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969B1 -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969B1
KR101013969B1 KR1020080082893A KR20080082893A KR101013969B1 KR 101013969 B1 KR101013969 B1 KR 101013969B1 KR 1020080082893 A KR1020080082893 A KR 1020080082893A KR 20080082893 A KR20080082893 A KR 20080082893A KR 101013969 B1 KR101013969 B1 KR 101013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alance
axis direction
bogi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163A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2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969B1/ko
Priority to US12/539,078 priority patent/US8424672B2/en
Publication of KR2010002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65G37/02Flow-sheets for conveyor combinations in warehouses, magazines or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61Puck as article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ⅰ)작업장의 플로어 상에서 다수의 작업 공정부들을 따라 X축 방향으로 구성되어 이송 대차를 X(+)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대차 이송라인과, ⅱ)상기 플로어 상에서 상기 대차 이송라인과 평행하게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X(-)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대차 리턴라인과, ⅲ)상기 대차 이송라인 및 상기 대차 리턴라인의 전후방 측을 각각 연결하는 트래버스들과, ⅳ)상기 대차 리턴라인에 Y축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며,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적재하며 그 이송 대차를 Y(±)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다수의 스토리지들을 포함한다.
이송 대차, 순환, 대차 이송라인, 대차 리턴라인, 트래버스, 스토리지

Description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A MOVING CART SYSTEM}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어 상에서 대차를 이송 및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의 생산에 있어서 용접 공정은 차체의 조립 작업에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이송 대차 시스템을 통해 용접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함으로서 작업 공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최근 들어 상기 이송 대차 시스템은 다양한 차종을 같은 라인에서 생산하는 다차종 혼류 생산 방식에 대응하기 위하여 순환 시스템으로 진보되어 왔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일례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장의 1층에는 다수의 로봇용접 공정부들(미도시)을 통해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 공정라인(11)이 구성된다.
이러한 작업 공정라인(11)에는 파트 부품들(1)이 로딩된 각 차종별 이송 대차들(3)을 로봇용접 공정부들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셔틀(13)이 구비된다.
그리고 작업장의 2층을 이루는 상부 데크(15) 상에는 대차 리턴레일(17)이 1 열로서 구비된다.
상기 이송셔틀(13)과 상부 데크(15)의 후방 사이에는 테이블 리프터(19)가 구비되는 바, 이 테이블 리프터(19)는 1층의 작업 공정라인(11)을 거친 차종별 대차들(3)을 2층의 상부 데크(15)로 운반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데크(15)의 후방에는 대차 리턴레일(17)과 연결되는 트래버스(21)가 구비되어 있다.
이 트래버스(21)는 테이블 리프터(19)를 통해 1층의 작업 공정라인(11)에서 2층의 상부 데크(15)로 이송된 차종별 이송 대차(3)를 대차 리턴레일(17)로 운반한다.
이에 더하여, 작업 공정라인(11) 및 대차 리턴레일(17)의 전방 측에는 대차 리턴레일(17)을 통해 이송되는 차종별 이송 대차들(3)을 적재하고, 그 차종별 이송 대차들(3)을 작업 공정라인(11)으로 공급할 수 있는 멀티 대차 스토리지(31)가 구성된다.
상기 멀티 대차 스토리지(31)는 차종별 이송 대차들(3)을 무작위로 적재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지니며, 작업장의 플로어로부터 2~3층의 높이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멀티 대차 스토리지(31)는 차종별 이송 대차들(3)을 퍼즐 방식으로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작업 공정라인(11)으로 취출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전체적인 시스템이 2층 데크 구조로 이루어지고, 차종별 이송 대차들(3)을 1,2 층으로 운반하는 리프팅 장 치, 및 퍼즐 방식의 멀티 대차 스토리지(31)를 구비하므로, 전체적인 설비의 복잡화 및 거대화가 불가피하다.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서는 공장의 면적 및 설비 투자비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2~3층 높이를 지니며 퍼즐 방식으로 차종별 이송 대차(3)를 취출하는 멀티 대차 스토리지(31)를 구비하므로, 대차 공급을 위한 설비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차종별 이송 대차(3)의 공급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멀티 대차 스토리지, 대차 리프팅 장치, 및 2층의 데크 구조를 삭제하고, 작업장의 플로어(XY 평면) 상에서 이송 대차를 순환 및 적재할 수 있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ⅰ)작업장의 플로어 상에서 다수의 작업 공정부들을 따라 X축 방향으로 구성되어 이송 대차를 X(+)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대차 이송라인과, ⅱ)상기 플로어 상에서 상기 대차 이송라인과 평행하게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X(-)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대차 리턴라인과, ⅲ)상기 대차 이송라인 및 상기 대차 리턴라인의 전후방 측을 각각 연결하는 트래버스들과, ⅳ)상기 대차 리턴라인에 Y축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며,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적재하며 그 이송 대차를 Y(±)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다수의 스토리지들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차 이송라인은 전후방 측의 엔드 섹션과, 상기 각 엔드 섹션 사이의 미디엄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차 이송라인은 상기 작업 공정부들을 따라 제1 베이스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공정 레일을 구성하며, 상기 미디엄 섹션의 상기 각 공정 레일 사이에 셔틀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상기 대차 이송라인의 미디엄 섹션에 구성되어 상기 셔틀 플레이트에 전후진 구동력을 제공하는 셔틀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셔틀 구동유닛은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과, 상기 장착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제1 구동 모터와, 상기 제1 구동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셔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형성된 랙부와 상호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사이에 두고 장착 브라켓을 통해 상기 장착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셔틀 플레이트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상기 셔틀 플레이트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의 이송을 구속하는 훅킹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훅킹유닛은 상기 셔틀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훅킹 실린더와, 상기 훅킹 실린더의 작동 로드 선단에 장착되는 훅킹 핀과, 상기 훅킹 실린더로 작동압을 공급하는 