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998B1 - 소음(消音)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소음(消音)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998B1
KR960010998B1 KR1019890007747A KR890007747A KR960010998B1 KR 960010998 B1 KR960010998 B1 KR 960010998B1 KR 1019890007747 A KR1019890007747 A KR 1019890007747A KR 890007747 A KR890007747 A KR 890007747A KR 960010998 B1 KR960010998 B1 KR 960010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electric blower
exhaust duct
exhaus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056A (ko
Inventor
마사오 수나가와
아끼라 이와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쓰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쓰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00000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03Vacuum clea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음(消音)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본체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본체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본체 일부분을 표시하는 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본체의 일부분을 표시하는 횡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본체의 전동 송풍기 커버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외관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송풍기 커버의 상부 송풍기 커버를 표시하는 외관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송풍기 커버의 상부 송풍기 커버를 표시하는 또 하나의 외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공청소기 본체 2 : 하부 메인 케이스
3 : 먼지수집 커버 4 : 상부 메인 케이스
7 : 전동 송풍기 8 : 코드 권선 장치
9 : 먼지수집 백 10 : 캐스터
12 : 수부 13 : 부착흡입노즐 수납부
14 : 리드 15 : 수렴형 노즐
18 : T자형 흡입노즐 19 : 배기구
20 : 배기필터 21 : 필터 케이스
본 발명은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의 전동 송풍기에서 배기공기를 유출하는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저항형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예를들면 실개소 115853/198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고 동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진공청소기의 본체는 코드 수납실과 전동 송풍기실 사이에 위치하는 흡음상자가 설치된다.
흡음상자는 한 개의 흡기구와 다수의 배기공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흡음상자의 외주면과 진공청소기 본체의 내벽 사이에 구성되는 진공청소기 본체의 공명형 소음기계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더욱, 상기 실개소 115853/1987호 공보의 선행 기술항에서는 또 하나의 종래 진공청소기가 설명되고 있다.
이 진공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실측에서 흐르는 배기류가 진공청소기 본체 내벽의 한 부분을 통하여 우회되는 구성을 하고 있다.
즉, 진공청소기 본체의 이 내벽은 전동 송풍실에 인접한 배기류 통로와 전동 송풍실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흡음상자로 구성하는 공명형 소음기계 장치를 비치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전동 송풍실측에서 흐르는 배기류는 흡음상자에 설치된 많은 배기공을 경유하여 진공청소기 본체의 비교적 큰 공간부로 배기된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청소기 구성에 의해 공명형 소음기계 장치의 특징인 배기잡음의 저감효과를 얻을 수가 있고, 환언하면 특정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배기잡음 레벨의 저감을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진공청소기 본체에서 발생하는 배기잡음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한 주파수 분석의 결과에서 많은 경우 배기잡음 주파수의 피크(peak)에는 복수의 주파수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진공청소기 본체에서의 배기잡음 저감효과는 공명형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이기 때문에 충분하게 얻을 수가 없다.
더욱 진공청소기에서 사용되는 전동 송풍기는 송풍기의 구동수단으로서의 정류자 전동기(commutator motor)를 이용하고 정류자 전동기의 회전수는 부하의 변동에 따라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지가 진공청소기 본체에 흡수되지 않은 진공청소기의 청소작동의 초기상태에는 정류자 전동기의 회전수는 저회전수(일반적으로 20,000-27,000rpm)로 된다.
먼지가 진공청소기 본체에 흡수되고 그리고 진공청소기 본체에서의 통기저항(ventilation resistance)이 높아질 때는 정류자 전동기의 회전수는 고회전수(일반적으로 28,000-36,000rpm)으로 된다.
따라서, 정류자 전동기의 회전수에 따라 회전진동 배기잡음의 주파수는 일정하지가 않고 변한다.
공명형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서는, 특정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배기잡음 레벨만이 저감할 수가 있기 때문에, 진공청소기 본체의 배기잡음 저감효과는 진공청소기의 실제 사용에서는 낮아진다.
한편, 공명형 소음기계 장치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다시 말하자면 진공청소기는 전동 송풍실측에서의 배기류의 일부를 진공청소기 본체의 내벽 한 부분을 통하여 우회되게 하는 구성을 채택한다.
환언하면, 진공청소기 본체의 이 내벽부분은 전동 송풍기실 부근에 있는 배기류 통로와 전동 송풍기실 사이에 위치한다.
공명형 소음기계 장치 구성을 가지는 상기 진공청소기에서는 배기류는 전동 송풍기측에서 외부에 직접 배기하지 않고, 배기류의 일부류가 우회되기 때문에, 음성의 에너지는 진공청소기 본체에서의 배기류 우회로를 통하여 통과하는 동안 열에너지로 변환된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진공청소기 본체에서의 배기잡음 저감효과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공명형 소음기계 장치 구성을 가지는 상기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있어서는, 배기류 통로의 길이가 그저 길게만 하였기 때문에 진공청소기 본체를 통하여 통과하는 배기잡음은 아직도 크고, 그러므로 진공청소기 본체에서의 배기의 충분한 정음(靜音)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진공청소의 구성의 국면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를 위해 진공청소기 본체에서의 충분한 소음효과를 얻게될 수 있는 소음기계 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배기를 위해 진공청소기 본체에서의 잡음저감효과가 충분하게 얻게될 수 있는 소음기계 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진공청소기 본체를 통과하는 배기잡음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소음기계 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진공청소기 본체의 소음기계 장치의 부품의 집약화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소음기계 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진공청소기 본체의 소음기계 장치의 부품의 조립작업성을 대폭 개량할 수 있는 소음기계 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소음기계 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기 본체,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동 송풍기를 내장하는 전동 송풍기실 그리고 진공청소기 본체에 제공하는 코드 권선 장치를 내장하는 코드 권선장치실로 구성된다.
