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620B1 - 스티렌계 수지조성물과 성형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티렌계 수지조성물과 성형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620B1
KR960001620B1 KR1019900001241A KR900001241A KR960001620B1 KR 960001620 B1 KR960001620 B1 KR 960001620B1 KR 1019900001241 A KR1019900001241 A KR 1019900001241A KR 900001241 A KR900001241 A KR 900001241A KR 960001620 B1 KR960001620 B1 KR 960001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resin composition
styrene
fatty acid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999A (ko
Inventor
아끼가쯔 나까노
다까시 스미또모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이데미쓰 쇼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이데미쓰 쇼스께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트렌계 수지조성물과 성형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스티렌계 수지조성물과 성형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신디오탁틱(syndiotactic)구조의 스티렌계 중합체에 특정의 성분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는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성형해서 결정성이 높고, 표면의 광택, 이 형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수지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라디칼중합법 등에 의해 제조되는 스티렌계 중합체는 그 입체구조가 아탁틱(atactic)구조를 갖고 있으며, 각종 성형법 예를 들면 사출성형, 압출성형, 중공성형, 진공성형, 주입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여러 가지 형상의 것으로 형성되어 가정 전기기구, 사무기기, 가정용품, 포장용기, 완구, 가구, 합성지, 기타산업 자재 등으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아탁틱구조의 스티렌계 중합체는 결정화 하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나 내열성, 내약품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전번에, 신디오탁티서티(syndiotacticity)가 높은 스티렌계 중합체를 개발하는데 성공하고, 다시 또 이 스티렌계 중합체에 다른 성분을 배합한 조성물을 개발했다.(일본국 특개소 62-104818호 공보, 동62-257948호 공보, 동62-257950호 공보).
이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은 아탁틱구조의 스티렌계 중합체나 그 조성물에 비해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용매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것이지만, 이것을 소재로 해서 얻어지는 성형품은 결정화 되기 때문에 높은 성형온도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 일본국 특원소 63-23745호 명세서에는 특정의 결정핵제를 배합함으로써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계 중합체의 결정화를 촉진하는 것이 제안되어 이형서, 성형품의 외관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얻어지는 조성물이나 성형품의 물성, 또는 외관에 대해서는 상당한 개선효과가 인정되지만, 결정화 촉진의 정도가 불충분함과 아울러 성형품의 광택이 낮은 등 몇가지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계 중합체의 결정화를 촉진하고, 20∼200℃의 저온이 금형으로 성형을 행한 경우에 고결정도로서 외관이 좋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는 스티렌계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했다.
그 결과, 상기한 신디오탁틱구조의 스티렌계 중합체에 특정이 결정핵제와 함께 폴리옥시에틸렌계 화합물이나 지방산 또는 그 유도체를 배합함으로써 상기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발견을 근거로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a) 라세믹 펜타드의 비율이 적어도 30%인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100중량부, (b) 유기인화합물 및/또는 유기산의 금속염으로 된 결정핵제 0.1∼15중량부 및 (c) 폴리옥시알킬렌계 화합물 및/또는 지방산 또는 지방산 유도체 0.01∼15중량부로 된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그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을 20∼200℃의 저온의 금형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 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a), (b) 및 (c)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지만, 여기서 (a)성분인 스티렌계 중합체에 있어서의 라세믹 펜타드의 비율이 적어도 30%인 신디오탁틱구조란, 입체화학구조가 라세믹 펜타드의 비율이 적어도 30%인 신디오탁틱구조, 즉, 탄소-탄소결합으로 형성되는 주사슬에 대해 결사슬인 페닐기나 치환된 페닐기가 교대로 반대방향으로 위치하는 입체구조를 갖는 것이며, 그 탁티서티는 탄소동위원소에 의한 핵자기공명법(13C-NMR법)에 의해 정량된다.
