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195B1 -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195B1
KR960008195B1 KR1019880010495A KR880010495A KR960008195B1 KR 960008195 B1 KR960008195 B1 KR 960008195B1 KR 1019880010495 A KR1019880010495 A KR 1019880010495A KR 880010495 A KR880010495 A KR 880010495A KR 960008195 B1 KR960008195 B1 KR 96000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peed
wheel
command
detection means
det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582A (ko
Inventor
마사토 요시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나카하라 츠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나카하라 츠네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3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8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 B60T8/885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using electrica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에 채용된 이상검출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에 채용된 타이머의 동작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제어장치 11 : 차륜속도검출수단
12 : 연산 및 로킹상태검출수단 13 : 솔레노이드구동회로
14 : 모터구동회로 15 : 이상검출회로
21,22 : 유압제어밸브 SOL1,SOL2 : 솔레노이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륜속도감지기를 포함하는 차륜속도검출수단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종래의 차륜속도검출수단은 예컨대 차륜에 부착된 기어의 회전을 차체에 부착된 마그네틱 픽업(pickup)에 의해 교류신호로서 검출하고 이 교류신호를 인터페이스회로에 의해 펄스열로 변환시킨 다음에 이 펄스열신호를 계시(計時) 및 계수회로와 연산회로에 의해 차륜속도를 나타내는 디지탈값으로 변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펄스열 신호를 F/V변환기로 전송하여 차륜속도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회로의 이상에 의해 상기 차륜속도 또는 차륜속도에 대응하는 디지탈값 또는 차륜속도에 대응하는 전압을 갑자기 얻을 수 없을 때에 그때의 감속을 예컨대 차륜의 관성(inertia)에 기초하여 역학적으로 가능한 최대 감속도와 비교해서 그 이상의 차륜의 로킹에 의한 것인지 또는 단선 등에 의한 것인지를 판정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에 있어서 기어의 소정 이(齒)의 마모 또는 F/V변환기의 이상으로 인해 차륜속도를 나타내는 디지탈값 또는 차륜속도에 대응하는 전압이 차륜의 주기적인 로킹 반복상태에 의한 변화와는 구별될 수 없는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차륜의 로킹과 차륜의 로킹으로부터의 회복이 반복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경우 브레이크장치에는 감압과 가압이 끊임없이 반복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에서는 통상 감압이 종료된 후에도 차륜이 즉시 로킹되지 않도록 예컨대 압력유지와 가압을 반복하면서 천천히 가압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완전히 밟더라도 브레이크가 거의 작동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차륜의 로킹상태가 너무 자주 검출되면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이상검출수단이 설치된 자동차 미끄럼방지 제동제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는, 차륜속도검출수단과, 상기 차륜속도검출수단으로부터의 차륜속도신호를 기초로 산술연산을 실행해서 차륜이 로킹상태로 들어가는지와 로킹상태로부터 회복상태로 접어드는지를 검출함으로써 제동력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라는 제1 및 제2명령을 유압회로로 출력하는 연산 및 로킹상태검출수단, 상기 연산 및 로킹상태검출수단에 따라 유압회로의 압력제어밸브의 솔레노이드를 구동시켜 주도록 된 솔레노이드구동수단 및 상기 연산 및 로킹상태검출수단이 제1소정시간동안 상기 유압회로에 제1명령을 출력하지 않는 상태가 제2소정시간동안 