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844B1 - 후경화(post-cure)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림과 상부 및 하부림의 대체장치 - Google Patents
후경화(post-cure)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림과 상부 및 하부림의 대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12844B1 KR950012844B1 KR1019920021390A KR920021390A KR950012844B1 KR 950012844 B1 KR950012844 B1 KR 950012844B1 KR 1019920021390 A KR1019920021390 A KR 1019920021390A KR 920021390 A KR920021390 A KR 920021390A KR 950012844 B1 KR950012844 B1 KR 9500128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re
- rim
- cure
- tires
- pos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3—Loading or unloading the pr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33—After-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vulcanising tyres
- B29D30/0643—Cooling during post cure inflation; Post cure inflators us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의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림의 단면도이다.
제 2 도는 타이어 경화 프레스, 후경화 인플레이터 그리고 상부 및 하부림 대체장치의 배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3 도는 상부 및 하부림 대체장치의 림 베이스와 척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4 도는 타이어 경화 프레스, 후경화 인플레이터 및 언로더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및 사용중에 있는 언로더의 기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림 대체장치 사용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부 및 하부림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6 도는 종래의 상부 및 하부림에서 지지된 타이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경화 타이어에 고압의 공기를 채움으로써 경화 타이어를 팽창 및 냉각시키기 위한 후경화 인플레이터에 관련된 것이다. 더 자세히는, 경화 타이어의 비드부의 지지를 위한 분리가능한 상부 및 하부림과 그의 대체창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설명]
선행하는 후경화 인플레이터는 타이어 경화 프레스의 캐비티당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2세트의 상부림및 하부림을 갖는 전환(turnover)형태의 후경화 인플레이터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타이어 경화프레스의 최소한 1주기동안 타이어를 냉각 및 팽창시키도록 작동하고, 이들 상부림과 하부림을 전환시키도록 설계되었다. 제 6 도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후경화 인플레이터에서 타이어의 지지를 위한 상부림과 하부림이 설명될 것이다. 상부림(11)과 (12)은 분리가능한 원판형태의 림이고, 타이어(T)의 비드부(B)를 지지하기 위해 비드직경 크기보다 돌출한 외경(11a 및 12a)을 갖는 단차형태로 제조되며, 타이어(T)의 비드부(B)가 고정되고 지지된다.
계속해서, 타이어에 고압공기가 채워지며, 따라서 이것은 도시하지 않은 펌프를 이용하여 팽창될 것이다. 그후 상온에서의 자기 냉각(self-cooling)을 위하여 타이어 경화 프레스의 한 주기에 걸친 시기동안 타이어는 이 상태로서 지지되면서 상부림 및 하부림과 함께 전환된다. 따라서 비드직경이 다른 타이어를 취급할때, 기밀상태를 유지하면서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림과 하부림을 비드직경에 맞는 외경을 갖는 림으로 대체하는 것이 필요하며, 따라서 이들 림들을 수작업에 의해 대체할 수 있도록 볼트로서 상부림과 하부림을 상부림과 하부림의 서포트에 설치하는 것은 일반적 관행이 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기술한 후경화 인플레이터는 특히 상부림의 설치시, 후경화 인플레이터 위로 상부림 서포트만큼 높이 무거운 상부림을 지지하면서, 작업자가 이를 아래에서 보면서 조여야 하는 불리한 점을 갖는다. 이런 형태의 작업에는 여러명의 작업자가 필요하며, 더구나 특별히 큰 타이어가 제한되고 불안정한 최하부(footing)에서 취급되어질때, 크고 무거운 림이 요구되며, 낮은 작업능률을 초래한다.
나가아 교체후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하부림이 작업자의 가슴만큼의 높은 위치로 설치되므로, 무거운 하부림을 그 정도 올리는 것은 매우 힘든 작업이다.