진공청소기 본체는 또한 전동 송풍기를 둘러싸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전동 송풍기 커버와 코드 수납실 사이에 제공되는 배기닥트(duct)로 구성된다.
배기닥트는 전동 송풍기 커버를 둘러싸는 전동 송풍기실측에서 배기를 우회하는 저항 소음형 배기류 통로를 형성한다.
전동 송풍기 커버와 코드 권선장치 수납실 사이에 제공되는 배기닥트는 전동 송풍기 커버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흡음재로 형성하는 흡음커버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전동 송풍기 사이에 배열된다.
또 하나의 흡음재가 배기닥트의 내벽에 부착된다.
팽창실은 배기닥트의 배기구와 진공청소기 본체의 배기구 사이에 형성된다.
팽창실은 배기닥트의 배기구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소음기계 장치 구성을 가지는 상기 진공청소기에 따라, 전동 송풍기의 외부 주변부분을 둘러싸는 전동 송풍기 커버가 전동 송풍기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진공청소기 본체는 이중구조가 되고, 따라서 잡음의 발생원으로서 전동 송풍기 부분에서 발생하는 배기잡음이 진공청소기 본체를 투과하는 음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가 있다. 상기 구조에 첨가하여, 배기닥트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코드 권선장치 수납실 사이에 설정된다.
배기닥트는 배기류가 전동 송풍기실측에서 우회하는 배기류 통로의 저항형 소음기계 장치를 형성할 수가 있다.
전동 송풍기실측에서의 배기류에 있어서, 배기류의 음성 에너지가 배기류 우회로의 저항형 소음기계 장치에서 통과하는 동안 열에너지로 변환되기 때문에 따라서 진공청소기 본체에서의 배기류 잡음을 대폭으로 감축할 수가 있다.
잡음레벨저감 기술분야에 있어서 공명형 소음기계 장치와 비교하여 저항형 소음기계 장치가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잡음레벨 피크를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점에 의해서 진공청소기에 저항형 소음기계 장치를 넣는 것은 바람직하고 그러므로 진공청소기 본체의 배기잡음을 대폭으로 감축할 수가 있다.
더욱 코드권선 장치 수납실과 전동 송풍기를 둘러싸는 전동 송풍기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닥트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진공청소기 본체의 소음기계 장치의 부품의 집약화를 용이하게 얻을수가 있다.
그러므로, 배기의 저잡음화에 동반하는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고, 역시 소음기계 장치의 조립 작업성도 개량될 수가 있고, 그리고 진공청소기 본체의 저항형 소음기계 장치의 이런 종류의 제품 원가의 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다.
흡음재로 구성하는 흡음커버는 전동 송풍기를 둘러싸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전동 송풍기 사이에 배열되므로서, 배기잡음의 저감효과를 실효성 있게 얻을 수가 있다.
흡음재가 배기닥트의 내벽에 넣어져서 진공청소기 본체에서의 배기잡음의 저감효과도 실효성 있게 얻을 수가 있다.
팽창실은 배기닥트와 진공청소기 본체의 배기구 사이에 설정된다.
더욱, 팽창실은 배기닥트의 배기구의 단면적 보다 더욱 큰 단면적을 가지고 있다.
전동 송풍기에서의 배기는 전동 송풍기실내에서 팽창되고 그후 배기닥트에서 압축된다.
배기는 더욱 배기닥트의 배기구와 진공청소기 본체의 배기구 사이에 설치되는 팽창실내에서 또다시 팽창된다.
따라서 저항형 소음기계 장치에 의한 압축효과와 이 팽창효과에 의해 진공청소기 본체에서의 배기잡음의 저감효과를 실효성 있게 얻을 수가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계 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한 실시예가 지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계 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평면형 진공청소기 본체(1)는 다음의 외부로 구성된다.
진공청소기 본체(1)의 외부는 진공청소기 본체(1)의 하방에 위치하고 그리고 합성수지재로 만든 하부 메인 케이스(2), 진공청소기 본체(1)의 상방에 위치하고 합성수지로 만든 상부 메인 케이스(4)에 위치하는 먼지수집 커버(3), 진공청소기 본체(1)의 전방에 위치하는 핸들부(5), 그리고 진공청소기 본체(1)의 외주부분에 설치된 충격 완충용 범퍼(6)로 구성된다.
진공청소기 본체(1)의 내부에는 전동 송풍기(7), 코드권선 장치(8) 그리고 먼지수집 백(9)등이 내장되어 있다.
캐스터(caster)(10)는 하부 메인 케이스(2)의 전방 하부에 설정되고 2개의 바퀴(11)가 하부 메인 케이스(2)의 후방 밑부분에 설정된다.
