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157B1 - 급탕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급탕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157B1
KR950012157B1 KR1019910010662A KR910010662A KR950012157B1 KR 950012157 B1 KR950012157 B1 KR 950012157B1 KR 1019910010662 A KR1019910010662 A KR 1019910010662A KR 910010662 A KR910010662 A KR 910010662A KR 950012157 B1 KR950012157 B1 KR 950012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d
remote controller
temperature setting
temperature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791A (ko
Inventor
다카후미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최창선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For Bath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탕기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온수채움기능을 갖춘 가스급탕기의 제어장치에 의한 목욕물리모콘에 관한 제어목표치의 처리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2도는 본 실시예의 온수채움기능을 갖춘 가스급탕기의 구성도.
제3도는 본 실시예의 온수채움기능을 갖춘 가스급탕기에 있어서의 제어장치와 리모콘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4도는 제어장치 및 리모콘에 의한 통신신호의 상대관계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제5도는 제어장치의 통신이상제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6도는 제어장치의 통신제어에 관한 작동설명을 위한 타임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수채움기능을 갖춘 가스급탕기(급탕기)
3 : 버너(가열수단) 10 : 열교환기
11 : 수관로(수회로) 14 : 유량센서(통수검지수단)
30 : 제어장치(급탕기의 제어장치)
33 : 마이크로컴퓨터(가열량결정수단,전송판별수단,온도기억수단)
41 : 목욕물리모콘(리모콘) 42 : 메인리모콘(리모콘)
SG1 : 통신신호(우선측 리모콘으로부터의 온도설정신호가 바르게 전송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
SG2 : 통신신호(우선측 리모콘에서 송신하는 온도설정신호)
SG3 : 통신신호(우선측이 아닌 리모콘에서 송신하는 온도설정신호)
본 발명은 급탕기에 있어서 급탕온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리모콘(조작기)으로부터의 설정온도에 관한 정보가 정확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정보판별기능을 갖춘 급탕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탕기 등에서는 급탕기 본체로부터 떨어진 옥실내라든지 부엌에서 급탕온도를 설정하거나 욕조로의 온수 채움운전을 지시하기 위하여 리모콘(조작기)이 구비되어 있다.
이런 리모콘에는 급탕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마이컴을 탑재한 것이 있으며, 리모콘으로 설정되는 정보가 제어장치에 보내짐과 동시에 제어장치의 제어에 수반하는 운전상태라든지 설정온도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신호가 제어장치로부터 각 리모콘에 보내진다.
이들의 제어장치와 리모콘사이의 통신에 이용되고 있는 신호로서는 마이컴을 탑재하고 있는 관계상 소정의 반송파에 의하여 AM 변조된 시리얼 비트의 디지탈신호가 이용되며, 예를 들어 제어장치로부터 리모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을 통하여 통신된다.
또한, 리모콘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에 리모콘이 정확히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 혹은 단자간이 단락되어 있는지 아닌지, 게다가 리모콘으로부터의 정보신호가 정확한 것인지, 아닌지 등을 제어장치측에서 자동적으로 판별하는 판별기능을 가지는 것이 있으며, 예를 들어 리모콘으로부터의 정보신호가 정확하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정확하지 않다고 판별된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는 이용하지 않고, 다른 리모콘에 의한 설정 온도, 혹은 리모콘이 1대인 경우에는 미리 결정된 고정탕온을 설정온도로 하여 가열수단의 제어가 행해지는 등 단자간의 상태에 따른 운전으로 자동적으로 절환하여 운전에 지장이 적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욕실내에서 온수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상 등의 우려가 없는 안전한 온도(예를 들면 38 내지 42℃)를 설정해 두는 경우가 많지만, 부엌에서 요리를 위해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가열을 작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고온(75 내지 80℃)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으며, 혹은 리모콘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고정탕온으로서의 설정온도는 욕조내의 탕수를 재가열하기 위한 재가열기능이 없는 경우를 상정해서 욕조내에 온수를 추가공급하는 것만으로 욕조내의 탕온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65 내지 75℃의 비교적 고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급탕운전중에 리모콘의 접속상태에 이상이 생겨서 신호가 바르게 전송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설정온도가 변경되어 버리게 되어, 예를 들면 욕실내에 샤워 등의 이유로 급탕온수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온수온도가 급격히 변화되고, 그 경우 변화된 유출온도가 욕실에서 설정한 급탕온도 보다 높은 온도로 변화되면 화상의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리모콘(조작기)에 의해 설정된 목표온도에 