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793B1 - 포장용 적층재료 - Google Patents

포장용 적층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793B1
KR950012793B1 KR1019920702957A KR920702957A KR950012793B1 KR 950012793 B1 KR950012793 B1 KR 950012793B1 KR 1019920702957 A KR1019920702957 A KR 1019920702957A KR 920702957 A KR920702957 A KR 920702957A KR 950012793 B1 KR950012793 B1 KR 950012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polyester resin
acid
dicarboxylic aci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1294A (ko
Inventor
에이이찌 가또
에이지 다까하시
히로시 곤또
히로지 니이미
타까시 히라오까
마사유끼 사까이
마사끼 고오사까
Original Assignee
니혼 세이시 가부시끼가이샤
미야모또 다께시로오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요고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세이시 가부시끼가이샤, 미야모또 다께시로오,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요고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께바야시 쇼오고 filed Critical 니혼 세이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701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1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32B2309/025Temperature vs time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03Paper containing [e.g., paperboard, cardboard, fiberboar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13Heat or solvent activated or sealable
    • Y10T428/2817Heat sealable
    • Y10T428/2826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Next to cellulos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장용 적층재료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적층재료의 개념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적층재료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제 3 도는 PT-36로 된 적층재료와 PETG로 된 적층재료의 히트시일링강도에 대한 가열 과산화수소처리의 영향을 나타낸 도면.
제 4 도는 PT-36로 된 적층재료와 기타수지로 된 적층재료의 히트시일링강도에 대한 가열 영향을 나타낸 도면.
제 5 도는 유리전이점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 6 도는 히트시일러의 개략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재 2 : 향기유지시일링층
3 : 가스배리어층 11 : 종이층
12 : 폴리올레핀층 21 : 폴리에스테르수지층
31 : 가스베리어 필름층 41,41,42 : 접착층
102 : 필름시료 102 : 테플론 필림
103 : 상측 시일링바아 104 : 하측 시일링바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포장용 적층재료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장기간에 걸쳐서 포장된 내용물의 맛과 향기를 열화시키지 않고 내용물의 살균 충전시에 포장용 적층재료가 가열 과산화수소에 의한 살균처리를 거친 후에도 열밀봉강도가 감소되지 않는 포장용 적층재료에 관한 것이다.
[배경재료]
수지로 코팅된 종이기재로 된 액체용 용기들은 살균된 용기내에 저온에서 액체를 충전하는 경우에 장기간동안 내용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그와같은 용기의 수요가 급증되었다.
장기간 저장 대상물은 우유, 쥬스, 커피 드링크, 스프 등이고 그들은 고온 순시살균을 행한 후에 용기내에 충전한다.
액체용 용기는 종이기재의 양면을 폴리올레핀수지로 코팅하고 종이 기재위에 적층된 폴리올레핀수지를 가열 밀봉하여 제조한다. 액체내용물이 쥬스, 주류 등 섬세한 맛을 갖는 액체를 최내층에 폴리올레핀수지층을 갖는 용기내에 충전하는 경우에는 많은 경우에 내용물의 향기가 감소되거나 내용물의 맛이 열화된다. 용기내에서의 내용물의 맛의 열화는 예를들면 폴리올레핀의 최내층에 함유된 저분자 화합물 또는 수지의 적층시에 생성된 휘발성 성분이 액체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내용물에 옮겨감으로써 생기고 또 내용물의 맛과 향기가 수지자체의 흡수로 감소된다.
또 폴리올레핀수지는 침투성을 갖으므로 외부의 냄새가 내용물에 옮겨가 이질의 맛과 이질의 냄새를 생성하거나 내용물의 향기가 외부로 나가버린다.
상기 폴리올레핀수지의 결점을 개량한 각종 용기가 개발되었다. 예를들면 최내층이 지정질 또는 비정질폴리에스테르수지층인 용기(일본국 특개소 소 55-166247, 소 56-24165, 소 62-290534 등) 또는 최내층 에티폴리머폴리에스테르수지층을 갖는 용기(일본국 특개소 59-59435호)가 향기 횹수면에서 개량된 용기로서 제안되어 있다.
현재 채용되고 있는 액체용 종이 용기는 2가지 형으로 대분류된다. 즉 소위 브릭 타입(brick type)용기와 게이블 타입(gable type)용기이다. 이들 용기들의 과산화수소 살균처리는 서로 다르다. 브릭타입용기의 경우에는 주로 적층물을 더운 과산화수소내에 연속적으로 침지시킨 다음에 건조한다.
한편 게이블타입 용기의 경우에는 적층재료를 카본 확장형태로 절단하고 횡단면을 히트시일링하여 반제품의 카본을 만들고 저부를 히트시일한 후에 과산화수소를 스프레이하는 처리나 또는 카본을 과산화수소증기내에 놓아 과산화수소의 응결적하를 생성(일본국 특개소 63-11163호)시킨 후에 카본을 건조하는 처리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 등은 높은 향기 유지물성을 갖는 비정질 폴리에스테르수지로 공지된 폴리에스테르수지(상품명 : PET-G6763 이스트만 코닥제)로 만들어진 내층을 갖는 용기는 용기가 상술한 과산화수소 살균처리를 행할 때에 히트시일링물성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폴리올레핀수지된 포장용 적층재료는 향기 유지 물성이 열화되고 폴리에스테르수지로 된 포장용 적층재료는 폴리올레핀수지로 적층된 것에 비해서 향기유지물성은 양호하나 과산화수소처리에 의해서 히이트시일링물성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 그 목적은 히트시일링물성과 향기유지 물성이 우수하고 가열수처리 또는 가열 과산화수소처리를 행한후에도 히트시일링물성이 감소되지 않는 포장용적층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포장용 적층재료는 종이기재와 적어도 최내면측에 설비된 폴리에스테르수지층으로 된 포장용 적층재료이다. 이 폴리에스테르수지는 [A]디카본산 기본단위 100몰%를 기준으로 방향족 디카본산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 80∼95몰%와 지방족 디카본산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 20∼5몰로 된 디카본산 단위 및 [B]디하이드록시 화합물단위 100몰%를 기준으로 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 55∼90몰%와 하기식(1)∼(3)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 45∼10몰%로 된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단위,
[각 식중, R1및 R2는 수소 또는 탄소원자 1∼20의 알킬기이고 n은 1∼10의 정수이고 m은 1∼10의 정수임]로 되어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수지층은 JIS Z 1707에 준하여 히트시일링온도 130℃조건하에 측정한 히트시일링강도가 2.0kgf/15mm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5kgf/15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0kgf/15mm이고, 시험전에 피시험 폴리에스테르수지를 80℃의 35% 과산화수소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키고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닦아내고 70℃의 공기로 30분간 건조시킨 후의 히트시일링온도 130℃의 조건하에 측정한 히트시일링강도가 1.0kgf/15mm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1.5kgf/15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0kgf/15mm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JIS Z 1707에 준하여 측정한 히트시일링강도는 후술하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측정한다. 폴리에스테르수지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디카본산 단위[A]와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단위[B]에 더하여 [C]3가 이상의 폴리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 및/ 또는 3가 이상의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함유할 수도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포장용 적층재료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포장용 적층재료는 종이기재와 최내측(용기내의 내용물과 접촉하는 측)에 특정조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수지층으로 되어 있다.
