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538B1 -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 Google Patents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538B1
KR960005538B1 KR1019900005905A KR900005905A KR960005538B1 KR 960005538 B1 KR960005538 B1 KR 960005538B1 KR 1019900005905 A KR1019900005905 A KR 1019900005905A KR 900005905 A KR900005905 A KR 900005905A KR 960005538 B1 KR960005538 B1 KR 960005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pin
trolley
transporting
re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030A (ko
Inventor
데쯔조오 구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노구치 미치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노구치 미치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90001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02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articles, e.g.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제1도는, 본 발명의 대차 연결시 콘베이어가 적용되는 짐꾸림 라인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짐꾸림 라인으로의 물품 송출 지점의 확대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짐꾸림 라인으로의 물품 하역지점의 확대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4-4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운반로우드의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대차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연결상태의 연결구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연결상태의 연결구의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의 연결구의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의 연결구의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운반로우드의 구동장치의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구동장치의 로우핀 대차의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되돌아가는 로우드의 구동장치의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되돌아가는 로우드의 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트래버어서의 정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트래버어서의 평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끌어들임장치의 평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연결·분리장치의 정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연결·분리장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코일 F : 바닥
1 : 반입 콘베이어 2 : 반출 콘베이어
3 : 횡행대차 4 : 횡행대차
5, 6 : 코일 옮겨싣는 장치 7 : 자동기기
10 : 짐꾸림 라인 11 :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12 : 운반로우드(Road) 13 : 트랜버어서(Traverser)
14 : 되돌아가는 로우드 15 : 트래버어서
20 : 작업대 21 : 기둥
22 : 받침대 23 : 레일
24 : 되돌아가는 로우드 30 : 대차
31 : 직사각형 프레임 32 : 차륜
33 : 버팀대 34 : 고무
35 : 돌기 36 : 개구
40, 50 : 연결구 41, 42 : 돌출편
43 : 원통형상돌출부 44 : 슬릿(Slit)
45 : 홈 46 : 수직핀
47 : 가로핀 51 : 돌출편
52 : 돌출편 53 : 연결편
54 : 회전멈춤 56 : 수직핀
60 : 구동장치 61 : 유압실린더
62 : 작동로드 63 : 토우핀대차
64 : 직사각형 프레임 65 : 차륜
66 : 토우핀(Toe Pin) 68 : 채널재
70 : 구동장치 81 : 횡방향 이동대
82 : 승강프레임 83 : 승강기구
84 : 리일 85, 85' : 끌어들임기구
86 : 유압실린더 87 : 직사각형 프레임
88 : 캠 90, 100 : 연결, 분리장치
91 : 고정 프레임 92 : 가동 프레임
93 : 유압 실린더 94 : 개폐 클리퍼
95 : 토터리 액츄에이터 96 : 로터리 액츄에이터
97 : 지지점 98 : 개폐아암
99 : 구멍
본 발명은 중량물을 정지 정밀도를 높여 반송하기 위한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소내의 코일(최대 30톤)의 짐꾸림 라인등에 사용되며, 포장기기등의 자동기기에 대하여 코일을 정지 정밀도를 높여피치 이송시킬 수 있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코일 반송수단으로는, 체인 콘베이어방식과, 워킹비임방식이 있다.
전자는 구동 수단이 체인인 것이다.
그 때문에, 코일의 정지위치 정밀도는 체인의 늘어남에 좌우된다.
따라서, 대차와 자동기기의 상대위치 결정장치를 별도로 필요로하였다.
후자는, 콘베이어 자체를 운반로우드상에 올리고 내리면서 진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에 손상을 줄 염려가 있었으며, 제품품질의 유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양자는 코일의 운반로우드면의 아래에 여러종류의 다수의 장치를 필요로한다. 즉, 체인 콘베이어 방식에 있어서는 수직면내를 순환구동되는 체인 및 그의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고, 워킹비임 방식에 있어서는, 구동장치, 및 코일 이동용의 유압장치를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코일의 반송위치가 바닥면으로 부터 높게되고, 설비비가 높게된다는 문제가 있다.
코일의 반송장치를 낮게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피트(pit)를 형성한 콘베이어도 있으나, 이와같은 콘베이어도 마찬가지로 설비비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로, 정지 정밀도가 높은 콘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며, 둘째로, 반송이 용이하고 반송물에 손상을 주지 않는 콘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며, 세째로, 반송물의 반송위치가 낮은 콘베이어를 제공하는 것공하는 것에 있다.
제1의 본 발명은, 운반로우드와, 전, 후 끝단에 형성된 연결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여러개의 대차와, 상기 운반로우드에 붙임고정되어 상기 운반로우드상의 적어도 1개의 대차와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도록 걸어맞춤하여 일정 피치로써 왕복 운동하는 구동장치를 가지고 이루어진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를 제공한다.
구동장치는 적어도 1개의 대차와 선택적으로 걸어맞춤한다. 즉, 왕복운동의 시발점으로 부터 이동시, 구동장치와 대차와는 걸어맞춤하고, 대차는 일정피치로써 운반로우드상을 이송된다.
각각의 대차는 연결구에 의하여 운반로우드 상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1개의 대차가 이송되면, 선행 및 후속하는 모든 대차도 일정 피치로써 이송된다.
