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837B1 -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837B1
KR960005837B1 KR1019880005000A KR880005000A KR960005837B1 KR 960005837 B1 KR960005837 B1 KR 960005837B1 KR 1019880005000 A KR1019880005000 A KR 1019880005000A KR 880005000 A KR880005000 A KR 880005000A KR 960005837 B1 KR960005837 B1 KR 960005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lamp
control mode
control
sig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750A (ko
Inventor
히데아키 히가시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라하 츠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0922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754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09222A external-priority patent/JP2628576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라하 츠네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기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3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4Control of the pump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6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 B60T8/1761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responsive to wheel or brake dynamics, e.g. wheel slip, wheel acceleration or rate of change of brake fluid pressure
    • B60T8/17616Microprocessor-bas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8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 B60T8/885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using electrica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중의 전자제어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자동차의 제동제어회로와 연결된 전자제어장치의 개략도.
제4도는 제3도의 제어모드결정수단의 동작시퀀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CU : 전자제어장치 S1~S4 : 휘일속도감지기
SOL1~SOL4 : 솔레노이드장치 P : 펌프
M : 구동모우터 FL : 안전릴레이
W : 경보램프 STP : 정지램프
SW : 스위치 CPU : 중앙처리장치
ML : 모우터릴레이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제어장치(anti-skid control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끄럼에 의한 손실없이 자동차의 제동계(brake system)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는, 브레이크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ON(close), OFF(open)되는 정지램프스위치(stop lamp switch)로부터의 스위치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치신호가 ON상태일 때는 예컨대 자동차휘일의 로크상태를 빨리 검출할 수 있는 제1제어모드로 설정하고, 스위치신호가 OFF상태일 때는 휘일실린더에 사용되는 압력제어밸브의 솔레노이드장치가 부주의하게 동작하지 않도록 로크상태의 검출을 지연시키는 제2제어모드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예컨대 정지램프의 스위치 접점이 녹아 달라 붙어 ON신호가 계속해서 발생되면, 실제로 운전자가 페달을 밟고 있지 않은데도 브레이크페달을 밟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스위치 ON의 상태 즉 감도가 높은 제1제어모드로 동작함으로써, 휘일속도가 약간 변화하더라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차량의 부드러운 주행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정지램프의 상태를 검출하여 ON, OFF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지램프검출장치를 갖춘 미끄럼방지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지램프의 상태를 검출하여 ON, OFF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지램프검출수단과, 이 검출수단에 연결되어 미끄럼방지제어장치의 계산 및 로크상태검출제어수단의 제어모드를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구비한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결정수단은, 상기 계산 및 로크상태검출수단의 공정개시 이후에 정지램프검출수단이 ON신호를 계속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어모드를 OFF모드로 하고, 공정개시시에 정지램프검출수단이 OFF신호를 발생할 때 및 그 이후는 정지램프스위치의 ON, OFF신호에 따라 제어모드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모드결정수단은, 상기 계산 및 로크상태검출수단의 공정개시 이후에 OFF신호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미끄럼방지제어가 실행되고 있으면 상기 계산 및 로크상태검출수단의 제어모드를 상기 정지램프 검출수단의 ON, OFF신호에 따라 결정하고, 미끄럼방지제어가 실행되지 않으며 자동차가 정지중이면 상기 정지램프검출수단의 ON, OFF신호에 관계없이 제어모드를 OFF제어모드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제어장치의 최초공정의 개시로부터 정지램프검출장치로부터 ON신호가 계속 발생하는 것은, 가령 정지램프스위치에서 접점이 용융되는 것과 같은 이상상태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바, 그러한 경우에는 마치 정지램프스위치가 OFF상태로 되어 있는 것과 같은 모드, 즉 미끄럼방지제어장치가 휘일속도의 미소한 변화에 둔감하게 반응하는 모드로 미끄럼방지제어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단 OFF신호가 어떤 주기동안 발생하면, 정지램프스위치는 이상상태를 갖기 않기 때문에, 정지램프스위치의 검출신호에 따라 제어모드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단 정지램프스위치로부터 OFF신호가 어떤 주기동안 발생하면, 정지램프스위치는 이상상태를 갖지 않는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정지램프스위치의 검출신호에 따라 계산 및 로크상태검출장치의 제어모드를 결정한다. 그러나, 미끄럼방지제어가 실행되지 않으며 자동차가 정지중이면, 정지램프스위치의 검출신호에 관계없이 OFF제어모드를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제어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어장치는 전자제어장치(ECU)에 각 출력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예컨대 4개의 휘일속도감지기(S1~S4)를 갖추고 있다. 상기 전자제어장치(ECU)는 다양한 계산과 판정을 실행한 후, 휘일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휘일실린더와 각 압력제어밸브(도시되지 않음)의 솔레노이드장치(SOL1~SOL4)를 구동함과 더불어 액압(液壓)장치(도시되지 않음)의 펌프(P)를 구동하는 구동모우터(M)의 릴레이장치(ML)를 선택적으로 열거나 닫음으로써, 각 휘일실린더에 공급되는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유지 및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설치된 모니터회로가 이상상태를 검출하면, 경보램프(W)를 점등하고, 안전릴레이(FL)를 열어 미끄럼방지제어장치의 제어를 해제함으로써, 미끄럼방지제어동작을 수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자제어장치(ECU)는 정지램프(STP)의 신호가 공급되도록 이 정지램프(STP)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정지램프(STP)의 신호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논리적으로 처리된다.