[발명의 요약]
지금까지의 공지기술에 내재된 상기 설명한 여러 불이익을 보아, 본 발명의 목적은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상부림 및 하부림, 특히 설치시 많은 작업이 요구되는 상부림 교체 및 하부림의 설치시 들어올림 작업이 없는 상부림과 하부림의 대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화 타이어를 팽창 및 냉각시키기 위해 타이어 경화 프레스로부터 이탈된 경화 타이어에 고압공기를 채우기 위해 타이어의 비드부를 지지하도록 설계된,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분리가능한 상부림과 하부림을 제공하고, 적어도 상부림이 크기가 다른 타이어들의 비드직경에 맞는 2 또는 그 이상의 외경을 가지며, 큰 외경상에 돌출한 작은 외경을 갖는 계단식의 단차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언급한 목적은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상부림 및 하부림의 대체장치를 제공하므로 달성되는바, 이는 경화 타이어에 고압공기를 채워 경화 타이어를 팽창 및 냉각시키기 위하여 타이어를 타이어 경화 프레스 중심과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 중심 사이로 흔들릴 수 있게 설치되는 경화 타이어의 비드부의 내부를 지지하기 위해 척에 의해 타이어를 매어다는 언로더이다.
하부림 지지부는 언로더의 척 전단부에 돌출하여 제공되고, 정치 스테이션은 언로더의 선회경로상에 놓여지며 ;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림 베이스는 최소한 이 정지 스테이션에서 하부림의 설치를 위해 고정된다.
최소한 상부림은 다른 크기의 타이어 비드직경에 적합한 2 또는 그 이상의 외경을 갖는 계단식 단차부가 제공되며, 따라서 이 상부림 단독으로 각종 크기의 타이어를 지지할 수 있어 타이어 크기가 변함에 따라 상부림을 교체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경화된 타이어를 타이어 경화 프레스로부터 후경화 타이어인 인플레이터까지 이송하기 위해 언로더 척의 선단부에 하부림 지지부를 돌출하게 설치함으로써, 언로더의 선회경로에 정지 스테이션을 구비함으로써, 그리고 더욱이 적어도 하부림을 설치하고 이 정지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림 베이스를 구비함으로써, 언로더에 의하여 하부림을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 설치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올리고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과 다른 목적 및 이점이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대한 하기의 기술과 함께 수반되는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림, 그리고 상부 및 하부림 대체장치의 구체예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먼저 제 1 도에서는 본 발명의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림을 기술할 것이다. 그다음에 제 2 도,3 도 및 4 도에서는 림 대체장치를 기술할 것이다.
제 1 도에서 부재번호 1은 상부림을 나타내고 부재번호 2는 하부림을 나타낸다. 상부림(1)은 세개의 단차부(a,b 및 c)를 가지는데, 이것은 다른 크기의 타이어(Ta,Tb,Tc)의 비드부(Ba,Bb 및 Bc)에 맞는 직경의 비드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타이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비드직경이 증가하여 바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두께는 그만큼 증가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평균 타이어 두께 Ha,Hb 및 Hc가 그것의 차이 Δh1(=Hb-Ha)과 Δh2(Hc-Hb)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측정되어야 한다. 이것은 이러한 차이 a,b 및 c의 높이의 차가 될 것이다. 그래서 조정나사와 스페이서의 사용에 의해 설정된 조정할 림 스페이서의 양이 극히 적게될 것이며 또는 이 림 스페이스의 어떤 조정도 불필요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세개의 단차부를 나타내는 상기의 실시예에만 단지 제한되지는 않고 적어도 두개의 단차부를 가지는 림을 채택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상부림(1)과 하부림(2)의 사용은 타이어 그기가 변화될때 상부 및 하부림의 대체를 요구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더 좋은 기밀성을 갖는 변형이 유사한 계단식 단차부를 갖는 상부림 뿐만 아니라 하부림을 구비함으로써 사용가능해질 것이다. 이때, 상기에서 기술한 단차부(a,b 및 c)의 높이의 차이 △h1과 △h2는 상부림과 하부림에 의해 공유되고, 따라서 상기에서 기술한 값의 1/2이 될 것이다 : △h1/2 및 △h2/2.
