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086B1 - 비휘발성메모리장치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휘발성메모리장치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086B1
KR100448086B1 KR1019970020185A KR19970020185A KR100448086B1 KR 100448086 B1 KR100448086 B1 KR 100448086B1 KR 1019970020185 A KR1019970020185 A KR 1019970020185A KR 19970020185 A KR19970020185 A KR 19970020185A KR 100448086 B1 KR100448086 B1 KR 100448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layer
semiconductor substrate
conductive layer
memo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399A (ko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2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086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1/35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387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389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Group 12/16 materials
    • H01L21/02403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 H01L21/225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using diffusion into or out of a solid from or into a solid phase, e.g. a doped oxide layer
    • H01L21/2251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252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using predeposition of impurities into the semiconductor surface, e.g. from a gaseous phase
    • H01L21/2253Diffusion into or out of group IV semiconductors using predeposition of impurities into the semiconductor surface, e.g. from a gaseous phase by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055Deposition of semiconductive layers, e.g. poly - or amorphous silicon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택 게이트형 EPROM의 셀의 게이트 외측벽에 반도체 기판과 반대의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된 사이드 스페이스 및 상기 드레인 접합층과 게이트 하부 사이에 오프 채널 영역을 추가하여 형성시킨 메모리 셀과, 상기 사이드 스페이서와 동일한 구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한 로직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단일 공정에 의해 상기 메모리 셀과 로직 트랜지스터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조 공정이 보다 단순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을 NOR FLASH EPROM 셀에 적용시킬 경우 데이터 재생시 과소거(over erase) 셀이 존재한다면 메모리 셀의 사이드 스페이서 하부에 셀 게이트와 드레인 접합층이 이격되는 오프 채널영역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과소거(over erase) 되지 않는 메모리 셀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휘발성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리 셀의 게이트 측벽에 도전형 층인 사이드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하부와 드레인 접합층 사이에 오프 채널 영역을 형성하여 프로그램시 스택 게이트형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발생되는 드레인 턴온(drain turn-on) 및 드레인 디스터브 현상(drain disturb)을 제어시킬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택 게이트형 EPROM(Eras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셀은 채널 열전자 주입(Channel Hot Electron Injection) 방법에 의해 프로그램된다.
도 1 은 통상적인 스택 게이트형 EPROM의 셀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위드라인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비트 라인이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연결되고, 접지에 상기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이 연결된 메모리 셀을 복수 개로 구성한다. 여기서, A 는 메모리의 단위 셀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셀의 수직 단면도로서, 도 2 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 내에 p형 웰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 상부에 게이트 산화막을 160Å 두께로 형성한다. 그리고, 폴리 실리콘을 1500Å 도포하여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 상부에 산화막, 질화막 및 산화막으로 적층된 ONO막을 200Å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ONO 막 상부에 폴리 실리콘 및 텅스텐 실리사이드를 순서적으로 각각 1500Å를 도포하여 제어 게이트를 형성한다. 그 다음 한 개의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순서적으로 적층된 제어 게이트, ONO막 및 플로팅 게이트를 셀프 얼라인 방법에 의해 스택 게이트를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택 게이트를 마스트로하여 n+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소스 및 드레인 접합층을 형성하고, 드라이브 인(drive-in) 방법에 의해 상기 접합층들과 게이트를 오버랩시킨다. 이후 일련의 제조 방법을 거쳐 스택 게이트형 EPROM의 셀을 완성한다.