제1도에서, 참조신호 +B는 전원을 나타내고, IG1은 통상의 점화스위치를 나타내며, 전원전압(+B)에 연결되는 리드선상의 스위치(SW)는 브레이크페달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되어 있다.
제2도를 참조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제어장치(ECU)는, 각 휘일속도감지기(S1~S4)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전압신호를 펄스처리회로에 의해 교번적으로 처리되는 펄스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접속(interface)회로를 갖추고 있다. 펄스처리회로는 접속회로로부터 공급된 펄스의 수를 계수하고, 그 수치를 중앙처리장치(CPU)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계산, 분석, 판정하며, 그 결과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구동회로와 모우터릴레이(ML)를 구동한다.
한편, 각 정지램프(STP)의 점멸신호는 접속회로에 의해 계수화(digitize)되어 ON, OFF신호로서 중앙처리장치(CPU)에 공급되고, 중앙처리장치(CPU)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휘일속도의 처리프로그램에 소정의 모드를 부여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휘일속도감지기, 접속회로 및 펄스처리회로를 포함하고 있는 휘일속도검출장치에 의해 공급된 휘일속도로부터 감속도나 추정차체속도 등을 계산하고, 감속도가 소정치 이하로 되던가 혹은 미끄럼율이 소정치 이상으로 되는 등의 기준치와의 비교에 의해, 로크상태검출장치의 휘일의 로크상태를 검출하여 솔레노이드구동회로에 감압명령을 내린다. 이 감압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 구동회로는 솔레노이드장치(SOL1,SOL2)를 여자(勵磁)한다. 솔레노이드장치(SOL1,SOL2)가 여자되면, 압력제어밸브(1,2)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마스터실린더(3)로부터 휘일실린더(4)까지의 액압회로를 차단함과 더불어 휘일실린더(4)와 리저버(5) 사이의 액압회로를 연결시키므로, 브레이크에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압력은 저하한다.
그리고, 휘일속도가 다시 증가하여 감속 또는 미끄럼율이 일정의 기준치를 넘으면, 로크상태검출장치이 로크의 우려가 회피된 것이라고 판단하여 솔레노이드구동회로에 가압명령을 내린다. 이 가압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구동회로가 솔레노이드장치(SOL1,SOL2)를 소자(消磁)하여 액압발생원과 휘일실린더(4) 사이의 액압회로를 연결시키므로, 브레이크압력이 상승한다.
감압명령이 내려진 도중에서 이 명령을 중단하고 압력유지명령을 내리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솔레노이드장치(SOL1)를 여자하고, 솔레노이드장치(SOL2)를 소자하면 좋다. 이 때문에, 압력제어밸브(1)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액압회로를 연결하지만, 압력제어밸브(2)는 도면의 위치에 있으므로, 휘일실린더(4)내에 액압이 가해져 브레이크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도와 제3도는, 6개의 솔레노이드장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전륜의 좌,우륜 및 후륜의 제3챈널에 대해 실행하는 예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4륜 모두, 즉 4챈널로 실행해도 좋다.