더욱, 연장관을 유지하기 위한 수부(受部)(12)는 하부 메인 케이스(2)의 전방 밑부분에 설정치된다.
각종 부착흡입노즐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3)는 상부 메인 케이스(4)의 후방 윗부분에 설정된다.
부착흡입노즐 수납부(13)를 개·폐하는 리드(lid)(14)는 부착흡입노즐 수납부(13)의 상부에 설치된다.
부착흡입노즐은 틈새를 청소하는 틈사이용 노즐(15), 선반을 청소하는 팁(tip)에 브러쉬(17)를 가지고 있는 흡입노즐(16) 그리고 의복을 청소하는 T자형 흡입구성되어 있다.
흡입노즐(15,16,18)의 3개 종류가 부착흡입노즐 수납부(13)에서 각각 수납된다.
부착흡입노즐 수납부(13)와 진공청소기 본체(1)의 배기구(19) 사이에는, 배기필터(20)를 구비한 필터케이스(21)가 진공청소기 본체(1)에서 자유로히 꺼내도록 수납되어 있다.
배기필터(20)는 먼지가 정전기를 이용하여 모이게 한 것이다.
배기필터(20)를 구비한 필터 케이스(21)와 상부 메인 케이스(4) 사이의 기밀상태(air tight state)를 유지하기 위해서, 배기기밀 패킹(22)이 필터 케이스(21)에 설정되어 있다.
정류 필터(50)는 진공청소기 본체(1)의 열린 부분에 설치되고 필터 케이스(21)의 전면에 배치된다.
부착흡입노즐 수납부(13)는 배기닥트(42)와 진공청소기 본체(1)의 배기구(19)사이에 설치되고 비교적 넓은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 공간부는 배기류의 팽창실(23)로서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배기닥트(42)의 배기구(46)와 진공청소기 본체(1)의 배기구(19) 사이에는, 팽창실(23)이 설치된다.
팽창실(23)은 배기닥트(42)의 배기구(46)의 것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진다.
먼지수집 백(bag)(9)에서 먼지를 버리는 시기를 알리는 먼지표시기(24)는 상부 메인 케이스(4)의 윗부분에 설치된다.
더욱 먼지표시기(24) 외측에서 유지하는 먼지표시기 커버(25)는 상부 메인 케이스(4)의 윗부분에 설치된다.
먼지표시기 커버(25)의 양쪽에 코드권선 장치(8)의 동작과 정지를 조작하는 릴페달(27)과 전원스위치를 개폐하는 스위치 페달(26)이 설치된다.
먼지수집 커버(3)의 앞부분에 크램프(28)가 크램프 스프링(29)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고 먼지수집 커버(3)를 열거나 닫는다.
먼지수집 커버(3)의 윗부분에 호스 삽입구(30)가 설치된다.
호스 삽입구(30)의 호스 삽입구(31)는 호스 삽입구(31)에 삽입되는 호스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먼지수집 내측 리드(32)와 먼지수집 커버(3)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된다.
호스 삽입구(30)의 윗부분에 호스 삽입구 커버(33)가 설치되고 진공청소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호스 삽입구(30)를 닫는다.
더욱, 호스 삽입구(31)에 기밀 패킹(34)이 설치되고 호스 사이의 기밀상태에서 유지되고 그리고 호스 삽입부(31)와 호스 삽입구(30)에 삽입된다.
리드 패킹(35)은 먼지수집 커버(3)와 먼지수집 내측 리드(32) 사이에 설치되고 그리고 먼지수집 내측 리드(32)와 먼지수집 커버(3) 사이의 기밀상태를 유지한다.
먼지수집 백(9)은 세로 리브(36)에 의해 유지되고 그리고 하부 메인 케이스(2)와 필터 스탠드(37)에 설치된다.
먼지수집 커버(3)는 상부 메인 케이스(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리드의 개폐조작할 동안 버퍼 스프링(38)에 의해 개(開)조작 또는 폐조작을 완만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차 필터(39)는 먼지수집 백(9)과 전동 송풍기(7) 사이에 설치된다.
전동 송풍기(7)는 전동 송풍기실(40)에 수납되고 그리고 코드권선 장치(8)는 코드권선 장치실(41)에 각각 수납된다.
배기닥트(42)는 전동 송풍기실(40)과 코드권선 장치실(41) 사이에 위치하고 전동 송풍기실(40)측으로부터 배기류를 도입하도록 설치된다.
전동 송풍기실(40)은 합성수지재로 만든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외주부분과 하부 메인 케이스(2)의 내벽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송풍기 커버(43)는 배기닥트(42)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배기닥트(42)의 내측에, 폴리우레탄 폼(foam)재 등으로 만든 흡음재(44)가 장치된다.
배기닥트(42)는 U자형 배기류 통로를 가지고 거기의 배출구 부분에 있는 배기구(46)와 전동 송풍기(7)로부터 거기의 유입구 부분에 있는 배기류를 도입하는 흡기구(45)로 형성된다.
정류필터(50)는 흡기구(45)의 전면에 설치되고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내측에 배치된다.
전동 송풍기(7)는 그의 뒷부분과 앞부분에 방진고무(47,48)을 각각 가지고 역시 거기의 외주부분에 흡음재로 만든 소음커버(49)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위한 소음기계 장치의 한 실시예가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진공청소기 본체(1)의 소음기계 장치는 주로 배기닥트(42)로 구성한다.