도 3 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셀의 프로그램 동작시 바이어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할 경우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 내의 전하를 소거할 경우 플로팅 게이트는 1∼2V의 문턱전압을 가지게 된다. 이때, 게이트에 12V, 드레인에 6V를 인가할 경우 셀 전류에 의해 발생된 열전자(hot eletron)가 게이트 전자 영역에 의해 상기 플로팅 게이트로 주입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된 전하량만큼 문턱전압이 증가되어 최종적으로 7∼8V의 문턱전압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하는 스택 게이트형 EPROM은 프로그램시 선택 비트라인에 대응하는 비선택 워드라인 셀들은 드레인에 인가된 전압이 플로팅 게이트로 인가된다. 이때 인가된 전압이 소거시 문턱전압보다 클 경우 비선택된 셀을 턴온시켜 프로그램되지 않는 셀을 통해 전류가 소모되어 선택 셀이 프로그램되지 않는 드레인 턴온(drain turn-on)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스택 게이트형 EPROM은 비선택 셀이 프로그램되어 있는 경우 드레인 전압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내의 전자가 드레인 접합층으로 F-N(Fowler-Nordheim) tunneling 하여 상기 비선택 셀의 문턱전압이 낮아지는 드레인 디스터브 현상(drain disturb)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스택 게이트형 EPROM은 프로그램시 상기에서 기술된 드레인 턴온(drain turn-on) 현상 및 드레인 디스터브(drain disturb) 현상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메모리 셀의 게이트 외측벽에 반도체 기판과 반대의 도전형 불순물로 도핑된 사이드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에 드레인 접합층을 오버랩하지 않고 상기 드레인 접합층과 게이트 하부 사이에 오프 채널 영역을 형성하여 메모리 셀을 안정되게 프로그램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비휘발성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장치를 구성하는 단위 셀은 소자간을 분리하기 위해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 상기 필드 산화막 사이의 반도체 기판 상부에 형성된 제 1 절연막; 상기 절연막 상부에 제 1 도전층, 제 2 절연막 및 제 2 도전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게이트; 상기 제 1 절연막과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의 측벽 및 상부를 둘러싼 제 3 절연막; 상기 제 3 절연막 측벽에 형성된 사이드 스페이서;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서 상기 게이트 하부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된 소스 접합층;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서 상기 게이트 하부와의 오프 채널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 스페이서 하부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된 드레인 접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소자간을 분리하기 위해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 상기 필드 산화막 사이의 반도체 기한 상부에 형성된 제 1 절연막; 상기 절연막 상부에 제 1 도전층, 제 2 절연막 및 제 2 도전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게이트; 상기 제 1 절연막과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의 측벽 및 상부를 둘러싼 제 3 절연막; 상기 제 3 절연막 측벽에 형성된 사이드 스페이서;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서 상기 게이트 하부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된 소스 접합층;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서 상기 게이트 하부와의 오프 채널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 스페이서 하부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된 드레인 접합층을 구비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셀과 로직 트랜지스터를 동시에 가지는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직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 및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와, 상기 절연막 하부의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된 소스 접합층 및 드레인 접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메모리 셀과 로직 트랜지스터를 동시에 가지는 비휘발성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에 일련의 제조 공정을 거쳐 소자간을 분리하는 필드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드 산화막 사이의 반도체 기판 상부에 제 1 절연막, 제 1 도전층, 제 2 절연막 및 제 2 도전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사진 및 식각 공정을 거쳐 상기 제 2 도전층으로부터 상기 제 1 도전층까지 식각하여 메모리 셀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로직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형성하기 위한 불순물을 이온 주입한 후, 로직 트랜지스터의 제 1 절연막을 식각하는 단계; 반도체 기판과 반대의 도전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메모리 셀의 소스 접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 상부에 제 3 절연막 및 제 3 도전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사진 및 식각 공정에 의해 상기 제 3 도전층을 식각하여 메모리 셀의 게이트를 둘러싼 제 3 절연막의 외측벽에 사이드 스페이스와 로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에 상기 반도체 기판과 반대의 도전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메모리 셀의 드레인 접합층과 로직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접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의 불순물을 드라이브 인 방법에 의해 메모리 셀에서는 반도체 기판 내에 오프 채널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로직 트랜지스터에서는 상기 로직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접합층과 게이트가 오버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의 셀과 로직 트랜지스터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로서, 상기 메모리를 구성하는 단위 셀은 반도체 기판(2) 내에 형성된 소자간 분리를 위한 필드 산화막(4) 및 상기 필드 산화막(4) 사이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부에 형성된 제 1 절연막인 게이트 산화막(6)과, 상기 게이트 산화막(6) 상부에 제 1 도전층인 플로팅 게이트(8a), 제 2 절연막인 ONO막(8b) 및 제 2 도전층인 제어 게이트(8c)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메모리메모리 셀 게이트(8)와, 상기 게이트 산화막(6)과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 셀 게이트(8)의 측벽 및 상부를 둘러싼 제 3 절연막(18)과, 상기 게이트 산화막(6) 상부와 상기 제 3 절연막(18) 외측벽에 형성된 사이드 스페이서(28)와, 상기 반도체 기판(2) 내에서 상기 메모리 셀 게이트(8) 하부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된 고농도 및 저농도 소스 접합층(20,22)과, 상기 고농도 및 저농도 소스 접합층(20,22)과 소정 거리 떨어진 지점의 상기 반도체 기판(2) 내에서 상기 메모리 셀 게이트(8) 하부와의 오프 채널영역(38)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 스페이서(28) 하부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된 드레인 접합층(32)으로 구성된다.