급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상기 각 트래버스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 이송라인에 구성되고, 상기 각 스토리지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 리턴라인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의 위치를 정렬하는 대차 위치결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상기 대차 이송라인 상에 복수로서 장착되어 상기 이송 대차의 X(+)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제1 스토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상기 각 트래버스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 이 송라인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의 Y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제2 스토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상기 대차 이송라인의 각 엔드 섹션에 설치되며, 상기 각 트래버스와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유닛은 상기 각 트래버스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 상에 Y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 롤러와,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 상에 Y축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2 구동 모터와,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2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 제1 감속기와, 상기 제1 감속기의 양측에 X축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 롤러와 연결되는 제1 동력 전달축과,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의 하부면으로 연결되는 작동 로드를 지닌 복수의 제1 승강 실린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차 리턴라인은 X축 방향을 따라 제2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리턴 레일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상기 각 스토리지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 리턴라인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대차의 X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제3 스토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상기 대차 리턴라인에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X(-)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3 구동 모터와,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X축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기어 박스들과, 상기 각 제1 기어 박스의 일측에 X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전 롤러와, 상기 제3 구동 모터 및 상기 제1 기어 박스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2 동력 전달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상기 대차 리턴라인에 상기 각 스토리지와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3 이송유닛과, 상기 각 스토리지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4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유닛은 상기 각 스토리지에 대응하여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 상에 Y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회전 롤러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 상에 Y축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2 기어 박스와, 상기 제2 기어 박스와 상기 제3 회전 롤러를 상호 연결하는 제3 동력 전달축과,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하부면으로 연결되는 작동 로드를 지닌 복수의 제2 승강 실린더들을 포함할 수 있 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스토리지는 상기 이송 대차를 Y(±)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3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은 Y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3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4 이송유닛은 상기 제3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4 구동 모터와, 상기 제4 구동 모터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3 기어 박스들과, 상기 각 제3 기어 박스의 양측에 Y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회전 롤러와, 상기 제4 구동 모터, 상기 제3 기어 박스들, 및 상기 제2 기어 박스를 상호 연결하는 제4 동력 전달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방 측의 트래버스는 상기 이송 대차를 상기 대차 리턴라인의 전방 측에서 Y(+) 방향을 따라 상기 대차 이송라인의 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3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은 Y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4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후방 측의 트래버스는 상기 이송 대차를 상기 대차 이송라인의 후방 측에서 Y(-) 방향을 따라 상기 대차 리턴라인의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4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4 가이드 레일은 Y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5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은, 상기 각 트래버스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5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5 이송유닛은 상기 제4 및 제5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는 제5 구동 모터와, 상기 제4 및 제5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5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 제2 감속기와, 상기 제2 감속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4 기어 박스들과, 상기 각 제4 기어 박스의 양측에 Y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 회전 롤러와, 상기 제2 감속기 및 상기 제4 기어 박스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5 동력 전달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퍼즐 방식의 멀티 대차 스토리지, 대차 리프팅 장치, 및 2층의 데크 구조를 배제하고, 작업장의 플로어(XY 평면) 상에서 차종별 이송 대차를 순환 및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인 시스템의 설비를 단순화 하며, 작업장의 공간 활용도를 높임은 물론, 설비의 보전성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공정 면적 및 설비 투자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이송 대차를 대차 이송라인으로 공급하는 소요 시간을 줄여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의 레이 아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100)은 다양한 차종의 사이드 어셈블리 패널(side assembly panel)을 같은 라인에서 용접 공정 등을 통해 조립하는 다차종 혼류 생산 방식의 무인 자동화 라인에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어셈블리 패널은 아웃터 패널, 인너 패널, 및 각종 보강 패널 등과 같은 파트 부품들(1)이 스폿 용접을 통해 조립되는 완성 패널을 의미한다.