구동장치가 시발점으로 부터 이동을 완료한때에, 구동장치와 대차는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이어서 구동장치는 되돌아가는 운동을 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구동장치의 복귀위치에는, 후속하는 대차가 대기하고 있다. 구동장치의 왕복 운동을 되풀이함으로써, 대차는 일정 피치로써 운반로우드 상의 이송된다. 이와같이 구동장치에 의하여 직접 대파를 이송함으로써 대차는 지극히 정확한 위치에 정지한다.
또한 선행 및 후속하는 대차도 이송된 대차에 연결하여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정확한 위치에 정지할 수가 있다.
제2의 본 발명은, 제1의 발명에 의한 콘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운반로우드에 별렬로 형성된 되돌아가는 로우드와, 상기 운반로우드의 끝지점과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의 시작점과의 사이에 형성된 트래버어서와, 상기 운반로우드의 시작점과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의 끝지점과의 사이에 형성된 트래버어서와, 상기 대차를 상기 운반 로우드의 끝지점에 있어서 후속하는 대차와 분리하고, 상기 운반로우드의 시작점에 있어서 선행하는 대차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분리장치를 가지는 대차연결식 콘베이어를 제공한다.
제2의 본 발명에서는 대차는 대략 평면적으로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중량물을 반송하기 위하여 대차를 사용하는 것이지만, 그의 대차는 운반로우드의 끝지점으로 부터 시작점으로 반송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운반로우드의 끝지짐에서 분리된 대차는, 트래버어서에 의하여 되돌아가는 로우드로 옮겨져, 되돌아가는 로우드를 이동하고, 되돌아가는 로우드의 끝지점으로부터 운반로우드의 시작점으로 트래버어서에 의하여 옮겨진다.
이와같이하여 운반로우드에는 항상 대차가 공급된다.
운반로우드 및 되돌아가는 로우는는 대략 평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운반로우드 내에는 구동장치가 배치될 정도인 것이므로, 대차는 바닥면으로 부터 그다지 높지 않는 위치에서 반송되는 것이다.
제3의 본 발명은 제2의 발명에 의한 콘베이어에 있어서, 작업대와 대략 동일 평면내에 상기 운반 로우드가 배치되고,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는 상기 작업대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어, 트래버어서가 승강기기를 구비한 상기 운반로우드로 부터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에 상기 대차를 옮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를 제공한다.
이와같은 콘베이어는, 작업대 상에는 자동기기등으로 작업을 받는 대차가 반송될 정도인 것이다.
대차는 운반로우드의 끝지점에 있어서 트래버어서에 의하여 작업대 위면에서 몰입하며, 되돌아가는 로우드에 옮겨져, 작업대 아래를 운반로우드의 시작점으로 향해 이송된다.
대차는, 운반로우드의 시작점에 있어서, 트래버어서에 의하여 작업대상에 나타난다.
따라서, 대차가 되돌아가는 것은, 되돌아가는 속도의 설정이 자유인 것이며, 이에 의하여 위험이 증가하는 일도 없으며, 되돌아감에 따라서 작업대상의 작업이 방해되는 일도 없다.
또한, 작업대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가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중량물의 콘베이어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제철소내의 코일용의 반송 콘베이어를 예를들어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대차연결식 콘베이어(11)의 평면도이다.
부호(10)는 코일의 짐꾸림라인이다.
짐꾸림라인(10)은, 코일(C)을 짐꾸리기하기 위한 여러 자동기기(7)가 형성되어 있다.
(1)은, 반입 콘베이어, (2)는 반출 콘베이어이다.
반입 콘베이어(1) 및 반출 콘베이어(2)위를 코일(C)를 싣는 횡행대차(3),(4)가 주행한다. 반입 콘베이어(1)는 짐꾸림라인(10)의 한쪽 끝단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반출 콘베이어(2)는 짐꾸림 라인(10)의 다른쪽 끝단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반입 콘베이어(1)와 짐꾸림 라인(10)의 사이에는, 코일(C)를 반입하기 위한 코일 옮겨싣는 장치(5)가 형성되어 있다.
짐꾸림 라인(10)과 반출 콘베이어(2)의 사이에는, 코일(C)을 내리기 위한 코일 옮겨싣는 장치(6)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도는, 반입 콘베이어(1)로 부터 짐꾸림 라인(10)으로의 코일(C)의 보내는 지점의 확대도, 제3도는 짐꾸림 라인(10)으로 부터 반출 콘베이어(2)로의 코일(C)의 내리는 지점의 확대도이다.
반입 콘베이어(1)상을 주행하는 횡행대차(3)에 실은 코일(C)은, 코일 옮겨싣는장치(5)에 의하여 짐꾸림 라인(10)으로 보내어진다.
짐꾸림라인(10)상의 자동기기(7)에 의해 가공을 받은 코일(C)는, 코일 옮겨싣는 장치(6)에 의하여, 반출 콘베이어(2)상을 주행하는 횡행대차(4)에 내려진다.
그리고, 코일(C)는 다음의 공정으로 보내어진다.
짐꾸림라인(10)과 같은 가공라인은, 제1도에 나타낸 것만이 아니라 반입 콘베이어(1)와 반출 콘베이어(2)의 사이에 여러개 형성되어 있다.
반입 콘베이어(1)를 주행하는 횡행대차(3)상의 코일(C)은 소정의 가공을 받기위해 지정된 라인으로 보내진다.