이 폴리에스테르수지는 [A]디카본산 단위 100몰%를 기준으로 방향족 디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 80∼95몰%와 지방족 디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 20∼5몰%로 된 디카본산 단위, 및 [B]디하이드록시 화합물단위 100몰%를 기준으로 에틸렌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 55∼90몰%와 상기식(1)∼(3)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 45∼10몰%로 된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 되어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수지를 구성하는 방향족 디카본산 구성단위의 예로서는 테레프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본산, 디페닐디카본산 및 디페녹시에탄디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들수 있다. 이들중에서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가 바람직하다.
지방족 디카본산 구성단위의 예로서는 아디핀산, 세바신산, 아셀란산 및 데칸디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를 들 수 있다. 이들중에서 아디핀산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가 바람직하다.
디하이드록시단위는 필수구성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구성단위와 하기 글리콜 성분으로 되어있다.
상기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서는 트리메틸렌글리콜, 포로필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도네카메틸렌글리콜 및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디메틸메탄을 들 수 있다.
상기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서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시클로헥산디에탄올, 시클로헥산디프로판올 및 시클로헥산 디부탄올을 들 수 있다.
상기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서는 비스(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디메틸메탄올 들수 있다.
이들 화합물중에서 네오펜틸 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비스(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디메틸메탄이 바람직하고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네오펜틸 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수지중에서 하기 조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수지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즉 폴리에스테르수지는 [A"]디카본산 단위 100몰%를 기준으로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 80∼95몰%, 바람직하기로는 84∼92몰%와 아디핀산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 20∼5몰%, 바람직하기로는 16∼8몰%로 된 디카본산 단위, 및 [B"]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단위 100몰%를 기준으로 에틸렌글리콜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 55∼90몰%, 바람직하기로는 60∼85몰%와 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 45∼10몰%, 바람직하기로는 40∼15몰%로 된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단위로 된 것이다.
이 폴리에스테르수지는 3가 이상의 폴리카본산 화합물 및/ 또는 3가 이상의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2몰%이하와 공축합할 수 있다.
3가 이상의 폴리카본산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트리멜리트산 및 피로멜리트산을 들 수 있다. 이들중 트리멜리트산이 바람직하다.
3가 이상의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트리메틸올메탄,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롤프로판 및 펜타에리스리톨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들중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폴리에스테르수지층이 JIS Z1707에 준하여 시일링온도 130℃에서 측정하여 히트시일링강도가 통상 2.0kgf/15mm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5kgf/15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0kgf/15mm 이상인 것이 요망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수지층이 시험전에 시료를 80℃의 35% 과산화수소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킨 후에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닦아내고 70℃의 공기를 불어 30분간 건조시켜 130℃의 시일링온도에서 측정한 히트시일링강도가 1.0kgf/15mm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1.5kgf/15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0kgf/15mm 이상인 것이 요망된다.
또 폴리에스테르수지의 극한점도[n]가 통상 0.40∼1.0d1/g, 바람직하기로는 0.50∼0.90d1/g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통상 45℃∼80℃, 바람직하기로는 50℃∼75℃인 것이 요망된다.
극한점도[n]는 다음 방법으로 측정한다. 즉 폴리에스테르수지를 1g/100ml농도의 0-클로로페놀에 용해시켜 우베로데(ubbelode) 타입캐릴라리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 용액의 점도를 측정한다. 그런 후에 0-클로로페놀을 서서히 용액에 가하여 농도가 낮은쪽의 용액점도를 측정하여 농도가 0%일때의 점도를 외삽하여 극한점도[n]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상술한 폴리에스테르수지는 테레프탈산 및 아디핀산으로부터 유도되는 디카본산단위이외의 디카본산단위 및/ 또는 에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및 네오펜틸글리콜 이외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단위를 적당한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 디카본 단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본산, 디페닐디카본산 및 디페녹시에탄 디카본산 등의 방향족디카본산으로부터 유도된 것.
세바신산, 아젤란산 및 데칸디카본산 등의 지방족 디카본산으로부터 유도된 것. 및 시클로헥산 디카본산 등의 지환족 디카본산으로부터 유도된 것을 들 수 있다.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단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산디올, 1,3-비스(2-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 1,4-비스(2-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 및 비스(4-β-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설폰으로부터 유도된 것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벤조일안식향산 디페닐설폰카본산, 스테아린산,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페녹시페놀에틸렌 글리콜 등의 단관능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를 예를들어 2몰%이하의 소량함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수지에 헥제, 무기충전제, 윤활제, 슬립제, 안티블록킹제, 안정제, 정전기 방지제, 흐림 방지제, 및 안료 등의 종래 공지의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적당량 첨가할 수 있다.
