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225B1 -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225B1
KR960004225B1 KR1019920020900A KR920020900A KR960004225B1 KR 960004225 B1 KR960004225 B1 KR 960004225B1 KR 1019920020900 A KR1019920020900 A KR 1019920020900A KR 920020900 A KR920020900 A KR 920020900A KR 960004225 B1 KR960004225 B1 KR 960004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remote controller
communication
operation state
interf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018A (ko
Inventor
다다아키 고테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30022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 G05D23/1905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associated with tel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조시스템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선도.
제 2 도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선도.
제 3 도는 리모트콘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선도.
제 4 도는 통신신호를 나타낸 도면.
제 5 도는 주인터페이스의 동작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 6 도는 부인터페이스의 동작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n : 공조기기 2a : 주인터페이스
2b, 2n : 부인터페이스
3 : 인터페이스 통신케이블(인터페이스 통신수단)
4, 6 : 리모트콘트롤러 통신케이블(리모트콘트롤러 통신수단)
5a : 주리모트콘트롤러 5b : 리모트콘트롤러
7 : 마이크로컴퓨터 27 : 키조작부
29 : 리모트콘트롤러모드설정스위치
본 발명은 여러개의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를 리모트콘트롤러로 제어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장 등에 설치된 여러개의 공조기기를 리코트콘트롤러로 운전제어하도록 한 공조시스템으로써는 여러개의 공조기기에 각각 대응하여 여러개의 인터페이스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 인터페이스의 입출력단자를 동일한 케이블에 접속하고, 또한 여러개의 인터페이스중 하나를 주인터페이스로 하고 나머지를 부인터페이스로하여 그 주인터페이스에 주리모트콘트롤러를 접속하고 부인터페이스의 어느 하나에 부리모트콘트롤러를 접속하는 구성의 것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주인터페이스와 주리모트콘트롤러 사이에서 정기적으로 통신을 실시하여 주인터페이스는 주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하여 공조기기의 운전상태의 변화지령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변화지령이 있을때에는 그 공조기기에 대응하는 부인터페이스에 그 지령데이터를 통신하여 해당 공조기기의 운전상태를 변화시키게 되어 있다.
또 주인터페이스와 부인터페이스 사이에서도 정기적으로 통신이 실시되게 되어 있으며 이 통신에 의하여 고장 유무에 관한 신호 등이 주인터페이스로 보내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정 및 부리모트콘트롤러에는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어서 각 표시기에 여러개의 공조기기의 운전상태, 고장의 유무등이 표시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여러개의 공조기기가 모두 정지한 상태에 이들을 가공시키는 경우에는 여러개의 공조기기를 동시에 기동시키면 커다란 기동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종래부터 주인터페이스는 부인터페이스에 일정한 시간(예를 들어 4초)간격을 두고 기동지령신호를 송신하게 하고 있다.
종래의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여러개의 공조기기를 정지상태에서 기동시키는 경우 지령을 내는 주리모트콘트롤러의 표시기에는 여러개의 공조기기의 운전상태가 미리 표시되지만 부리코트콘트롤러의 표시기에는 모든 공조기기가 기동한 후가 아니면 전공조기기의 운전상태가 표시되어 않기 때문에 시간이 걸린다.
둘째, 주인터페이스와 부인터페이스 사이에는 정기적으로 통신이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통신이상이 발생할 확률이 커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모트콘트롤러에 있어서 여러개의 공조기기의 운전상태를 신속히 표시하게 할 수 있는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시스템은 여러개의 공조기기에 각각 대응하고 그 대응하는 공조기기의 운전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개의 인터페이스 ; 이들 여러개의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통신수단 ; 상기 여러개의 인터페이스의 몇개인가에 대응하여 리모트콘트롤러 ; 이들 리모트콘트롤러와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을 하기 위한 리모트콘트롤러 통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리모트콘트롤러중에서 특정된 1개의 리모트콘트롤러(주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해 공조기기의 운전상태가 변화하도록 지령되었을 때에는 이 특정된 리모트콘트롤러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주인터페이스)로부터 그 운전상태의 전환표시를 하기 위한 표시신호를 복수의 다른 인터페이스(부인터페이스)에 통신하므로써 다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리모트콘트롤러(부리모트콘크롤)에 표시시키는 동보통신을 실시한 후, 상기 특정의 리모트콘트롤러(주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하여 운전상태가 변화하도록 지령된 공조기기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운전상태의 변화지령신호를 통신하여 개별통신을 하도록 구성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시스템에 따르면 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하여 공조기기의 운전상태가 변화하도록 지령되었을 때에는 이 리모트콘트롤러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가 변화되는 운전상태 표시신호를 다른 인테페이스에 보내므로써 다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리모트콘트롤러에 그 운전상태를 표시시키기 때문에 여러개의 공조기기 운전상태를 신속히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 1 도에 따라서 전체의 개략적 구성에 대하여 서술한다.