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100)은 차종별 파트 부품들(1)을 이송 대차(3)를 통해 다수의 작업 공정부들(미도시)로 순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작업 공정부들(미도시)에서는 용접 로봇(미도시)을 통해 파트 부품들(1)의 스폿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 공정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100)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퍼즐 방식의 멀티 대차 스토리지, 대차 리프팅 장치, 및 2층의 데크 구조를 배제하고, 작업장의 플로어(XY 평면) 상에서 이송 대차(3)를 순환 및 적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100)은 대차 이송라인(110)과, 대차 리턴라인(210)과, 트래버스들(310, 320)과, 스토리지들(4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서, 작업장의 플로어 상에서 대차 이송라인(11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X(+), 그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X(-), 대차 리턴라인(210)의 전방에서 대차 이송라인(110)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Y(+), 대차 이송라인(110)의 후방에서 대차 리턴라인(210)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Y(-)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차 이송라인(110)은 작업장의 플로어 상에서 X(+) 방향을 따라 구성되며, 대차 리턴라인(210)은 대차 이송라인(110)과 평행하게 X(-) 방향을 따라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래버스들(310, 320)은 대차 이송라인(110) 및 대차 리턴라인(210)의 전후방 측을 연결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전방측 트래버스(310)를 "제1 트래버스", 후방측 트래버스(320)를 "제2 트래버스" 라고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트래버스(310)는 Y(+) 방향을 따라 구성되며, 제2 트래버스(320)는 Y(-) 방향을 따라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토리지들(410)은 대차 리턴라인(210)에 대하여 Y축 방향을 따라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100)을 그 구성 별로 설명하면, 우선 대차 이송라인(110)은 파트 부품들(1)이 로딩된 이송 대차(3)를 작업 공정부들(미도시)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대차 이송라인(110)은 작업장의 플로어 상에서 그 작업 공정부들(미도시)을 따라 X(+)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른 바 메인 셔틀 라인(main shuttle line)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 이송라인(110)은 작업 공정부들(미도시)을 따라 X축 방향으로 구성되는 바, 전후방 측의 엔드 섹션(111) 및 이들 엔드 섹션(111) 사이의 미디엄 섹션(11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대차 이송라인(110)은 제1 베이스 프레임(115), 공정 레일(117) 및 셔틀 플레이트(1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115)은 작업 공정부들(미도시)을 따라 작업장의 플로어 상에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공정 레일(117)은 이송 대차(3)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베이스 프레임(115)의 양측에 X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셔틀 플레이트(119)는 이송 대차(3)를 X(+)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미디엄 섹션(113)의 각 공정 레일(117) 사이에서 제1 베이스 프레임(115)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대차 이송라인(110)에는 도 2a 내지 도 2c에서와 같이 셔틀 플레이트(119)에 전후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셔틀 구동유닛(120)이 제공되는 바, 이 셔틀 구동유닛(120)은 대차 이송라인(110)의 미디엄 섹션(113)에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셔틀 구동유닛(120)은 장착 프레임(121)과, 제1 구동 모터(123)와, 피니언(125)과, 복수의 가이드 롤러들(1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 프레임(121)은 제1 베이스 프레임(115)에 설치되고, 제1 구동 모터(123)는 장착 프레임(121) 상에 장착된다.
상기 피니언(125)은 제1 구동 모터(123)와 연결되며, 셔틀 플레이트(119)의 하부면에 형성된 랙부(126)와 상호 치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롤러들(127)은 피니언(125)을 사이에 두고 셔틀 플레이트(119)의 양 가장자리 측에 구비되는데, 장착 브라켓(128)을 통하여 장착 프레임(121)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들(127)은 셔틀 플레이트(119)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구동 모터(123)의 구동축은 커플러(124)를 통해 장착 브라켓(12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구동축에는 상기 피니언(125)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대차 이송라인(110)은 도 3에서와 같이 양측 공정 레일(117) 상의 이송 대차(3)를 구속하고, 그 이송 대차(3)를 셔틀 플레이트(119)와 동기 작동시키기 위한 훅킹유닛(130)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훅킹유닛(130)은 셔틀 플레이트(119)에 구성되는 바, 훅킹 실린더(131)와, 훅킹 핀(133)과, 한 쌍의 급기관(L1, L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훅킹 실린더(131)는 셔틀 플레이트(119) 상에 장착되며, 급기관(L1, L2)을 통하여 공급되는 작동압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는 작동 로드(132)를 구비한 다.
상기 훅킹 핀(133)은 훅킹 실린더(131)의 작동 로드(132) 선단에 장착되며, 원형으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급기관(L1, L2)은 훅킹 실린더(131)로 작동압을 공급하기 위한 2 개의 급기 실린더(C1, C2)에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은 훅킹유닛(130)의 구성은 본 출원인에 의해 제공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07-0115523호에 개시된 바 있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대차 이송라인(11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이송 대차(3)의 위치를 정렬하는 제1 대차 위치결정유닛(140)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대차 위치결정유닛(140)은 각각의 제1 및 제2 트래버스(310, 320)에 대응하는 엔드 섹션(111)에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대차 위치결정유닛(140)은 대차 이송라인(110)의 공정 레일(117) 상에서 그 이송 대차(3)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을 한 번에 정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대차 위치결정유닛(140)은 이송 대차(3)의 하부면에 형성된 위치결정축(5)을 작동 실린더의 구동으로서 클램핑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대차 위치결정유닛(140)은 본 출원인에 의해 제공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8-0200044호에 개시된 바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대차 이송라인(110)은 도 5에서와 같이 이송 대차(3)의 X(+) 방향 이동을 선택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제1 스토핑유닛(15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스토핑유닛(150)은 대차 이송라인(110)의 제1 베이스 프레임(115)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제1 스토핑유닛(150)은 작동 실린더의 구동으로서 이송 대차(3)의 길이 방향측 가장자리부를 클램핑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대차 이송라인(110)에는 도 4에서와 같은 제2 스토핑유닛(160)을 더욱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스토핑유닛(160)은 제1 트래버스(310)를 통해 대차 이송라인(110)으로 이송된 이송 대차(3)의 Y(+) 방향 이동을 규제하고, 대차 이송라인(110)에서 제2 트래버스(320)를 통해 대차 리턴라인(210)으로 이송될 이송 대차(3)의 Y(+)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도 1 참조).
