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056B1 -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056B1
KR960012056B1 KR1019890004079A KR890004079A KR960012056B1 KR 960012056 B1 KR960012056 B1 KR 960012056B1 KR 1019890004079 A KR1019890004079 A KR 1019890004079A KR 890004079 A KR890004079 A KR 890004079A KR 960012056 B1 KR960012056 B1 KR 960012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electrode
gate
impurity region
semiconductor substrate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417A (ko
Inventor
기요미 나루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1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123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 H01L21/2815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part or whole of the electrode is a sidewall spacer or made by a similar technique, e.g. transformation under mask, p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7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ng layer, e.g. the length, the sectional shape or the lay-out
    • H01L29/4237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ng layer, e.g. the length, the sectional shape or the lay-out characterised by the length or the sectional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1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multiple gat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01L29/7881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only two possible levels of programmation
    • H01L29/7884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only two possible levels of programmation charging by hot carrier injection
    • H01L29/7885Hot carrier injection from the channe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Exel형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Seeq형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한 블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와 종래의 Exel형 반도체기억장치에 대한 비선택셀의 셀전류를 측정한 측정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01,301,401 : 반도체기판 102,202,302,408 : 제1불순물영역
103,203,303,412 : 제2불순물영역 104,204,304 : 채널영역
105,305 : 제1게이트절연막 106,206,306 : 제1게이트전극
107,207,307 : 층간 절연막 108,208,308 : 제2게이트전극
109 : 측벽 절연막 110,309 : 제2게이트절연막
111 : 제3게이트전극 205 : 게이트절연막
402 : 희생산화막 403 : 채널이온
404 : 제1게이트산화막 405 : 제1폴리실리콘전극
406 : 층간 폴리실리콘산화막 407 : 제2폴리실리콘전극
409 : 제2게이트산화막 410 : 측벽 폴리실리콘산화막
411 : 제3폴리실리콘전극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 특히 일괄소거형 EEPROM의 셀 구조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종래,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로서는 2층의 게이트전극구조를 갖춘 일괄소거형 EEPROM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류의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로는 Exel형과 Seeq형의 2종류가 알려져 있다.
(1) Exel형의 장치
제2도는 종래의 Exel형 불휘발성 반도제 기억장치의 1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반도체기판(201)의 표면에 제1불순물영역(202; 드레인)과 제2불순물영역(203; 소오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영역의 사이가 채널영역(204)으로 된다. 이 채널영역(204)의 윗쪽에는 게이트절연막(205)을 매개하여 제1게이트전극(206)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 층간 절연막(207)을 매개하여 제2게이트전극(208)이 형성되어 있다. 제 1게이트전극(206)은 전하캐리어를 축적하기 위한 플로팅게이트(floating gate)이며, 제 2 게이트전극(208)은 기억소자로서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게이트이다.
이 Exel형의 장치에 있어서, 기입(charge)동작은 통상적인 EPROM과 마찬가지로 제2불순물영역(203)에 0V를 인가하고, 제2게이트전극(208)과 제1불순물영역(202)에 각각 정(正)의 전압을 인가하여 채널 열전자(channel hot electron)를 발생시키고, 이를 플로팅게이트로서의 제1게이트전극(206)에 주입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소거(discharge)동작은 제 1불순물영역(202)을 플로팅상태로 하고, 제 2 게이트전극(208)에 0V를 인가하며, 제2불순물영역(203)에 정의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제1게이트전극(206)내에 축적되어 있던 전자가 제2불순물영역(203)으로 인출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현상은 파울러 노드하임 터널현상(Fowler-Nordheim tunnel 現象 ; 이하, FN터널현상이라 칭함)으로서 알려져 있다.
(2) Seeq형의 장치
제3도는 종래의 Seeq형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의 1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반도체기판(301)의 표면에 제1불순물영역(302; 드레인) 및 제2불순물영역(303; 소오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영역의 사이가 채널영역(304)으로 된다. 이 채널영역(304)의 윗쪽에는 게이트절연막(305)을 매개하여 제1게이트전극(306)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는 층간 절연막(307)을 매개하여 제2게이트전극(30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게이트전극(308)의 일부분(도면에서 왼쪽부분)은 제2게이트절연막(309)을 매개하여 반도체기판(301)상에 연장·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게이트전극(306)이 전하캐리어를 측정하기 위한 플로팅게이트인 점은 상기 Exel형과 동일하다.