또 가스차단성을 갖는 수지 등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외에 종래 공지의 수지들을 필요에 따라 폴리에스테르수지에 첨가할 수도 있고, 그들의 양은 적의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 적층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상기 특정 화합물을 출발 화합물로서 특정량을 사용한 것 이외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제조는 회분식방법, 연속식방법 등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연속식방법을 사용할 경우에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첫째로 테레프탈산 및 아디핀산 또는 그들의 에스테르-형성 유도체로 된 디카본산을 에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네오펜틸글리콜 또는 그들의 에스테르-형성유도체로 된 디하이드록시 화합물과 필요에 따라서 3가 이상의 폴리카본산 화합물 및/ 또는 3가이상의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과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든다. 슬러리중에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성분 또는 그들의 에스테르-형성 유도체가 디카본산 성분 또는 그들의 에스테르-형성 유도체 1몰당 1.02∼2.0몰, 바람직하기로는 1.03∼1.5몰을 함유한다.
또 3가 이상의 폴리카본산 화합물 및/ 또는 필요시에 사용되는 3가 이상의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양은 디카본산 및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전체량 100몰%에 대해서 0.01∼2몰%, 바람직하기로는 0.05∼1몰%의 범위이다. 이 슬러리는 에스테르화반응단계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에스테르화반응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2기의 에스테르화반응기를 구비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이 반응컬럼을 사용하여 시스템으로부터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물을 제거하면서 환류하는 조건하에 행한다. 에스테르화 반응조건은 다음과 같다. 즉 제 1에스테르화 반응단계에서 온도는 통상 240∼270℃, 바람직하기로는 245∼265℃의 범위이고 압력은 통상 0.2∼3kg/cm2-G, 바람직하기로는 0.5∼2kg/cm2-G의 범위이다.
최종 에스테르화반응단계에서는 온도는 통상 250∼280℃, 바람직하기로는 255∼275℃의 범위이고, 압력은 통상 0∼1.5kg/cm2-G, 바람직 하기로는 0∼1.3kg/cm2-G의 범위이다.
따라서 2단계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실행할 경우에 제 1 단계와 제 2 단계의 에스테르화 반응조건들은 상술한 범위내이고, 3단계 이상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실행할 경우에는 제 2 단계∼최종단계에 있어서의 에스테르화 반응조건은 제 1 단계의 반응조건과 최종단계의 반응조건간의 조건들이다.
예를들면 3단계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실행할 경우에 제 2 에스테르화 반응단계에 있어서의 반응온도는 통상 245∼275℃, 바람직하기로는 250∼270℃의 범위이고, 이 단계에서의 압력은 통상 0∼2kg/cm2-G, 바람직하기로는 0.2∼1.5kg/cm2-G의 범위이다.
각 단계에서의 에스테르화 반응의 변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각 단계에 있어서의 에스테르화 반응변환의 상승이 원활하게 분배되고 최종단계의 에스테르화 반응생성중에 에스테르화 반응변환이 통상 9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93% 이상이다. 에스테르화를 통하여 저축화합물이 얻어지고 이 저축화합물의 수평균분자량은 통상 500∼5000의 범위이다.
이 에스테르화 반응은 후술하는 폴리축합 촉매의 존재하에 행한다. 트리에틸렌아민, 트리-n-부틸아민 및 벤질디메틸아민 등의 타샤리아민 ; 테트라에틸암모늄 하이드로옥사이드, 테트라-n-부틸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및 트리메틸벤질 암모늄 하이드로옥사이드 등의 쿼터나리 암모늄 하이드로옥사이드 ; 및 리튬카보네이트, 소듐카보네이트, 포타슘카보네이트 및 소듐아세테이트 등의 소량의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주쇄내의 디옥시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의 비율을 비교적 낮은 레벨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얻어진 저축합물을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융점보다도 낮지 않은 온도로 폴리축합 촉매의 존재하에 이 공정에서 생성되는 글리콜을 반응시스템 밖으로 제거하면서 가열한다.
폴리축합 반응은 액상으로 단일단계나 복수단계로 행할 수 있다. 복수단계로 폴리축합 반응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 1폴리축합 반응단계에서의 반응온도는 통상 250∼290℃, 바람직하기로는 260∼280℃의 범위이고 이 단계에서의 압력은 통상 500∼20torr, 바람직하기로는 200∼30torr이고 최종 폴리축합 반응단계에서의 온도는 통상 265∼300℃, 바람직하기로는 270∼295℃의 범위이고 이 단계에서의 압력은 통상 10∼0.1torr, 바람직하기로는 5∼0.5torr의 범위이다.
폴리축합 반응을 2단계로 행할 경우에 제 1 및 제 2 단계에 있어서의 폴리축합 반응은 상기의 범위내이고 폴리축합 반응을 3단계 이상으로 행할경우에 제 2 단계로부터 최종단계에 있어서의 폴리축합 반응조건은 제 1 단계의 반응조건과 최종단계의 반응조전의 사이이다.
예를들면 폴리축합 반응을 3단계로 행할 경우에 제 2 폴리축합반응단계의 반응온도는 통상 260∼295℃, 바람직하기로는 270∼285℃의 범위이고 이 단계에서의 압력은 통상 50∼2torr, 바람직하기로는 40∼5torrol다. 각 단계에서 얻은 폴리에스테르수지의 극한점도[n]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각 단계에서의 극한점도의 상승은 원활하게 분포되고 최종단계의 폴리축합 반응기에서 얻은 폴리에스테르의 극한점도[n]는 통상 0.40∼1.0d1/g 바람직하기로는 0.5∼0.9d1/g이다.
폴리축합 반응은 촉매와 안정제의 존재하에 바람직하게 행할 수 있다. 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촉매의 예로서는 게르마늄디옥사이드, 게르마늄테트라에톡사이드, 게르마늄테트라-n-부톡사이드 등의 게르마늄 화합물 ;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 등의 안티모니촉매, 티타늄 테트라부톡사이드 등의 티타늄촉매를 들 수 있다. 이를 촉매중에서 게르마늄 디옥사이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안정제의 예로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n-부틸 포스페이트, 트리옥틸포스페이트 및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등의 포스페이트류 ;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도데실포스파이트 및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등의 포스파이트류 ; 메틸애시드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애시드포스페이트, 부틸애시드포스페이트, 디부틸포스페이트, 모노부틸포스페이트 및 디옥틸포스페이트 등의애시드포스페이트류 ; 및 인산 및 폴리인산 등의 인 화합물류를 들 수 있다.