짐꾸림 라인(10)에 형성된 콘베이어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11)이다.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11)의 궤도는, 운반 로우드(12), 트래버어서(13), 되돌아가는 로우드(14) 및 트래버어서(15)로써 이루어지는 무한궤도이다.
대차(30)는 그의 궤도상을 순환한다.
또한, 운반로우드(12)에는, 대차(30)는 자동기기(7)로 부터 가공을 받기 위하여, 후술하는 구동장치(60)에 의하여 피치 이송된다. 피차는, 대차(30)의 1대의 길이와 같다.
대차(30)는, 서로에, 연결·분리가 자유롭다.
운반 로우드(12)에는, 대차(30)는 시작점(SC)로 부터 끝나는 점(TC)까지 연결되어 반송된다.
끝지점(TC)에 있어서, 후속하는 대차와 분리된 대차(30)는, 트래버어서(13)상으로 옮겨진다.
이어서, 대차(30)는, 트래버어서(13)에 의해, 되돌아가는 로우드(14)의 시작점(SR)으로 옮겨진다.
되돌아가는 로우드(14)의 끝지점(TR)까지 보내어진 대차(30)는, 트래버어서(15)로 옮겨진다. 대차(30)는, 트래버어서(30)에 의해 운반로우드(12)의 시작점(SC)으로 옮겨진다.
시작점(SR)에 있어서, 대차(30)는 선행하는 대차로 연결되어, 다시 운반 로우드(12)위를 이동한다. 이와같이하여, 대차(30)가 순환한다.
또한, 운반로우드(12)에 연결되어 있는 대차군의 길이는, 운반로우드(12)의 길이보다 다소 짧게되어 있으며, 운반로우드(12)의 시작점(SC)에서는, 대차(30)는 트래버어서(15)에 의하여 끌려들어 선행하는 대차에 연결되어, 운반로우드(12)의 끝지점(TC)에서는, 후속하는 대차로부터 분리되어 트래버어서(13)에 끌려들어간다.
따라서, 운반로우드(12)에 있어서의 대차(30)와, 트래버어서(13),(15)에 있어서는 대차(30)와, 되돌아가는 로우드(14)에 있어서의 대차(30)는, 각각 독립한 조작이 행하여진다.
이하, 본 발명의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11)를, 첫째, 운반로우드(12) 및 되돌아가는 로우드(14) 둘째, 대차(30) 및 대차의 연결구(40),(50) 세째, 대차(30)의 구동장치(60),(70) 네째, 트래버어서(13),(15) 및 대차(30)의 연결구(40),(50)의 연결·분리장치(90),(100)의 순으로 설명한다.
(운반 로우드 및 되돌아가는 로우드)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짐꾸림라인(10)의 작업대(20)는 바닥면 보다 높게되어 있다.
작업대(20)는 기둥(21)에 의하여 받쳐져 있다. 운반로우드(12)는 2개의 작업대(20),(20)의 사이에 형성되고, 되돌아가는 로우드(14)는 작업대(20)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되돌아가는 로우드(14)는 바닥(F)에 형성된 2열의 레일(24),(2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일(24),(24)위를 대차(30)가 되돌아간다.
따라서 작업대(20)의 지상 높이는 레일(24),(24)의 높이와, 대차(30)가 되돌아갈 정도의 높이가 확보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운반 로우드(12)는, 바닥(F)에 형성된 받침대(22)와, 이 받침대(22)에 고정된 2열의 레일(23),(2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운반로우드(12)의 레일(23),(23)위를 주행하는 대차(30)의 윗면이, 작업대(2)의 윗면과 일치하도록 받침대(22)의 높이가 결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작업대(20)의 높이는 운반로우드(12)의 레일(24)(24)과 대차(30)의 높이를 필요로 할 정도로써 낮게 설정할 수 있어, 강도도 그다지 요구되지 않고, 따라서, 설비비가 염가이다.
또한, 가공을 받을 코일(C)만이 작업대(20) 위를 이동하기 때문에, 작업대(20)를 넓게 활용할 수 있고, 다른 이동 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작업자에게도 안전하다.
또한, 운반로우드가 되돌아가는 로우드와 동일 수평면내에 배치되어 콘베이어로 하여도 좋다.
이와같은 구조의 콘베이어는, 3개의 작업대 사이로 운반로우드 및 되돌아가는 로우드가 형성되어 있다. 운반 및 되돌아가는 로우드를 형성하는 것은, 각각 2열의 레일 뿐이다.
되돌아가는 로우드는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작업대 아래에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대의 지상높이를 더욱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대의 강도도 그다지 요구되지 않는다.
(대차 및 대차의 연결구)
대차(30)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프레임(31)과, 이 직사각형 프레임(31)의 전,후의 양 바깥쪽에 측으로 지지된 플랜지 부착 차륜과, 직사각형 프레임(31)의 윗면에 형성된 코일(C)을 싣기 위한 버팀대(33)와, 직사각형프레임(31)의 아랫면에 형성된 돌기(35)와, 직사각형 프레임(31)의 전,후 끝단부에 형성된 연결구(40),(50)와를 가지고 있다.
버팀대(33)는, 코일(C)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중심을 향하여 경사되어 있다.
버팀대(33)의 윗면에는, 코일(C)에 흠집이 나지 않도록 고무(34)가 부착되어 있다.