이 Seeq형의 특징은, 제2게이트전극(308)의 오른쪽 부분이 기억소자로서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게이트로서의 동작을 함과 더불어 그 왼쪽부분이 셀을 선택하는 선택게이트로서의 동작을 한다는 점이다. 이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Seeq형의 장치에 있어서, 기입동작은 상기 Exel형과 동일하다. 그리고, 소거동작은 제2불순물영역(303)을 플로팅상태로 하고, 제2게이트전극(308)에 0V를 인가하며, 제1물순물영역(302)에 정의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제1게이트전극(306)내에 측정되어 있던 전자가 FN터널현상에 의하여 제1불순물영역(302)으로 인출됨으로써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한 2종류의 반도체 기억장치에는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Exel형의 장치
Exel형의 장치는, 일반적으로 단위셀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고집적화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과소거(over erase)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소거동작시에 플로팅게이트로부터 전자가 과다하게 인출됨으로써 제어게이트에서 본 셀트렌지스터의 문턱전압이 부(負)로 되어 버리는 현상이다. 이와 같이 문턱전압이 부로 된 셀에서는 독출시에 선택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전류가 쉽게 흐르게 된다. 따라서, 독출 동작시에는 선택된 셀의 전류에 비선택셀의 전류가 혼입되어 선택된 셀의 기억상태를 정확하게 독출할 수 없게 된다.
(2) Seeq형의 장치
Seeq형의 장치에서는, 상술한 과소거를 위한 대책이 강구되어 있다.
즉,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게이트전극(308)의 왼쪽부분은 제2게이트절연막(309)을 매개하여 채널영역(304)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선택게이트로서 기능한다. 즉, 과소거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독출동작시에는 비선택셀의 제2게이트전극(308)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비선택셀에서는 제2게이트절연막(309)바로 아래의 채널이 페쇄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항시 선택된 셀의 전류만을 관측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독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 Seeq형의 장치에는 다른 문제가 있다. 즉, 제3도에 나타낸 게이트구조에 있어서 그 오른쪽부분은 제1게이트전극(306)과 제2게이트전극(308)의 2층 구조로 되어 있고, 왼쪽부분은 제2게이트전극(308)만의 1층 구조로 되어 있다. 더구나 제2게이트전극(308)은 오른쪽부분과 왼쪽부분에서 층위치가 다르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자기 정합적으로 엣칭에 의해 구성하는 것은 현재의 기술로는 대단히 곤란하다. 자기정합적인 엣칭을 할 수 없게 되면, 마스크정합 오차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고정밀도의 가공은 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셀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으므로 미세화, 고집적화를 도모할 수 없게 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과소거에 의한 독출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고집적화를 도모할 수 있는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는, 반도체기판과 ; 이 반도체기판의 표면에 형성되면서 반도체기판과는 역전도형인 제1불순물영역 및 제2불순물영역 ; 반도체기판상의 양 불순물영역 사이에 제1게이트절연막을 매개하여 형성된 제1게이트전극 ; 이 제1게이트전극상에 층간 절연막을 매개하여 형성된 제2게이트전극 및 ; 제1게이트전극 및 제2게이트전극의 측벽에 측벽 절연막을 매개하여 형성되고, 또 반도체기판상에 제2게이트절연막을 매개하여 형성된 제3게이트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의 동작방법은, 기입동작시에는 제2게이트전극, 제3게이트전극 및 제1불순물영역에 각각 동일한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제1게이트전극에 채널 열캐리어(channel hot carrier)를 주입하고, 소거동작시에는 제1불순물영역에 상기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제1게이트전극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캐리어를 제1게이트절연막을 통해 인출하며, 독출동작시에는 제3게이트전극에 상기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고 제2게이트전극과 상기 제1불순물영역에는 각각 상기 기입동작시 보다도 낮은 상기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제1게이트전극 아래의 반도체기판 표면에서의 채널형성의 유무를 조사함으로써 제1게이트전극내의 전하캐리어의 유무를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상에 제1게이트절연막, 제1게이트전극, 층간 절연막, 제 2 게이트전극을 각각 이 순서대로 층모양으로 형성하는 제1단계의, 상기 제 1단계에서 형성한 각 층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1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반도체기판상의 