여러개의 공조기기(1a∼1n)는 각각 인터페이스(2a∼2n)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a∼2n)는 그 중 하나는 인터페이스(2a)가 주인터페이스로 설정되면 나머지 인터페이스(2b∼2n) 부인터페이스로 설정될 수 있도록 주인터페이스가 선택적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각 인터페이스(2a∼2n)의 입출려거단자는 인터페이스 통신케이블(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주인터페이스(2a)의 입출력단자에는 리모트콘크롤러 통신수단인 리모트콘크롤러 통신케이블(4)을 통하여 주리모트콘트롤러(5a)의 입출력단자가 접속되고 부인터페이스(2b) 내지 부인터페이스(2n)의 입출력단자에도 리모트콘트롤러 통신수단인 리모트콘트롤러 통신케이블(6)을 통하여 부리모트콜트롤러(5b)의 입출력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제 2 도에서는 인터페이스(2a∼2n)를 도시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7)의 입력포트에는 초기화회로(8)가 접속되며 출력포트에는 구동회로(9)를 통하여 대응하는 공조기기(1a∼1n)가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7)의 입력포트에는 클럭신호발생회로(10), 어드레스 지정회로(11) 및 인터페이스모드설정 스위치(12)가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어드레스 지정회로(11)이 회로가 속하는 인터페이스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것이며 인터페이스모드 설정스위치(12)는 그 인터페이스가 주인터페이스인지 부인터페이스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2a)는 인터페이스모드설정스위치(12)에 의해 주인터페이스로 설정되며 다른 인터페이스들(2b∼2n)은 인터페이스모드설정스위치(12)에 의해 부에 선택되게 설정되게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7)의 입력포트는 입출력단자인 포토커플러 입력회로(14)를 통하여 인터페이스 통신신호단자(13)에 접속되어 있으며 출력포트를 포토커플러 출력회로(15)를 통하여 인터페이스 통신신호단자(13)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 통신신호단자(13)는 제 1 도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통신케이블(3)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7)의 입력포트는 복조기(16)를 통하여 리모트콘트롤러 통신신호단자(17)에 접속되고, 출력포트는 변조기(18)를 통하여 리모트콘트롤러 통신신호단자(17)에 접속되고, 변조기(18)에는 반송파를 발진하는 발진기(19)가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리모트콘트롤러 통신신호단자(17)는 인터페이스(2a)와 리모콘트롤러(5a)를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도에 도시된 리모트콘트롤러 통신케이블(4) 또는 (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원장치(20)는 100볼트(V)의 교류전원(21)을 12볼트의 직류(DC)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전원회로(22)는 변환된 직류전압을 접속되고, 이 직류전원회로(22)가 5볼트의 정전압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정전압회로(23)에 접속되고 상기 직류전원회로(22)가 직류전원선(24)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류전원회로(22)는 각종 회로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회로(23)는 주로 마이크로컴퓨터(7)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제 3 도에서는 리모트콘트롤러(5a) 및 (5b)를 시도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25)의 입력포트에는 초기화회로(26), 키조작부(27), 클럭신호발생회로(28) 및 리모트콘트롤러 모드설정스위치(29)가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리모트콘크롤러 모드설정스위치(29)는 각 공조기기(1a∼1n)를 함께 제어하는 집중모드인지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모드인지를 선택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5)의 출력포트는 표시부(30)에 접속되어 있다. 이 표시기(30)는 여러개의 공조기기(1a∼1n)의 정지, 약운전, 중운전, 강운전 등과 같은 운전상태 및 고장 유무상태를 LED에 표시하게 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25)의 입력포트는 포토커플러 입력회로(32)를 통하여 입출력단자인 통신신호단자(31)에 접속되어 있으며 출력포트는 포토커플러출력회로(33)를 통하여 통신신호단자(31)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통신신호단자(31)는 리모트콘트롤러 통신케이블(4, 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직류전원선(24)은 정전압회로(34)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정전압회로(34)는 각종 회로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제 5 도 및 제 6 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2a)는 인터페이스 모드설정스위치(12)에 의해 주인터페이스로 설정되고 다른 인터페이스들(2b∼2n)은 인터페이스 모드설정스위치(12)에 의해 부인터페이스에 선택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리모트콘트롤러(5a, 5b)는 리모트콘트롤러 모드설정스위치(29)에 의해 집중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 5 도는 주인터페이스(2a)의 제어흐름도이며 나타내고 제 6 도도는 부인터페이스(2b∼2n)의 제어흐름도이다.