또한, 로직 트랜지스터는 상기 반도체 기판(2)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4) 및 게이트 절연막(18)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18) 상부에 형성된 로직 게이트(30)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18) 하부의 반도체 기판(2) 내에 형성된 소스 접합층(34) 및 드레인 접합층(36)으로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13 은 도 4 에 도시된 메모리 셀과 로직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모리 셀과 로직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5 내지 도 6 과 같이 일련의 제조 공정을 거쳐 p형 반도체 기판(2)에 필드 산화막(4) 및 제 1 절연막인 게이트 산화막(6)을 형성하고, 이어 상기 결과물 상부에 제 1 도전층인 플로팅 게이트(8a), 제 2 절연막인 ONO막(8b) 및 제 2 도전층인 제어 게이트(8c)를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결과물 상부면에 메모리 셀 게이트(8)를 형성하기 위한 포토 레지스트(10)를 도포한 후, 식각 공정을 거쳐 상기 제어 게이트(8c)부터 상기 플로팅 게이트(8a)까지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메모리 셀 게이트(8)를 형성한다.
도 7 과 같이 메모리 셀의 상부면 만을 포토 레지스트(12)로 도포하고, 상기 결과물에 로직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형성하기 위한 불순물을 이온 주입한 후, 로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6)을 제거한다.
그 다음 도 8 과 같이 메모리 셀의 소스 영역을 제외한 상기 결과물에 포토 레지스트(14)를 도포하고, n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한다. 이때, 저농도 불순물인 Ph와 고농도 불순물인 As 이온들을 동시에 이온 주입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2) 내에 AS가 도핑된 고농도의 소스 접합층(20)과 Ph가 도핑된 저농도의 소스 접합층(22)을 형성하여 DDD(Double Diffused Drain) 구조를 제조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상기 불순물 이온들을 확산시켜 DDD 구조를 가지는 상기 고농도 및 저농도의 소스 접합층들(20,22)이 상기 메모리 셀 게이트(8)에 0.1∼0.3㎛ 정도로 오버랩되도록 한다. 이어 상기 메모리 셀 게이트(8) 상부면과 로직 트랜지스터 전면에 제 3 절연막(18)을 900℃∼1000℃ 내외에서 100Å∼1000Å 정도로 성장시킨다.
도 10 과 같이 상기 결과물 상부 전면에 제 3 도전층(24)을 500Å∼3000Å 정도로 형성하고, 도 11 과 같이 로직 게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포토 레지스트(16)를 상기 결과물 상부에 도포한다.
그리고, 도 12 와 같이 상기 결과물은 이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 상기 제 3 도전층(24)이 식각되어 메모리 셀의 상기 제 3 절연막(18)의 외측벽에 사이드 스페이서(28)를 형성하고, 동시에 로직 트랜지스터의 로직 게이트(3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3 도전층(24)의 식각 공정시 상기 제 3 절연막(18)은 식각 정지 물질로 사용된다.