합성수지재로 만든 배기닥트(42)는 거기의 측면에 합성수지재로 만든 전동 송풍기 커버(43)와 일체로 구성된다.
전동 송풍기 커버(43)는 상측 송풍기 커버(43a)와 하측 송풍기 커버(43b)로 형성한다.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상측 송풍기 커버(43a)는 진공청소기 본체(1)의 상부 메인 케이스(4)에 주로 수납된다.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하측 송풍기 커버(43b)는 진공총소기 본체(1)의 하부 메인 케이스(2)에 수납된다.
존동 송풍기 커버(43)의 상측 송풍기 커버(43a)는 거기의 앞부분에 아래쪽으로 반원의 열림을 하는 본질적인 상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하측 송풍기 커버(43b)는 거기의 앞부분에 윗쪽으로 반원의 열림을 하는 본질적인 상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하측 송풍기 커버(43b)와 상측 송풍기 커버(43a)의 2개의 반원의 열림으로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내벽부분과 진동 송풍기(7)의 외벽부분 사이의 먼지수집부에서 흡입된 공기류를 인도하는 본질적으로 원형의 열림을 형성한다.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상측 송풍기 커버(43a)는 거기의 뒷 상측에 배기닥트(42)의 직사각형의 열림을 하는 흡기구(45)를 가진다.
배기닥트(42)는 배기닥트(42)의 흡기구(45)를 가지는 상측 송풍기 커버(43a)의 측벽부분 코드권선 장치실(41)측을 향하여 돌출된 외주벽 부분 리브(42a), 그리고 측벽부분 리브(42b)로 구성하므로서 배기닥트(42)는 U자형 배기류 통로를 형성한다.
배기닥트(42)의 외주벽 부분 리브(42a)는 상측 송풍기 커버(42a)의 아래 외주부분의 한 앞쪽부분을 제외하는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상측 송풍기 커버(43a)듸 외주부분을 에워싸고 더욱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하측 송풍기 커버(43b)측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늘어나게 형성된다.
배기닥트(42)의 외주벽 부분 리브(42a)는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상측 송풍기 커버(43a)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배기닥트(42)의 측벽부분 리브(42b)는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하측 송풍기 커버(43b)와 상측 송풍기 커버(43a) 둘다의 앞쪽방향으로 향해 퍼지기 위해 형성된다.
배기닥트(42)의 측벽부분 리브(42b)는 진동 송풍기 커버(43)의 하측 송풍기 커버(43b)와 상측 송풍기 커버(43a)의 측벽부분과 평행으로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상측 송풍기 커버(43a)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배기닥트(42)는 더욱 상부 메인 케이스(4)에 설치된 장방형인 수직형 리브(52)와 하부 메인 케이스(2)에 설치된 장방형인 수직형 리브(53)로 구성된다.
배기닥트(42)는 코드권선 장치실(41)측에서 진공청소기 본체(1)의 2개의 수직형 리브(52,53)로 분리된다.
배기닥트(42)는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측벽과 코드권선 장치실(41)측에서 형성된다.
즉 배기닥트(42)는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하측 송풍기 커버(43b) 외측벽과 상측 송풍기 커버(43a)의 외측벽 사이에서 형성된다.
배기닥트(42)의 외주벽 부분 리브(42a)는 배기류를 인도하는 인도리브(42c)와 배기류를 분리하는 분리리브(42d)를 가진다.
배기닥트(42)의 분리리브(42d)는 배기닥트(42)의 흡기구(45) 밑에 직접 배치된다.
배기닥트(42)의 분리리브(42d)는 배기닥트(42)에서 배기류를 분리하도록 형성된다.
배기닥트(42)의 분리리브(42d)는 진공청소기 본체(1)의 뒤쪽에서 진공청소기 본체(1)의 앞쪽까지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하측 송풍기 커버(43a)의 측벽부분에서 배기류를 인도한다.
배기닥트(42)의 분리리브(42d)는 진공청소기 본체(1)의 앞쪽에서 진공청소기 본체(1)의 뒤쪽까지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하측 송풍기 커버(43b)의 측벽부분에서 배기류를 인도한다.
외주벽 부분 리브(42a)나 일체인 배기닥트(42)의 인도리브(42c)는 배기닥트(42)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배기류를 원활하여 인도되도록 만곡된 부분을 가진다.
배기닥트(42)의 인도리브(42c)는 상측 송풍기 커버(43a)의 하측에 돌축되며 퍼진다.
배기닥트(42)의 인도리브(42c)의 가장 아래부분은 하측 송풍기 커버(43b)의 밑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진공청소기 구조로서, 전원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될 때, 흡입된 배기는 전동 송풍기(7)의 외주부분과 먼지수집 부분으로 흐르고, 그리고 전동 송풍기실(40) 또는 전동 송풍기 커버(43)로 방출된다.
다음은, 전동 송풍기실(40)로부터의 배기는 배기닥트(42)의 흡입구(45)로 흐르고 전동 송풍기(7)로부터의 배기는 도입하고 그리고 배기닥트(42)의 흡기구(45)에서 압축되어 배기닥트(42)의 하류측으로 흐른다.