상기 제2 스토핑유닛(160)은 각각의 제1 및 제2 트래버스(310, 320)에 대응하는 대차 이송라인(110)의 엔드 섹션(111)에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스토핑유닛(160)은 대차 이송라인(110)의 제1 베이스 프레임(115)에 장착되며, 작동 실린더의 구동으로서 이송 대차(3)의 Y(±) 방향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161)가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대차 리턴라인(210)에서 제1 트래버스(310)를 통해 Y(+) 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 대차(3)를 대차 이송라인(110)에서 Y(+)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대차 이송라인(110)에서 이송 대차(3)를 Y(-) 방향을 따라 제2 트래버스(310)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이송유닛(17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이송유닛(170)은 대차 이송라인(110)의 각 엔드 섹션(111)에 설치되며, 각각의 제1 및 제2 트래버스(310, 320)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이송유닛(170)은 한 쌍의 제1 장착 플레이트(171)와, 제1 회전 롤러(173)와, 제1 가이드 레일(175)과, 제2 구동 모터(177)와, 제1 감속기(179)와, 제1 동력 전달축(181)과, 제1 승강 실린더들(18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171)는 각각의 제1 및 제2 트래버스(310, 320)에 대응하여 대차 이송라인(110)의 공정 레일(117)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Y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회전 롤러(173)는 제1 장착 플레이트(171) 상에 Y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장착 플레이트(171) 상에 한 쌍으로서 구비되며, 제1 장착 플레이트(171)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레일(175)는 각각의 트래버스(310, 320)와 일직선을 이루며, 제1 장착 플레이트(171) 상에 Y축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구동 모터(177)는 제1 베이스 프레임(115) 상에 장착되며, 제1 감속기(179)는 제2 구동 모터(177)와 연결되며 제1 베이스 프레임(115) 상에 장착된다.
상기 제1 동력 전달축(181)은 제1 감속기(179)의 양측에 X축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한 쌍의 제1 회전 롤러(173) 중 어느 하나의 제1 회전 롤러(173)와 연결된 다.
여기서, 상기 제1 동력 전달축(181)은 제2 구동 모터(177)의 회전 구동력을 제1 감속기(179)를 통해 제1 회전 롤러(173)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승강 실린더들(183)은 제1 장착 플레이트(171)에 대응하여 제1 베이스 프레임(115) 상에 장착되며, 제1 장착 플레이트(171)의 하부면으로 연결되는 작동 로드(미도시)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승강 실린더들(183)은 작동압으로서 작동 로드(미도시)를 상하 방향으로 전후진시킴으로써 제1 장착 플레이트(171)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 리턴라인(210)은 도 1에서와 같이 작업장 플로어 상에서 대차 이송라인(110)과 평행하게 구성되며, 이송 대차(3)를 X(-)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대차 리턴라인(210)은 X축 방향을 따라 제2 베이스 프레임(211)을 설치하고, 제2 베이스 프레임(211)의 양측에 리턴 레일(213)을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대차 리턴라인(210)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이송 대차(3)의 위치를 정렬하는 제2 대차 위치결정유닛(220)이 제공된다.
즉, 상기 제2 대차 위치결정유닛(220)은 각 스토리지(410)로부터 대차 리턴라인(210)으로 이송된 이송 대차(3), 및 그 대차 리턴라인(210)으로부터 각 스토리지(410)로 이송될 이송 대차(3)의 위치를 정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제2 대차 위치결정유닛(220)은 각각의 스토리지(410)에 대응하는 위치 에서 제2 베이스 프레임(211)에 구성된다.
이러한 제2 대차 위치결정유닛(220)은 언급한 바 있듯이 본 출원인에 의해 제공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8-0200044호에 개시된 바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대차 리턴라인(210)에는 각 스토리지(41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이송 대차(3)의 X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3 스토핑유닛(230)이 제공된다.
상기 제3 스토핑유닛(230)은 대차 리턴라인(210)의 제2 베이스 프레임(211) 상에 장착되며, 작동 실린더의 구동으로서 이송 대차(3)의 X축 방향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23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 리턴라인(210)에는 이송 대차(3)를 X(-)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이송유닛(2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이송유닛(240)은 대차 리턴라인(210)의 제2 베이스 프레임(211)에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이송유닛(240)은 제3 구동 모터(241)와, 제1 기어 박스들(243)과, 제2 회전 롤러(245)와, 제2 동력 전달축(2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 구동 모터(241)는 제2 베이스 프레임(211) 상에 장착되고, 제1 기어 박스들(243)은 제2 베이스 프레임(211)에 X축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회전 롤러(245)는 제1 기어 박스(243)의 일측에 X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동력 전달축(247)은 제3 구동 모터(241)와 제1 기어 박스 들(243)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3 구동 모터(241)의 회전 구동력을 제1 기어 박스들(243)을 통해 제2 회전 롤러(245)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스토리지(410)로부터 Y(+)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 대차(3)를 대차 리턴라인(210)에서 Y(+)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대차 리턴라인(210)에서 이송 대차(3)를 Y(-) 방향을 따라 각 스토리지(410)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3 이송유닛(2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3 이송유닛(250)은 대차 리턴라인(210)에 각 스토리지(410)와 상호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제3 이송유닛(250)은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제2 장착 플레이트(251)와, 제3 회전 롤러(253)와, 제2 가이드 레일(255)과, 제2 기어 박스(257)와, 제3 동력 전달축(259)과, 제2 승강 실린더들(26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251)는 각각의 스토리지(410)에 대응하여 대차 리턴라인(210)의 리턴 레일(213)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3 회전 롤러(253)는 제2 장착 플레이트(251) 상에 Y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장착 플레이트(251) 상에 한 쌍으로서 구비되며, 제2 장착 플레이트(251)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가이드 레일(255)은 각 스토리지(410)와 일직선을 이루며, 제2 장착 플레이트(251) 상에 Y축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기어 박스(257)는 한 쌍의 장착 플레이트(251) 사이에서 제2 베이스 프레임(211)에 장착된다.