전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차륜속도검출수단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이상판단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에 의하면, 차륜의 로킹상태가 짧은 시간간격으로 반복해서 검출된 경우에는 제동유압의 감압명령 또는 가압명령 또는 가압과 유지의 조합명령이 짧은 시간간격에서 반복해서 출력되어 미끄럼방지 제동제어가 실행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가압명령 또는 가압과 유지의 조합명령이 계속해서 출력되고 있는 시간이 상당히 짧은 제1소정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상태가 비교적 긴 제2소정시간동안 계속되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소정시간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상술한 차륜의 로킹상태의 반복된 검출을 알 수 있어서 차륜속도검출수단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는 전자제어장치(10)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전자제어장치(10)는 차량의 각 차륜에 설치된 차륜속도감지기(S1,S2,S3,S4 ;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S1만을 대표적으로 도시함)로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해서 각종의 계산 및 판정을 행하여 유압회로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차륜속도감지기(S1)로부터의 교류전압신호는 펄스로 변환된 다음에 펄스의 계수 및 계산을 행하는 차륜속도검출수단(11)에 의해 차륜속도신호로서 연산 및 로킹상태검출수단(12)와 공급되는데, 이 연산 및 로킹상태검출수단(12)은 감속도 및 추정 차체속도 등을 계산하고 이를 기준치와 비교해서 차륜이 로킹상태쪽으로 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즉, 감속도가 소정의 기준치 이하로 하강할 경우 또는 슬립속도(즉, 추정차체속도와 차륜속도 사이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연산 및 로킹상태검출수단은 차륜이 로킹상태쪽으로 향하고 있다고 판정하여 솔레노이드구동회로(13)에 감압명령을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솔레노이드구동회로(13)는 솔레노이드(SOL1,SOL2)를 여자(勵磁)시킴으로써 유압제어밸브(21)를 제1도에서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마스터실린더(23)로부터 차륜실린더(24)로의 유압회로를 차단시킴과 더불어, 유압제어밸브(22)를 제1도에서 윗쪽으로 이동시켜서 차륜실린더(24)와 리저바(reservoir ; 25)사이의 유압회로를 연통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모터구동회로(14)에 의해 모터(M)가 작동개시되어 리저바(25)에 의해 출력된 브레이크액이 펌프(P)에 의해 어큐뮬레이터(26)와 마스터실린더(23)로 환류되어 제동유압이 저하되게 된다.
그후 차륜속도가 로킹상태에서 회복됨에 따라 감속도가 소정의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거나 또는 슬립속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로 저하되게 되면, 상기 연산 및 로킹상태검출수단(12)은 차륜의 로킹 가능성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솔레노이드구동회로(13)에 가압명령을 출력한다. 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구동회로(13)는 솔레노이드(SOL1,SOL2)를 삭자(削磁)시켜서 유압제어밸브(21,22)를 제1도에 나타낸 상태로 복귀시킨다. 그러면 유압발생원 즉 마스터실린더(23)와 차륜실린더(24) 사이의 유압회로가 연통되어 제동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감압명령 또는 가압명령이 출력되고 있는 도중에 이 명령이 중단되고 압력유지명령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SOL1)가 여자되고 솔레노이드(SOL2)가 삭자되게 된다. 그에 따라 압력제어밸브(21)는 제1도에서 좌측으로 이동되어 유압회로를 차단하지만 유압제어밸브(22)는 제1도에 나타낸 위치를 유지하므로, 유압이 차륜실린더(24)내에 밀봉되어 제동유압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또한 제1도에서 참조부호 27은 바이패스 밸브이다.
또 감압지령이 출력되고 있는 도중에 압력유지명령을 출력하는 조건 및 타이밍은 여러가지로 선택될 수 있는 바, 예컨대 감압명령의 출력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압력유지명령을 출력하는 방법 및 차륜의 감속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압력유지명령을 출력하는 방법 등이 있다.