반응에 사용되는 촉매 또는 안정제의 양은 다음과 같다.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에 그 양은 디카본산성분과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성분의 혼합물의 중량에 대해서 촉매중에 함유된 금속중량으로 통상 0.0005∼0.2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01∼0.05중량%의 범위이다. 안정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양의 디카본산성분과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성분의 혼합물의 중량에 대해서 안정제에 함유된 인원자의 무게의 통상 0.001∼0.1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02∼0.02중량%의 범위이다. 이들 촉매와 안정제는 에스테르화반응단계에 첨가할 수 있고 또는 폴리축합반응의 제 1단계에 있는 반응기내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술한 액상폴리축합공정에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통상 용융 압출성형에 의해서 입자형태로 성형한다.
위와같이 얻어진 입자상 폴리에스테르수지는 필요에 따라서 건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포장용 적층재료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적층재료의 개념도이고,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적층재료의 구조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포장용 적층재료는 기재(1), 향기 유지시일링층(2)로 되고 필요한 경우에 베리어층(3)이 기재(1)과 향기 유지시일링층(2)과의 사이에 설비되어 있다.
기재(1)은 종이층과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폴리올레핀층 등의 열용융수지층으로 되어 있다.
향기 유지시일링층(2)는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수지로 제조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액체가 접촉되지 않는 쪽에 접착층을 설비한다.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비되는 가스베리어층(3)은 1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을 갖는 가스베리어 필름으로 제조한다.
종이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종이들은 종래에 포장용적층재로 사용된 종이들이다. 기재(1)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류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및 폴리-4-메틸벤텐-1을 들 수 있다.
향기 유지시일링층(2)으로는 상술한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사용한다.
가스베리어층(3)으로 사용되는 가스베리어 필름의 예로서는 알루미늄포일 및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폴리아미드수지,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공중합체(PVDC), PET, O-PET 및 액상 결정성 폴리에스테르(LCP)를 들 수 있다. 그들은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접착층으로 사용되는 접착제의 예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접착제류, 접착성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EMAA(카본산 변성 폴리올레핀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 적층재료는 예를들어 상기 각층을 조합하여 제 2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로 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2(a)도에 나타낸 포장용 적층재료는 종이층(l1)과 이 종이층의 양면에 설비된 폴리올레핀층(12)으로 된 기재로 되고 가스베리어층은 가스베리어 필름(알루미늄 포일)층(31)과 접착제(EMAA수지 )층(41), 접착제(ADMER, 미쓰이세끼유 가가꾸(주)제)층(40)으로 되고, 향기 유지시일링층은 폴리에스테르수지층(21)으로 되고 이들의 상기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제 2(b)도에 나타낸 포장용적층재료는 종이층(11)과 이 종이층 양면에 설비된 폴리올레핀층(12)으로 된 기재, 접착제(ADMER)층(40) 및 폴리에스테르수지층(21)으로 된 향기 유지시일링층으로 되고 이들이 상기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제 2(c)도에 나타낸 포장용적층재료는 종이층(11)과 이 종이층 양면에 설비된 폴리올레핀층(12)로 된 기재, 가스베리어필름(O-PET)층(31)과 이 가스베리어필름의 양면에 설비된 접착제(이소시아네이트 접착제)층(42), 접착제(ADMER)층(40)으로 된 가스베리어층(3) 및 폴리에스테르수지층(21)로 된 향기 유지시일링층으로 되고 이들이 상기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제 2(d)도에 나타낸 포장용 적층재료는 종이층(11)과 이 종이층의 양면에 설비된 폴리올레핀층(12)으로된 기재, 가스베리어필름(EVOH, PVDC, O-PET,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층(31) 및 가스베리어필름층의 양면에 설비된 접착제층(40)으로 된 가스베리어층(3) 및 폴리에스테르수지층(21)으로 된 향기 유지시일링층으로 되고 이들이 상기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제 2(e)에 나타낸 포장용 적층재료는 폴리올레핀층(12)와 종이층(11)로 된 기재, 가스베리어필름(EVOH, 폴리아미드수지 등)층(31), 접착제(ADMER)층(40)으로 된 가스베리어층(3) 및 폴리에스테르수지층(21)으로 된 향기유지시일링층으로 되고 이들이 상기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제 2(f)도에 나타낸 포장용 적층재료는 종이층(11)과 종이층 양면에 설비된 폴리올레핀층(12)로 된 기재, 접착제(ADMER)층(40)와 가스베리어필름(HOMO-PET)층(31)으로 된 가스베리어층(3) 및 폴리에스테르층(21)로 된 향기 유지시일링층으로 되고 이들이 상기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 적층재료는 제 2 도에 나타낸 것 이외에 각종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 적층재료에 있어서 기재와 베리어층의 두께는 이 포장용 적층재료에 의해서 제조되는 제품의 용도에 따라서 적의 결정한다.
향기 유지시일링층(2)인 폴리에스테르수지층의 두께는 5∼200μm, 바람직하기로는 10∼50μm의 범위이다.
그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그 강성때문에 용기성형 공정에서 문제가 생기고 한편 너무 얇으면 제조된 적층재료의 히트시일링강도가 결핍되게 된다.
본 발명의 포장용 적층재료는 공압출 등의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포장용 적층재료는 종이기재와 적어도 최내측에 설비된 폴리에스테르수지층으로 된 적층재료이고 이 폴리에스테르수지는 특정 성분을 특정량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용 적층재료는 히트시일링강도가 우수하고 가열 과산화수소처리시에도 그 히트시일링효율이 감소되지 않는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수지 필름 자제는 찢어지지 않으므로(파괴율 : 0%)종이 용기를 제조하는 성형가공성이 우수하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포장용 적층재료는 높은 향기유지성을 갖으므로 우유, 쥬스, 커피 등의 음료와 스프 등의 액체에 이 포장재료를 사용할 경우에 이상한 맛이나 이상한 냄새가 내용물에 들어가지 않고 쥬스 등의 내용물의 향기를 밖으로 나가게 하지 않는다.