상기 제3 동력 전달축(259)은 제2 기어 박스(257)와 제3 회전 롤러(253)를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승강 실린더(261)는 제2 장착 플레이트(251)에 대응하여 제2 베이스 프레임(211) 상에 장착되며, 제2 장착 플레이트(251)의 하부면으로 연결되는 작동 로드(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승강 실린더들(261)은 작동압으로서 작동 로드(미도시)를 상하 방향으로 전후진시킴으로써 제2 장착 플레이트(251)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상기 스토리지(410)는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차종별 이송 대차(3)를 적재하며 그 이송 대차(3)를 대차 리턴라인(210)에 대하여 Y(±)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각 스토리지(410)는 대차 리턴라인(210)에 Y축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며,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대차 리턴라인(210)의 전후방 측의 스토리지(410)는 각각의 제1 및 제2 트래버스(310, 320)와 상호 일직선을 이루며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토리지(410)는 Y축 방향으로 제3 베이스 프레임(411)을 설치하고, 제3 베이스 프레임(411)의 양측에 제3 가이드 레일(413)을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스토리지(410)에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이송 대차(3)를 Y(±)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4 이송유닛(4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4 이송유닛(420)은 제4 구동 모터(421)와, 제3 기어 박스들(423)과, 제4 회전 롤러(425)와, 제4 동력 전달축(4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4 구동 모터(421)는 제3 베이스 프레임(411) 상에 장착되고, 제3 기어 박스들(423)은 제4 구동 모터(421)에 대응하여 Y축 방향을 따라 제3 베이스 프레임(411)에 복수로서 구비된다.
상기 제4 회전 롤러(425)는 제3 기어 박스(423)의 양측에 Y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4 동력 전달축(427)은 제4 구동 모터(421), 제3 기어 박스들(423), 및 제3 이송유닛(250)의 제2 기어 박스(257)와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4 동력 전달축(427)은 제4 구동 모터(421)의 회전 구동력을 제3 기어 박스(423)를 통해 제4 회전 롤러(425)로 전달함과 동시에, 그 회전 구동력을 제3 이송유닛(250)의 제2 기어 박스(257)를 통해 제3 회전 롤러(253)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트래버스(310)는 도 1에서와 같이 대차 이송라인(110)과 대차 리턴라인(210)의 전방 측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1 트래버스(310)는 이송 대차(3)를 대차 리턴라인(210)의 전방 측에서 Y(+) 방향을 따라 대차 이송라인(110)의 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트래버스(310)는 Y(+) 방향을 따라 제4 베이스 프레임(311)을 설치하고, 제4 베이스 프레임(311)의 양측에 제3 가이드 레일(313)을 배치하여 이루 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트래버스(320)는 대차 이송라인(110)과 대차 리턴라인(210)의 후방 측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 트래버스(320)는 이송 대차(3)를 대차 이송라인(110)의 후방 측에서 Y(-) 방향을 따라 대차 리턴라인(210)의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 트래버스(320)는 Y(-) 방향을 따라 제5 베이스 프레임(321)을 설치하고, 제5 베이스 프레임(321)의 양측에 제4 가이드 레일(323)을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 트래버스(310, 320)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이송 대차(3)를 Y(±) 방향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제5 이송유닛(35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5 이송유닛(350)은 제5 구동 모터(351)와, 제2 감속기(353)와, 제4 기어 박스들(355)과, 제5 회전 롤러(357)와, 제5 동력 전달축(35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5 구동 모터(351)는 제4 및 제5 베이스 프레임(311, 321)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제2 감속기(353)는 제5 구동 모터(351)와 연결되며, 제4 및 제5 베이스 프레임(311, 321) 상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제4 기어 박스(355)는 제2 감속기(353)를 사이에 두고 제4 및 제5 베이스 프레임(311, 321) 상에 Y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게 장착 된다.
상기 제5 회전 롤러(357)는 제4 기어 박스(355)의 양측에 Y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5 동력 전달축(359)은 제2 감속기(353)와 제4 기어 박스들(355)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제5 구동 모터(351)의 회전 구동력을 제2 감속기(353) 및 제4 기어 박스들(355)을 통해 제5 회전 롤러(357)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이송 대차(3)는 차종에 따라 각기 다른 구조를 지니며, 차종의 생산 비율에 따라 산출된 대수로서 본 시스템(100)을 통해 순환된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편의상 1대의 차종별 이송 대차(3)가 본 시스템(100)을 통해 순환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임의의 스토리지(410)에 적재된 차종별 이송 대차(3)는 제4 이송유닛(420)을 통해 Y(+)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 이송 대차(3)는 제4 이송유닛(420)에 의해 대차 리턴라인(210)으로 이동되는데, 그 대차 리턴라인(210)에서 제3 이송유닛(250)을 통해 Y(+) 방향으로 이송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 대차(3)는 대차 리턴라인(210)에서 제2 대차 위치결정 유닛(220)을 통해 위치가 정렬되고, 제3 스토핑유닛(230)에 의해 X(+) 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이 후, 상기 이송 대차(3)는 제2 이송유닛(240)을 통해 대차 리턴라인(210)을 따라 X(-)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과정에서 파트 부품들(1)이 이송 대차(3)에 로딩되고, 그 이송 대차(3)는 제1 트래버스(310) 측으로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 대차(3)가 제1 트래버스(310) 측으로 도달하게 되면, 상기 이송 대차(3)는 대차 리턴라인(210)에서 제3 이송유닛(250)을 통해 Y(+) 방향으로 이송된다.