마찬가지로 가압명령과 압력유지명령을 번갈아 출력하는 조건 및 타이밍도 여러가지로 선택될 수 있는바, 일반적으로는 예컨대 펄스발생기 등에 의해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압력유지명령을 출력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 로킹상태로 향하는 것 또는 로킹상태로부터 회복되는 것을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은 감속도나 슬립속도에 의한 것 이외에 다른 지표를 부가하여도 된다. 또한 제1도는 한개의 차륜실린더(24)를 제어하는 한개의 챈널에 관한 전자제어장치(10)를 나타냈지만, 이 전자제어장치(10)는 실제로는 복수개의 차륜실린더(24)를 제어하는 복수개의 챈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감압명령과 가압명령 및 유지명령을 기초로 차륜속도검출수단(11)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수단(15)이 전자제어장치(10)에 설치되어 있는 바, 이하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상기 이상검출수단(15)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제1설정시간을 T1, 제2설정시간을 T2로 하고 이들 시간을 계산하는 타이머를 각각 T와 AL로 하고서 프로세스 사이클의 시간을 t라고 한다. 또한 제3도에 나타낸 순서 및 타이밍으로 가압명령과 감압명령 및 유지명령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1에서 타이머(T,AL)를 클리어시켜 초기치 설정을 행한 다음, 스텝 S2에서 상기 연산 및 로킹상태검출수단(12)에 대응되는 루틴을 각 챈널에 대해 실행한다. 이때 스텝 S3에서 챈널중 어느 한 챈널에서 감압명령의 출력이 검출되면 스텝 S4에서 타이머(T)를 클리어한 다음에 스텝 S7에서 타이머(AL)를 t시간만큼 카운트업하고 나서 스텝 S8에서 타이머(AL)의 카운트값이 제2설정시간(T2)과 같거나 큰 값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2설정시간(T2)이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간크기이므로 스텝 S8의 판단이 아니오로 되어 프로그램의 흐름은 스텝 S2로 되돌아 가게 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간(Ta)만큼 감압명령이 출력되면 프로그램의 흐름이 스텝 S2,S3,S4,S7,S8을 통과하여 타이머(AL)는 Ta만큼 카운트업된다.
그후 시간 Ta가 경가하면 가압명령으로 절환되므로 스텝 S3의 판단이 아니오로 되어 프로그램의 흐름은 스텝 S5로 진행하게 된다. 이 스텝 S5에서는 타이머(T)의 카운트값이 제1설정시간(T1)과 같거나 큰 값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때 타이머(T)의 카운트값이 0이므로 상기 스텝 S5의 판단이 아니오로 된다. 따라서 스텝 S6에서 타이머(T)를 t시간만큼 카운트업시킨 다음에 스텝 S7에서 타이머(AL)를 t시간만큼 카운트업시킨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흐름이 스텝 S8을 매개로 스텝 S2로 되돌아가게 된다. 스텝 S2에서는 가압명령과 유지명령이 연속적으로 출력되므로 프로그램의 흐름이 스텝 S3으로부터 스텝 S5,S6,S7,S8을 매개로 스텝 S2로 되돌아가는 프로세스는 타이머(T)의 카운트값이 제1설정시간(T1)과 같거나 큰 값으로 될때까지 계속되게 된다. 이때 타이머(T,AL)의 내용은 각각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T(1)과 AL(1)로 된다. 제3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타이머(T)의 내용 T(1)은 제1설정시간(T1)과 같고 타이머(AL)의 내용 AL(1)은 제2설정시간(T2)보다 작으므로, 제1설정시간(T1)동안 감압명령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는 제2설정시간(T2)동안 검출되고, 따라서 차륜속도검출수단(11)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S5의 판단이 예인 경우에는 스텝 S9에서 타이머(T.AL)가 클리어된 다음에 프로그램의 흐름은 스텝 S2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해서 제3도에 나타낸 유압제어명령을 기초로 타이머(T,AL)의 내용이 각각 T(2),…,T(5)와 AL(2),…,AL(5)로서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 모든 예에서는 차륜속도검출수단(11)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정된다. 그러나 감압명령이 예컨대 제1설정시간(T1)보다 짧은 간격에서 반복해서 출력되어 이 상태가 제2설정시간(T2) 이상 계속되면 스텝 S8의 판단이 예로 되어 스텝 S10에서 이상검출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이상검출처리로서는 예컨대 경고램프의 점등, 솔레노이드의 삭자, 페일-세이프(fail-safe)릴레이에 의한 회로로의 전원공급의 차단 등이 있다.