[실시예]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에 의해서 더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이들 실시예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다음과 같이 각각 약칭한다.
PT-36 : 본 발명에 의 한 폴리에스테르수지 [테레프탈산/아디핀산/에틸렌글리콜/시클로헥산디메탄올=90/10/70/30(몰%)].
PET-G : PET-G 6763, 이스트만 코닥사에서 구입 가능[테레프탈산/에틸렌글리콜/시클로헥산디메탄올=100/70/30(몰%)].
PET-J125 : J-124, 미쓰이세끼유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에서 구입가능[테레프탈산/에틸렌글리콜 =100/100(몰%)]
[제조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수지(PT-36)의 제조]
스테인리스강 반응기에 테레프탈산 69.1kg, 아디핀산 6.75kg, 에틸렌글리콜 31.0kg 및 시클로헥산디메탄올 21.2kg을 장입하였다.
혼합물을 질소가스분위기중에서 180∼240℃로 2.5시간 이상 가열하여 반응혼합물로부터 물을 제거하였다. 그런 후에 반응혼합물을 스테인리스강 중합조로 옮겼다.
이 중합조에 20%에틸암모늄 하이드록시드수용액 6.13g와 모노메틸포스파이트 23.1g에 2산화게르마늄16.0g을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온도를 2시간 이상 걸려 220℃로부터 250℃로 승온시켰다. 온도를 265℃로 상승시키면서 압력을 1시간 이상 걸려 서서히 0.5Torr로 감압시켰다.
다음 1시간 동안에 온도를 275℃로 상승시켰다.
반응계를 이상태로 3시간 유지한 다음 압력을 대기압으로 복귀시키고 중합체를 반응기로부터 압출하였다. 그런 후에 중합체를 냉각하여 펠렛화하였다.
[실시예 1]
제조실시예 1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사용하여 65mm 직경의 필름 성형기로 필름(두께 : 100μm)를 제조하였다.
얻은 필름의 극한점도, 유리전이점, 융점, 히트시일링강도, 낙하강도(파괴율), 맛 및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상술한 물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극한 점도]
폴리에스테르수지 1.2g을 0-클로로페놀중에 농도 1g/100ml로 용해시켰다.
이 용액의 점도를 우벨로데타입 캐필라리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그런 후에 0-클로로페놀을 이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여 낮은 농도쪽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농도 0%의 점도를 외삽법에 의해서 극한점도([n])를 결정하였다.
[유리전이점]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약 5mmHg의 압력하에 14일간에 걸쳐 40℃의 온도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펠렛의 중앙부로부터 뽑아낸 약 10mg의 얇은 시료를 질소분위기중의 알루미늄팬에 올려놓았다. 그린 후에 암루미늄팬의 온도를 실온(20℃)으로부터 10℃/min의 -온도 상승속도로 승온시켜 시차주사열량계(DSC-7타입 : 파킨 엘머사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유리전이점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방법을 제 5 도에 나타냈다.
[융점]
알루미늄팬의 온도를 실온(20℃)으로부터 온도상승속도 10℃/min로 유리전이점 측정에서와 같이 상승시켜 시차주사열량계(DSC-7타입, 파킨 엘머사제)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열용융 피크온도(융점)를 측정하였다.
[히트시일링강도]
이 폴리에스테르수지를 65mm 직경의 압출기(히다찌 조센(주)사제)를 사용하여 실린더온도 280℃에서 용융압출하였다.
그리고 용융상태의 필름을 정근접접촉장치(static close contact device)가 설비된 냉각드럼(표면온도 : 30℃)위에서 냉각시켜 두께 100μm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을 23℃, 50%RH의 오븐내에 1일간 방치하였다.(이 공정(a)를 "초기공정" 이라 함) 그런 후에 이 필름을 80℃의 35% 과산화수소 수용액중에 침지시켰다.
그런 후에 과산화수소 수용액을 닦아내고 70℃에서 30분간 건조하였다. (이 공정(b)를 이후 "가열과산화수용액처리"라 함)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시료의 히트시일링강도를 JIS Z-1707의 시험방법에 준하여 히트시일링강도를 측정하였다.
제 6 도는 히트시일러의 개략예시도이다. 구체적인 히트 시일링 조건은 다음과 같다.
히트시일러 : 테스터 상교(주)사제
필름 : 약 120mm×120mm
상부시일링 바아 : 5mm폭의 알루미늄제, 이 상부 시일링바아의 온도를 80℃로부터 140℃로 변화시켜 실용 히드시일링 물성을 측정하였다.
하부 시일링 바아 : 상부 시일링바아를 받치는 역할을 하고 5.2mm의 두께를 갖는다.
쇼아 A경도가 52±1이고 온도가 70℃이다.
시일링압력 : 2kgf/cm2
시일링시간 : 2초
인스트론 타입 유니버설 테스터 : 히트 시일링한 필름샘플을 절단하여 폭 15mm의 시료를 형성시키고 시료의 히트시일링된 부분을 180℃에서 300mm/min의 인장속도로 팽팽히 당겨 히트 시일링된 부분의 최대하중을 측정하였다. 이와같이 측정한 최대하중을 히트시일링강도로 하였다.
[낙하강도(파괴율)]
2개의 필름(두께 : 100μm, 길이 200mm, 폭 : 200mm)를 상술한 히트시일러(테스터 상교(주)사제)를 사용하여 다음 조건하에서 그들의 3측부를 히트시일링하였다. 이 주머니에 250ml의 증류수를 채우고 주머니의 열린쪽을 주머니내에 공기가 남아있지 않게 하여 시일링하였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20개의 주머니를 5℃의 냉장고내에 1일간 방치하였다.
그런 후에 1.2mm 높이에서 콘크리트면에 떨어뜨려 파괴율에 측정하였다.