여기서도 상기 이송 대차(3)는 대차 리턴라인(210)에서 제2 대차 위치결정유닛(220)을 통해 위치가 정렬되고, 제3 스토핑유닛(230)에 의해 X(+) 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 대차(3)는 제1 트래버스(310)를 통하여 대차 이송라인(110)의 전방 측으로 이송되는데, 제5 이송유닛(350)을 통해 Y(+) 방향으로 운반된다.
이어서, 상기 이송 대차(3)는 대차 이송라인(110)의 전방 측에서 제1 이송유닛(170)을 통해 Y(+)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대차 이송라인(110)에서 제1 대차 위치결정유닛(140)에 의해 위치가 정렬되고, 제2 스토핑유닛(160)에 의해 Y(+) 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이 후, 상기 이송 대차(3)는 셔틀 플레이트(119)를 통해 대차 이송라인(110) 을 따라 X(+) 방향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 대차(3)는 후킹유닛(130)을 통해 구속된 상태로 셔틀 플레이트(119)와 동기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셔틀 플레이트(119)는 셔틀 구동유닛(120)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이송 대차(3)를 X(+)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이송 대차(3)는 X(+) 방향을 따라 작업 공정부들(미도시)로 이동되는데, 각 작업 공정부(미도시)에 도착한 이송 대차(3)는 제1 스토핑유닛(150)에 의해서 X(+) 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이렇게 상기 이송 대차(3)가 제1 스토핑유닛(150)에 의해 규제된 상태에서 작업 공정부(미도시)의 용접 로봇들(미도시)은 파트 부품들(1)에 대하여 스폿 용접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한 스폿 용접 공정이 완료된 경우, 이송 대차(3)에 대한 제1 스토핑유닛(150)의 규제가 해제된 상태에서, 그 이송 대차(3)는 셔틀 플레이트(119)를 통해 대차 이송라인(110)의 후방 측으로 운반된다.
이어서, 상기 이송 대차(3)는 제2 트래버스(320) 측으로 도달하게 되고, 훅킹유닛(130)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1 대차 위치결정유닛(140)을 통해 위치가 정렬되고, 제2 스토핑유닛(160)에 의해 Y(+) 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 이송대차(3)는 제1 이송유닛(170)을 통해 Y(-) 방향을 따라 제2 트래버스(320)로 운반되고, 제2 트래버스(320)에서는 제5 이송유닛(350)을 통해 Y(-)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대차 리턴라인(210)의 후방 측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상기 이송 대차(3)는 대차 리턴라인(210)의 후방에서 제3 이송유닛(250)을 통해 (Y-)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대차 위치결정유닛(220)을 통해 위치가 정렬되며, 제3 스토핑유닛(230)에 의해 X(+) 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 대차(3)는 제2 이송유닛(240)을 통해 대차 리턴라인(210)을 따라 X(-)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후, 상기 이송 대차(3)가 기설정된 위치의 스토리지(410) 측으로 도달하게 되면, 그 이송 대차(3)는 제2 대차 위치결정유닛(220)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고, 제3 스토핑유닛(230)에 의해 X(+)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어서, 상기 이송 대차(3)는 제3 이송유닛(250)을 통해 대차 리턴라인(210)에서 Y(-) 방향을 따라 스토리지(410)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대차(3)는 제4 이송유닛(420)을 통해 Y(-)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기설정된 위치의 스토리지(410)에 적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100)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퍼즐 방식의 멀티 대차 스토리지, 대차 리프팅 장치, 및 2층의 데크 구조를 배제하고, 작업장의 플로어(XY 평면) 상에서 차종별 이송 대차(3)를 순환 및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인 시스템의 설비를 단순화하며, 작업장의 공간 활용도를 높임은 물론, 설비의 보전성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정 면적 및 설비 투자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이송 대차를 대차 이송라인으로 공 급하는 소요 시간을 줄여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의 레이 아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셔틀 구동유닛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훅킹유닛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대차 이송라인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대차 리턴라인 및 스토리지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3 및 제4 이송유닛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에 적용되는 트래버스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의 레이 아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3)

  1. 작업장의 플로어 상에서 다수의 작업 공정부들을 따라 X축 방향으로 구성되어 이송 대차를 X(+)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대차 이송라인;
    상기 플로어 상에서 상기 대차 이송라인과 평행하게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X(-)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대차 리턴라인;
    상기 대차 이송라인 및 상기 대차 리턴라인의 전후방 측을 각각 연결하는 트래버스들;
    상기 대차 리턴라인에 Y축 방향으로 각각 연결되며,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적재하며 그 이송 대차를 Y(±)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다수의 스토리지들;
    상기 각 트래버스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 이송라인에 구성되고, 상기 각 스토리지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 리턴라인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의 위치를 정렬하는 대차 위치결정유닛;
    상기 대차 이송라인 상에 복수로서 장착되어 상기 이송 대차의 X(+)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제1 스토핑유닛;
    상기 각 트래버스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 이송라인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의 Y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제2 스토핑유닛; 및
    상기 각 스토리지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 리턴라인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대차의 X축 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제3 스토핑유닛
    을 포함하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이송라인은,
    전후방 측의 엔드 섹션과, 상기 각 엔드 섹션 사이의 미디엄 섹션으로 구성되며,
    상기 작업 공정부들을 따라 제1 베이스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공정 레일을 구성하며, 상기 미디엄 섹션의 상기 각 공정 레일 사이에 셔틀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이송라인의 미디엄 섹션에 구성되어 상기 셔틀 플레이트에 전후진 구동력을 제공하는 셔틀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셔틀 구동유닛은,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과,
    상기 장착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제1 구동 모터와,