제1단계에서 형성한 각 층의 주위에 제2게이트절연막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한 각 층의 측벽에 측벽 절연막을 형성하는 제4단계, 제2게이트절연막 및 측벽 절연막의 일부분상에 제3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제5단계 및, 제3게이트전극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2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작용)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에서는, 제3게이트전극을 선택게이트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즉, 과소거가 발생한 경우에도 비선택셀에 흐르는 전류는 선택게이트에 의해 차단되어 선택셀에 흐르는 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선택셀에 대한 정확한 독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에서는, 플로팅게이트전극으로 사용되는 제1게이트전극과 제어게이트전극으로 사용되는 제2게이트전극을 2층구조로 하고, 이들의 측벽에 선택게이트로 사용되는 제3게이트전극을 형성했기 때문에, 각 전극을 자기정합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어 미세화, 고집적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장치의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의 단면도이다. 반도체기판(101)의 표면에는 제1불순물영역(102; 드레인) 및 제2불순물영역(103; 소오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불순물영역의 사이가 채널영역(104)으로 되어 있다. 이 채널영역(104)의 윗쪽에는 제1게이트절연막(105), 제1게이트전극(106), 층간 절연막(107) 및 제2게이트전극(l08)으로 이루어진 적층체(積層體)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적층체의 측벽에는 측벽 절연막(109a,109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반도체기판(101)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게이트절연막(110a, 110b)과 연결되어 있다. 측벽 절연막(109a,109b)의 측벽 및 제2게이트절연막(110a, 110b)의 상부에는 제 3 게이트전극(111a, 111b)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도체기판(101)은 실리콘기판, 각 절연막은 실리콘산화막, 각 게이트전극은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이 실시예에 나타낸 전극(111b)은 없어도 무방하다. 3개의 게이트전극중에서 제1게이트전극(106)은 전하를 축적하기 위한 플로팅게이트전극, 제2게이트전극(108)은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로서의 기입, 소거, 독출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게이트전극, 제3게이트전극(111a)은 셀을 선택하는 선택게이트전극으로서 각각 동작한다.
(장치의 동작)
이어서, 제1도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블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1) 기입동작
기입동작시에는 제2게이트전극(108), 제3게이트전극(11la) 및 제1불순물영역(102)에 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1게이트전극(106)에 채널 열캐리어가 주입되어, 기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2) 소거동작
소거동작시에는, 제1불순물영역(102)에 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제1게이트전극(106)내의 전하캐리어를 제1게이트절연막(105)을 통하여 제1불순물영역(102)으로 인출한다. 이는 FN터널현상을 이용한 인출이다.
(3) 독출동작
독출동작시에는, 제 3 게이트전극(111a)에 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제 2 게이트전극(108)과 제 1불순물영역(102)에는 각각 기입동작시 보다 낮은 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 상태에서 제1게이트전극(106) 아래의 채널형성의 유무를 조사함으로써 제1게이트전극(106)내의 전하캐리어의 유무를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3가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가전압의 구체적인 일예를 다음의 표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장치의 제조방법)
이어서, 제1도에 나타낸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의 제조방법을 제4도의 공정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제4도(a)에 나타낸 공정
결정방향이 (100)이고 저항률이 100Ω·cm인 P형 실리콘기판(401) 위에 통상적인 LOCOS법을 이용하여 필드산화막(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형성하고, 이 필드산화막으로 둘러쌓인 부분을 소자영역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실리콘기판(401)의 표면에 열산화법을 이용하여 희생산화막(402)을 약 1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어서, 이 희생산화막(402)을 통하여 문턱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채널이온(403)을 주입한다.