배기는 배기닥트(42)의 U자형류로에 의하여 인도된다.
배기는 진공청소기 본체의 뒤쪽에서 진공청소기 본체(1)의 앞쪽까지 상부 메인 케이스(4)의 수직형 리브(52)와 배기닥트(42)의 분리리브(42d)와 협동하여 배기닥트(42)의 외주벽 부분 리브(42a)에 의해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상측 송풍기 커버(43a)의 측벽부분을 따라 인도된다.
배기는 상부 메인 케이스(4)의 수직형 리브(52)와 배기닥트(42)의 측벽부분 리브(42b)와 협동하여 배기닥트(42)의 인도리브(42c)에 의해 상측 송풍기 커버(43a)의 윗쪽에서 하측 송풍기 커버(43b)까지 인도된다.
그리고나서 하부 메인 케이스(2)의 수직형 리브(53)와 배기닥트(42)의 인도리브(42c)와 협동하여 전동 송풍기 커버(43)의 하측 송풍기 커버(43b)의 측벽부분을 따라 진공청소기 본체(1)의 앞쪽에서 진공청소기 본체(1)의 뒤쪽까지 인도된다.
배기는 배기닥트(42)의 배기구(46)에서 팽창실(23)로 흐른다.
하측 송풍기 커버(43b)로부터의 배는 상측 송풍기 커버(43a)와 하측 송풍기 커버(43b)의 뒷벽부분으로 상향 인도된다.
배기가 팽창실(23)에서 팽창된 후에, 배기는 정류필터(50)와 배기필터(20)를 통하여 통과하고 그리고나서 외면부분에서 진공청소기 본체(1)의 배기구(19)로부터 방출된다.
전동 송풍기(7)의 외주부분을 에워싸는 전동 송풍기 커버(43)는 전동 송풍기(7)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설치되므로 진공청소기 본체(1)는 전동 송풍기 커버(43)와 상부 메인 케이스(4)로 구성되는 이중구조를 가진다. 진공청소기 본체(1)은 더욱 전동 송풍기 커버(43)과 상부 메인 케이스(4)에 더하여 먼지표시기 커버(25)와 개·폐리드(14)로 구성되는 삼중구조로 된다.
따라서 잡음의 원천을 발생하는 전동 송풍기(7)에서 발생된 배기의 진공청소기 본체(1)를 통과하는 잡음은 대폭으로 저감할 수가 있다.
상기 구조에 더하여, 배기닥트(42)는 전동 송풍기 커버(43)와 코드권선 장치실(41) 사이에 장착된다.
배기닥트(42)는 전동 송풍기실(40)측에서 배기류가 우회하는 배기류 통로의 저항형 소음기계 장치를 형성한다.
전동 송풍기실(40)측에서의 배기류에 있어 배기류의 음성 에너지가 배기류 우회로의 저항형 소음기계 장치에서 통과하는 시간동안 열에너지로 변환되므로 따라서 진공청소기 본체(1)의 배기잡음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가 있다.
더욱, 전동 송풍기 커버(43)와 코드권선 장치실(41)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닥트(42)가 전동 송풍기 커버(43)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었기 때문에 진공청소기 본체(1)의 소음기계 장치의 부품의 요약도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진공청소기 본체(1)의 저잡음 현실화를 수반하는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고, 역시 소음기계화의 조립작업도 개량될 수가 있고 그리고 더욱 진공청소기 본체(1)의 저항형 소음기계 장치의 생산가 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다.
흡음재로 구성되는 소음커버(49)는 전동 송풍기 커버(43)와 전동 송풍기(7)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진공청소기 본체(1)에서 배기잡음의 저감효과를 유효하게 얻을 수가 있다.
흡음재(44)가 배기닥트(42)의 내측에 넣어졌기 때문에, 진공청소기 본체(1)에서 배기잡음의 저감효과는 유효하게 얻을 수가 있다.
팽창실(23)은 배기닥트(42)의 배기구(46)과 진공청소기의 배기구(19) 사이에 설정된다.
더욱 팽창실(23)은 배기닥트(42)의 배기구(46)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진다.
그리하여 전동 송풍기(7)로부터의 배기는 전동 송풍기실(40)에서 팽창되고 그리고나서 배기닥트(42)에서 압축된다.
배기는 배기닥트(42)의 배기구(46)과 진공청소기 본체(1)의 배기구(19)사이에 설치된 팽창실(23)에서 더욱 또다시 팽창된다.
