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373Y1 -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373Y1
KR0130373Y1 KR2019930020627U KR930020627U KR0130373Y1 KR 0130373 Y1 KR0130373 Y1 KR 0130373Y1 KR 2019930020627 U KR2019930020627 U KR 2019930020627U KR 930020627 U KR930020627 U KR 930020627U KR 0130373 Y1 KR0130373 Y1 KR 0130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rake
control
vehicle
a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406U (ko
Inventor
김희열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0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373Y1/ko
Publication of KR9500114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4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373Y1/ko

Links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ABS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에서 주행 후 ABS가 동작하여 처음부터 앞바퀴의 브레이크 유압 제어동작보다 뒤바퀴의 제어동작이 먼저 실행되는 비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제동동작을 실행하는 마찰재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ABS 차량에서 후륜 선행 제어동작의 경고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 앞뒤의 전/후바퀴의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제4차속 감지부와;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와; 상기 제1~제4차속 감지부와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에 연결되어,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될 경우 각 바퀴의 미끄러짐 정도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해당하는 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하고,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할 때 처음부터 뒷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할 경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경고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의 블록도.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 고안은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Anti lock Brake System,이하 ABS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으로 미끄러짐이 발행하여 ABS가 작동할 경우 뒷바퀴의 제어동작이 앞바퀴의 제어동작보다 먼저 선행될 경우에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BS는 급제동시나 눈길, 빗길 등의 미끄러운 노면에서 제동장치를 동작시킬 경우에 바퀴의 미끄러짐을 감지하여 브레이크 유압을 적절히 제어하여 방향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향상시키고, 제동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는 전자 제어장치이다.
따라서 각 바퀴별로 노면의 조건에 따라 브레이크 력을 가변하여 제어하므로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바퀴의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못하게 제어하여 급 브레이크를 동작시킬 경우라도 각 바퀴별로 미끄러지기 직전의 적당한 상태로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마찰 계수가 큰 방향으로 차량이 회전하여 전복되거나 다른 차량과의 충돌하는 대형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동작되는 ABS는 자동차의 안전을 위해 앞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먼저 제어한다.
그러므로 고속 주행중의 제동동작시에 앞바퀴의 브레이크 유압보다 뒷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먼저 제어하여 차제가 전복되거나 주행도로를 이탈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각 바퀴에 장착되어 있는 브레이크 마찰재가 마모되거나 소손되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정확한 동작을 수행하지 못해 후륜의 제어동작이 먼저 실행될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각 이용되는 브레이크 마찰재의 동작성질이나 특성차이로 동작의 제어범위가 각각 다를 경우에도 ABS의 정확한 제어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자동차 뒷바퀴의 브레이크 유압동작이 맨 처음 실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상황을 미처 운전자가 발견하지 못할 경우에 대형사고를 초래할 수 있고, 정확한 브레이크의 제어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ABS 자체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엉뚱한 곳을 정비하여 경제적인 손실과 시간을 낭비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ABS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에서 주행 후 ABS가 동작하여 처음부터 앞바퀴의 브레이크 유압 제어동작보다 뒷바퀴의 제어동작이 먼저 실행되는 비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 제동동작을 실행하는 마찰재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자동차 앞뒤의 전/후바퀴의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제4차속 감지부와;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와; 상기 제1~제4차속 감지부와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에 연결되어, 브레이크 장치가 동작될 경우 각 바퀴의 미끄러짐 정도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 해당하는 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하고,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할 때 처음부터 뒷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할 경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경고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의 블록도,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제1도를 참고로하여 이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자동차 앞뒤의 전/후바퀴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제4차속 감지부(11~14)와,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S1)와, 상기 제1~제4차속 감지부(11~14)와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S1)에 연결되어 있는 ABS 제어부(2)와, 상기 ABS 제어부(2)와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부(Solenoid valve)(3)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부(3)와 연결되어 각 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하는 제1~제4솔레노이드 밸브(41~44)와, 상기 ABS 제어부(2)와 연결되어 있는 경고장치(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고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동작이 시작되면(10), ABS제어부(2)는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S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제동장치가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20).
따라서 운전자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이 동작하여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S1)가 온될 경우에, ABS 제어부(2)는 각 바퀴의 미끄러짐 정도를 판단하여 차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을 실행한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각 바퀴에 장착되어 있는 제1~제4차속 감지부(11~14)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각 바퀴의 차륜속도를 연산한다(30).
그리고 ABS 제어부(2)는 도시되지 않은 장치에 의해 판단된 자동차의 실제 주행속도와 제1~제4차속 감지부(11~14)에서 감지되는 각 차륜의 속도를 이용하여 각 바퀴의 미끄러짐 정도를 계산한다(40).
그리고 계산된 미끄러짐 정도와 이미 설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ABS 제어부(2)는 차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해당 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의 제어장치의 동작여부를 판단한다(50).
그러므로 각 앞/뒤바퀴에 해당하는 미끄러짐의 정도중에서 이미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 ABS 제어부(2)는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부(3)로 신호를 출력하여 미끄러짐의 정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각 해당 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부(41~44)의 동작을 제어한다(60).
그러나 각 앞/ 뒤 바퀴의 미끄러짐 정도가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엔, ABS 제어부(2)는 각 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하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이 동작될 때 각 바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20).
따라서 미끄러짐의 정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각 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적절히 조절하여 자동차의 바퀴의 미끄러짐을 감소시켜 차체가 미끄러지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바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부(3)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바퀴의 솔레노이드 밸브부(41~44)의 동작을 제어할 경우, ABS 제어부(2)는 맨 처음 동작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부(41~44)를 감지한 후(70), 맨 처음 동작한 솔레노이드 밸브부(41~44)가 뒤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부(43,44)인가를 판단한다(80).
즉, ABS 제어부(2)의 동작으로 바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맨 처음 동작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부(41~44)가 어떤 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것인가를 판단한다.
따라서 ABS의 동작에 으해 맨 처음 동작한 솔레노이드 밸브부(41~44)가 자동차의 뒤바퀴의 브레이크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부(43,44)일 경우에(70),ABS 제어부(2)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브레이크 마찰재의 상태가 비정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장치(5)를 동작시킨다(90).
그러므로 자동차 운전자는 ABS의 동작으로 후륜의 제어동작이 전륜의 제어동작보다 먼저 진행되는 상태를 인지하여 현재 이용되고 있는 브레이크의 마찰재에 이상이 있거나, 현재 사용되는 브레이크 마찰재가 마모되어 교환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브레이크 마찰재를 점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발생할 수 있는 ABS에 의한 후륜의 제어동작으로 고속 주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차체의 스핀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동작된 솔레노이드 밸브부(41~44)가 앞바퀴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부(41,42)로 판단되면 ABS 제어부(2)는 동작을 종료한다(100).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고안의 효과는 바퀴의 제동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로 각 바퀴에 장착되어 있는 마찰재의 이상으로 ABS 제어동작이 맨 처음 진행될 때 후륜의 제어동작이 전륜의 제어동작보다 먼저 이루어질 때 이를 감지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ABS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잘못 판단하여 불필요한 장치의 교환이나 점검으로 경제적인 손실이나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