13C-NMR법에 의해 측정되는 탁티서티는 연속하는 복수개의 구성단위의 존재비율 예를 들면 2개의 경우는 다이아드(diad), 3개의 경우는 트리아드(triad), 5개의 경우는 펜타드(pentad)에 의해 나타낼 수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라세믹 펜타드의 비율이 적어도 30%인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란, 통상은 다이아드에서 75%이상, 바람직하게는 85%이상, 또는 펜타드(라세믹 펜타드)에서 30%이상, 바람직하게는 50%이상의 신디오탁티서티를 갖는 폴리스티렌, 폴리(알킬스티렌), 폴리(할로겐화 스티렌), 폴리(알콕시스티렌), 폴리(비닐벤조산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혼성중합체를 지칭한다. 또한, 여기서 폴리(알킬스티렌)으로서는 폴리(메틸스티렌), 폴리(에틸스티렌), 폴리(이소프로필스티렌), 폴리(t-부틸스티렌) 등이 있고, 폴리(할로겐화스티렌)으로서는 폴리(클로로스티렌), 폴리(브로모스티렌), 폴리(플루오로스티렌) 등이 있다. 또 폴리(알콕시스티렌)으로서는 폴리(메톡시스티렌), 폴리(에톡시스티렌) 등이 있다. 이들중 특히 바람직한 스티렌계 중합체로서는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m-메틸스티렌), 폴리(p-t-부틸스티렌), 폴리(p-클로로스티렌), 폴리(m-클로로스티렌), 폴리(p-플루오로스티렌), 또한 스티렌과 p-메틸스티렌과의 혼성중합체를 들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티렌계 중합체는 분자량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나,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000 이상의 것이 가장 적당하다.
또한 분자량 분포에 대해서도 그 넓고 좁음이 제약이 없고, 각종의 것을 충당할 수가 있다. 여기서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미만의 것에서는 얻어지는 조성물 또는 성형품의 열적 성질, 기계적 성질이 저하해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라세믹 펜터드의 비율이 적어도 30%인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는 예를 들면 불활성탄화수소 용매중 또는 용매없이 티탄화합물 및 물과 트리알킬 알루미늄의 축합생성물을 촉매로 해서 스티렌계 단량체(상기한 스티렌계 중합체에 대응하는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가 있다(일본국 특개소 62-187708호 공보).
다음,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b)성분은 유기산의 금속염 및 인화합물의 어느 쪽인가 한쪽 또는 양자로부터 된 것이며, 이들의 화합물로서는 각종의 것이 있다. 여기서, 유기산의 금속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산, p-(t-부틸)벤조산, 시클로 헥산 카르복시산(헥사하이드로벤조산), 아미노 벤조산, β-나프토산, 시클로 펜탄 카르복시산, 숙신산, 디페닐초산, 글루타르산, 이소니코틴산, 아디프산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벤젠술폰산, 글리콜산, 카프로산, 이소카프로산, 페닐초산, 신남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의 유기산의 나트륨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마그네슘염 등의 금속염을 들 수가 있다.
이들중 특히 p-(t-부틸)벤조산의 알루미늄염, 시크로 헥산 카르복시산의 나트륨염, β-나프토산의 나트륨염 등이 바람직하다.
또 유기인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일반식,
Figure kpo00001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1∼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18ㅡ이 알킬기,
Figure kpo00002
또, M은 Na, K, Mg, Ca 또는 A1을 나타내고, a는 M의 원자가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유기인 화합물(b1) 또는 일반식
Figure kpo00003
(식중, R는 메틸렌기, 에틸리덴기, 프로필리덴기 또는 이소프로필리덴기를 나타내고, R3, R4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 M, a는 전기한 바와 같다)로 표시되는 유기인화합물(b2)를 들 수가 있다.
상기한 일반식[B-Ⅰ]로 표시되는 유기인화합물(b1)의 구체적인 예를 화학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한편, 일반식[B-Ⅱ]로 표시되는 유기인화합물(b2)에 대해서도, 식중의 R, R3, R4및 M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것이 있다.