더욱이, 변화된 타이어 크기에 따라서 단지 적당한 크기의 대체-용이한 하부림을 이리 제조한 및 종류의 하부림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대체함으로써 기밀성을 개선할 수 있나. 림의 더 용이한 대체를 가능하게 하는 언로더를 갖는 림 대체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는 제 2 도, 3 도 및 4 도에서 본 발명의 림 대체장치를 설명할 것이다. 부재번호 3은 언로더를 표시하고, 부재번호 4는 척이고, 부재번호 5는 림 베이스를 나타내고, 부재번호 13은 타이어 경화 프레스를 표시하며 부재번호 14는 후경화 인플레이터를 나타낸다.
림 대체장치는 정지 스테이션을 갖는 언로더(3), 척(4)으로부터 돌출하여 구비된 하부림 지지부 및 정지스테이션에 설치된 림 베이스로 구성된다. 언로더(3)를 이용한 타이어 경화 프레스 및 후경화 인플레이터를 먼저 설명할 것이다. 그 다음 림 대체장치의 각 부분을 설명할 것이다.
제 2 도는 타이어 경화 프레스(13) 및 그것과 함께 나란히 놓여진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14)의 배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타이어 경화 프레스(13)와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14) 사이에 언로더(13)를 배치하여 타이어 경화 프레스(13)로부터 경화된 타이어(T)를 부려서 그것을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14)까지 이송하게 하였다.
타이어 경화 프레스(13)는 트원 형태로 그것의 우측 및 좌측 구조가 대칭이다. 그래서 두 타이어의 동시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 4 도는 사용중에 있는 언로더의 기본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4 도에서, 타이어 경화 프레스(l3)는 상부 몰드(14) 및 하부 몰드(42)에 볼트로 변화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다이(45) 및 하부 다이(46)가 하부 플래튼(41) 또는 다른 것을 통해서 장치몸체에 가설된 하부 몰드(42)와 상부 플래튼(43)을 통해서 가설된 상부 몰드(44) 사이에 개방가능하게 가설되어 있는 그러한 구조이다. 타이어는 이들 밀폐된 상부 및 하부 다이(45 및 46)로 경화된다.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된 타이어(T)를 들어올려서 언로더(3)의 척(4)을 이용하여 타이어(T)현가 위치만큼 높게 타이어(T)를 밀어올리는 리프팅(lifting)장치(47)는 타이어 경화 프레스의 측면에 병렬로 놓여있다. 후경화 인플레이터(14)는 타이어 경화 프레스(13)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된 트원 형태이다. 그것은 한 캐비티내에 타이어를 지지하기위한 두 세트의 상부 및 하부림을 지닌다 : 이들 림은 중앙축(O)에서 전환되므로, 타이어 경화 프레스(13)의 1주기시간보다 긴 팽창-냉각시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14)의 주요부분은 후-경화 인플레이터 본체에 장착된 상부림(11) 및 하부림(12)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부림(11)은 리프팅 실린더(16)에 의해 수직이동을 할 수 있으며 하부림(12)도 리프팅 실린더(17)에 의해 수직이동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지 스테이션이 갖추어져 있는 언로더(3)를 설명할 것이다.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로더(3)는 스욍 실린더(6)에 의해 스윙(01)의 중심에서 선회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스윙 실린더(6)는 예를들어 2단계 실린더를 사용하는데, 그것에 의해 언로더(3)는 세곳(양쪽 말단위치및 중간위치)에서 적절하게 정지할 수 있다. 이 언로더(3)는 타이어 경화 프레스의 중심(S1), 정지 스테이션(S2) 및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중심(S3)에서 적절하게 정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림 베이스(5)는 중심에 배열된 정지 스테이션(S2)과 함께 설치된다. 척(4)은 언로더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그것에 의해 경화 타이어는 현가되고 타이어 경화 프레스의 중심(S1)에서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중심(S3)으로 운반된다. 다음으로, 림 베이스(5) 및 척(4)의 하부림 지지부를 제 3 도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척(4)은 척 플레이트(21), 톱니멈춤새(22) 및 예시되어 있지 않으나 척을 개폐하는 추진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게다가, 림 베이스(5)는 리프팅 실린더(31), 실린더 로드(32), 테이블(33), 외부 프레임(34) 및 상부 플레이트(35)로 이루어져 있다.