따라서, 이 팽창효과와 저항형 소음기계 장치에 의한 압축효과에 의해 진공청소기 본체(1)에서 배기잡음의 저감효과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Claims (19)

  1.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동 송풍기를 내장하는 전동 송풍기실과,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코드권선 장치를 내장하는 코드권선 장치수납을 구성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는 상기 코드권선 장치실과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닥트와, 상기 전동 송풍기를 에워싸는 전동 송풍기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기닥트는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를 에워싸는 상기 전동 송풍기실측으로부터의 배기를 우회시키기 위한 배기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닥트는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와 상기 코드권선 장치실 사이에 설치되고 전동 송풍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흡음재로 구성하는 흡음커버는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와 상기 전동 송풍기 사이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흡음재가 상기 배기닥트의 내측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팽창실은 상기 배기닥트의 배기구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배기구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팽창실은 배기닥트의 배기구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6. 2개 메인 케이스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본체와,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전동 송풍기와,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코드권선 장치와,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먼지수집 장치와,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전동 송풍기를 수납하는 전동 송풍기실과,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코드권선 장치를 수납하는 코드권선 장치실을 구비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배기닥트와 팽창실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팽창실은 진공청소기 본체의 이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는 상기 전동 송풍기의 외주부에서 상기 전동 송풍기를 에워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기닥트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코드권선 장치실 사이에 배열되고, 배기닥트는 전동 송풍기실측에서 팽창실측으로 우회시키는 배기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닥트는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와 상기 코드권선 장치실 사이에 설치되고 전동 송풍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8. 제6항에 있어서, 흡음재로 구성되는 흡음커버는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와, 상기 전동 송풍기 사이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9. 제6항에 있어서, 흡음재가 상기 배기닥트의 내측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은 상기 배기닥트의 배기구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배기구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팽창실은 배기닥트의 배기구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11. 2개의 메인 케이스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진동 송풍기와,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의 측면에 배열된 코드권선 장치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먼지수집 장치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동 송풍기를 수납하는 전동 송풍기실과,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실의 측면에 배열되는 상기 코드권선 장치를 수납하는 코드권선 장치실을 구비하는 소음 기계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배기닥트와, 그리고 팽창실을 구비하고, 상기 팽창실은 진공청소기 본체의 이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는 상기 전동 송풍기의 외주부에서 전동 송풍기를 에워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기닥트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코드권선 장치실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팽창실은 배기닥트의 배기구와 진공청소기의 배기구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배기닥트는 상기 전동 송풍기실측에서 상기 팽창실측으로 배기를 우회시키는 배기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12. 2개의 메인 케이스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전동 송풍기와, 전동 송풍기의 측면에 배열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코드권선 장치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먼지수집 장치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상기 전동 송풍기를 수납하는 전동 송 풍기실과, 상기 전동 송풍기실의 측면에 배열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되는 상기 코드권선 장치를수납하는 코드권선 장치실로 구비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배기닥트와, 그리고 팽창실을 구비하고, 상기 팽창실은 상기 전동 송풍기실의 이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는 상기 전동 송풍기의 외주부에 전동 송풍기를 에워싸도록 배열되고 상기 배열닥트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상기 코드권선 장치실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팽창실은 배기닥트의 배기구와 상기 진공 청소기 본체의 배기구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배기닥트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기닥트는 전동 송풍기실측에서 상기 팽창실측으로 배기를 우회시키는 배기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은 상기 배기닥트의 배기구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배기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팽창실은 배기닥트의 배기구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14. 상부 메인 케이스와 하부 메인 케이스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본체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상기 하부 메인 케이스와 상기 상부 메인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측면에 배열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상기 하부 메인 케이스와 상부 메인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코드권선 장치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하부 메인 케이스와 상기 상부 메인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먼지수집 장치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상기 하부 메인 케이스와 상기 상부 메인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전동 송풍기를 수납하는 전동 송풍기실과, 전동 송풍기실의 측면에 배열되고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상기 하부 메인 케이스와 상기 상부 메인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코드권선 장치를 수납하는 코드권선 장치실을 구비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는 전동 송풍기 커버와, 배기닥트와, 그리고 팽창실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팽창실은 상기 전동 송풍기실의 이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는 전동 송풍기의 외주부에서 상기 전동 송풍기를 에워싸도록 배열되고, 상기 배기닥트는 상기 코드권선 장치실과,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배기닥트는 팽창실로 연통하는 배기구와 상기 전동 송풍기실에 연통하는 흡기구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실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배기구와 배기닥트의 배기구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배기닥트는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의 측면에 전동 송풍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기닥트는 코드권선 장치실측에서 상기 하부 