그중 R3, R4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이 알킬리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n-아밀기, 헥실기 등이 있다.
이 유기인화합물(b2)의 구체적인 예를 화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본 발명에서는, (b)성분인 유기산이 금속염이나 유기인 화합물은 핵제, 특히 (a)성분인 라세믹 펜타드의 비율이 적어도 30%인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가 결정으로 될 때의 결정핵제로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그 배합배율은 (a)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0.1∼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10중량부이다.
여기서 (b)성분의 배합비율이 0.01중량부 미만에서는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를 촉진하는 효과를 거의 기대 할 수 없고, 또 15중량부를 넘으면 수지조성물 또는 그 성형품의 내열성, 내약품성 등이 현저하게 저하해서 실용에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a) 및 (b)성분외에 다시 또 (c)성분으로서 폴리옥시 알킬렌계 화합물 및/또는 지방산 혹은 지방산 유도체를 함유한다. 여기서 폴리옥시 알킬렌계 화합물로서는 폴리옥시 에틸렌계 화합물, 폴리옥시 프로필렌계 화합물을 위시해서 탄소수 2∼5의 옥시알킬렌기를 반복단위로 하는 각종의 화합물을 들 수가 있다.
그 중에서, 일반식 R7O-(CH2-CH2-O)n-R8
(식중, R7및 R8은 수소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며, n은 4∼450, 바람직하게는 15∼45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알킬에테르, 예를들면 폴리옥시 에틸렌모노 메틸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메틸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디에틸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디프로필에테르 등이 가장 적당하다.
이들 중에서 특히 폴리옥시 에틸렌 디메틸에테르가 가장 적당하다. 또 상기한 폴리옥시 에틸렌계 화합물의 분자량은 200이상, 바람직하게는 500∼2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700∼2,000이다.
또 (C)성분으로서는 지방산 또는 지방산 유도체를 단독으로 또는 상기한 폴리옥시 알킬렌계 화합물과 함께 사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지방산으로서는 탄소수 1∼31개의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포름산, 초산, 프로피온산, n-부티르산, n-발레르산, 카프로산, 에난트산, 카프릴산, 페랄곤산, 카프르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트리데실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 헵타데실산, 스테아르산, 노나데칸산, 아라킨산, 베헨산, 리구노세린산, 세로틴산, 헵타코산산, 몬탄산, 메리신산, 락셀산과 같은 포화지방산 또는 아크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운데실렌산, 올레산, 에라이딘산, 세트레인산, 엘카산, 부라시딘산, 솔빈산,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프로피올산, 스테아롤산 등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을 들 수가 있다.
이들 중 탄소수 10∼24개의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유도체로서는 옥시지방산, 지받산아미드, 알킬렌비스 지방산아미드, 지방산에스테르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유도체는 그 지방산부에 1∼31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0∼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것이다.
옥시지방산은 상술한 지방산의 탄화수소부의 수소가 하이드록실기로 치환된 것으로서 지방산 아미드는 상술한 지방산의 카르복실기가 아미드로 변성한 것(예를들면 베헤닌산 아미드), 지방산 에스테르는 상술한 지방산을 알코올로 에스테르화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방산 유도체중에서 특히 알킬렌비스 지방산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렌비스 지방산아미드는, 일반식
R5-CONH-(CH2)m-NHOC-R6
(식중, R5, R6은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지방산이 탄화수소부분을 나타내고, m은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알킬렌비스 지방산아미드의 구체적 예로서는 메틸렌비스 스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 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 베헨산아미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C)성분은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를 촉진하고, 이형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배합비율은 (a)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0.01∼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10중량부이다. 여기서 (C)성분의 배합비율이 0.01중량부 미만에서는 수지조성물의 결정화를 촉진하는 효과를 거의 기대할 수가 없고, 결정화도, 이형성 및 성형품의 외관의 개선을 볼 수가 없다.
