클램프 섀시(510)의 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1디스크 레버(54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록킹(locking)시키는 제1디스크 레버 록킹부재(545), 제2디스크 레버(544)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단에 로딩되는 광 디스크(90)에 걸리도록 제3디스크 걸림돌기(548)가 형성된 제3디스크 레버(547), 제3디스크 레버(547)의 타측단에 그 후단부가 링크 결합되며 로딩되는 광 디스크(90)에 의해 제3디스크 레버(547)가 회전됨에 따라 그 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되는 슬라이드 암(560), 및 그 전단부가 클램프 섀시(5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일측단부는 슬라이드 암(560)에 링크 결합되어 슬라이드 암(56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클램프 섀시(5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디스크 레버 록킹부재(561)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디스크 레버(542)는 클램프 섀시(510)의 상면 중 클램프 섀시(510)의 후방 일측 곧, 제2구동바(440)에 대응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중앙부(542a)와 전단부(542b)와 후단부(542c)를 구비한다. 중앙부(542a)는 클램프 섀시(5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단부(542b)는 중앙부(542a)로부터 클램프 섀시(510)의 일측단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전술한 제1디스크 걸림돌 기(541)에 결합되며, 후단부는 중앙부(542a)로부터 클램프 섀시(510)의 중심선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제2디스크 레버(544)의 후단부(544c)에 링크 결합된다. 이때, 제1디스크 걸림돌기(541)는 제1디스크 레버(542)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클램프 섀시(510)를 관통하도록 그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클램프 섀시(510)에는 제1디스크 걸림돌기(541)가 끼워짐과 아울러 전후 등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이동홀(542d)이 형성된다.
따라서, 광 디스크(90)가 로딩되면, 로딩되는 광 디스크(90)의 일측단은 클램프 섀시(510)를 관통하여 그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1디스크 걸림돌기(541)에 걸리게 되는 바, 제1디스크 걸림돌기(541)는 로딩되는 광 디스크(90)의 힘에 의해 클램프 섀시(510)의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제1디스크 레버(542)는 이 제1디스크 걸림돌기(541)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어지며, 제1디스크 레버(542)의 후단부는 링크 결합된 제2디스크 레버(544)의 후단부와 함께 클램프 섀시(510)의 전방으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2디스크 레버(544)는 클램프 섀시(510)의 상면 중 클램프 섀시(510)의 후방 타측 곧, 제1구동바(410)에 대응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중앙부(544a)와 전단부(544b)와 후단부(544c)를 구비한다. 중앙부(544a)는 클램프 섀시(5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단부(544b)는 중앙부(544a)로부터 클램프 섀시(510)의 타측단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전술한 제2디스크 걸림돌기(543)에 결합되며, 후단부(544c)는 중앙부(544a)로부터 클램프 섀시(510)의 중심선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제1디스크 레버(542)의 후단부에 링크 결합된다. 이때, 제2 디스크 걸림돌기(543)는 제2디스크 레버(544)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클램프 섀시(510)를 관통하도록 그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클램프 섀시(510)에는 제2디스크 걸림돌기(543)가 끼워짐과 아울러 전후 등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이동홀(544d)이 형성된다.
따라서, 광 디스크(90)가 로딩되면, 로딩되는 광 디스크(90)의 일측단은 클램프 섀시(510)를 관통하여 그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제2디스크 걸림돌기(543)에 걸리게 되는 바, 제2디스크 걸림돌기(543)는 로딩되는 광 디스크(90)의 힘에 의해 클램프 섀시(510)의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제2디스크 레버(544)는 이 제2디스크 걸림돌기(543)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어지며, 제2디스크 레버(544)의 후단부(544c)는 링크 결합된 제1디스크 레버(542)의 후단부(542c)와 함께 클램프 섀시(510)의 전방으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제1디스크 레버 록킹부재(545)는 클램프 섀시(510)의 상면 중 클램프 섀시(510)의 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디스크 레버(54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록킹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1회전부(545a), 제1디스크 레버 록킹부(545b), 록킹 해제부(545c), 및 걸림부(545d)를 포함한다.