    상기 제1 구동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셔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형성된 랙부와 상호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사이에 두고 장착 브라켓을 통해 상기 장착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셔틀 플레이트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플레이트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의 이송을 구속하는 훅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훅킹유닛은,
    상기 셔틀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훅킹 실린더와,
    상기 훅킹 실린더의 작동 로드 선단에 장착되는 훅킹 핀과,
    상기 훅킹 실린더로 작동압을 공급하는 급기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5. 삭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이송라인의 각 엔드 섹션에 설치되며, 상기 각 트래버스와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유닛은,
    상기 각 트래버스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 상에 Y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 롤러와,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 상에 Y축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2 구동 모터와,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2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 제1 감속기와,
    상기 제1 감속기의 양측에 X축 방향을 따라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 롤러와 연결되는 제1 동력 전달축과,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의 하부면으로 연결되는 작동 로드를 지닌 복수의 제1 승강 실린더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리턴라인은 X축 방향을 따라 제2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리턴 레일을 구성하고,
    상기 대차 리턴라인에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X(-)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3 구동 모터와,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X축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기어 박스들과,
    상기 각 제1 기어 박스의 일측에 X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회전 롤러와,
    상기 제3 구동 모터 및 상기 제1 기어 박스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2 동력 전달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리턴라인에 상기 각 스토리지와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3 이송유닛과,
    상기 각 스토리지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4 이송유닛
    을 포함하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유닛은,
    상기 각 스토리지에 대응하여 Y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장착 플레 이트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 상에 Y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회전 롤러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 상에 Y축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2 기어 박스와,
    상기 제2 기어 박스와 상기 제3 회전 롤러를 상호 연결하는 제3 동력 전달축과,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하부면으로 연결되는 작동 로드를 지닌 복수의 제2 승강 실린더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토리지는 상기 이송 대차를 Y(±)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3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은 Y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3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구성되고,
    상기 제4 이송유닛은,
    상기 제3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4 구동 모터와,
    상기 제4 구동 모터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3 기어 박스들과,
    상기 각 제3 기어 박스의 양측에 Y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회전 롤러와,
    상기 제4 구동 모터, 상기 제3 기어 박스들, 및 상기 제2 기어 박스를 상호 연결하는 제4 동력 전달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측의 트래버스는 상기 이송 대차를 상기 대차 리턴라인의 전방 측에서 Y(+) 방향을 따라 상기 대차 이송라인의 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3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가이드 레일은 Y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4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구성되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측의 트래버스는 상기 이송 대차를 상기 대차 이송라인의 후방 측에서 Y(-) 방향을 따라 상기 대차 리턴라인의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4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4 가이드 레일은 Y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5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구성되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트래버스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 대차를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5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5 이송유닛은,
    상기 제4 및 제5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는 제5 구동 모터와,
    상기 제4 및 제5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5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 제2 감속기와,
    상기 제2 감속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4 기어 박스들과,
    상기 각 제4 기어 박스의 양측에 Y축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 회전 롤러와,
    상기 제2 감속기 및 상기 제4 기어 박스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5 동력 전달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KR1020080082893A 2008-08-25 2008-08-25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KR10101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893A KR101013969B1 (ko) 2008-08-25 2008-08-25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US12/539,078 US8424672B2 (en) 2008-08-25 2009-08-11 Moving car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893A KR101013969B1 (ko) 2008-08-25 2008-08-25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163A KR20100024163A (ko) 2010-03-05
KR101013969B1 true KR101013969B1 (ko) 2011-02-14

Family

ID=4169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893A KR101013969B1 (ko) 2008-08-25 2008-08-25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24672B2 (ko)
KR (1) KR1010139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305B1 (ko) 2013-05-23 2014-01-16 신한테크(주) 교차 주행 이송장치