또 15중량부를 넘으면, 수지조성물 또는 그 성형품의 강도, 탄성율, 내열성 등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또 조성물에 있어서의 (b)성분:(C)성분의 배합비율(중량비)를 1:1∼1:100, 바람직하게는 1:2∼1:50의 범위로 선정하면 특히 높은 결정화 촉진효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상기한 (a), (b) 및 (c)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지만, 다시 또 필요에 따라서 무기충전재를 적절히 배합할 수도 있다.
무기충전재로서는 섬유상의 것이거나 입자상, 분말상의 것이거나 상관없다. 섬유상 무기충전재로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루미나섬유 등을 들 수가 있고, 유리섬유, 탄소섬유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리섬유의 형상으로서는 크로스상, 매트상, 접속절단상, 단 섬유, 필라멘트상의 것이었으나, 바람직하게는 접속절단상이며, 길이가 0.05mm∼13mm, 섬유의 지름이 5∼20μm의 것이며, 특히 실란계처리를 실시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탄소 섬유로서는 폴리아크릴토니트릴(PAN)계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짧게 자른 화이버형이며, 길이가 3mm 정도, 직경이 7∼15μm의 다발로 된 것이 좋다.
한편 입자상, 분말상 무기충전재로서는 활석, 카아본블랙, 흑연, 2산화티탄, 실리카, 운모, 탄산칼슘, 황산칼슘, 탄산바륨,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황산바튬, 옥시설페이트, 산화주석, 알루미나, 카오린, 탄화규소, 금속분말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활석, 탄산칼슘, 운모가 바람직하다. 활석의 바람직한 평균 입자지름은 0.3∼20μ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6∼10μm의 것이 좋다.
탄산칼슘의 바람직한 평균 입자지름은 0.1∼20μm이다.
또 운모의 바람직한 평균 입자지름은 40∼250μ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150μm이다.
상기한 무기충전재는 전기한 (a)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1∼5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200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된다. 여기서 무기충전재의 배합비율이 1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로서의 충분한 배합효과를 확인할 수가 없다.
한편, 550중량부를 넘으면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고, 얻어지는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는 것이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상기한 (a)∼(c)성분 및 무기충전재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 각종의 첨가제 또는 기타의 합성수지를 필요에 따라서 배합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전기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인산에스테르계, 인산에스테르계의 산화방지제,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의 자외선 흡수제, 지방족 카르복시산 에스테르계, 파라핀계의 외부윤활제, 상용의 핵제, 이형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등을 들 수가 있다.
기타의 합성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AS 수지, ABS 수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각종수지를 들 수가 있다.
또 각종 에라스토머를 배합하는 것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한 (a)∼(c)성분 및 소망의 성분을 배합하여 상온에서 혼합 또는 용융혼합반죽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혼합하면 되고, 그 방법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니이더(kneader), 믹싱로울, 압출기, 밴버리믹서, 헨셀믹서나 혼합반죽 로울에 의한 용융혼합반죽법 또눈 용액혼합법 등에 의하면 된다.
본 발명의 수지소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그 물성으로서는 시차주사형 열량계(DSC) 측정에 의한 재결정화 피이크가 소실되어 있는가, 또는 재결정화 피이크 온도(Tcc)가 170℃이하, 바라직하게는 150∼90℃에 있고, 또한 피이크면적(△HTCC)이 8cal/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결정화 피이크의 측정에 있어서는 샘플을 용융시킨 후 10∼500℃/초의 속도로 급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성형품의 제조방법에서는 상술한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을 저온하에서 구체적으로는 실온∼200℃, 바람직하게는 60∼160℃의 금형온도(성형온도)로 성형한다. 또한 성형하는 때의 수지 조성물의 온도는 특히 제한은 없으나 통상은 260∼350℃ 정도의 온도로 가열 용융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성형의 수법으로서는 제조해야 할 성형품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하면 되지만, 특히 종래의 아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의 성형가공법에 채용되고 있는 열 성형법 등의 각종의 성형법,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스성형, 사출성형, 압출성형, 중고성형, 진공성형, 주입성형, 유연성형, 피복성형, 방사성형, 침지법, 브러쉬 도장법, 스프레이법 등에 의한 도포성형이나 단축신장, 쌍축(차례로 또는 동시에)신장 등의 방법에 의하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예 1(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폴리스티렌의 제조.)