제1설정시간(T1)은 차륜이 다시 로킹상태로 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되는 정도의 시간길이로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설정주기(T1)는 미리 설정된 소정값으로 고정되어도 되지만, 예컨대 감압후에 압력유지와 가압을 반복해서 압력을 증가시키는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에서는 차륜이 다시 로킹상태로 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되는 정도의 압력유지와 가압의 반복횟수나 그러한 시간동안 압력유지상태와 가압상태를 반복할때에 압력유지명령의 출력을 중단하고서 가압명령을 계속해서 출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1설정시간(T1)은 상기한 바와 같은 압력유지와 가압의 반복횟수나 시간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해도 된다.
제2소정시간(T2)은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가 엄밀한 조건하에서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긴 시간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상검출수단(15)의 판정은 복수의 브레이크장치에 대한 제어를 행할 경우에는 각 챈널에 대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져도 되고, 전체의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에서 감압과 이것에 이어지는 소정시간동안의 OR논리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륜속도감지기를 포함하는 차륜속도검출수단이 주기적으로 스키드(skid)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감압명령이 발생되지 않는 시간동안은 적당한 제1소정시간과 비교되고, 또한 이 비교결과가 감압명령이 출력되지 않는 시간이 제1소정시간보다 길지 않은 상태가 충분히 긴 제2소정시간동안 발생되지 않았다는 것이 검출되면 이상검출수단이 차륜속도검출수단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므로 제동력의 유실과 같은 위험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차륜속도검출수단(11)과, 상기 차륜속도검출수단(11)으로부터의 차륜속도신호를 기초로 산술연산을 실행해서 차륜이 로킹상태로 들어가는지와 로킹상태로부터 회복상태로 접어드는지를 검출함으로써 제동력을 감소 또는 증가시키라는 제1 및 제2명령을 유압회로로 출력하는 연산 및 로킹상태검출수단(12), 상기 연산 및 로킹상태검출수단(12)에 따라 유압회로의 압력제어밸브(21,22)의 솔레노이드(SOL1,SOL2)를 구동시켜 주도록 된 솔레노이드구동수단(13) 및 상기 연산 및 로킹상태검출수단(12)이 제1소정시간(T1)동안 상기 유압회로에 제1명령을 출력하지 않는 상태가 제2소정시간(T2)동안 전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차륜속도검출수단(11)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이상판단수단(15)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회로의 펌프(P)용 모터(M)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회로(14)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
KR1019880010495A 1987-08-19 1988-08-18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 KR960008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05830A JP2748367B2 (ja) 1987-08-19 1987-08-19 アンチロツク制御装置
JP62-205830 1987-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582A KR890003582A (ko) 1989-04-15
KR960008195B1 true KR960008195B1 (ko) 1996-06-20

Family

ID=1651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495A KR960008195B1 (ko) 1987-08-19 1988-08-18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38556A (ko)
EP (1) EP0304055B1 (ko)
JP (1) JP2748367B2 (ko)
KR (1) KR960008195B1 (ko)
DE (1) DE388553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9094B1 (en) * 1989-01-14 1996-06-1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ntilock control device
JPH03292247A (ja) * 1990-04-10 1991-12-24 Mazda Motor Corp 車両の制動制御装置
US5267161A (en) * 1990-04-12 1993-11-30 Robert Bosch Gmbh System for the generation of signals for control or regulation of an undercarriage controllable or regulable in its sequences of motion
JP3496278B2 (ja) 1994-07-21 2004-02-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制御装置
JPH08292112A (ja) * 1995-04-20 1996-11-05 Sumitomo Electric Ind Ltd センサ異常検出システム
JP3607971B2 (ja) * 1998-08-19 2005-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輌の制動力制御装置の異常検出方法
JP2000095086A (ja) * 1998-09-22 2000-04-04 Unisia Jecs Corp ブレーキ制御装置