도 13 과 같이 상기 결과물에 n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메모리 셀의 드레인 접합층(32)을 형성하고, 동시에 로직 트랜지스터의 소스 접합층(34) 및 드레인 접합층(36)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결과물에 도핑된 불순물은 드라이브 인(drive-in) 방법에 의해 상기 반도체 기판(2) 내에 상기 사이드 스페이서(28)와 메모리 셀 게이트(8) 사이에 오프 채널영역(38)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오프 채널영역(38)의 거리는 0.1∼0.5㎛ 정도로 한다. 그 다음 상기 로직 트랜지스터의 상기 소스 접합층(34) 및 드레인 접합층(36)의 불순물 이온들을 확산시켜 상기 로직 게이트(30)와 상기 소스 접합층(34) 및 드레인 접합층(36)이 오버랩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메모리 셀의 사이드 스페이서(28)와 로직 트랜지스터의 로직 게이트(30)를 구성하는 물질이 동일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메모리 셀 게이트(8)를 구성하는 제 1 도전층(8a), 제 2 도전층(8c)과 상기 사이드 스페이서(28)는 동일한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을 사용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메모리 셀의 드레인 접합층이 상기 사이드 스페이스 하부를 감싸면서 상기 메모리 셀 게이트와 이격되는 오프 채널 영역 및 상기 메모리 셀 게이트의 측벽과 드레인 접합층 상부 사이에 도전체층인 사이드 스페이서가 형성되기 때문에 비선택 셀의 드레인 전압에 의해 프로그램 셀의 전류가 소모되는 드레인 턴온(drain turn-on) 현상 및 비선택 셀의 문턱전압이 낮아지는 드레인 디스터브 현상(drain disturb)을 미연에 방지한다.
본 발명은 메모리장치의 메모리 셀과 로직 트랜지스터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보다 단순해진다. 더욱이, 본 발명을 NOR FLASH EPROM 셀에 적용시킬 경우 데이터 재생시 과소거(over erase) 셀이 존재하더라도 사이드 스페이스 하부에 셀 게이트와 드레인 접합층이 이격되는 오프 채널영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과소거(over erase) 되지 않는 메모리 셀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통상적인 정보의 기록 내지 소거가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셀의 수직 단면도.
도 3 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셀의 프로그램 동작시 바이어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의 셀과 로직 트랜지스터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5 내지 도 13 은 도 4 에 도시된 메모리 셀과 로직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도면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반도체 기판 4: 필드 산화막
6: 게이트 산화막 8: 메모리 셀 게이트
10,12,14,16,26: 포토 레지스트 18: 제 3 절연막
20: 고농도 소스 접합층 22: 저농도 소스 접합층
24: 제 3 도전층 28: 사이드 스페이서
30: 로직 게이트 32,36: 드레인 접합층
34: 소스 접합층

Claims (9)

  1. 비휘발성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장치를 구성하는 단위 셀은 소자간을 분리하기 위해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 상기 필드 산화막 사이의 반도체 기판 상부에 형성된 제 1 절연막; 상기 절연막 상부에 제 1 도전층, 제 2 절연막 및 제 2 도전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게이트; 상기 제 1 절연막과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의 측벽 및 상부를 둘러싼 제 3 절연막; 상기 제 3 절연막 측벽에 형성된 사이드 스페이서;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서 상기 게이트 하부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된 소스 접합층;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서 상기 게이트 하부와의 오프 채널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 스페이서 하부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된 드레인 접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막은 산화막, 질화막, 산화막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층, 제 2 도전층 및 제 3 도전층은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접합층은 상기 게이트 하부에 0.1∼0.3㎛ 오버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접합층은 상층은 고농도 불순물 이온이 도핑되며 하층은 저농도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DDD(Double Diffused Drain)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 채널영역은 상기 드레인 접합층과 상기 게이트 하부의 사이 거리가 0.1∼0.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기록 내지 소거가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7. 소자간을 분리하기 위해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 상기 필드 산화막 사이의 반도체 기한 상부에 형성된 제 1 절연막; 상기 절연막 상부에 제 1 도전층, 제 2 절연막 및 제 2 도전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게이트; 상기 제 1 절연막과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의 측벽 및 상부를 둘러싼 제 3 절연막; 상기 제 3 절연막 측벽에 형성된 사이드 스페이서;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서 상기 게이트 하부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된 소스 접합층;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서 상기 게이트 하부와의 오프 채널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 스페이서 하부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된 드레인 접합층을 구비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셀과 로직 트랜지스터를 동시에 가지는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직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필드 산화막 및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와, 상기 절연막 하부의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된 소스 접합층 및 드레인 접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직 트랜지스터.