파괴율을 다음식으로 산출하였다.
[맛]
초기공정후에 얻은 필름(두께 : 100μm)을 사용하여 강하강도 측성시와 같이 3측부가 시일링된 주머니를 만들었다.
이 주머니에서 250ml의 손수를 채웠다.
주머니의 열린쪽을 주머니속에 공기가 남아 있지 않게 하여 시일링하였다.
이 주머니를 40℃의 오븐내에 1개월간 저장한 후에 10명의 판넬원에 의해서 맛평가를 위하여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 : 맛 변화를 느낄 수 없었다.
× : 맛 변화를 느낄 수 있었다.
[마찰계수]
초기공정후에 얻은 필름(두께 : 100μm)의 마찰계수를 인스트론 타입 유니버설 테스터를 사용하여ASTM-D-1894에 준하여 200mm/min의 인장속도로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1.0 이상 : 필름의 미끌림도가 극히 나빠 그들의 실제 취급이 불가능하다.
0.4∼0.6 : 필름의 미끌림도가 적당하여 그들의 실제취급이 용이하다.
0.3 이하 : 필름의 미끌림도가 너무 높아 그들의 취급이 어렵다.
[비교예 1]
폴리에스테르수지(밀라손 M-11, 미쓰이 세끼유 가가꾸고오교(주)사에서 구입가능)의 극한점도, 유리전이점, 융점, 히트시일링강도, 낙하강도(파괴율), 맛 및 마찰계수를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2∼9 및 비교예 2∼10]
표 1 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의 공정과 같이 실시하여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수지의 각종 물성들을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1]
*) 뉴폴 BPE20(상품명, 산요가세이(주)에서 구입가능 아래식으로 표시하는 혼합물)
식중 n 및 m은 2≤n+m≤4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임.
[표 2]
* a) 초기공정후
* b) 가열 과산화수소 수용액 처리후
* a) 초기공정후
* b) 가열 과산화수소 수용액 처리후
* a) 초기공정후
* b) 가열 과산화수소 수용액 처리후
* a) 초기공정후
* b) 가열 과산화수소 수용액 처리후
[실시예 10]
필름성형기로 제조한 PT-36의 필름을 이소시아네이트 접착제가 도포된 340g/m2의 기층종이에 드라이적층하여 히트시일링 물성측정용 적층재료의 시료를 얻었다.
이 시료로 가열 과산화수소처리가 히트시일링 물성에 주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시험결과를 표 3 에 나타냈다.
[히트 시일링강도의 측정]
시료를 80℃의 35%과산화수소 수용액내에 30초간 침지시켰다.
그런 후에 70℃의 따뜻한 공기로 건조하였다. 두 레벨의 시료 즉 이와같이 처리된 시료와 처리되지 않은 시료의 히트시일링강도를 히트시일링 압력이 2kg/cm2, 히트시일링 시간이 10초이고 다른 조건은 JIS Z1707에 준한 조건하에 측정하였다.
[비교예 11]
PT-36대신에 폴리에스테르수지(밀라손 M-11, 미쓰이세끼유가가꾸고오교(주)사에서 입수가능)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의 공정과 같이 실시하여 적층재료를 얻었다.
시료의 히트시일링 물성에 대한 가열 과산화수소처리의 영향을 10실시예와 같이 시험하였다. 시험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비교예 12]
PT-36대신에 PET-G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의 공정을 실시하여 적층재료의 시료를 얻었다.
시료의 히트시일링 물성에 대한 가열 과산화수소처리의 영향을 실시예 10에 설명한 것과 같이 시험하였다.
시험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비교예 13]
PT-36 대신 PET-JI25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의 공정과 같이 실시하여 적층재료의 시료를 얻었다.
시료의 히트시일링 물성에 대한 가열과산화수소처리의 영향을 실시예 10에 설명한 것과 같이 시험하였다. 시험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3]
괄호안의 숫자는 종이가 눋거나 갈변함을 의미함, 즉, 적층재료의 외관이 실용에 부적합함.*1) 가열과산화수소 처리
*2) 히트-씨링온도
*3) 히트-씨링강도 g/15mm
[실시예 11]
340g/m2의 기층종이와 기층종이 외측에 적층된 20μm의 폴리에스테르수지(밀라손 M-16, 미쓰이세끼유가가꾸고오교(주)사에서 입수가능)로 된 기재를 제조하였다.
10μm의 접착성 폴리에스테르수지(ADMER, 미쓰이세끼유가가꾸(주)사에서 입수가능)와 15μm의 PT-36으로 된 적층필름도 제조하였다. 기재, 적층필름 및 기재의 의측에 사용한 것과 같은 20μm의 폴리에틸렌을 상기 순서와 같이 적층하여 적층필름의 접착성 폴리에스테르수지를 기재의 내측에 설비하여 적층재료를 얻었다.
얻은 시료의 히트시일링 물성에 대한 가열 과산화수소처리의 영향을 시험하였다.
시험결과를 제 3 도에 나타냈다.
[히트시일링강도의 측정]
시료를 30℃의 과산화수소용액에 6초간 침지시킨 후에 시료를 70℃의 따뜻한 공기로 30분간 건조하였다.
시료의 2레벨, 즉 이와같이 처리된 시료와 처리하지 않은 시료의 히트 시일링강도를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측정하였다. 측정은 적층재료의 내측에 존재하는 두 PT-36층의 강도가 포화된 상태하에 행하였다.
[비교예 14]
PT 36 대신 PET-G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의 공정과 같이 실행하여 적층재료를 얻었다.
얻은 시료의 히트 시일링 물성에 대한 가열과산화수소처리의 영향을 제 1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시험하였다. 시험결과를 제 3 도에 나타냈다.