돌기(35)는 아래를 향하여 개구(36)를 가지는 "C"자 형상이다.
후술하는 구동장치(60),(70)가 돌기(35)와 걸어맞춤하여, 대차(30)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개구(36)의 양 테두리는 모떼기되어 있다.
제7도 내지 제10도는 연결구(40),(50)를 나타내고 있다.
대차(30)의 앞끝단에는 암컷형 연결구(40)가 형성되어 있다. 대차(30)의 뒷끝단에는 숫컷형 연결구(50)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의 이 전,후 관계는 반대라도 좋다. 암컷형 연결구(40)은, 상,하로 이간된 1쌍의 돌출편(41),(42)고, 윗쪽 돌출편(41)으로부터 윗쪽으로 뻗는 원통형상 돌출부(43)와, 원통형상 돌출부(43)에 삽입되어 수직핀(46)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각각의 돌출편(41),(42)은 원통형상 돌출부(43)와 정렬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편(46)은 가로로 돌출한 가로핀(47)을 가지고 있다.
원통형상 돌출부(43)는, 1쌍의 슬릿(44),(44)을 가지며, 가로핀(47)이 이 슬릿(44),(44)과 씌워 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원통형상 돌출부(43)의 윗면의 홈(45),(45)은 가로핀(47) 재처용의 오목부이며, 수직핀(46)을 돌출편(42)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론 유지하여 놓기 위한 것이다.
수컷 연결구(50)는, 상,하로 이간한 1쌍의 돌출편(51),(52)과, 이 돌출편(51),(52)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수직핀(56)과, 돌출편(51),(52)의 사이에서 수직핀(56)에 축으로 지지된 연결핀(53)을 가지고 있다.
연결편(53)은 돌출편(51),(52) 사이에서 약간 유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54),(54)는 연결편(53)의 회전멈춤이다.
연결편(50)은, 또한, 앞끝단에 암컷 연결구(40)의 수직핀(46)을 받아들이기 위한 구멍(55)을 가지고 있다.
제7도 및 제8도와 같이, 암컷형 연결구(40)의 돌출핀(41)(42)의 사이에 숫컷형 연결구(50)의 연결편(53)이 씌워져 들어가고, 수직핀(46)이 삽입되면, 앞,뒤의 대차가 연결된다.
선행하는 대차와 후속하는 대차는, 이 수직핀(46)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내에서 서로 굴곡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운반로우드(12)에 커브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제9도 및 제10도는, 수직핀(46)이 빠지고, 원통형상 돌출부(43)의 위에 수직핀(46)이 놓여진 상태이다.
대차끼리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수직핀을 빼면 된다.
(대차의 구동 장치)
대차(30)의 구동장치는, 운반로우드(12)에 있어서 대차(30)를 전체로 하여 구동할 수 있는 장치(60)와 되돌아가는 로우드(14)에 있어서 대차(30)를 각각 구동하는 장치(70)가 있다.
제11도는, 운반 로우드(12)에 있어서의 구동장치(60)를 나타낸 것이다.
구동장치(60)는, 운반 로우드(12)의 2열의 레일(23),(2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위치는, 가장 위치 정밀도가 요구되는 자동기기 가까운 곳이 바람직하다.
구동장치(60)는, 레일등의 고정측에 부착된 유압실린더(61)와, 유압실린더(61)의 작동로드(62)에 부착된 토우핀대차(63)로써 이루어진다.
유압실린더(61)의 스트로우크는, 대차(30)의 1대분의 길이이다.
토우핀 대차(63)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직사각형 프레임(64)과, 앞,뒤의 양바깥쪽에 축으로 지지된 차륜(65)과, 직사각형 프레임(64)의 윗면에 형성된 선회식의 토우핀(66)과, 이 토우핀(66)을 선회시키는 로우터리 액츄에이터(67)를 가지고 있다.
차륜(65)은 레일(23),(23) 사이에 형성된 채널재(68)에 의하여 안내된다. 토우핀(66)은, 대차(30)의 돌기(35)의 개구(36)에 씌워 맞춰질 수 있는 크기이다.
대차(30)는 다음과 같이 1피치씩 구동된다.
대차(30)와 정합하는 토우핀 대차(63)는, 토우핀(66)이 90°선회하여 세워져, 돌기(35)의 개구(36)에 걸어맞춤함으로써 대차(30)와 일체로 된다.
작동 로드(62)가 신장하면, 대차(30)는 1피치분 만큼 전진 한다.
토우핀(66)이 선회하여 원래의 자세로 되돌아가면, 토우핀 대차(63)와 대차(30)는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리고, 작동로드(6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 위치는 다음에서 계속하는 대차의 돌기와 토우핀(66)이 꼭맞는 위치이다.
대차(30)는, 상기와같이 연결구(40),(50)에 의하여 운반 로우드(12)위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압실린더(61)의 작동에 의하여, 대차(30)는 전체가 1피치만큼 정확하게 전진한다.
구동장치(60)는, 계속하여 후속하는 대차를 동시에 구동한다.
이와같은 조작이 반복함에 따라, 대차군은 운반로우드(12)위를 일정피치로 운송된다. 구동수단으로서, 유압실린더(61)에 대신하여 전기모우터를 구동원으로 한다.
소위 전동실린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
되돌아가는 로우드(14)에 있어서의 구동장치(70)를 제13도 및 제14도에 나타낸다. 이 구동장치(70)는, 항상 구동식의 도그(71)을 가지는 체인(72)이다.