(2) 제4도(b)에 나타낸 공정
희생산화막(402)을 NH4F용액을 이용하여 엣칭·제거하고, 열산화법을 이용하여 제1게이트산화막(404)을 15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어서, 이 게이트산화막(404) 위에 LPCVD법을 이용하여 제1폴리실리콘전극(405)을 약 4000Å의 두께로 퇴적시키고, 이 제1폴리실리콘전극(405)내로 POC13의 기상확산법을 이용하여 인(P)을 확산시키며, 소정의 레지스트 패터닝(resist pattening) 및 엣칭을 행하여 셀슬릿(cell slit,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형성한다. 그리고 열산화법을 이용하여 층간 폴리실리콘산화막(406)을 300Å정도의 두께로 형성한 다음, 그 위에 LPCVD법을 이용하여 제2폴리실리콘전극(407)을 약 400Å 정도의 두께로 퇴적시키고, 이 제2폴리실리콘전극(407)내로 POCl3의 기상확산법을 이용하여 인을 확산시킨다.
(3) 제4도(c)에 나타낸 공정
제1폴리실리콘전극(405), 층간 폴리실리콘산화막(406) 및 제2폴리실리콘전극(407)의 각 층에 대해서 레지스트 패터닝 및 이방성(異方性) 엣칭을 행하여 셀로 사용될 부분만을 남긴다. 더욱이 레지스트 패터닝을 행한 후, 비소(As)이온을 40KeV, 1×1014cm-2의 조건으로 실리콘기판(401)에 이온주입하여 제1불순물영역(408)을 형성한다. 이어서, 열산화법을 이용하여 두께가 150Å인 제2게이트산화막(409) 및 두께가 300Å인 측벽 폴리실리콘산화막(410)을 동시에 형성한다. 더욱이, LPCVD법을 이용하여 제3폴리실리콘전극(411)을 퇴적시키고, 이것에 인을 열화산시킨다.
(4) 제4도(d)에 나타낸 공정
제3폴리실리콘전극(411)을 전면 이방성 엣칭에 의해 엣칭제거하여 제1폴리실리콘전극(405) 및 제2폴리실리콘전극(407)의 적층부분의 측벽에 대응하는 제3폴리실리콘전극(41la,411b) 부분만을 남긴다. 여기서, 전극(411b)은 이후 레지스터 패터닝과 폴리실리콘 엣칭에 의해 제거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레지스트 패터닝을 행한 후 비소이온을 40KeV, 5×1015cm-2의 조건으로 실리콘기판(401)의 표면에 이온주입하여 제2불순물영역(412)을 형성한다. 이때, 이상의 공정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제1불순물영역(408)내의 불순물이 열화산되므로, 제 1불순물영역(408)은 게이트방향(도면의 왼쪽방향)으로 확장되게 된다.
이후,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 접촉구멍(contact hole), 알미늄 배선층의 퇴적 및 패터닝, 보호층의 퇴적 등의 제공정을 거쳐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가 완성된다.
(실시예의 효과)
제5도는 소거동작후에 비선택셀에 흐로는 셀전류의 실측치와 소거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이 그래프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조된 반도체 기억장치와 종래의 Excel형 반도체 기억장치를 대비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거시간이 10-2sec 이상으로 되면 종래의 Excel형 반도체 기억장치에서는 비선택셀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에서는 비선택셀전류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거시간이 길어지면 과소거가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의 Excel형 반도체 기억장치에서는 과소거 때문에 독출시에 비선택셀에도 전류가 흐르게 되지만, 본 발명의 반도체 기억장치에서는 제3게이트전극의 게이트기능에 의해 비선택셀의 전류가 차단되게 된다.