척(4)의 하단부에는 원주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된 톱니멈춤새(22)를 지닌 세개의 척 플레이트(21)가 원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척(4)은 타이어를 현가하여 운반하기 위해 화살표 ① 및 ②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근본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즉, ①방향으로 개방된 척(4)은 타이어(T)의 비드부(B)의 내부를 걸어서 타이어(T)를 현가시킨다.
또한 하부림 지지부(23)는 외부로부터 하부림(12)을 고정하여 운반하기 위해 척 플레이트(21)의 하단부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댜. 즉 척(4)이 ①방향으로 개방되고 하부림(12)은 하부림(12)의 하단이 하부림 지지부(23)위에 위치할 때까지 올라가며, 이어서 척(4)은 ②방향으로 닫히고, 결과적으로 하부림(12)을 현가시킨다. 림 베이스(5)에서, 실린더(31)는 브래킷(36)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35)의 뒷면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서 실린더 로드(32)는 외부 프레임(34)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플레이트(35)의 중심에 만들어진 구멍(35a)을 통과할 수 있으며, 실린더 로드(32)의 윗면에 설치되어 있는 테이블(33)은 리프팅 실린더(31)에 의해 상하로 움직인다. 하부림(12)이 이 테이블(33)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차례로 적당한 위치로 올려져 척(4)에 의해 지지될 것이다.
게다가, 이 장치를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림을 둘다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때 스페이서(7)가 삽입되어 있는 하부림(12) 및 상부림(11)은 림을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중심(S3)에 운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음에, 상기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림 대체장치의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첫째로, 하부림(12)은 림 베이스(5)의 테이블(33)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테이블(33)은 무릎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작동이 용이해진다. 계속해서 언로더(3)는 정지 스테이션(S2)에서 멈추고 여기서 척(4)이 ①방향으로 열린다. 그런 다음 림 베이스(5)의 리프팅 실린더(31)를 구동하여 테이블(33)을 하부림(l2)의 하부 측면이 척(4)의 하부림 지지부(23)위로 올때까지 위로 움직인다.
여기서, 척(4)이 ②방향으로 닫힐때 하부림(12)이 척(14)에 걸려 현가된다. 계속해서 스윙 실린더(6)를 구동하여 언로더(33)는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중심(S3)을 향하게 된다.
그런다음 제 4 도에 도시한 리프팅 실린더(17)가 작동하여 하부림 서포트(18)을 상승시키고 하부림(12)을 그위에 놓는다. 그후 척(4)이 ①방향으로 열려 하부림(12)을 해제한다. 그런다음 리프팅 실린더(17)를 작동하여 하부림(12)과 하부림 서포트(18)를 하강시키고 언로더(3)를 다시 정지 스테이션(S2)으로 이동시킨다. 그런후 하부림(12)을 나사와 같은 수단으로 하부림 서포트(18)에 고정시킨다. 하부림(12)은 하부림 서포트(18)위에 있기 때문에 상기한 작동은 용이하게 수행된다.
다음으로 제 4 도를 참고로 하여, 언로더(3)의 주 대상인 타이어를 타이어 경화 프레스(13)로부터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14)로 운반하는 과정을 설명할 것이다. 상부 및 하부 다이(45,46)는 경화완료후 도시한것처럼 상방 및 하방으로 열려 타이어(T)를 방출한다. 그런 다음 위치 ①의 타이어(T)의 하부 측면이 밀어올려져 리프팅 장치(47)의 암(arm)부(48)를 지지하고 이것을 위치 ②만큼 높이 위로 움직여 척(4)의 폴(22)에 의해 타이어를 들어올린다. 언로더(3)는 회전하여 타이어를 ③위치로 운반하고 계속해서 하부림(12)은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14)의 리프팅 실린더(17)에 의해 타이어(T) 하부 측면 높이만큼 위로 이동하고 타이어(T)는 척(4)으로부터 하강되어 타이어(T)가 하부림(12)상에 놓이게 된다.
리프팅 실린더(17)가 작동하여 하부림(12)을 다시 아래로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언로더(3)는 선회하여 타이어(T)를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 밖으로 이동시키고 하부림(12)과 타이어(T)를 위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하여 타이어는 상부림(11)과 하부림(12) 사이에 유지된다.