트래버어서(13)로 부터 되돌아가는 로우드(14)에 보내진 대차(30)는, 돌기(35)를 도그(71)로 걸쳐져서 바로 고속으로 반송된다.
대차(30)는 작업대(20) 아래로 보내지기 때문에, 작업대(30) 위에서의 작업이 중단되는 일은 없다.
(트래버어서 및 대차의 연결·분리장치)
상기와같이, 운반로우드(12)와 되돌아가는 로우드(14) 사이에는 트래버어서(13),(15)가 형성되어 있다. 트래버어서(13),(15)는, 제2도, 제3도 및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횡방향 이동대(81)와 승강 프레임(82)과, 승강기구(83)와, 승강 프레임(82)의 윗면에 있어서 운반 로우드(12)의 레일(23),(23) 및 되돌아가는 로우드(14)의 레일(24),(24)과 정열하는 2열의 레일(84),(84)을 가지고 있다.
운반 로우드(12)위의 대차(30)와 트래버어서(13),(15) 위의 대차(30)와의 사이에, 상기와 같이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운반로우드(12)의 시작점(SC) 쪽의 트래버어서(15)에는 끌어들임기구(85)가, 운반로우드(12)의 끝지점(TC)쪽의 트래버어서(13)에는 끌어들임 기구(85')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시작점(SC)에 있어서, 운반로우드(12)로의 대차(30)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끝지점(TC)에 있어서, 운반 로우드(12)로 부터 대차(30)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트래버어서(13),(15)내로 옮겨 실은 대차(30)는, 운반 로우드(12)의 대차(30)의 작동으로 부터 독립하여 이행한다.
밀어들임 기구와 끌어들임 기구는, 동일한 구조이다.
그 구조는, 제16도 및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86)에 의하여 앞,뒤로 움직이는 직사각형 프레임(87)위에 형성된 캠(88)과, 캠(88)을 선회시키는 로우터리 액츄에이터(89)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대차(30)는, 캠(88)이 선회하여 대차(30)의 돌기(35)와 걸어맞추어지고, 직사각형 프레임(87)이 앞,뒤로 움직임에 따라, 트래버어서(15)로 부터 밀어내어지거나, 트래버어서(13)로 끌려들어가거나 한다.
대차의 연결장치(90)는 운반로우드(12)의 시작점(SC)에, 분리장치(100)는 운반로우드(12)의 끝지점(TC)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장치(90)는, 트래버어서(15)로 부터 끌어들임기구(85)에 의하여 밀어낸 대차(30)를 선행하는 대차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이며, 분리장치(100)는, 끌어들임기구(85')에 의하여 대차(30)를 트래버어서(13)내로 끌어들이기전에, 대차(30)를 후속하는 대차로 부터 절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의 2개의 장치의 구조는 동일하다.
이들의 장치(90),(100)는 제18도 및 제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91)과, 고정 프레임(91)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가동 프레임(92)과, 가동 프레임(92)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유압 실린더(93)와, 가동 프레임(92)에 형성된 선회가 자유로운 개폐 클리퍼(94)를 선회시키는 로터리 액츄에이터(95)와, 개폐 클리퍼(94)를 개폐시키는 로터리 액츄에이터(96)를 가지고 있다.
개폐 클리퍼(94)는, 가동 프레임(92)에 지지점(97),(97)을 가지는 1쌍의 개폐 아암(98),(98)을 구비하고 이루어진다.
개폐 아암(98),(98)의 앞끝단에는, 암컷형 연결구(40)의 수직핀(46)의 승강 동작을 행하고, 이로써 대차(30)가 연결되거나, 분리되거나 하는 일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의 각각의 장치에 의하여 짐꾸림 라인(10)가 구성되고, 코일(C)의 반송과, 대차(30)의 순환이 행하여진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대차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1개의 대차를 정확하게 이송함으로써, 이 대차에 선행 및 후속하는 대차도, 정확하게 이송된다. 센터리그장치도 불필요하게 된다.
B) 대차와 자기기기등의 상대 정지위치 정밀도가 요구되는 위치에 구동장치를 배치함에 따라, 대차위에 실은 코일등의 물품이 가공을 정확학 행할 수 있다.
C) 대차에 항상 물품을 싣고, 운반로우드에 형성한 구동장치를 왕복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물품의 이송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물품에 흠집을 나게하는 일이 없다.
또한, 구동장치도 간단하기 때문에 좋고, 바닥등에 복잡한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졌다.
그 때문에, 바닥위에서의 설비가 가능하고, 설비비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 청구항의 제2항에 있어서의 대차연결식 콘베이어에서는, 연결구의 앞,뒤에서 대차는 서로 굴곡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로우드에 커브를 형성할 수가 있다.