주인터페이스(2a)의 마이크로컴퓨터(7)는 제 5 도에 도시된 전원장치(20)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초기화」 처리단계 A1에 의해 초기화처리를 실시하게 된다.
그후 주인터페이스(2a)의 마이크로컴퓨터(7)는 「주리모트콘트롤러와의 통신」 처리단계 A2로 이행하고 주리모트콘크롤러(5a)의 마이크로컴퓨터(25)에 대하여 통신요구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주리모트콘트롤러(5a)의 마이크로컴퓨터(25)에서는 키보작부(27)의 조작에 의한 공조기기(1a∼1n) 운전상태의 변화 유무를 감시하여 그 결과 주인터페이스(2a)에 보내고 있다.
즉 주인터페이스(2a)의 마이크로컴퓨터(7)와 주마이크로컴퓨터(5a)의 마이크로컴퓨터(25) 사이에서 통신이 실시되며 마이크로컴퓨터(7)가 단계 A3에 있어서의 「상태변화 있는가?」의 판단을 실시하여 그 결과가 「NO」이면 단계 A2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7)와 마이크로컴퓨터(25) 사이에서는 정기적으로 통신이 실시된다.
단계 A3에서 「YES」라고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A4)이 신호가 정지신호라면 0.5초마다 1대씩 정지시키고 순차정지통신을 실시하고(스텝 A5) 개시신호라면 표시할 사항만을 즉시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동보통신을 실시(단계 A6)한 후 4초마다 기동시키는 차례기동 통신을 실시한다(스텝 A7).
이제 모든 공조기기(1a∼1n)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이들을 모두 기동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서술한다.
주리모트콘트롤러(5a)의 조작키(27)에 의해서 여러개의 모든 공조기기(1a∼1n)의 기동 및 운전상태(강, 중, 약)가 설정되었다면 주인터페이스(2a)의 마이크로컴퓨터(7)는 「동보통신」의 출력단계 A6에서 제 4 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신호의 「상대어드레스」의 란을 「0000」과 같이 지정어드레스가 없는 형식으로 한다. D1∼D6는 공조기기(1a∼1n)가 지금부터 제어되어져야 하는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부인터페이스(2b∼2n)의 마이크로컴퓨터(7)에서는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투입되면 「초기화」 처리단계 B1을 거쳐 「통신있는가?」의 판단단계 B2로 이행하고 주인터페이스(2a)의 마이크로컴퓨터(7)에서의 통신유무를 판단한다. 「NO」인 경우에는 이 판단단계 B2를 반복하게 된다. 즉 부인터페이스(2b∼2n)는 수신대기상태가 되어 있다.
그리고 부인터페이스(2b∼2n)이 마이크로컴퓨터(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인터페이스(2a)의 마이크로컴퓨터(7)에서 동보통신이 있으면 판단스텝 B2에서 「YES」라고 판단하여 「어드레스판독 」 단계 B3으로 이행하여 어드레스를 판독한다. 그리고 「동보통신인가?」의 판단단계 B4로 이행하여 지정어드레스가 「0000」일때는 「YES」라고 판단하여 「표시전환통신처리」의 출력단계 B5로 이행한다.
부인터페이스(2b∼2n)의 마이크로컴퓨터(7)는 주인터페이스(2a)에서의 동보통신에 기인하여 그 부인터페이스에 리모트콘트롤러(5b)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표시기(30)에 여러 공조기기(1a∼1n)의 운전상태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부인터페이스(2n)에만 부리모트콘트롤러(5b)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부인터페이스(2n)의 리모트콘트롤러(5b)의 표시기(30)에만 상기 운전상태가 표시되지만, 부리코트콘트롤러가 다른 부인터페이스에도 접속된 경우에는 그 부리모트콘트롤러의 표시부에도 동일한 표시가 이루어진다.