메인 케이스의 리브와 상기 상부 메인 케이스의 리브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배기닥트는 전동 송풍기실측에서 상기 팽창실측으로 배기를 우회시키는 배기기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닥트의 상기 배기류 통로는 배기닥트의 상기 흡기구에서 U자형으로 배기닥트의 상기 배기구로 우회시키는 배기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닥트는 분리 리브와 안내 리브로 구성하고, 상기 분리 리브는 상기 배기닥트의 이면측에서 상기 배기닥트의 상부에서 상기 배기닥트의 전면측으로, 또 상기 배기닥트의 전면측에서 상기 배기닥트의 하부에서 상기 배기닥트 이면측으로 배기류를 분리하고, 상기 인도리브는 상기 배기닥트의 상부에서 상기 배기닥트의 하부로 배기류를 인도하며, 상기 분리리브는 상기 배기닥트의 전면측에서 상기 배기닥트의 이면측으로 상기 인도리브를 통하여 지나가는 배기류를 인도해서, 배기가 상기 배기닥트의 흡기구에서 배기닥트의 배기구로 U자형으로 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닥트의 상기 인도리브와 상기 배기닥트의 상기 분리리브의 각각은 전동 송풍기 커버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는 상부 송풍기 커버와 하부 송풍기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리브와 상기 인도리브의 각각은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의 상부 송풍기 커버와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닥트의 상기 분리리브가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의 상부 송풍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기닥트의 상기 인도리브는 상기 전동 송풍기 커버의 상기 상부 송풍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며 배기닥트의 인도리브는 전동 송풍기 커버의 상기 하부 송풍기 커버를 향하여 아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19890007747A 1988-06-06 1989-06-05 소음(消音)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960010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37459 1988-06-06
JP63137459A JPH01305916A (ja) 1988-06-06 1988-06-06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056A KR900000056A (ko) 1990-01-30
KR960010998B1 true KR960010998B1 (ko) 1996-08-16

Family

ID=1519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747A KR960010998B1 (ko) 1988-06-06 1989-06-05 소음(消音)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59738A (ko)
EP (1) EP0345699B1 (ko)
JP (1) JPH01305916A (ko)
KR (1) KR960010998B1 (ko)
CN (1) CN1018520B (ko)
DE (1) DE6891898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4392A1 (de) * 1989-02-14 1990-08-16 Mauz & Pfeiffer Progress Staubsauger
EP0453296B1 (en) * 1990-04-18 1994-11-02 Hitachi, Ltd. Vacuum cleaner
DE9006336U1 (ko) * 1990-06-05 1991-10-02 Siemens Ag, 8000 Muenchen, De
KR930001867A (ko) * 1991-07-26 1993-02-22 배순훈 저소음 진공청소기
US5513417A (en) * 1993-07-19 1996-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lenc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CA2136505C (en) * 1994-04-21 2004-08-17 Robert C. Berfield Motor mounting apparatus
US5479676A (en) * 1994-05-12 1996-01-02 Electrolux Corporation Vacuum cleaner
KR970009718A (ko) * 1995-08-31 1997-03-27 배순훈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를 길게한 흡음방
EP0957740A1 (en) * 1995-10-10 1999-11-24 Nilfisk A/S A silencer for a suction cleaner
US5961676A (en) * 1997-06-09 1999-10-05 The Hoover Company Hard bag door with air directing arrangement
JPH1132947A (ja) * 1997-06-30 1999-02-09 Daewoo Electron Co Ltd 真空掃除機の吸音装置
US5950273A (en) * 1997-09-22 1999-09-14 Suhaka; Theodore Noise reduction system for a rotary positive blower
US6014791A (en) 1998-02-09 2000-01-18 Soundesign, L.L.C. Quiet vacuum cleaner using a vacuum pump with a lobed chamber
US6171054B1 (en) 1999-09-28 2001-01-09 Royal Appliance Mfg. Co. Impeller housing with reduced noise and improved airflow
US6579060B1 (en) 1999-09-28 2003-06-17 Royal Appliance Mfg. Co. Impeller and housing assembly with reduced noise and improved airflow
US6325844B1 (en) * 2000-05-31 2001-12-04 Florida Pneumatic Manufacturing Corporation Filter and muffler device for vacuum mechanism
FR2811535A1 (fr) * 2000-07-12 2002-01-18 Seb Sa Aspirateur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eduction du bruit
CA2332195A1 (en) 2001-01-24 2002-07-24 Alexandre Plomteux Quiet central vacuum power unit
US6530116B2 (en) * 2001-02-13 2003-03-11 Shop Vac Corporation Vacuum cleaner with muffled detachable blower exhaust
JP2003260012A (ja) * 2002-03-12 2003-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KR100479081B1 (ko) 2002-11-04 200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용 원심송풍기의 마운팅 구조
JP2005065913A (ja) * 2003-08-22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CN1256908C (zh) * 2003-08-26 2006-05-24 苏州金莱克清洁器具有限公司 吸尘器消音装置
CN1279868C (zh) * 2003-08-26 2006-10-18 苏州金莱克清洁器具有限公司 吸尘器消音装置
US7475449B2 (en) 2003-12-24 2009-01-13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Vacuum cleaner
KR100555205B1 (ko) * 2003-12-31 2006-03-0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DE102004042237B4 (de) * 2004-09-01 2011-04-07 Miele & Cie. Kg Staubsauger mit einem Feinstaubfilter im Abluftstrom
KR101143773B1 (ko) * 2004-12-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팬모터의 소음감소장치
CA2545977A1 (en) * 2005-05-09 2006-11-09 Emerson Electric Co. Noise-reduced vacuum appliance
US8978197B2 (en) * 2009-03-13 2015-03-17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20070174992A1 (en) * 2005-09-30 2007-08-02 Murray Christopher W Quiet vacuum cleaner
CN100423678C (zh) * 2005-11-10 2008-10-08 苏州金莱克家用电器有限公司 吸尘器消音装置
US8281455B2 (en) * 2005-12-10 2012-10-09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544143B2 (en) * 2005-12-10 2013-10-01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7749295B2 (en) * 2005-12-10 2010-07-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ust collector,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8404034B2 (en) * 2005-12-10 2013-03-2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987551B2 (en) * 2005-12-10 2011-08-02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012250B2 (en) * 2005-12-10 2011-09-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7882592B2 (en) * 2005-12-10 2011-02-0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KR101212291B1 (ko) * 2005-12-30 2012-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WO2008006280A1 (fr) * 2006-07-03 2008-01-17 Suzhou Kingclean Floorcare Co., Ltd. Silencieux de cyclone piur appareil de nettoyage et dispositif d'élimination de la poussière le comprenant
FR2906449B1 (fr) * 2006-09-29 2008-11-07 Seb Sa Aspirateur muni d'un dispositif d'attenuation du bruit.