반응용기에 용매로서 톨루엔 21과 촉매성분으로서 테트라에톡시티탄 5mmol 및 메틸알루미녹산을 알루미늄원자로서 50mmol을 첨가하여, 55℃에서 여기에 스티렌 151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중합반응을 행하였다. 반응종료 후에 생성물을 염산-메탄올 혼합액으로 세정하고, 촉매성분을 분해제거했다.
이어서 건조하여 스티렌계 중합체(신이도탁틱 폴리스티렌) 2.5kg을 얻었다. 다음에 이 중합체를 메틸에틸케톤을 용매로해서 쑥슬레추출하여 추출잔량분 97중량%을 얻었다. 이것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0,000, 수평균 분자량은 180,000이며, 녹는점은 269℃였다. 또, 이 중합체는13C-NMR에 의한 분석(용매:1.2-디클로로벤젠)으로부터 신디오탁틱구조에 기인하는 145.35ppm에서의 흡수가 확인되고, 그 피이크 면적으로부터 산출한 라세미 펜타드에서의 신디오탁틱서티는 98%였다.
[실시예 1]
상기한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100중량부에, 산화방지제로서(2,6-디-t-부틸-4-메틸페닐) 펜타에리쓰리톨디포스파이트(상품명 PEP-36: 아데카어가스사제품) 0.7중량부 및 2.6-디-t-부틸-4-메틸페놀(상품명 스미라이저-BHT: 스미또모가기꾸(주)제품) 0.1중량부를 첨가하고, 다시 또 P-(t-부틸)벤조산 알루미늄(상품명 PTBBA-Al: 다이니혼 잉끼 가가꾸 고오교(주)제품) 1중량부 및 폴리옥시 에틸렌 디메틸에테르(중량평균 분자량 1000: 니혼 유시(주)제품) 4중량부를 혼합하여 건식혼합을 행한 후, 쌍축 혼합반죽 압출기에 의해 혼합반죽하여 펠릿(pellet)화 했다.
상기한 성분의 배합비율을 제 1표에 나타낸다.
얻어진 펠릿을 사용해서 금형온도 100℃에서 사출성형을 행하고, 굴곡시험편 및 평판을 만들어 이형성을 평가하고, 다시 또 재결정화 피이크, 광택, 결정화도,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및 커트 연화점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또한 각 특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 재결정화 피이크
팰릿으로부터 잘라낸 시료 10mg을 DSC 측정용팬(Pan)에 넣고, 질소기류하에서 20℃/분의 속도로 온도 상승을 행하고, 300℃로 5분간 유지해서 용융시킨 후 팬을 꺼내어 드라이아이스-메탄올 중에 넣어 100℃/초의 속도로 급냉시켰다. 그후 팬을 꺼내어 재차 질소 기류하에서 20℃/분의 속도로 온도상승을 행하여 300℃까지 온도상승 시켰다. 이때의 발열 피이크가 재결정화 피이크 T∝이며, 피이크 면적 △HT∝를 적분으로 구했다.
* 광택
일본 공업 규격(JIS)-K-7105에 근거해서 측정했다.
* 이형성
하기의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이형 양호
△…이형시 변형
X…이형 불가
* 결정화도
DSC로부터 구했다.
*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율
일본공업규격(JIS)-L-7203에 근거해서 측정했다.
* 비캇 연화점
일본공업규격(JIS)-L-7206에 근거해서 측정했다.
[실시예 2∼19]
배합성분으로서 제1표에 나타낸 것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해서 시험편을 만들어 같은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제 2표에 나타낸다.