그후 주인터페이스(2a)의 마이크로컴퓨터(7)는 단계 7로 이행하고 일정시간(예를 들어 4초)간격으로 부인터페이스(2b∼2n)의 어드레스 및 각각에 대응하는 공조기기(1b∼1n)의 기동운전상태를 나타내는 통신데이터를 부인터페이스(2b∼2n)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부인터페이스(2b∼2n)의 마이크로컴퓨터(7)는 단계 B4에서 「NO」라고 판단하여 「자기의 어드레스인가?」의 판단을 하는 단계 B6으로 이행한다. 단계 B6에서는 수신된 어드레스가 자기의 어드레스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NO」인 경우에는 판단단계 B2로 되돌아가고 「YES」인 경우에는 「응답신호통신」의 출력단계 B7로 이행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7)는 자기가 속하는 공조기기(1b∼1n)의 기동, 운전상태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시에 이 데이터를 수신하였다는 응답신호 및 자기 또는 자기에 속하는 공조기기의 고장유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주인터페이스(2a)로 송신한다.
그후 부인터페이스(2b∼2n)의 마이크로컴퓨터(7)는 「운전상태전환처리」의 출력단계 B8로 이행하여 자기에 대응하는 공조기기(1b∼1n)를 데이터에 따른 운전상태로 기동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공조기기(1a∼1n)는 주리모트콘트롤러(5a)의 지령에 기인하여 일정시간(예를 들어 4초)의 간격을 두고 지령된 운전상태로 차례차례 기동되지만, 각각의 운전상태가 실현되기에 앞서 주리모트콘트롤러(5a) 및 부리모트콘트롤러(5b)의 각 표시기(30)에 앞으로 실시될 운전상태가 미리 표시되는 것이다.
그후 주리모트콘트로러(5a)에 의하여 주인터페이스(2a) 또는 부인터페이스(2b∼2n)중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를 지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공조기기의 운전상태가 변환하도록 전환된 경우는 제 5 도 또는 제 6 도에 도시된 흐름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지정된 어드레스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공조기기가 지령된 운전상태로 전환되고 그 운전상태는 주리모트콘트롤러(5a) 부리모트콘트롤러(5b)의 각 표시기(30)에 미리 표시되어 된다.
또한 인터페이스(2n)가 인터페이스 모드설정스위치(12)에 의하여 주인터페이스로 설정되고 제 5 도의 흐름도와 같이 동작하고 인터페이스(2a)가 부인터페이스로 설정되어 제 6 도의 흐름도와 같이 동작한다.
또 부리모트콘트롤러(5b)이 리모트콘트롤러 모드설정스위치(29)가 개별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이 부리모트콘트롤러(5b)에 의해 공조기기(1n)의 운전상태를 독립적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주리모트콘트롤러(5a)에 의하여 인터페이스(2a∼2n)에 대응하는 공조기기(1a∼1n)의 운전상태를 변화시키려고 경우에는 그 변화운전상태가 주리모트콘트롤러(5a)의 표시기(30)에 미리 표시되는 동시에 동보통신에 의하여 부리모트콘트롤러(5b)의 표시기(30)에도 미리 표시되기 때문에 여러개의 공조기기(1a∼1n)를 일제히 기동시켜 종래 기술에 따른 공조기기의 경우와는 달리 운전상태의 표시가 빠르게 실행된다.
또 주리모트콘트롤러(5a)에 의하여 공조기기(1a∼1n)의 운전상태가 변화하는 경우에만 주인터페이스(2a)와 부인터페이스(2b∼2n)사이에서 운전상태의 변화지령, 응답신호, 고장유무등의 데이터를 통신하기 때문에 주인터페이스와 부인터페이스의 사이에서 정기적으로 통신하는 경우와는 달리 통신의 횟수가 현저히 적어져서 통신 이상 발생의 확률이 현저히 작아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리모트콘트롤러(2a∼2n)는 인터페이스 모드설정스위치(12)에 의하여 주 및 부에 선택된 설정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작시에 주 및 부에 고정된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대로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시스템에 따르면 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해 공조기기의 운전상태가 변화지령된 경우에는 그 리모트콘트롤러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가 다른 인터페이스에 운전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시신호를 송신하여 다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리모트콘트롤러에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여러개의 공조기기의 운전상태를 신속히 표시할 수 있다.

Claims (1)

  1. 복수의 공조기기에 각각 설치되어 대응하는 공조기기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 이들 복수의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통신하는 인터페이스 통신수단 ;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 2이상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2이상의 리모트콘트롤러 ; 및 이들 리모트콘트롤러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와 리모트콘트롤러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리모트콘트롤러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콘트롤러 중 1개의 특정 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해 공조기기 운전상태 변화지령이 있는 경우에 그 운전상태 전환을 나타내는 표시신호를 상기 특정 리모트콘트롤러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로부터 다른 복수의 인터페이스로 송신하여 다른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리모트콘트롤러에 그 운전상태의 전환을 표시하는 동보통신을 실시한 후, 상기 특정 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하여 운전상태 변환가 지령된 공조기기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 운전상태변화 지령신호를 통신하는 개별통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시스템.