Claims (13)

  1. 운반로우드(12)를 따라서 배열설치된 레일수단과, 상기 레일수단상을 주행하도록 배치되며 레일수단에 의하여 지지된 다수개의 대차(30)와, 상기 대차(30)를 상호간에 접속하기 위하여 각 대차의 앞뒤끝단에 마련된 연결구(40),(50)와, 각 대차(30)상의 토우핀 수납수단 및, 상기 운반로우드(12)를 따라서 정방향으로 상기 연결대차의 이동을 위하여 소정거리를 이동가능한 구동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수단(60)은 토우핀대차(63)와, 상기 운반로우드의 일부를 따라서 상기 토우핀대차를 왕복운동시키는 수단 및, 토우핀(66)을 걸어맞추거나 해제하도록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토우핀 수납수단은, 상기 토우핀(66)과 걸어맞추어졌을 때, 운반 로우드(12)를 따르는 정역방향으로의 상기 토우핀대차와 연결대차의 상대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운반로우드(12)내의 레일수단상의 연결대차들이 상기 토우핀대차의 운동에 따른 상기 연결대차중의 하나의 토우핀 수납수단과 상기 토우핀(66)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운반로우드를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운반로우드(12)상의 연결대차들이 상기 토우핀 수납수단으로부터의 토우핀(66)의 해제에 따른 상기 토우핀대차(63)의 이동멈춤에 의하여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차(30)의 한 끝단의 연결구(40)는 수직핀(46)을 포함하며, 각 대차(30)는 상기 한 끝단에서 상기 수직핀(46)의 주위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로우드(12)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시작점 및 끝지점을 가지는 되돌아가는 로우드(14)를 제공하는 수단과, 운반로우드(12)를 한 끝단과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14)의 시작점의 사이에 마련된 제1트래버어서(13)와, 운반로우드의 다른 끝단과 되돌아가는 로우드이 끝지점의 사이에 마련된 제2트래버어서(15) 및, 대차(30)를 상기 운반로우드의 한 끝단에서 후속하는 대차로부터 분리하고, 운반로우드의 다른 끝단에서 선행대차에 하나의 대차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분리수단(90),(100)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로우드(12)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시작점 및 끝지점을 가지는 되돌아가는 로우드(14)를 제공하는 수단과, 운반로우드를 한 끝단과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의 시작점의 사이에 마련된 제1트래버어서(13)와, 운반로우드의 다른 끝단과 되돌아가는 로우드의 끝지점의 사이에 마련된 제2트래버어서(15) 및, 대차(30)를 상기 운반로우드의 한 끝단에서 후속하는 대차로부터 분리하고, 운반로우드의 다른 끝단에서 선행대차에 하나의 대차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분리수단(90),(100)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하면을 가지는 작업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운반로우드(12)는 상기 작업대와 같은 높이에 있으며, 상기 운반로우드내의 상기 대차(300에 의하여 지지된 중량물이 작업대의 위쪽에 위치되어 상기 작업대의 윗면으로부터 중량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14)는 작업대의 아래에 마련되고, 상기 트래버어서 수단중의 한개는 상기 운반로우드 및 되돌아가는 로우드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쪽으로 대차를 운반하기 위한 승강기구(8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하면을 가지는 작업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운반로우드(12)는 상기 작업대와 같은 높이에 있으며, 상기 운반로우드내의 상기 대차(30)에 의하여 지지된 중량물이 작업대의 위쪽에 위치되어 상기 작업대의 윗면으로부터 중량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14)는 작업대의 아래에 마련되고, 상기 트래버어서 수단중의 한개는 상기 운반로우드 및 되돌아가는 로우드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쪽으로 대차를 운반하기 위한 승강기구(8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7. 운반로우드(12)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운반로우드를 따라서 주행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대차(30)와, 상기 대차를 상호간에 접속하기 위하여 각 대차의 앞뒤끝단에 마련된 연결구(40),(50)와, 상기 운반로우드(12)를 따라서 정방향으로 상기 연결대차의 이동을 위하여 소정거리를 이동가능한 왕복구동수단과, 상기 운반로우드(12)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시작점 및 끝지점을 가지는 되돌아가는 로우드(14)를 제공하는 수단과, 운반로우드의 한 끝단과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의 시작점의 사이에 마련된 제1트래버어서(13)와, 운반로우드의 다른 끝단과 되돌아가는 로우드의 끝지점의 사이에 마련된 제2트래버어서(15)와, 대차(30)를 상기 운반로우드의 한 끝단에서 후속하는 대차로부터 분리하고, 운반로우드(12)의 다른 끝단에서 선행대차에 하나의 대차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분리수단(90),(100) 및, 상하면을 가지는 작업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운반로우드(12)는 상기 작업대와 같은 높이에 있으며, 상기 운반 로우드내의 상기 대차(30)에 의하여 지지된 중량물이 작업대의 위쪽에 위치되어 상기 작업대의 윗면으로부터 중량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14)는 작업대의 아래에 마련되고, 상기 트래버어서 수단중의 한개는 상기 운반로우드 및 되돌아가는 로우드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쪽으로 대차를 운반하기 위한 승강기구(8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각 대차(30)의 한 끝단의 상기 연결구(40)는 수직핀(46)을 포함하며, 각 대차는 상기 그의 한 끝단에서 상기 수직핀(46)의 주위로 선회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어서 수단중의 한개는 대차(30)를 받아들이는 레일수단과, 상기 레일수단을 상기 운반로우드(12) 및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14)와 선택적으로 정렬하기 위한, 상기 레일수단을 승강시키는 수단을 가지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14)는 상기 운반로우드(12)로부터 측방향으로 벗어나 있으며, 상기 레일수단을 상기 운반로우드 및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와 선택적으로 정렬하기 위한 수단이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연결식 콘베이어.