[비교예 1∼6]
배합성분으로서 제1표에 나타내는 것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해서 시험편을 만들어 같은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제2표에 나타낸다.
또한 제1표에 부호는 다음의 것을 의미한다.
* 1 P-(t-부틸)벤조산 알루미늄,
: PTBBA-Al 다이니혼 잉끼 가가꾸 고오교(주)제품
* 2 비스(4-t-부틸페닐)인산나트륨 : NA-10아데카, 어가스(주)제품
* 3 메틸렌비스(2,4-디-t-부틸페놀)인산나트륨 : NA-11, 아데카어가스(주)제품
* 4 스테아르산 나트륨
* 5 폴리옥시 에틸렌 디메틸에테르 : 시제품, 니혼유시(주)제품, 중량평균 분자량 1000
* 6 폴리옥시 에틸렌 모노메틸에테르 : 유니옥스 M-550 니혼유시(주)제품, 중량평균 분자량 550
* 7 폴리옥시에틸렌 : PEG 4000, 니혼유시(주)제품, 중량평균 분자량 4000
* 8 에틸렌비스 베헨산아미드 : NPO-2, 니혼유시(주)제품
* 9 에틸렌비스 스테아르산아미드 : EB-P, 가오오(주)제품
* 10 벤헨산아미드 : 니혼유시(주)제품
* 11 메타브렌 IP-2, 미쓰비시 레이온(주)제품, 스티렌그라프트화 부타디엔고무, 입자지름 0.7㎛
* 12 촙프드 스트랜드(Chopped Strand) CS 03 MA 429A, 아사히 화이버그라스(주)제품, 평균 섬유의 길이 3mm, 평균섬유지름 13㎛
* 13 활석 : FFR 아사다 세이훈(주)제품, 평균 입자지름 0.6㎛
[제1표]
Figure kpo00018
[제2표]
Figure kpo00019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의 결정화가 촉진된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이 얻어지고, 이것을 20∼200℃의 저온의 금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이형성, 결정화도 및 표면광택이 높고, 굴곡강도, 굴곡탄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 및 얻어지는 성혀품은, 일반구조재, 전기 ,전자부품, 자동차 부품 등, 또 필름, 섬유, 시이트 등에 폭넓게 또한 유효하게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업적인 이용가치가 극히 높은 것이며, 그 유효한 이용이 기대된다.

Claims (9)

  1. (가) 라세믹 펜타드이 비율이 적어도 30%인 신디오탁틱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중합체 100중량부, (나) 유기 인화합물 및 유기산의 금속염으로 된 결정핵제 0.01∼15중량부 및, (다) 폴리옥시 알킬렌계 화합물, 지방산 및 지방산 유도체 0.01∼15중량부로 된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유기 인화합물이 일반식
    Figure kpo00020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18의 알킬기를, R2는 탄소수 1∼18의 알킬기,
    Figure kpo00021
    , 또는 M1/a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M은 Na, K, Mg, Ca 또는 Al을 나타내고, a는 M의 원자가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일반식.
    Figure kpo00022
    [상기식에서, R는 메틸렌기, 에틸리덴기, 프로필리덴기 또는 이소프로필리덴기를 나타내고, R3및 R4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M, a는 전기한 바와 같음]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유기산이 금속염이 벤조산, p-(t-부틸)벤조산, 시클로헥산 카르복시산(헥사하이드로벤조산), 아미노벤조산, β-나프토산, 시플로펜탄 카르복시산, 숙신산, 디페닐초산, 글루타르산, 이소니코틴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벤젠술폰산, 카프로산, 이소카프로산, 페닐초산, 신남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또는 올레산 등의 유기산의 나트륨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또는 마그네슘염인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다)성분중의 지방산이 옥시지방산, 지방산아미드, 알킬렌비스 지방산아미드 또는 지방산에스테르인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화합물이 일반식
    R7O-(CH2-CH2-O)n-R8
    [상기식에서, R7및 R8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n은 4∼450의 정수임]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에틸렌화합물인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지방산유도체가 일반식.