이때, 제1회전부(545a)는 클램프 섀시(510)의 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디스크 레버 록킹부재(545)를 회전가능하게 한다. 제1디스크 레버 록킹부(545b)는 제1회전부(545a)의 일측에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디스크 레버(542)를 선택적으로 록킹시키는 역할을 한다. 록킹 해제부(545c)는 제1회전부(545a)로부터 클램프 섀시(510)의 전단부 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부분으 로, 광 디스크(90)가 로딩됨에 따라 록킹해제돌기(170)가 회전될 시 이 록킹해제돌기(170)에 접촉되도록 클램프 섀시(510)의 전방향으로 돌출된다. 걸림부(545d)는 록킹 해제부(545c)와 제1디스크 레버 록킹부(545b)의 사이에 마련되며 후술될 당김스프링(545e)이 걸리도록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당김스프링(545e)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어 클램프 섀시(510)와 걸림부(545d)를 탄성 연결하며, 제1디스크 레버 록킹부재(54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계속 그 제1디스크 레버 록킹부(545b)가 제1디스크 레버(542)를 록킹시킬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제3디스크 레버(547)는 광 디스크(90)가 로딩되거나 언로딩됨에 따라 회전되도록 제2디스크 레버(544)의 중앙부에 설치되되 클램프 섀시(510)의 밑면 중 클램프 섀시(510)의 후방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부에 위치한 제2회전부(547a)와, 제2회전부(547a)의 일측에 위치한 제1단부(547b), 및 제2회전부(547a)의 타측에 위치한 제2단부(547c)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회전부(547c)는 제2디스크 레버(544)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2회전부(547c)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제3디스크 레버(547)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559)이 설치될 수 있다. 복귀스프링(559)은 토션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귀스프링(559)의 일측단은 제2회전부(547a)에 인접한 제2디스크 레버(544)에 걸릴 수 있고, 타측단은 제2회전부(547a)와 제2단부(547c) 사이의 제3디스크 레버(547) 몸체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부(547b)는 제2회전부(547a)에서 클램프 섀시(510)의 중심선 방 향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된 부분으로, 전술한 제3디스크 걸림돌기(548)가 이 제1단부(547b)에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제2단부(547c)는 제2회전부(547a)에서 클램프 섀시(510)의 타측단 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된 부분으로, 전술한 슬라이드 암(560)의 후단부가 이 제2단부(547c)에 링크 결합된다.
슬라이드 암(560)은 클램프 섀시(510)의 상면 중 클램프 섀시(510)의 타측단 즉, 제1구동바(410)에 대응되는 측에 설치되며, 전술한 제3디스크 레버(547)에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즉, 슬라이드 암(560)은 클램프 섀시(510)의 타측단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전단부는 전술한 제1구동바(410)의 접촉돌기(411)에 접촉 또는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후단부는 전술한 제3디스크 레버(547)의 타측단에 링크 결합된다. 따라서, 광 디스크가 로딩되어 제3디스크 레버(547)가 회전되면, 슬라이드 암(560)은 제3디스크 레버(547)의 회전에 연동되어서 그 전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된다. 이때, 광 디스크(90)가 로딩됨에 따라 슬라이드 암(560)이 그 전방향 소정거리만큼 이동되는 힘은 제1구동바(410)의 접촉돌기(411)에 외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제1구동바(410)는 이 접촉돌기(411)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소정거리만큼 이동되어지는 바, 제1구동바(410)의 랙(412)은 피니언(460)에 맞물리게 되고, 피니언(460)은 제1구동바(410)를 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2디스크 레버 록킹부재(561)는 슬라이드 암(56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클램프 섀시(5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디스크 레버(544)를 선택적으로 록킹하도록 클램프 섀시(510)의 상면 중 클램프 섀시(510)의 타측단 내측에 설치되되, 슬라이드 암(56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즉, 제2디스크 레버 록킹부재(561)의 전단부 는 클램프 섀시(5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단부는 슬라이드 암(560)에 형성된 장공에 링크 결합된다. 따라서, 제3디스크 레버(547)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암(560)이 그 전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디스크 레버 록킹부재(561)는 슬라이드 암(560)과의 링크 결합에 의해 클램프 섀시(510)의 내측 방향 즉, 클램프 섀시(510)의 중심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디스크 레버(544)를 록킹시키게 된다. 그리고, 공정진행에 따라 슬라이드 암(560)이 그 후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디스크 레버 록킹부재(561)는 슬라이드 암(560)과의 링크 결합에 의해 클램프 섀시(510)의 외측방향 즉, 클램프 섀시(510)의 타측단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디스크 레버(544)의 록킹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 암(560)의 전방향 내측면에는 슬라이드 암(560)이 전방향으로 이동될 시 슬라이드 암(560)을 그 내측 곧 클램프 섀시(510)의 중심선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슬라이드 암 당김스프링(546)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 암(560)의 전방향 이동에 따라 연동되는 제2디스크 레버 록킹부재(561)의 내측 이동 즉, 제2디스크 레버(544)의 록킹 작업은 보다 원활할 수 있다.