[실시예 12]
실시예 10에서 제조된 시료를 사용하여 리모넨잔사퍼센트(limonene residue percentage)와 순수의 맛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었다. 측정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D-리모넨 잔사 퍼센트의 측정]
시중 구입 가능한 1ℓ 유리병에 들을 오렌지쥬스(에히메껭l제)를 85℃로 가열하였다. 이 오렌지쥬스를 3측부가 시일링된 피시험 포장용 재료에 부은 후에 포장용 재료의 열린쪽을 히트시일링하여 5℃로 저장하였다. 3주후에 이 오렌지쥬스중의 D-리모녠 잔사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순수맛의 측정]
순수를 85℃로 가열하여 상술한 3측부가 시일링된 피시험 포장용재료에 부은 후에 포장용 재료의 열린쪽을 히트시일링하였다. 이 포장용 재료에 담은 순수를 37℃로 7일간 저장하였다. 그런후에 8명의 파넬원에 의해서 맛 평가를 위하여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 : 아무런 맛 변화를 느끼지 않는다.
× : 맛의 변화를 느낀다.
[비교예 15]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시료를 사용하여 리모넨잔사 퍼센트와 순수의 맛을 실시예 1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비교예 16]
20μm의 폴리에스테르수지(M-201P, 미쓰이세끼유가가꾸고오교(주)사에서 입수가능).
9μm의 알루미늄포일, 15μm의 EMAA(뉴크렐 NO 908C, 미쓰이세끼유가가꾸(주)사에서 구입가능) 및 25μm의 폴리에스테르수지(M-201P, 미쓰이세끼유가가꾸(주)사에서 구입가능)을 상기 순서로 평량(basis weight) 200g/m2를 갖는 기층 종이쪽에 적층시켜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료를 사용하여 리모넨잔사 퍼센트와 순수의 맛을 실시예 1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표 4]
[실시예 13]
기층종이(200g/m2)의 외측에 5μm의 폴리에틸렌수지(M-18P, 미쓰이세끼유가가꾸고오교(주)사에서 구입가능)를 적층하고 내측에 20μm의 폴리에틸렌수지(M-l8P, 미쓰이세끼유가가꾸고오교(주)사에서 구입가능)와 7μm의 알루미늄포일을 상기 순서대로 적층하여 된 기재위에 l5μm의 PT-36과 10μm의 접착성 폴리에틸렌수지(ADMER, 미쓰이세끼유가가꾸고오교(주)사에서 입수가능)를 15μm의 EMAA(뉴크렐 NO908C, 미쓰이세끼유가가꾸고오교(주)사에서 구입가능)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수지필름이 기재의 내면을 향하도록 적층하여 포장용 적층재료를 제조하였다.
위에서 얻은 적층재료의 양단 내측을 히트시일링하여 튜브를 제조하였다.
이 튜브를 80℃의 35%과산화수소용액중에 30분간 침지시킨 후 70℃의 따뜻한 공기로 건조하였다. 그런후에 이 튜브에 물을 채우고나서 튜브의 알루미늄 포일을 고주파 유전가열법에 의해서 가열하여 튜브의 횡방향으로 시일링하였다.
이 공정에서 고주파 출력을 변화시켰다.
용기의 횡방향으로 시일링된 부분의 인장강도를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제 4 도에 나타냈다.
[비교예 17]
PT-36대신에 PET-G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의 공정과 같이 수행하여 적층재료를 제조하였다.
위에서 제조된 적층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용기를 제조하였다.
용기의 횡방향으로 시일링된 부분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었다. 측정결과를 제 4 도에 나타냈다.
[비교예 18]
PT-36대신에 LDPE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의 공정과 같이 수행하여 적층재료를 제조하였다. 위에서 제조된 적층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용기를 제조하였다. 용기의 횡방향으로시일링된 부분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제 4 도에 나타냈다.

Claims (4)

  1. 종이기재와 적어도 최대면측에 설비된 폴리에스테르수지층으로 된 포장용 적층 재료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수지가 [A] 디카본산 단위 100몰%를 기준으로 방향족 디카본산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 80∼95몰%와 지방족 디카보산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 20∼5몰%로 된 디카본산 단위 및 [B] 디하이드록시화합물 단위 100몰%를 기준으로 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 55∼90몰%와 다음 (1)∼(3)식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 45∼10몰%로 된 디하이드록시 단위로 된 것인 포장용 적층재료.
    [식중, R1및 R2는 수소 또는 탄소원자 1∼20의 알킬기, n는 1∼10의 정수, m는 1∼10의 정수임].
  2. 종이기재와 적어도 최대면측에 설비된 폴리에스테르수지층을 포함하는 포장용 적층재료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수지가 [A'] 디카본산 단위 100몰%를 기준으로 테레프탈산으로부터 구성단위가 80∼95몰%, 아디핀산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가 20∼5몰%로 된 디카본산 단위 ; 및 [B']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단위 100몰%를 기준으로 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가 55∼90몰%, 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부터유도된 구성단위 45∼10몰%로 된 디하이드록시화합물 단위로 된 것인 포장용 적층재료.
  3. 제 2 항에 있어서, 130℃의 히트시일링온도에서 JIS Z1707에 준하여 측정한 폴리에스테르수지층의 히트시일링강도가 2.0kgf/15mm 이상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수지층을 80℃의 35%과 산화수소 용액중에 30초간 침지시킨 후에 과산화수소용액을 닦아내고 70℃의 공기를 30분간 불어서 건조시킨 후에 측정한 경우에 폴리에스테르수지층의 히트시일링강도가 1.0kgf/15mm 이상인 포장용 적층재료.
  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수지가 디카본산 단위와 디하이드록시화합물 단위에 더하여 [C] 디카본산 단위와 디하이드록시화합물 단위와의 전제량 100몰%를 기준으로 3가 이상의 폴리카본산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 및/ 또는 3가 이상의 폴리 하이드록시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구성단위인 다관능성 화합물단위를 0.01∼2몰% 더 포함하는 포장용 적층재료.