적어도 상부림은 크기가 다른 타이어의 비드직경에 적합한 2 또는 그 이상의 외경을 가진 계단식 단차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이 상부림만으로도 크기가 다른 타이어를 상부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되는 상부림의 대체가 특별히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하부림 지지부는 경화된 타이어를 타이어 경화 프레스로부터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로 운반하기 위해 언로더의 척의 선단부위에 돌출되어 제공되어 있다 : 정지 스테이션은 언로더의 선회하는 도중에 제공되고 ;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림 베이스는 적어도 하부림이 이 정지 스테이션으로 이동 및 장착되도록 세팅된다. 하부림은 언로더에 의해 자동적으로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위치로 올려져 운반된다. 따라서 단지 존재하는 언로더를 약간 개선시키고 림 베이스를 세팅함으로써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에 하부림을 자동적으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부림을 대체하는데 필요한 시간 및 노력을 상당히 경감시킬 수 있다.
Claims (2)
- 크기가 다른 타이어의 비드직경에 적합한 적어도 2개의 외경을 가지며, 계단식 단차부는 큰 직경부의 상부에 작은 직경부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고압공기를 경화 타이어에 충전하여 상기 경화 타이어를 팽창 및 냉각시키기 위해 타이어 경화 프레스로부터 꺼내어진 경화 타이어의 비드부를 지지하기 위한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분리가능한 상부 및 하부림.
- 경화된 타이어를 타이어 경화 프레스로부터 끄집어내고 상기 경화 타이어에 고압공기를 충전시켜 상기 경화 타이어를 팽창 및 냉각시키고 상기 경화 타이어의 비드부 내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타이어 경화 프레스의 중심과 상기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중심사이에 선회가능하게 놓인 척에 의해 상기 경화 타이어를 현가하기 위한 언로더를 포함하고, 상기 언로더는 상기 척의 선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하부림 지지부 ; 상기 언로더의 선회도중에 놓인 정지 스테이션 및 적어도 상기 하부림을 상기 정지 스테이션에 장착하기 위해 세팅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림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후경화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1-326468 | 1991-11-13 | ||
JP3326468A JPH05131463A (ja) | 1991-11-13 | 1991-11-13 | ポストキユアインフレータ上下リム及び上下リム交換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9733A KR930009733A (ko) | 1993-06-21 |
KR950012844B1 true KR950012844B1 (ko) | 1995-10-23 |
Family
ID=1818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21390A KR950012844B1 (ko) | 1991-11-13 | 1992-11-13 | 후경화(post-cure)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림과 상부 및 하부림의 대체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441393A (ko) |
JP (1) | JPH05131463A (ko) |
KR (1) | KR95001284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4428A (ko) * | 2018-08-28 | 2020-03-09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의 균일성 검사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55961A (ja) * | 1994-12-05 | 1996-06-18 | Kobe Steel Ltd | タイヤ加硫機用のローダ又はアンローダ |
KR100301943B1 (ko) * | 1998-03-20 | 2001-09-22 | 구마모토 마사히로 | 타이어 가황기 |
JP4045053B2 (ja) * | 1999-07-23 | 2008-02-13 | 株式会社市丸技研 | 加硫後インフレート処理装置のタイヤ掴み装置 |
US6908587B1 (en) | 2000-11-17 | 2005-06-21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 | Post cure correction of tire uniformity |
US6660212B1 (en) | 2000-11-17 | 2003-12-09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Constrained post cure inflation |
US20070126153A1 (en) * | 2003-07-04 | 2007-06-07 | Bridgestone Corporation | Tire vulcanizing system and method for vulcanizing tire |
JP4763499B2 (ja) * | 2006-03-31 | 2011-08-31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タイヤ搬送装置 |
US8056202B2 (en) * | 2006-04-27 | 2011-11-15 |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 Tire replacement system for compact tractor |
JP4473907B2 (ja) * | 2007-12-12 | 2010-06-02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およびそのリム交換方法並びにリム |
JP5424727B2 (ja) * | 2009-06-10 | 2014-02-26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