  8. 메모리 셀과 로직 트랜지스터를 동시에 가지는 비휘발성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에 일련의 제조 공정을 거쳐 소자간을 분리하는 필드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드 산화막 사이의 반도체 기판 상부에 제 1 절연막, 제 1 도전층, 제 2 절연막 및 제 2 도전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사진 및 식각 공정을 거쳐 상기 제 2 도전층으로부터 상기 제 1 도전층까지 식각하여 메모리 셀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로직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형성하기 위한 불순물을 이온 주입한 후, 로직 트랜지스터의 제 1 절연막을 식각하는 단계; 반도체 기판과 반대의 도전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메모리 셀의 소스 접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 상부에 제 3 절연막 및 제 3 도전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사진 및 식각 공정에 의해 상기 제 3 도전층을 식각하여 메모리 셀의 게이트를 둘러싼 제 3 절연막의 외측벽에 사이드 스페이스와 로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에 상기 반도체 기판과 반대의 도전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메모리 셀의 드레인 접합층과 로직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접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의 불순물을 드라이브 인 방법에 의해 메모리 셀에서는 반도체 기판 내에 오프 채널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로직 트랜지스터에서는 상기 로직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접합층과 게이트가 오버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장치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도전층은 500∼30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970020185A 1997-05-23 1997-05-23 비휘발성메모리장치및그제조방법 KR100448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185A KR100448086B1 (ko) 1997-05-23 1997-05-23 비휘발성메모리장치및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185A KR100448086B1 (ko) 1997-05-23 1997-05-23 비휘발성메모리장치및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399A KR19980084399A (ko) 1998-12-05
KR100448086B1 true KR100448086B1 (ko) 2005-06-16

Family

ID=3730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185A KR100448086B1 (ko) 1997-05-23 1997-05-23 비휘발성메모리장치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0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912A (ko) * 2001-06-28 2003-01-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8670A (ja) * 1988-03-30 1989-10-04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ならびにその動作方法および製造方法
JPH05121700A (ja) * 1991-08-28 1993-05-18 Fujitsu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326322A (ja) * 1993-03-19 1994-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的に情報の書込および消去が可能な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587332A (en) * 1992-09-01 1996-12-24 Vlsi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flash memory ce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8670A (ja) * 1988-03-30 1989-10-04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ならびにその動作方法および製造方法
JPH05121700A (ja) * 1991-08-28 1993-05-18 Fujitsu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587332A (en) * 1992-09-01 1996-12-24 Vlsi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flash memory cell
JPH06326322A (ja) * 1993-03-19 1994-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的に情報の書込および消去が可能な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399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2372A (en) High density EEPROM cell array with improved access tim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656513A (en) Nonvolatile memory cell formed using self aligned source implant
US5422504A (en) EEPROM memory device having a sidewall spacer floating gate electrode and process
JP2928986B2 (ja) 半導体メモリデバイス、半導体メモリアレイ、半導体メモリ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メモリデバイスの書込み方法
US6426896B1 (en) Flash memory cell with contactless bit line, and process of fabrication
US5652447A (en) Flash EEPROM memory with reduced column leakage current
US6114724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cell with select gate
US5019879A (en) Electrically-flash-erasable and electrically-programmable memory storage devices with self aligned tunnel dielectric area
JPH0786530A (ja) 交替的金属/ソース仮想接地フラッシュepromセルアレイ
US6232634B1 (en) Non-volatile memo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5615152A (en) Method of erasing a high density contactless flash EPROM array
JPH06112501A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61853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その消去法及び製造方法
US20030127684A1 (en) Split-gate type nonvolatile memory devic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US5293331A (en) High density EEPROM cell with tunnel oxide stripe
JPH0685283A (ja) 多結晶シリコントンネルスペーサを備えた高密度eepromセル及び製造方法
US6436766B1 (en) Process for fabricating high density memory cells using a polysilicon hard mask
US6313498B1 (en) Flash memory cell with thin floating gate with rounded side wall, and fabrication process
KR100264928B1 (ko) 고밀도 eeprom 셀/어레이 구조 및 그 동작 방법
US6399446B1 (en) Process for fabricating high density memory cells using a metallic hard mask
KR20020007864A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20055228A1 (en) Sidewall process to improve the flash memory cell performance
US6251717B1 (en) Viable memory cell formed using rapid thermal annealing
US7439572B2 (en) Stacked gate memory cell with erase to gate,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5057446A (en) Method of making an EEPROM with improved capacitive coupling between control gate and floating g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