  11. 운반로우드(12)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운반로우드를 따라서 주행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대차(30)와, 상기 대차를 상호간에 접속하기 위하여 각 대차의 앞뒤끝단에 마련된 연결구(40),(50)와, 상기 운반로우드를 따라서 정방향으로 상기 연결대차의 이동을 위하여 소정거리를 이동가능한 왕복구동수단과, 상기 운반로우드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시작점 및 끝지점으로 가지는 되돌아가는 로우드(14)를 제공하는 수단과, 운반로우드의 한 끝단과 상기 되돌아가는 로우드의 시작점의 사이에 마련된 제1트래버어서(13)와, 운반로우드의 다른 끝단과 되돌아가는 로우드의 끝지점의 사이에 마련된 제2트래버어서(15)와, 대차(30)를 상기 운반로우드의 한 끝단에서 후속하는 대차로부터 분리하고, 운반로우드(12)의 다른 끝단에서 선행대차에 하나의 대차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분리수단(90),(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대차(30)의 앞뒤끝단에 있는 연결구(40),(50)는, 하나의 대차의 앞끝단을 그 대차의 앞에 있는 대차의 뒤끝단에 접속하기 위하여 그의 한 끝단에 각 대차에 의하여 운반되는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며,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는 헤제되고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는 연결되는 상승 및 하강위치를 가지는 핀 수단과, 상승된 위치에 있는 핀 수단을 각 대차(30)상에 선택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분리수단(90),(100)은, 상기 대차(30)상의 핀 수단이 상승된 위치로 움직이도록 운반로우드(12)의 상기 한 끝단에 인접한 수단과, 핀 수단이 그들의 하강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이들의 지지수단으로부터 핀 수단을 해제하기 위하여 운반로우드(12)의 다른 끝단에 인접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연결식 콘베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핀 수단의 각각을 수납하는 원통형상 돌출부(43)와, 각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핀 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가로핀(47)과, 상기 가로핀이 그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가로핀이 하강된 위치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동하며 상기 가로핀을 수납하기 위한 상기 원통형상 돌출부내의 제1홈수단 및, 상기 가로핀(47)을 수납하기 위한 상기 원통형상 돌출부내의 제2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홈수단은 상기 제1홈수단으로부터 각도적으로 벗어나 있어서, 상기 가로핀 수단은 상기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핀 수단을 상승시키고 상기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핀 수단을 수직축의 주위로 요동하여,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핀 수단을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하나의 슬롯수단으로부터 다른 슬롯수단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분리수단(90),(100)은 상기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핀 수단을 상승, 요동 및 하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핀 수단의 각각을 수납하는 원통형 돌출부(43)와, 각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핀 수단에 고정되고, 그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가로핀(47)과, 상기 가로핀이 그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가로핀이 하강된 위치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가로핀을 수납하기 위한 상기 원통형 돌출부내의 제1홈수단 및, 상기 가로핀(47)을 수납하기 위한 상기 원통형 돌출부내의 제2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홈수단은 상기 제1홈수단으로부터 각도적으로 벗어나 있어서, 상기 가로핀 수단은 상기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핀수단을 상승시켜 상기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핀 수단을 수직축의 주위로 요동하여,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핀 수단을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하나의 슬롯수단으로부터 다른 슬롯수단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분리수단(90),(100)은 상기 가로핀(47)과 연결되고, 상기 가로핀 및 상기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체를 상승, 요동 및 하강시키는 수단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KR1019900005905A 1989-04-28 1990-04-26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KR960005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7447A JPH02286510A (ja) 1989-04-28 1989-04-28 台車連結式コンベヤ
JP107447 1989-04-28
JP1-107447 1989-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030A KR900016030A (ko) 1990-11-12
KR960005538B1 true KR960005538B1 (ko) 1996-04-26

Family

ID=1445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905A KR960005538B1 (ko) 1989-04-28 1990-04-26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90555A (ko)
JP (1) JPH02286510A (ko)
KR (1) KR960005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50B1 (ko) * 2002-12-23 2009-07-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코일이송장치에서의 코일충돌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88002A1 (fr) * 1990-09-07 1992-06-01 Oseney Ltd Systeme de transport et de stockage
DE4215739C2 (de) * 1992-05-13 1995-11-30 Kleinewefer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chicken und Entnehmen von mit einer Materialbahn bewickelten Rollen in einer einen Rollenträger mit mehreren Rollenplätzen aufweisenden Maschine zum Verarbeiten der Materialbahn, insbesondere einer Druckmaschine
FR2697235B1 (fr) * 1992-10-23 1995-01-27 Gallay Sa Jean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véhiculer des objets le long d'un circuit et utilisation de ce dispositif.
CA2128918C (en) * 1993-07-29 1999-09-21 Eiji Orisaka Conveying system and method for a production line
FR2729126A1 (fr) * 1995-01-10 1996-07-12 Preciflex Syst Dispositif de croisement de convoyeurs a palettes et dispositif de changement de palette pour convoyeur a palettes
AT1291U1 (de) * 1995-10-09 1997-02-25 Lager Technik Gmbh Innerbetriebliches transportsystem
US6279724B1 (en) * 1997-12-19 2001-08-28 Semitoll Inc. Automated semiconductor processing system
US6942738B1 (en) 1996-07-15 2005-09-13 Semitool, Inc. Automated semiconductor processing system
US6723174B2 (en) 1996-03-26 2004-04-20 Semitool, Inc. Automated semiconductor processing system
US6086308A (en) * 1997-08-13 2000-07-11 Quipp Systems, Inc. Cart handling system
IT1303662B1 (it) * 1998-12-24 2001-02-21 Fata Automation Impianto di trasporto con movimentazione a slitta
JP2004524673A (ja) * 2000-07-07 2004-08-12 セミトゥー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処理システム
NL1019373C2 (nl) * 2001-11-15 2003-05-16 Eurosort B V I O Inrichting en transporthouder voor het transporteren en gecontroleerd afwerpen van een last.