KR102181389B1 (ko) * 2020-04-07 2020-11-20 경기산업(주) 자동차 패널 헤밍을 위한 금형을 이송하는 헤밍 금형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밍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2084B (zh) * 2010-05-18 2012-10-10 张帆 无人值守全自动银行保管箱系统
KR101016043B1 (ko) * 2010-07-01 2011-02-23 강우성 자동차 바디 이송장치
DE102011103152A1 (de) 2011-05-25 2012-11-29 Hamba Filltec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füllen von Behältern
KR101322487B1 (ko) * 2013-05-22 2013-10-29 신한테크(주) 볼 캐스터가 구비된 이송장치
US10562710B2 (en) * 2016-12-06 2020-02-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production line using skid-type variable workbench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689202B2 (en) 2018-05-29 2020-06-2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ed transport of articles along a path
US10696488B2 (en) * 2018-05-29 2020-06-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pparatus that controls motion of proximate independent movers along a path
US10717606B2 (en) 2018-05-29 2020-07-2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of independently controlling motion of movers along a path
US10919705B2 (en) 2018-05-29 2021-02-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pparatus that controls motion of independent movers along a path
CN110800698B (zh) * 2019-12-18 2024-05-24 浙江飞普达环保科技有限公司 黑水虻养殖系统
CN112079097A (zh) * 2020-08-13 2020-12-15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减振器装配产线顶升横移装置、传送系统及装配产线
CN113682403A (zh) * 2021-08-14 2021-11-23 江苏长虹机械设计院有限公司 一种新型升降对轨装置
DE102021211672A1 (de) * 2021-10-15 2023-04-20 Dürr Systems Ag Fördervorrichtung, 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Werkstück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797A (ko) * 1997-10-30 1999-05-15 양재신 자동차의 차체패널 자동이송장치
JP2000281209A (ja) * 1998-11-04 2000-10-10 Honda Motor Co Ltd 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1130A (en) * 1950-11-14 1954-06-15 James L Atwood Conveyer system for bakeries
US2970413A (en) * 1959-08-28 1961-02-07 Libbey Owens Ford Glass Co Apparatus for surfacing glass sheets
DE1781097C3 (de) * 1968-08-23 1974-03-07 Fromme Foerderanlagen Gmbh, 6330 Wetzlar Automatische Anlage zum Fördern von trogförm'igen Paletten mit einer Transportrollenbahn
US3710917A (en) * 1971-01-29 1973-01-16 Dorr Oliver Inc Conveying apparatus
US3904022A (en) * 1971-11-24 1975-09-09 David E Lutz Article handling system
US3989094A (en) * 1974-01-08 1976-11-02 The Fairfield Engineering Company Apparatu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flaskless sand molds
DE2839339C2 (de) * 1978-09-09 1983-04-21 Carl Schenck Ag, 6100 Darmstadt Anordnung zum gegenseitigen Anheben zweier sich kreuzender Fahrbahnen
JPS5934972A (ja) * 1982-08-24 1984-02-2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パレツト搬送装置
US4564100A (en) * 1983-06-23 1986-01-14 Acco Babcock Inc. Carrier conveyor system
US4798275A (en) * 1986-06-30 1989-01-17 Versa Corporation Line-shaft conveyor diverter
JP2638808B2 (ja) * 1987-06-08 1997-08-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搬送装置
DE3840256A1 (de) * 1988-11-25 1990-05-31 Mannesmann Ag Transportvorrichtung mit einer fliessfertigungssstrasse
JPH02286510A (ja) * 1989-04-28 1990-11-26 Tsubakimoto Chain Co 台車連結式コンベヤ
JPH06171715A (ja) * 1992-12-10 1994-06-21 Kouritsu Gijutsu Kenkyusho:Kk 搬送設備における物品滞留装置および物品滞留方法
US5388684A (en) * 1994-02-22 1995-02-14 Peck Automated Systems, Inc. Pallet conveyor
EP0741091A1 (en) * 1994-11-17 1996-11-06 Bando Kagaku Kabushiki Kaisa Carrier device
US6016903A (en) * 1995-10-30 2000-01-25 Grob-Werke Gmbh & Co. Kg Conveyor track for pallets
CN1226170C (zh) * 1998-11-04 2005-11-0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运送装置
JP3879967B2 (ja) * 2000-09-14 2007-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レット搬送組立ライン
KR101063495B1 (ko) * 2009-06-15 201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래버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797A (ko) * 1997-10-30 1999-05-15 양재신 자동차의 차체패널 자동이송장치
JP2000281209A (ja) * 1998-11-04 2000-10-10 Honda Motor Co Ltd 搬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305B1 (ko) 2013-05-23 2014-01-16 신한테크(주) 교차 주행 이송장치
KR102181389B1 (ko) * 2020-04-07 2020-11-20 경기산업(주) 자동차 패널 헤밍을 위한 금형을 이송하는 헤밍 금형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163A (ko) 2010-03-05
US20100044188A1 (en) 2010-02-25
US8424672B2 (en) 201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969B1 (ko)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US9254539B2 (en) Manufacturing system
CN109128851B (zh) 一种汽车外饰件冲孔、焊接或粘接柔性自动化生产线
KR970003573B1 (ko) 가공물 조립방법 및 그 장치
JP5212836B2 (ja) ワーク搬送設備
JP2011000702A (ja) 工程間フレキシブル自動搬送システム
KR101514887B1 (ko) 차체 용접 장치
DE3229327A1 (de) Versorgungssystem
KR100879070B1 (ko) 대차 이송 장치
KR101354200B1 (ko) 자동차 조립 라인 시스템
JP5421172B2 (ja) 溶接ライン
JP5579242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JP6534175B2 (ja) 組立ライン
CN108213793B (zh) 汽车后侧围总成焊接生产线及后侧围总成焊接方法
US200201001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assembly of automotive components
CN115971738A (zh) 一种基于摩擦输送的车身焊装系统
KR101322487B1 (ko) 볼 캐스터가 구비된 이송장치
KR100873861B1 (ko) 대차 공급 스토리지 장치
JP3988378B2 (ja) 自動車生産ライン
KR100534808B1 (ko) 차량 사이드 패널 조립 장치
JPH01101277A (ja) 自動車ボディの溶接装置
JPS6179544A (ja) 無人搬送台車
CN117817191A (zh) 车辆焊装车间
CN110560622B (zh) 一种纵梁与加强板的装配设备及其装配方法
KR20090095030A (ko)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