한편, 중앙제어장치(7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ㆍ제2디스크 감지스위치(121,122), 광 픽업 감지스위치(230), 롤러회전모터(350), 턴 테이블(200), 슬래드 모터(622), 및 광 픽업(610) 등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 디스크 플레이어(900)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중앙제어장치(700)는 마이컴 등 광 디스크 플레이어(9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소자들이 장착된 메인 회로기판(710)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인 회로기판(710)은 하부 케이스(110)의 하부 에 설치된다. 또한, 메인 회로기판(710)의 일측 후단부 곧, 제2구동바(440)가 배치되는 부분의 메인 회로기판(710) 후단부에는 전술한 제2구동바(440)의 스위치 누름돌기(444)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디스크 안착스위치(711)가 설치된다. 이때, 제2구동바(440)의 스위치 누름돌기(444)는 제2구동바(440)가 그 전방향에서 후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2구동바(440)와 같이 이동되면서 디스크 안착스위치(711)를 온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구동바(440)의 스위치 누름돌기(444)는 제2구동바(440)가 그 후방향에서 전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2구동바(440)와 같이 이동되면서 디스크 안착스위치(711)를 오프시키게 된다. 따라서, 중앙제어장치(700)는 이러한 디스크 안착스위치(711)의 신호에 따라 광 디스크 플레이어(90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플레이어(900)의 디스크 클램핑장치가 턴 테이블에서 더 이격되지 않도록 디스크 클램핑장치와 이격방지부재를 설치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턴 테이블이 설치된 메인 섀시가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의 사이 중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면, 작업자는 디스크 클램핑장치의 클램프 섀시를 메인 섀시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메인 섀시의 후단부 양측에는 각각 설치홀들이 형성된 고정편들이 미리 형성되어 있는 바, 작업자는 클램프 섀시의 후단부 양단을 각각 이 고정편들의 설치홀들에 끼우거나 걸리도록 함으로써, 클램프 섀시를 메인 섀시에 소정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게 된다.