JP3792937B2 (ja) * 1999-05-25 2006-07-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0339008A (ja) 1999-05-27 2000-12-08 Hitachi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6175798B1 (en) * 1999-12-03 2001-01-16 Kelsey-Hayes Company Algorithm for verification of correct ABS controller installation
KR100530066B1 (ko) * 2001-12-13 2005-11-22 주식회사 포스코 우수한 외관 및 도포작업성이 우수한 절연피막형성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절연피막 형성방법
US7520573B2 (en) * 2005-12-22 2009-04-21 Kelsey-Hayes Company Shadow zone fault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32034C2 (de) * 1972-06-30 1983-12-1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Überwachungseinrichtung für ein in ein Fahrzeug eingebautes Antiblockierregelsystem
DE2702800C2 (de) * 1977-01-24 1982-11-25 Wabco Fahrzeugbremsen Gmbh, 3000 Hannover Sicherheitsschaltung für Antiblockierregeleinrichtungen von Kraftfahrzeugen, insbesondere Straßenfahrzeugen
DE3126102A1 (de) * 1981-07-02 1983-01-2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Antiblockierregelsystem
US4530059A (en) * 1982-04-30 1985-07-16 Luca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Vehicle anti-lock breaking control
IE832034L (en) * 1983-12-31 1985-02-28 Pcb Controls Ltd Anti-skid valve control system
JPS60169358A (ja) * 1984-02-13 1985-09-02 Nissan Motor Co Ltd アンチスキツド制御装置
JPS61193961A (ja) * 1985-02-25 1986-08-28 Nippon Denso Co Ltd 回転速度センサの異常検出装置
JPS61218466A (ja) * 1985-03-25 1986-09-27 Nippon Denso Co Ltd アンチスキツド制御装置
JPS624667A (ja) * 1985-07-02 1987-01-10 Nissan Motor Co Ltd アンチスキツド制御装置
US4836616A (en) * 1986-01-31 1989-06-06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Antilock brake system
US4755946A (en) * 1986-11-21 1988-07-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tor actuated anti-lock brake control system
US4824183A (en) * 1987-04-21 1989-04-2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ual-circuit hydraulic anti-lock bra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4055B1 (en) 1993-11-10
DE3885538D1 (de) 1993-12-16
DE3885538T2 (de) 1994-04-21
EP0304055A2 (en) 1989-02-22
JP2748367B2 (ja) 1998-05-06
US5138556A (en) 1992-08-11
EP0304055A3 (en) 1990-09-12
JPS6447656A (en) 1989-02-22
KR890003582A (ko) 198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8195B1 (ko)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
EP0193335B2 (en) Detection of abnormality for rotational speed sensor
JP2631474B2 (ja) アンチロツク制御装置
JP2592085B2 (ja) アンチロック装置
KR920008333B1 (ko) 앤티스키드장치
JPH01145253A (ja) 4輪駆動車用アンチロツク制御装置
US4611859A (en) Anti-skid braking apparatus for vehicles
KR920008334B1 (ko) 앤티록장치
JP2649712B2 (ja) アンチロック制御装置
KR0155475B1 (ko) 앤티록 브레이크 제어장치
JPH0138703B2 (ko)
EP0665146B1 (en) ABS control systems
KR960005837B1 (ko)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
JP2689405B2 (ja) アンチロック制御装置
KR100353249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이상 감지 제어방법
JPH05178193A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JPH089322B2 (ja) アンチロック装置
EP0379094A2 (en) Antilock control device
JP2867901B2 (ja) Abs用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故障検出装置
JP2628576B2 (ja) アンチスキッド装置
JPS63287652A (ja) アンチロツク装置
JPS63287651A (ja) アンチロツク装置
JPS60261757A (ja) アンチスキツド制御装置
JPH0740828A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JPS63287653A (ja) アンチロツ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