    R5-CONH-(CH2)m-NHOC-R6
    [상기식에서, R5및 R6은 지방산의 탄화수소 부분을 나타내고, m은 1∼10의 정수임]으로 표시되는 알킬렌비스 지방산아미드인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시차주사형 열량계(DSC)로 측정한 재결정화 피크가 소실되어 있던가, 또는 재결정화 피크온도(Tcc)가 170℃ 이하에 있고, 또한 피크면적(△HTcc)이 8cal/g 이하인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8. 제1항의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을 20∼200℃의 저온의 금형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렌계수지성형품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저온이 60~150℃까지인 스티렌계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9900001241A 1989-02-02 1990-02-02 스티렌계 수지조성물과 성형품의 제조방법 KR960001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587/1989 1989-02-02
JP1022587A JP2812972B2 (ja) 1989-02-02 1989-02-02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と成形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999A KR900012999A (ko) 1990-09-03
KR960001620B1 true KR960001620B1 (ko) 1996-02-03

Family

ID=1208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241A KR960001620B1 (ko) 1989-02-02 1990-02-02 스티렌계 수지조성물과 성형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34441A (ko)
EP (2) EP0382064B1 (ko)
JP (1) JP2812972B2 (ko)
KR (1) KR960001620B1 (ko)
AT (2) ATE160578T1 (ko)
DE (2) DE6903373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6899A (en) * 1989-09-14 1995-12-19 Idemitsu Kosan Co., Ltd. Process for produce a readily slidable film
AU628651B2 (en) * 1989-10-13 1992-09-17 Idemitsu Kosan Co. Ltd Styrene polymer composition
US5703164A (en) * 1990-09-12 1997-12-30 Idemitsu Kosan Co., Ltd. Styrene polymer composition
GB2261667A (en) * 1991-11-20 1993-05-26 Sandoz Ltd Stabilized polymeric compositions
JP3046428B2 (ja) * 1991-12-05 2000-05-29 旭電化工業株式会社 結晶性合成樹脂組成物
US5391603A (en) * 1992-03-09 1995-02-21 The Dow Chemical Company Impact modified syndiotactic vinyl aromatic polymers
JPH0753814A (ja) * 1993-08-17 1995-02-28 Idemitsu Kosan Co Ltd 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JP3456544B2 (ja) * 1993-11-19 2003-10-14 出光興産株式会社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0501137A (ja) * 1995-11-30 2000-02-02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結晶化キネティクスをもつシンジオタクチックビニル芳香族ポリマー
US6329459B1 (en) 1996-09-23 2001-12-11 Bridgestone Corporation Extended syndiotactic polystyrene-elastomeric block copolymers
US6191197B1 (en) * 1996-09-23 2001-02-20 Bridgestone Corporation Extended polymer compostion derived from blends of elastomers and syndiotactic polystyrene
US5741837A (en) * 1997-03-27 1998-04-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ndiotactic polystyrene composition with improved crystallization rate
US5830957A (en) * 1997-06-23 1998-11-03 Morton International, Inc. Resins formed from alpha-beta-unsaturated monomers and unsaturated fatty acids
JP2000281735A (ja) * 1999-03-31 2000-10-10 Idemitsu Petrochem Co Ltd 自動車外装部品用プロピレン−エチレンブロックコポリマー系組成物
DE10016262A1 (de) 2000-04-03 2001-10-04 Basf Ag Schlagzäh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s syndiotaktischem Polystyrol Glasfasern und TPE-Schlagzähmodifier
DE10016280A1 (de) 2000-04-03 2001-10-04 Basf Ag Schlagzäh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s syndiotaktischem Polystyrol, Glasfasern und Acrylat-Schlagzähmodifier
JP4629846B2 (ja) * 2000-10-05 2011-02-09 出光興産株式会社 透明スチレン系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透明スチレン系樹脂成形体
US20040152838A1 (en) * 2001-05-30 2004-08-05 Akihiko Okada Chemical-resitant polystyrene resin compositon and molded article