한편, 메인 섀시의 후단부 중앙에는 클램프 섀시를 탄성 가압하기 위한 이격방지부재 곧, 일단이 메인 섀시의 후단부 중앙에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각도만큼 굴곡진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판 스프링의 이격방지부재가 미리 설치되어 있는 바, 작업자는 이상과 같은 메인 섀시에 클램프 섀시를 설치하는 작업을 할 때, 그 이격방지부재의 자유단이 클램프 섀시의 후단부 중앙을 탄성 가압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클램프 섀시는 메인 섀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도 이상과 같이 설치된 판 스프링의 이격방지부재에 의해 그 후단부 중앙이 탄성 가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턴 테이블이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에도 이 클램프 섀시를 포함한 디스크 클램핑장치는 턴 테이블로부터 미리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최초의 간격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허용범위 이상으로 더 이격되어지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디스크 클램핑장치는 턴 테이블이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에도 이 이격방지부재의 기능에 의하여 턴 테이블로부터 미리 정해진 허용범위 이상으로 더 벌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턴 테이블이 고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디스크 클램핑장치의 벌어짐 문제를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하여 턴 테이블이 고속으로 회전될 때 턴 테이블 상의 광 디스크가 클램핑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에는 디스크 클램핑장치의 이격을 방지하기 위한 이격방지부재가 구비되기 때문에, 디스크 클램핑장치의 클램프 섀시는 메인 섀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도 메인 섀시에 설치된 이격방지부재에 의해 그 후단부 중앙이 탄성 가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턴 테이블이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에도 이 클램프 섀시를 포함한 디스크 클램핑장치는 턴 테이블로부터 미리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최초의 간격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허용범위 이상으로 더 이격되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턴 테이블이 고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디스크 클램핑장치의 벌어짐 문제를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상호 결합되며, 그들 사이의 어느 일 방향에 디스크 입출구가 마련된 상ㆍ하부 케이스들;
    상기 상ㆍ하부 케이스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 섀시;
    상기 디스크 입출구를 통해 로딩되는 광 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메인 섀시에 설치되는 턴 테이블;
    상기 메인 섀시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턴 테이블로 로딩된 광 디스크를 클램핑하는 디스크 클램핑장치; 및,
    상기 디스크 클램핑장치의 일측을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메인 섀시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시 상기 디스크 클램핑장치가 상기 턴 테이블로부터 미리 정해진 허용범위 이상으로 더 이격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격방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 클램핑장치는 상기 메인 섀시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프 섀시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상기 메인 섀시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각도만큼 굴곡진 자유단으로 형성되되 상기 자유단인 타단이 상기 클램프 섀시에 걸림으로써 상기 디스크 클램핑장치를 탄성가압하고,
    상기 클램프 섀시는 그 후단부 양측이 상기 메인 섀시에서 돌출된 고정편에 일정각도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격방지부재의 자유단은 상기 클램프 섀시의 후단부 중앙을 탄성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상기 메인 섀시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일정각도만큼 굴곡진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 섀시의 후단부 중앙을 탄성가압하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
KR1020070053978A 2007-06-01 2007-06-01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 KR100886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978A KR100886912B1 (ko) 2007-06-01 2007-06-01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978A KR100886912B1 (ko) 2007-06-01 2007-06-01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860A KR20080105860A (ko) 2008-12-04
KR100886912B1 true KR100886912B1 (ko) 2009-03-09

Family

ID=4036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978A KR100886912B1 (ko) 2007-06-01 2007-06-01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9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1505A (ja) * 1990-12-28 1993-04-23 Alpine Electron Inc デイスクプレーヤにおけるデイスクガイド機構
JPH09128859A (ja) * 1995-10-30 1997-05-16 Alpine Electron Inc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1505A (ja) * 1990-12-28 1993-04-23 Alpine Electron Inc デイスクプレーヤにおけるデイスクガイド機構
JPH09128859A (ja) * 1995-10-30 1997-05-16 Alpine Electron Inc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860A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1176A (en) Apparatus for carrying out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ignals for disk-shaped recording medium
KR100433415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US8302114B2 (en) Disk apparatus with carrying unit having arms
KR10043711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EP0747898B1 (en) Loading apparatus of memory medium and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apparatus
US6944871B2 (en) Disc device for receiving either cartridge or medium without a cartridge
KR100886912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격방지 구조체
US7287263B2 (en) Disc apparatus
KR100886911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치우침 방지 구조체
KR100886913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램핑 구조체
KR100886910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감지 및 인식 구조체
US7437745B2 (en) Disc roller position-changing apparatus and disc player having the same
US6646973B2 (en) Disk device having disk transferring mechanism capable of shortening disk replacement time
US7302695B2 (en) Slot-in type optical disk player
US20010012259A1 (en) Disk driving apparatus
US8074236B2 (en) Disk driv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395543B2 (en) Disc chucking apparatus and disc player having the same
KR100461297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JP2004103194A (ja) 磁気ヘッド昇降制御装置
KR101513436B1 (ko) 디스크 로딩장치
KR970000914B1 (ko) 카형 멀티 씨디 플레이어
KR0155772B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
JP3717677B2 (ja) 情報記録媒体駆動装置
JP3596803B2 (ja) 情報記録媒体駆動装置
JP3429817B2 (ja) オートチェンジャ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