KR1019920020900A 1992-04-15 1992-11-06 공조시스템 KR960004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95213 1992-04-15
JP4095213A JPH05296546A (ja) 1992-04-15 1992-04-15 空調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018A KR930022018A (ko) 1993-11-23
KR960004225B1 true KR960004225B1 (ko) 1996-03-28

Family

ID=1413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900A KR960004225B1 (ko) 1992-04-15 1992-11-06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67078A (ko)
JP (1) JPH05296546A (ko)
KR (1) KR960004225B1 (ko)
GB (1) GB2266167B (ko)
TW (1) TW2302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422B2 (ja) * 1992-11-11 2000-11-27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アドレス自動設定方式
TW291530B (ko) * 1994-06-15 1996-11-21 Sanyo Electric Co
KR100354786B1 (ko) * 2000-03-24 2002-10-05 주식회사 극동케이디아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조 및 냉동/냉장 설비의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434424B2 (ja) * 2000-04-18 2010-03-1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システム、ホーム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をホームサーバ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5278524B2 (ja) * 2011-11-16 2013-09-0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およびリモコン
CN103423834B (zh) * 2012-05-25 2016-05-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运行时间的控制方法
CN104279691B (zh) * 2013-07-11 2017-04-19 海尔集团公司 一种实现多空调控制的方法、遥控器、空调主机和系统
JP6239465B2 (ja) * 2014-08-08 2017-11-29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機器および制御機器
US9986664B1 (en) * 2014-12-01 2018-05-29 Amazon Technologies, Inc. Variable time delay on datacenter pod direct cooling
JP6632637B2 (ja) * 2016-02-12 2020-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制御システム
CN114251791B (zh) * 2020-09-22 2023-05-2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控制终端、遥控器、空调器及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WO2022113295A1 (ja) * 2020-11-27 2022-06-0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9667A (en) * 1979-07-02 1983-12-06 Sangamo Weston, Inc.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distribution to customer loads
US4287939A (en) * 1980-08-21 1981-09-08 General Electric Company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with local and remote control capabilities
US4369052A (en) * 1981-03-19 1983-01-18 Owens-Illinois, Inc. Forming supervisory control means for glassware forming machines
US4411139A (en) * 1981-04-09 1983-10-25 Amf Incorporated Defrost control system and display panel
JP2544593B2 (ja) * 1983-09-27 1996-10-16 ファナック 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JPS60136807A (ja) * 1983-12-26 1985-07-20 Japan Tobacco Inc 制御装置
GB2192471A (en) * 1986-07-10 1988-01-13 Unilever Plc Compiling control program
JPH0817539B2 (ja) * 1986-07-16 1996-02-21 株式会社東芝 電動機等の負荷群制御装置
US4703306A (en) * 1986-09-26 1987-10-27 The Maytag Company Appliance system
CA1338459C (en) * 1987-10-27 1996-07-16 Toshiaki Tokizane Remote supervisory and controlling system
JPH03132197A (ja) * 1989-10-17 1991-06-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分散型リモコン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66167A (en) 1993-10-20
GB2266167B (en) 1995-08-16
KR930022018A (ko) 1993-11-23
TW230234B (ko) 1994-09-11
JPH05296546A (ja) 1993-11-09
GB9307849D0 (en) 1993-06-02
US5467078A (en) 1995-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225B1 (ko) 공조시스템
CA2182837A1 (en) Transfer switch system with subnetwork
JPH0361400B2 (ko)
KR100213999B1 (ko) 설비제어장치
JPS6384338A (ja) 電源投入/遮断制御方式
JPH06272944A (ja) 空気調和機のアドレス設定装置
JPH09331301A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H03223903A (ja) 制御機能分散型ビル管理システム
JPH1189116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05122233A (ja) 電力線搬送制御装置
JPS60154738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3019103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H09288790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キーボックス用端末器
KR20010047455A (ko) 다중모터의 전원공급 제어장치
JP2643442B2 (ja) 負荷制御装置
JP2663727B2 (ja) 複数機器制御システム
JPS62102631A (ja) リモ−トコントロ−ルシステム
JPH10243472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H06196265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S60116249A (ja) 伝送制御方法
JP2000020109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H08251669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キーボックス用インターフェース端末器
JPS63185200A (ja) 制御システム
JPH03190339A (ja) 伝送制御装置
JPH052801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