JP2003185064A (ja) * 2001-12-19 2003-07-03 Ge Plastics Japan Ltd 配管部材
JP4007877B2 (ja) * 2002-08-07 2007-11-14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ワイヤ・ケーブル被覆材用樹脂組成物
JP2004161929A (ja) * 2002-11-14 2004-06-10 Ge Plastics Japan Ltd ワイヤ・ケーブル被覆材用樹脂組成物
WO2013094641A1 (ja) * 2011-12-20 2013-06-27 東洋スチレン株式会社 光学用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7926A (en) * 1964-03-25 1968-02-06 Dow Chemical Co Modification of crystalline structure of crystallizable high polymers
US3745116A (en) * 1969-10-17 1973-07-10 Uniroyal Inc Antistatic polymer composition of poly-hydric alcohol and alkali metal carboxylate
US4254028A (en) * 1978-03-27 1981-03-03 Asahi-Dow Limited Styrene resin composition
JPS581736A (ja) * 1981-06-25 1983-01-07 Adeka Argus Chem Co Ltd 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
US4500665A (en) * 1983-06-27 1985-02-19 Argus Chemical Corporation Codispersed particulate lubricant stabilizer compositions for synthetic resins
IN161868B (ko) * 1984-05-28 1988-02-13 Mitsui Toatsu Chemicals
JPS62187708A (ja) * 1985-11-11 1987-08-17 Idemitsu Kosan Co Ltd スチレン系重合体の製造法
US4820772A (en) * 1987-04-20 1989-04-11 Chisso Corporation Polyolefin composition
AU605383B2 (en) * 1987-10-20 1991-01-10 Idemitsu Kosan Company Limited Styrenic resin composition
JP2597392B2 (ja) * 1988-06-30 1997-04-02 出光興産株式会社 不織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60578T1 (de) 1997-12-15
EP0382064A1 (en) 1990-08-16
DE69033733D1 (de) 2001-06-13
JPH02202939A (ja) 1990-08-13
EP0779329A2 (en) 1997-06-18
EP0779329B1 (en) 2001-05-09
KR900012999A (ko) 1990-09-03
EP0382064B1 (en) 1997-11-26
DE69031746T2 (de) 1998-03-19
US5034441A (en) 1991-07-23
EP0779329A3 (en) 1997-12-29
DE69033733T2 (de) 2001-09-06
JP2812972B2 (ja) 1998-10-22
DE69031746D1 (de) 1998-01-08
ATE201034T1 (de)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620B1 (ko) 스티렌계 수지조성물과 성형품의 제조방법
EP0611802B1 (en) Styrene-based polymer compositions
EP0380968B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material for extrusion molding
KR940004093B1 (ko) 스티렌계 수지조성물과 성형품의 제조방법
JPH01182346A (ja) フィルム,シートまたは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557836B1 (en) Polystyrene-based Resin composition
EP0400487A1 (en) Styrene polymer molding material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JPH04500382A (ja) 低分子量臭素化ポリスチレンを含有する高衝撃抵抗性ポリスチレン
JP2710324B2 (ja) スチレン系重合体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JP3476028B2 (ja) 成形機用樹脂洗浄剤
JPH01182344A (ja) スチレン系重合体樹脂組成物
JP2583551B2 (ja)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と成形品の製造方法
KR20160066109A (ko) 저비중 고내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0307488A1 (en) A polystyrene-based resin composition
CN113736209B (zh) 一种耐油易清洗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315331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189348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用溶融粘度低下剤
JPH01108244A (ja) ポリ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H08132538A (ja) スチレン系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H0366745A (ja) 成形用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4049912B2 (ja) 成形材料及び成形品
JPH01182347A (ja)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と成形品の製造方法
JPH1053680A (ja) スチレン重合体組成物
JPS5947256A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H0386755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