또, 휘일의 로크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은 감속도 또는 미끄럼율에 의한 것외에 다른 방법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각 정지램프(STP)의 신호는 접속회로를 포함하는 검출장치에 의해 정지램프스위치의 선택적인 개폐에 따라 ON, OFF의 스위치신로서 제어모드결정장치에 공급되고, 이 ON, OFF스위치신호를 논리적으로 처리하여 계산 및 로크상태검출장치의 제어모드를 ON 또는 OFF로 한다. 즉, 이 계산 및 로크검출장치의 검출레벨을 하이 및 로우레벨 사이에서 스위치하기 위한 정보를 계산 및 로크상태검출장치에 인가한다.
제4도는 스위치신호의 처리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검출된 스위치신호가 OFF상태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여한다. 이 플래그는 미끄럼방지제어장치의 공정개시전에 정지램프스위치가 확실하게 오프였다는 것, 즉 정상적인 상태였다는 것을 알기 위한 것이다.
먼저 제1단계에서 OFF검출플래그를 클리어하고, 제2단계에서 OFF검출플래그가 설정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당연히 OFF검출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지램프검출장치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스위치신호가 OFF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3단계로 이행한다.
이 제3단계에서 결과가 NO이면, 제6단계의 처리 즉 미끄럼방지제어장치(계산 및 로크상태검출장치)의 제어모드를 OFF로 설정한다.
한편, 제3단계에서 결과가 YES이면, 스위치신호의 OFF상태가 소정시간동안 계속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4단계로 이행한다. 이 제4단계는 스위치의 채터링 등의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확실하게 스위치오프로 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제4단계에서 결과가 NO이면, 스위치신호는 ON상태라고 간주하고, 제6단계로 이행한다.
제4단계에서 결과가 YES이면, 스위치신호의 OFF상태가 검출된 것으로 하여 제5단계에서 OFF검출플래그를 설정하고, 제6단계 및 제12단계를 거쳐 제2단계로 귀환한다.
제3,4,5단계에서 OFF검출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제2단계에서 결과가 YES로 된다. 이것은 프로그램상 정지램프스위치에 이상상태가 없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제7단계에서 미끄럼방지제어를 실행중인지 아닌지를 본다. 이는 OFF검출플래그의 설정의 필요성을 판단하기 위해 불가피한 것이다. 이 제7단계에서 결과가 ON이면 제8단계에서 자동차가 정지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자동차가 정지하고 있으면 OFF검출플래그를 클리어하고(제9단계), 제어모드를 오프로 하여(제6단계) 다음의 출발에 대비한다. 한편, 자동차가 주행중이면 미끄럼방지제어가 실행되지 않더라도 제10단계에서 스위치신호의 상태에 따라 각각 제어모드를 ON(제11단계)과 OFF(제6단계)로 설정한다.
제7단계에서 미끄럼방지제어가 실행중이면(즉 YES이면), 물론 제10단계의 스위치신호의 판정에 기초하여 제어모드를 ON 또는 OFF로 설정한다.
제4도의 처리흐름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위치신호가 당초부터 계속하여 ON상태이면 제2단계 및 제3단계로부터 제6단계로 점프하고, 제어모드는 언제까지도 OFF인 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과 같이 정지램프스위치가 용융 등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계속되더라도 이것을 스위치의 온이라고 간주하지 않고 미끄럼방지제어모드를 마치 스위치가 오프된 것처럼 함으로써, 실제로 브레이크를 밟고 있지 않은데 밟은 것과 같은 잘못된 제어가 실행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 미끄럼방지제어가 개시되기 전에 스위치신호가 확실히 오프된 것을 판단해서 비로서 통상의 스위치신호의 ON, OFF에 대응하는 제어모드로 미끄럼방지제어를 실행하도록 했으므로, 잘못된 판단의 발생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가 정지중이면, OFF의 제어모드로 하도록 했으므로, 부주의한 미끄럼방지제어의 발생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정지램프의 상태를 검출하여 ON, OFF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지램프검출수단(STP,CPU)과, 이 검출수단에 연결되어 미끄럼방지제어장치의 계산 및 로크상태검출제어수단의 제어모드를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구비한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결정수단은, 상기 계산 및 로크상태검출수단의 공정개시 이후에 정지램프검출수단이 ON신호를 계속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어모드를 OFF모드로 하고, 공정개시시에 정지램프검출수단이 OFF신호를 발생할 때 및 그 이후는 정지램프스위치의 ON, OFF신호에 따라 제어모드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결정수단은, 상기 계산 및 로크상태검출수단(CPU)의 공정개시 이후에 OFF신호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미끄럼방지제어가 실행되고 있으면 상기 계산 및 로크상태검출수단의 제어모드를 상기 정지램프검출수단(STP,CPU)의 ON, OFF신호에 따라 결정하고, 미끄럼방지제어가 실행되지 않으며 자동차가 정지중이면 상기 정지램프검출수단의 ON, OFF신호에 관계없이 제어모드를 OFF제어모드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