JP5337611B2 (ja) * | 2009-07-22 | 2013-11-06 |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のリム交換装置 |
JP5420390B2 (ja) * | 2009-12-25 | 2014-02-19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及びタイヤ製造方法 |
JP5411011B2 (ja) * | 2010-02-02 | 2014-02-12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 |
JP5580234B2 (ja) * | 2011-03-23 | 2014-08-27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タイヤ用印刷装置 |
DE102015016882A1 (de) * | 2015-12-22 | 2017-06-22 |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 Vorrichtung zur Nachbehandlung von Reifen |
JP6765637B2 (ja) * | 2016-11-16 | 2020-10-07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タイヤ保持具、タイヤ印刷装置及びタイヤ印刷方法 |
DE102018207746A1 (de) * | 2018-05-17 | 2019-11-21 |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 Verfahren zum Vulkanisieren eines Reifens, insbesondere Fahrzeugreifen, Temperierelement sowie Vulkanisierungsvorrichtung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95179A (en) * | 1961-12-26 | 1965-07-20 | Cooper Tire & Rubber Co | Rim for post curing inflation of pneumatic tires |
LU67379A1 (ko) * | 1973-04-06 | 1973-06-18 | ||
US4169698A (en) * | 1978-01-26 | 1979-10-02 | Nrm Corporation | Post cure inflator |
GB2126153B (en) * | 1982-07-14 | 1986-04-23 | Mitsubishi Heavy Ind Ltd | Apparatus for loading or unloading tires for a tire vulcanizing machine |
JPS6161812A (ja) * | 1984-09-04 | 1986-03-29 | Mitsubishi Heavy Ind Ltd |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ダ |
JPH0735053B2 (ja) * | 1991-09-11 | 1995-04-19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機のリム間隔調整装置 |
-
1991
- 1991-11-13 JP JP3326468A patent/JPH05131463A/ja active Pending
-
1992
- 1992-11-13 KR KR1019920021390A patent/KR95001284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
- 1994-06-08 US US08/257,439 patent/US5441393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4428A (ko) * | 2018-08-28 | 2020-03-09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타이어의 균일성 검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5131463A (ja) | 1993-05-28 |
KR930009733A (ko) | 1993-06-21 |
US5441393A (en) | 1995-08-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50012844B1 (ko) | 후경화(post-cure) 타이어 인플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림과 상부 및 하부림의 대체장치 | |
JPH0477645B2 (ko) | ||
US6241501B1 (en) | Tire vulcanizer | |
US5352104A (en) | Post-cure inflator | |
JP3272595B2 (ja) | タイヤ加硫用ローダ | |
US6343917B1 (en) | Center mechanism of tire press | |
JP2003062832A (ja) | タイヤ加硫方法及びその加硫装置 | |
CN111976178B (zh) | 多层多模自行车胎硫化机及其生产工艺 | |
JP2799256B2 (ja) |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及びそれへの搬入装置 | |
JP3865503B2 (ja) |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装置の金型交換方法並びにタイヤ加硫方法 | |
JP2862741B2 (ja) |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 | |
JPH11268039A (ja) | タイヤ加硫機 | |
JP2695581B2 (ja) | タイヤ加硫装置 | |
JP2825218B2 (ja) | タイヤ搬送ローダ | |
JP3692209B2 (ja) | タイヤ加硫機 | |
JP3340560B2 (ja) | 加硫済タイヤの搬送方法 | |
JP2768761B2 (ja) | タイヤ加硫機の割金型操作装置 | |
US5360327A (en) | Bladder carrying apparatus for tire vulcanizing press | |
JPH08127026A (ja) | タイヤ加硫設備 | |
JPH05131452A (ja) | タイヤ加硫機のタイヤ取出装置 | |
JPH0529712U (ja) | タイヤ加硫機のグリーンタイヤ装着装置 | |
JP2001322132A (ja) | タイヤ加硫用コンテナ | |
JPH0750173Y2 (ja) | 円筒状型枠の脱型用固定装置 | |
WO2020161726A1 (en) | Post cure inflator for tires and corresponding method after vulcanisation | |
JPH06246747A (ja) |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ー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8100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