  1. 앤티락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의 전후좌우 휠의 속도를 검출하는 휠속 감지부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와, 상기 전후좌우 휠의 거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부 및 복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되, 상기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로부터 제동 제어 요구가 검출되면 상기 휠속 감지부에서 인가되는 각 휠의 거동 상태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제동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실행되는 제동 제어가 앞바퀴 보다 뒷바퀴가 먼저 선행되는 경우 앤티락 브레이크 시스템의 동작 이상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앤티락 브레이크 시스템.
KR2019930020627U 1993-10-08 1993-10-08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 KR0130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627U KR0130373Y1 (ko) 1993-10-08 1993-10-08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627U KR0130373Y1 (ko) 1993-10-08 1993-10-08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406U KR950011406U (ko) 1995-05-16
KR0130373Y1 true KR0130373Y1 (ko) 1999-02-18

Family

ID=1936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627U KR0130373Y1 (ko) 1993-10-08 1993-10-08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3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406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2076A (en) Antilock brake control method for motor vehicle
EP1549536B1 (en) Vehicle stability control enhancement using tire force characteristics
US4733920A (en) Motor vehicle brake antilocking system
US4943922A (en) Antilock control assembly
JP3781429B2 (ja) アンチロックコントロール式ブレーキ装置のための回路装置
US5615934A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quaplaning of a vehicle in an anti-lock brake system
US67890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detached tire
KR100630594B1 (ko) 타이어 상태 감시 장치
JP3794091B2 (ja) 車両用タイヤパンク対処装置
US4784443A (en) Method and circuit configuration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slip-controlled brake system
KR0130373Y1 (ko) 자동차의 앤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
US5542756A (en) Reduced brake switch dependenc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anti-lock brake system
JP4390864B2 (ja) 車両の少なくとも1つの走行動特性変数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532380Y2 (ko)
JP3608667B2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KR100506364B1 (ko) 차량 제동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0751256B1 (ko) 차량 가속도센서의 고장검출장치
KR100208594B1 (ko) 에이비에스에서 휠스피드 센서 고장시 보상방법
WO1991011757A1 (en) Control system
KR100311152B1 (ko) 앤티락브레이크시스템의브레이크유압제어장치및그방법
JPH0251786B2 (ko)
JPH0471739B2 (ko)
JP2960986B2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JPH0532381Y2 (ko)
JPH06343289A (ja) モータ異常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