KR1019880005000A 1987-05-01 1988-04-30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 KR960005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09223A JPS63275464A (ja) 1987-05-01 1987-05-01 アンチスキッド装置
JP62-109223 1987-05-01
JP62-109222 1987-05-01
JP62109222A JP2628576B2 (ja) 1987-05-01 1987-05-01 アンチスキッ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750A KR880013750A (ko) 1988-12-21
KR960005837B1 true KR960005837B1 (ko) 1996-05-03

Family

ID=2644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000A KR960005837B1 (ko) 1987-05-01 1988-04-30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53092A (ko)
EP (1) EP0289018B1 (ko)
KR (1) KR960005837B1 (ko)
DE (1) DE388207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4405B2 (ja) * 1989-10-18 1997-09-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車両停止検出機能を有する車載映像表示装置
GB2245038B (en) * 1990-06-07 1994-03-23 Toyota Motor Co Ltd Device for detecting accumulator fluid leakage through control valve and restoring proper valve seating
WO1995003964A1 (en) * 1993-07-30 1995-02-09 Kelsey-Hayes Company Reduced brake switch dependenc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anti-lock brake system
CN111929219B (zh) * 2020-08-12 2022-04-01 西南石油大学 一种页岩油藏油水两相相对渗透率计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33790A (en) * 1973-06-15 1976-04-28 Bendix Corp Antiskid braking control system
JPS59140154A (ja) * 1983-02-01 1984-08-11 Nippon Denso Co Ltd スキツド制御装置
JPS6022551A (ja) * 1983-07-19 1985-02-05 Nippon Denso Co Ltd アンチスキツド制御装置
JPS6025836A (ja) * 1983-07-20 1985-02-08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制御装置における車輪速度検出装置
JPS61218466A (ja) * 1985-03-25 1986-09-27 Nippon Denso Co Ltd アンチスキツド制御装置
US4708406A (en) * 1985-10-04 1987-11-24 Nippondenso Co., Ltd. Hydraulic braking system with malfunction alarm j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750A (ko) 1988-12-21
DE3882076D1 (de) 1993-08-05
DE3882076T2 (de) 1993-12-09
EP0289018A3 (en) 1990-10-17
EP0289018A2 (en) 1988-11-02
EP0289018B1 (en) 1993-06-30
US4953092A (en) 199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88479B2 (ja) 自動制動過程を実施する装置の機能を監視する方法
JPH04221267A (ja) アンチロック制御及び/又はトラクション滑り制御が行われる自動車に用いる回路構成
US7871136B2 (en) Trouble diagnosis device of vehicle body acceleration sensor and antilock-brake system
KR920008333B1 (ko) 앤티스키드장치
JP2592085B2 (ja) アンチロック装置
KR920008334B1 (ko) 앤티록장치
JPS6490861A (en) Tester for liquid pressure circuit of anti-lock control system
KR960005837B1 (ko)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제어장치
US20060232124A1 (en) Device and method for braking a vehicle
KR960008195B1 (ko) 차량용 미끄럼방지 제동제어장치
JP3773531B2 (ja) 自動車用ブレーキ装置
KR0155475B1 (ko) 앤티록 브레이크 제어장치
KR910004603B1 (ko) 앤티록 장치
KR940002597B1 (ko) 안티록 제어장치
JPH0314671B2 (ko)
JPH05178195A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JP2628576B2 (ja) アンチスキッド装置
KR100208594B1 (ko) 에이비에스에서 휠스피드 센서 고장시 보상방법
KR100356850B1 (ko) 차륜의 슬립방지를 위한 조향각 제한방법
JP3158402B6 (ja) アンチロック制御装置
KR0130373Y1 (ko)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
JP3909114B2 (ja) 制動力保持装置
KR20200089426A (ko) 클러치 스위치 고장 검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29419B1 (ko) 비상 브레이크 장치
JP2001088684A (ja) 制動力配分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