EP1949842B1 (en) * 2007-01-24 2015-03-04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7992252B2 (en) * 2009-02-12 2011-08-09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8151409B2 (en) * 2009-02-26 2012-04-1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GB2468153A (en) * 2009-02-27 2010-09-01 Dyson Technology Ltd A silencing arrangement
US8713752B2 (en) * 2009-03-13 2014-05-06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KR101566203B1 (ko) * 2009-04-21 2015-11-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팬 모터 장치
US9259126B2 (en) 2012-10-10 2016-02-16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Backpack vacuum cleaner
US9220237B1 (en) * 2013-01-22 2015-12-29 Jamie Dryden Quiet vacuum system for grooming pets
JP6271201B2 (ja) * 2013-09-27 2018-01-3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EP2870905B1 (en) * 2013-11-11 2019-01-02 NELA razvojni center d.o.o. Podruznica OTOKI Vacuum cleaner noise and vibration reduction system
US10375901B2 (en) 2014-12-09 2019-08-13 Mtd Products Inc Blower/vacuum
JP6471049B2 (ja) * 2015-06-17 2019-0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装ユニットの車載構造
KR101684796B1 (ko) * 2015-08-18 2016-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입 유닛
CN105201906A (zh) * 2015-08-20 2015-12-30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定叶轮及使用该定叶轮的电机
JP6583489B1 (ja) * 2018-06-15 2019-10-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ユニット
US10611017B1 (en) * 2019-08-22 2020-04-07 Toughbuilt Industries, Inc. Storage bag with enhanced interior visibility
JP2021065463A (ja) * 2019-10-24 2021-04-30 株式会社マキタ 集塵機
EP4129134A1 (de) * 2021-08-03 2023-02-0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schalldämpf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41371C (de) * 1933-06-27 1937-01-29 Aeg Elektrisch betriebener Topfstaubsauger
CH173710A (de) * 1933-12-29 1934-12-15 Baumgarten G M B H Elektrischer Staubsauger.
FR2246192A5 (ko) * 1973-10-01 1975-04-25 Bosch Gmbh Robert
US4050913A (en) * 1974-06-28 1977-09-27 Pall Corporation Vortex air cleaner assembly with acoustic attenuator
DE7514249U (de) * 1975-05-02 1976-04-0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Schalldämmvorrichtung für Staubsauger
DE2944749A1 (de) * 1979-11-06 1981-05-14 Rommag P. Wörwag & Co., Romanshorn Staubsauger
US4533370A (en) * 1982-03-30 1985-08-06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ic cleaner with minimum noise
DE3225258C2 (de) * 1982-07-06 1985-11-28 Guido Oberdorfer Wap-Maschinen, 7919 Bellenberg Schmutzsauger
DE3402603A1 (de) * 1984-01-26 1985-08-01 Electrostar Schöttle GmbH & Co, 7313 Reichenbach Staubsauger
DE3443837A1 (de) * 1984-11-30 1986-06-05 Progress-Elektrogeräte Mauz & Pfeiffer GmbH & Co, 7000 Stuttgart Staubsauger
JPS62115853U (ko) * 1986-01-14 1987-07-23
JP2533498B2 (ja) * 1986-08-29 1996-09-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US4970753A (en) * 1990-02-23 1990-11-20 Ryobi Motor Products Corp. Vacuum cleaner noise reducing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43373B2 (ko) 1993-07-01
JPH01305916A (ja) 1989-12-11
DE68918988D1 (de) 1994-12-01
US5159738A (en) 1992-11-03
CN1018520B (zh) 1992-10-07
DE68918988T2 (de) 1995-03-02
CN1038753A (zh) 1990-01-17
EP0345699A2 (en) 1989-12-13
EP0345699A3 (en) 1991-06-05
EP0345699B1 (en) 1994-10-26
KR900000056A (ko) 199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998B1 (ko) 소음(消音)기계 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US4617034A (en) Electric cleaner with minimum noise
US6804857B1 (en) Apparatus for dampening the noise of a vacuum cleaner
US11350807B2 (en) Low noise stick vacuum cleaner
JP2000354562A (ja) 電気掃除機
CN111588303B (zh) 吸尘器
JP3240368B2 (ja) 電気掃除機
JPH0595860A (ja) 電気掃除機
KR960014580B1 (ko) 진공청소기 권선장치의 전원코드 냉각구조
JP2001218713A (ja) 電気掃除機
KR101044829B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체임버
JPH10231799A (ja) 電気掃除機及び電動送風機
KR0148923B1 (ko) 배기성이 향상된 흡음방구조
KR950012122B1 (ko) 저소음 진공청소기
JP2629453B2 (ja) 電気掃除機
JP3982322B2 (ja) 電気掃除機
KR200167702Y1 (ko) 진공청소기
JPH0360255B2 (ko)
JPS6340209Y2 (ko)
JP2024031544A (ja) 電気掃除機
KR970002796Y1 (ko) 진공청소기의 소음(消音)장치
JPS6325774B2 (ko)
JPS6325772B2 (ko)
JPH10234626A (ja) 電気掃除機
JP2001340272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