또한, 제4도의 공정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게이트전극은 자기정합적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Seeq형 반도체 기억장치에 비하여 미세화, 고집적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수치로 비교하면, 종래의 Seeq형 반도체 기억장치에서는 1셀당 44μm2정도의 면적이 필요했지만, 본 발명의 반도체 기억장치에서는 그 60% 정도의 면적이 필요하게 되어 종래의 Excel형 반도체 기억장치와 거의 동등한 미소한 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의 각 구성요소에 병기한 참조부호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할 의도로 병기한 것은 아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에서는, 제3게이트전극을 선택게이트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과소거가 발생한 경우에도 비선택셀에 흐르는 전류를 이 선택게이트에 의해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선택셀에 대한 정한한 독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플로팅게이트전극으로서 사용되는 제1게이트전극과 제어게이트전극으로서 사용되는 제2게이트전극을 2층 구조로 하고, 이들의 측벽에 제3게이트전극을 형성했기 때문에, 각 전극을 자기정합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어 미세화, 고집적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반도체기판(101)과 ; 이 반도체기판(101)의 표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반도체기판(101)과는 역도전형인 제1불순물영역(102) 및 제2불순물영역(103) ; 상기 반도체기판(101)상의 상기 양 불순물영역(102,103) 사이에 제1게이트질연막(105)을 매개하여 형성된 제1게이트전극(106) ; 이 제1게이트전극(l06)상에 층간 절연막(107)을 매개하여 형성된 제2게이트전극(108) 및 ; 상기 제1게이트전극(106) 및 제2게이트전극(108)의 측벽에 측벽 절연막(109a,109b)을 매개하여 형성되고, 또 상기 반도체기판(l01)상에 제2게이트절연막(110a,110b)을 매개하어 형성된 제3게이트전극(111a,111b)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
  2. 기입동작시에는 상기 제2게이트전극(108), 제3게이트전극(11la) 및 제1불순물영역(102)에 각각 동일한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제1게이트전극(106)에 채널 열캐리어를 주입하고, 소거동작시에는 제1불순물영역(102)에 상기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게이트전극(106)에 측정되어 있는 전하캐리어를 상기 제1게이트절연막(105)을 통해 인출하며, 독출동작시에는 상기 제3게이트전극(111a)에 상기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게이트전극(108)과 제1불순물영역(102)에는 각각 상기 기입 동작시보다 낮은 상기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게이트전극(106) 아래의 반도체기판(10l) 표면에서의 채널형성의 유무를 조사함으로써 상기 제1게이트전극(106)내의 전하캐리어의 유무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반도체 기억장치의 동작방법.
  3. 반도체기판(101)상에 제1게이트절연막(105), 제1게이트전극(106), 층간 절연막(107), 제 2 게이트전극(108)을 각각 이 순서대로 층모양으로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한 각 층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1불순물영역(102)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반도체기판(101)상의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한 각 층의 주위에 제2게이트절연막(110a,110b)을 형성하고,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한 각 층의 측벽에 측벽 절연막(109a,109b)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제2게이트절연막(110a,110b) 및 측벽 절연막(109a,109b)의 일부분상에 제 3 게이트전극(111a,111b)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3 게이트전극(11la,111b)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2불순물영역(103)을 형성하는 제5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의 제조방법.
  4. 제l항에 있어서, 제1불순물영역(102)의 불순물농도가 제2불순물영역(103)의 불순물농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
KR1019890004079A 1988-03-30 1989-03-30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KR960012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77671A JPH01248670A (ja) 1988-03-30 1988-03-30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ならびにその動作方法および製造方法
JP63-77671 1988-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417A KR890015417A (ko) 1989-10-30
KR960012056B1 true KR960012056B1 (ko) 1996-09-11

Family

ID=1364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079A KR960012056B1 (ko) 1988-03-30 1989-03-30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35395B1 (ko)
JP (1) JPH01248670A (ko)
KR (1) KR960012056B1 (ko)
DE (1) DE6891629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7719B2 (ja) * 1989-07-31 1997-04-09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2598523B2 (ja) * 1989-09-20 1997-04-09 三星電子株式會社 不揮発性の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063172A (en) * 1990-06-28 1991-11-05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anufacture of a split-gate EPROM cell using polysilicon spacers
DE69131032T2 (de) * 1990-06-28 1999-10-21 Nat Semiconductor Corp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PROM-Zelle mit geteiltem Gate und mit Polysilizium-Abstandhaltern
US5115288A (en) * 1990-06-28 1992-05-1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plit-gate EPROM cell using polysilicon spacers
US5108939A (en) * 1990-10-16 1992-04-28 National Semiconductor Corp. Method of making a non-volatile memory cell utilizing polycrystalline silicon spacer tunnel region
EP0517353B1 (en) * 1991-06-07 1997-05-14 Sharp Kabushiki Kaisha Non-volatile memory