KR1019920702957A 1991-04-04 1992-04-03 포장용 적층재료 KR950012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71892 1991-04-04
JP03071892A JP3077769B2 (ja) 1991-04-04 1991-04-04 包装用積層材
PCT/JP1992/000417 WO1992017334A1 (fr) 1991-04-04 1992-04-03 Materiau stratifie pour conditionn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1294A KR930701294A (ko) 1993-06-11
KR950012793B1 true KR950012793B1 (ko) 1995-10-21

Family

ID=1347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2957A KR950012793B1 (ko) 1991-04-04 1992-04-03 포장용 적층재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27622A (ko)
EP (1) EP0532766B1 (ko)
JP (1) JP3077769B2 (ko)
KR (1) KR950012793B1 (ko)
CA (1) CA2080243C (ko)
DE (1) DE69207128T2 (ko)
HK (1) HK184796A (ko)
WO (1) WO1992017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40953A (fi) * 1994-02-28 1995-08-29 Neste Oy Polymeerikalvot ja menetelmä niiden valmistamiseksi
FI96933C (fi) * 1994-02-28 1996-09-25 Optatech Oy Monikerroksiset polymeerikalvot ja menetelmä niiden valmistamiseksi
SE504524C2 (sv) * 1995-07-03 1997-02-2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örpackningslaminat som kan värmebehandlas i fuktig atmosfär
SE0003245L (sv) * 2000-09-13 2002-03-1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örpackningslaminat för en autoklaverbar förpackningsbehållare
SE522090C2 (sv) * 2000-10-03 2004-01-1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örpackningslaminat för en autoklaverbar förpackningsbehållare samt förpackningsbehållare framställd av laminatet
BR0115879A (pt) * 2000-11-21 2005-02-01 Ici Plc Catalisador de esterificação, processo de poliéster e artigo de poliéster
US6743492B2 (en) 2001-08-01 2004-06-01 Sonoco Development, Inc. Laminate for coffee packaging with energy cured coating
SE0103507L (sv) * 2001-10-22 2003-04-2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örpackningslaminat för en autoklaverbar förpackningsbehållare
CN1281406C (zh) 2002-02-01 2006-10-25 国际纸业公司 用于泡罩包装的纸板基材
US7270876B2 (en) * 2002-11-27 2007-09-18 International Paper Company Enhanced adhes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to paperboard
GB0228267D0 (en) 2002-12-04 2003-01-08 Johnson Matthey Plc Catalyst and process
US6952959B2 (en) * 2003-06-20 2005-10-11 Kazuo Hishinuma Method of designing a heat seal width
JP4983039B2 (ja) * 2006-02-17 2012-07-25 三菱化学株式会社 基材紙ラミネート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を用いた積層物
EP2470363A4 (en) * 2009-10-02 2013-02-27 Toray Plastics America Inc BIODEGRADABLE COMPOSITE BARRIER FILM
EP3302974B1 (en) 2015-06-08 2020-01-01 Bemis Company, Inc. Multilayered sheet
JP7169855B2 (ja) * 2018-11-19 2022-11-11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包材用シート、容器用蓋材および包装体
JP2020082415A (ja) * 2018-11-19 2020-06-04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包材用シート、容器用蓋材および包装体
JP7290203B2 (ja) * 2021-07-08 2023-06-13 Dic株式会社 積層体及び包装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2041A (en) * 1960-05-13 1965-05-04 Minnesota Mining & Mfg Polyester and method of making same
GB1119804A (en) * 1964-10-09 1968-07-10 Rohm & Haas Poly(hexamethylene terephthalates)
US4006112A (en) * 1974-10-04 1977-02-01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Starch/polyester based on trimellitic acid compound
US4122073A (en) * 1977-08-01 1978-10-24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copolyesters prepar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 substituted succinic acid or anhydride, a glycol and a polymeric polyol and the use thereof in adhesives
US4140729A (en) * 1978-01-03 1979-02-20 Mobil Oil Corporation Linear polyester coil coating composition
JPS5959435A (ja) * 1982-09-30 1984-04-05 藤森工業株式会社 複合包装材料
US4481352A (en) * 1983-06-30 1984-11-06 Eastman Kodak Company Polyester waxes based on mixed aliphatic dibasic acids
JPH082950B2 (ja) * 1985-05-31 1996-01-17 株式会社クラレ 共重合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2276637A (ja) * 1989-04-19 1990-11-13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多層包装材料
JP2730197B2 (ja) * 1989-07-14 1998-03-25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易ヒートシール性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201319B (ko) * 1989-09-29 1993-03-01 Showa Denko K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07128T2 (de) 1996-05-15
EP0532766B1 (en) 1995-12-27
CA2080243C (en) 2000-09-26
WO1992017334A1 (fr) 1992-10-15
US5527622A (en) 1996-06-18
EP0532766A1 (en) 1993-03-24
DE69207128D1 (de) 1996-02-08
JPH05305699A (ja) 1993-11-19
KR930701294A (ko) 1993-06-11
CA2080243A1 (en) 1992-10-05
JP3077769B2 (ja) 2000-08-14
EP0532766A4 (en) 1993-04-14
HK184796A (en) 199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793B1 (ko) 포장용 적층재료
JP5437801B2 (ja)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US3013914A (en) Terephthalic acid copolyester compositions
EP1521793B1 (en) Liquid crystalline polymers,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US7820756B2 (en) Polymeric composition suitable for manufacturing heat sealable films or sheets
JP2004530000A (ja) 低温ヒートシール可能な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487947A (en) Water soluble composite film
JP2005104140A (ja) 包装用フィルム
JP7439492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選定方法、積層体の製造方法、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
JP3467044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177317A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内袋
JPH07196899A (ja) ラミネート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積層体
JPH0397557A (ja) 包装材料用ポリエステル積層体
JPH06126917A (ja) ポリエステル積層体
JPH06322085A (ja) シーラント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
JP3449820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食品用フイルム
JPH06322083A (ja) シーラント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
JP2899323B2 (ja) ヒートシール性包装材料の製造方法
JP2003020330A (ja) ポリエステル樹脂
JP4330766B2 (ja) 金属板貼合せ成形加工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S5914948A (ja) フイルム状積層体
JPH10231413A (ja) 金属板貼合わせ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6171047A (ja) ポリエステル積層体
JPS61255856A (ja) 複合包装材料
JP2642168B2 (ja) ガスバリヤー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