JP4936727B2 (ja) * 2006-01-06 2012-05-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ワーク搬送設備
JP2009056656A (ja) * 2007-08-30 2009-03-19 Mimaki Engineering Co Ltd 印刷装置
KR101013969B1 (ko) * 2008-08-25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DE102011103152A1 (de) * 2011-05-25 2012-11-29 Hamba Filltec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füllen von Behältern
US8882261B2 (en) * 2012-05-04 2014-11-11 Xerox Corporation Large sheet handling using a flatbed cart
FI125007B (fi) 2013-12-31 2015-04-30 Elematic Oy Ab Järjestely betonituotteiden valamiseksi
KR102073778B1 (ko) * 2016-06-08 2020-02-05 닛토쿠 가부시키가이샤 팰릿 반송 장치
DE102016214194A1 (de) * 2016-08-02 2018-02-08 Reinhard König Transportvorrichtung für Vorratsbehälter für Faserband sowi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arnen
JP6724239B2 (ja) * 2017-02-24 2020-07-15 アーベーベー・シュバイツ・アーゲー 補助搬送機及び対応する搬送システム
CN109733819A (zh) * 2019-01-07 2019-05-10 深圳市诺亚创盟家具有限公司 一种环保节能型沙发精益生产线变轨输送系统
US11724894B2 (en) * 2019-04-16 2023-08-15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Linear conveyor system, a control method for a linear conveyor system, a control program for a linear conveyor system and a recording medium
JP2023142297A (ja) * 2022-03-24 2023-10-05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3120A (en) * 1956-04-13 1959-09-08 Edward J Skinner Ltd Planetary transfer machines
US3418084A (en) * 1966-10-27 1968-12-24 Instrumentation Specialties Co Rectangular fraction collector
FR2043034A5 (ko) * 1969-04-10 1971-02-12 British Insulated Callenders
US3622043A (en) * 1969-12-30 1971-11-23 Bernard Chotard Automatic presentation storage unit with moveable tray system
US3805942A (en) * 1971-11-19 1974-04-23 Visi Trol Eng Co Selective synchronous non-synchronous transfer machine
FR2241477A1 (en) * 1973-05-23 1975-03-21 Thome Paul Transfer of components or containers into a sealed zone - device for use with vacuum processes, esp. electron beam welding
JPS5245756A (en) * 1975-10-08 1977-04-11 Kawasaki Heavy Ind Ltd Vapor extraction device for absorption refrigerating machine
CA1046009A (en) * 1976-08-16 1979-01-09 Du Pont Of Canada Limited System for lagging yarn on yarn buggies
JPS56127510A (en) * 1980-03-13 1981-10-06 Aida Eng Ltd Destack feeder
US4515624A (en) * 1983-03-23 1985-05-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rbicidal sulfonamides
SU1351749A1 (ru) * 1985-08-21 1987-11-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466 Транспор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линии
NL8800309A (nl) * 1988-02-09 1989-09-01 Product Suppliers Ag Inrichting voor het vervoer van voorwerp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50B1 (ko) * 2002-12-23 2009-07-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코일이송장치에서의 코일충돌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030A (ko) 1990-11-12
JPH02286510A (ja) 1990-11-26
US5090555A (en) 199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538B1 (ko) 대차 연결식 콘베이어
US6799521B2 (en) 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CN109195887B (zh) 用于转运物件的转运装置
US5615992A (en) Method storing or restacking goods carriers in multi-storied warehouse
US4850472A (en) Conveyor apparatus
JPH04226202A (ja) 自立カセットに収納された材料のための保管棚
US6503043B1 (en) Multiple level loa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342266B1 (ko) 물품반송차와그안내설비
KR950013092B1 (ko) 차체의 반송 장치
WO2003066488A1 (en) Automated cart unloading/conveyor system
CN112573051B (zh) 物品传送装置
CN211469914U (zh) 一种板材传送系统
CN110127567B (zh) 搬运作业设备
CN210102622U (zh) 一种基于agv小车的智能存储和拣选系统
CN218706868U (zh) 箱轮输送线及具有其的箱轮转运系统
JPH0228401A (ja) 物品搬送システム
JP3062619B2 (ja) ラック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2549863Y2 (ja) 搬送物積載搬送車
JPS6253415B2 (ko)
JP2689185B2 (ja) 可動体使用の組み立て設備
JPH0644908Y2 (ja) 垂直搬送装置
JPH04101993A (ja) ワゴン搬送設備におけるエレベーターのケージに設けるワゴン搬出装置
JPH0613370B2 (ja) ワ−クの乗換え方法
JP3261643B2 (ja) 台車吊下搬送装置
CN117021390A (zh) 用于加工眼科镜片的设备和方法以及推送装置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