US5268585A (en) * 1991-07-01 1993-12-07 Sharp Kabushiki Kaisha Non-volatile memo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32092B (ko) * 1991-07-01 1994-10-11 Sharp Kk
US5284784A (en) * 1991-10-02 1994-02-0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Buried bit-line source-side injection flash memory cell
US5910912A (en) * 1992-10-30 1999-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ash EEPROM with dual-sidewall gate
US5471422A (en) * 1994-04-11 1995-11-28 Motorola, Inc. EEPROM cell with isolation transistor and methods for making and operating the same
JP2658907B2 (ja) * 1994-09-29 1997-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62451B1 (en) 1997-03-13 2001-07-17 Motorola, Inc. Electrode structure for transistors, non-volatile memories and the like
KR100448086B1 (ko) * 1997-05-23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메모리장치및그제조방법
JP4488565B2 (ja) * 1999-12-03 2010-06-2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TW527652B (en) * 2002-02-06 2003-04-11 Taiwan Semiconductor Mfg Manufacturing method of selection gate for the split gate flash memory cell and its structure
US6710416B1 (en) * 2003-05-16 2004-03-23 Agere Systems Inc. Split-gate metal-oxide-semiconductor device
KR100598107B1 (ko) * 2004-09-21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0614644B1 (ko) * 2004-12-30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기억소자, 그 제조방법 및 동작 방법
US8470670B2 (en) 2009-09-23 2013-06-25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for making semicondu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9196A (en) * 1977-06-29 1978-07-04 Intel Corporation Triple layer polysilicon cell
JPS6046554B2 (ja) * 1978-12-14 1985-10-1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素子及び記憶回路
JPH0715973B2 (ja) * 1984-11-29 1995-02-22 新技術事業団 半導体不揮発性メモリ
JPS61148863A (ja) * 1984-12-24 1986-07-07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4754320A (en) * 1985-02-25 1988-06-28 Kabushiki Kaisha Toshiba EEPROM with sidewall control gate
JPS6288368A (ja) * 1985-10-15 1987-04-22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半導体不揮発性メモリ
JPS6352478A (ja) * 1986-08-22 1988-03-05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35395A3 (en) 1990-07-25
EP0335395A2 (en) 1989-10-04
DE68916297D1 (de) 1994-07-28
DE68916297T2 (de) 1994-11-24
JPH01248670A (ja) 1989-10-04
KR890015417A (ko) 1989-10-30
EP0335395B1 (en) 199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056B1 (ko)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KR100207504B1 (ko) 불휘발성 메모리소자, 그 제조방법 및 구동방법
US5099297A (en) EEPROM cell structure and architecture with programming and erase terminals shared between several cells
KR100430743B1 (ko) 스플릿게이트형트랜지스터,스플릿게이트형트랜지스터의제조방법,및불휘발성반도체메모리
US5303185A (en) EEPROM cell structure and architecture with increased capacitance and with programming and erase terminals shared between several cells
EP0044384B1 (en) Electrically alterable read only memory cell
US5150179A (en) Diffusionless source/drain conductor electrically-erasable, electrically-programmable read-only memory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6212103B1 (en) Method for operating flash memory
EP0045578A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30094497A (ko) 실리콘-옥사이드-나이트라이드-옥사이드-실리콘 게이트구조를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셀 및 그 제조 방법
JPH0567791A (ja) 電気的に書込および消去可能な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83855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70035A (ko)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111269A1 (en) Semiconductor memory with nonvolatile memory cell array and semiconductor device with nonvolatile memory cell array and logic device
EP0618621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460020B1 (ko) 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어레이및불휘발성반도체메모리
US7528438B2 (en) Non-volatile memory including assist gate
US6235602B1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5686749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thin film transistor formed on a separation insulating film adjacent to a memory cell,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5134449A (en) Nonvolatile memory cell with field-plate switch
JPH07244991A (ja) 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型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H05226662A (ja) 半導体記憶装置
US695596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volatile read only memory
KR100267870B1 (ko)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와 그의 구동방법 및 제조방법
JP3405567B2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