근거하여 가열수단을 제어하는 급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운전중에 리모콘으로부터 정보가 바르게 전송되지 않은 경우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급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수회로로부터 유출되는 탕수의 목표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설정기를 각각 갖춘 복수의 리모콘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리모콘중 어느 하나에 온도 설정의 우선절환스위치를 갖추며, 상기 복수의 리모콘으로부터 각각 송신되는 온도설정신호중에서 우선측리모콘의 온도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의 목표가열량을 결정하는 가열량결정수단과, 상기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상기 수회로내의 통수를 검지하는 통수검지수단을 갖추고서, 상기 통수검지수단에 의해 통수가 검지되면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을 개시하고, 통수정지가 검지되면 가열을 정지하는 급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모콘은 송신된 상기 온도설정신호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신호를 상기 온도설정신호에 병합하여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가열량결정수단의 결정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량결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각각 바르게 전송되었는지 아닌지를 상기 판별신호에 근거하여 판별하는 전송판별수단과, 상기 전송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우선측 리모콘에서 송신하는 상기 온도설정신호가 바르게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설정신호를 기억하고, 바르게 전송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비작동시에는 우선측이 아닌 리모콘에서 송신하는 온도설정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시에는 이전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우선측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온도설정신호를 계속해서 기억하는 온도기억수단과, 상기 우선측 리모콘으로부터의 온도설정신호가 바르게 전송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복수의 리모콘에 송신하는 신호송신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우선측 리모콘에서 온도설정신호가 바르게 송신되지 않으면 상기 우선측이 아닌 리모콘에서 송신하는 온도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목표가열량을 결정하는 것을 기술적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리모콘중에서 우선측 리모콘의 온도설정신호가 바르게 전송되는 경우에는 우선측 리모콘의 설정온도가 기억된다. 통수가 검지되면 우선측 리모콘의 설정온도를 기초로 하는 목표가열량으로 가열수단의 가열이 개시되고, 우선측 리모콘으로부터의 온도설정신호의 전송상태가 정상인 동안에는 우선측 리모콘의 설정온도로 그대로 가열이 계속된다.
가열수단에 의한 가열중에 우선측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온도설정신호가 바르게 전송되지 않으면 이전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온도는 그대로 계속해서 기억되어 가열수단의 가열량은 변화되지 않게 되며 동일한 출탕온도의 탕수가 얻어진다. 이때, 우선측이 아닌 리모콘의 온도설정신호는 우선측 리모콘에서 설정된 온도로 변경되고, 또한 우선측 리모콘으로부터의 온도설정신호가 바르게 전송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각 리모콘으로 송신된다.
우선측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온도설정신호가 바르게 전송되지 않는 상태에서 행해진 급탕이 종료되고 통수가 검지되지 않게 되면 우선측이 아닌 다른 리모콘의 설정온도가 새롭게 기억된다.
우선측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온도설정신호가 바르게 전송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수가 검지되면 우선측이 아닌 리모콘의 설정온도로 가열수단의 가열이 개시되고, 그에 따라 우선측이 아닌 리모콘에서 임의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측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온도설정신호가 정상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그 리모콘의 설정온도로 가열이 행해진다.
우선측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급탕중에 바르게 전송되지 않게 된 경우에는 그때의 설정온도 그대로 급탕이 계속되고, 급탕이 종료된 후에도 그 설정온도가 유지된다.
이 결과, 리모콘과의 접속상태에 이상이 생겨도 출탕온도가 급격히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된다.
우선측 리모콘으로부터 온도설정신호가 바르게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우선측이 아닌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온도설정신호에 기초해서 가열수단의 가열량이 정해지기 때문에 우선측 리모콘과의 접속이상 등이 생겨도 다른 리모콘에 의해 임의의 온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급탕기 제어장치를 제2도에 나타낸 온수채움기능을 갖춘 가스급탕기(1)에서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온수채움기능을 갖춘 가스급탕기(1)는 도시하지 않은 급탕전(給湯栓)을 구비한 몇 개의 급탕구에 대한 급탕과 욕조(B)로서 자동온수채움을 행하는 것으로, 제어장치(3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30)는 목욕물리모콘(41)과 메인리모콘(42)과의 사이에서 상호 통신을 수행하여 각 리모콘의 조작에 따라 급탕운전, 온수채움운전 및 온수의 온도차를 유지하기 위한 고온온수유지운전을 행한다.
제어장치(30)는 상기한 각각의 운전에 있어서 각 리모콘에 의하여 설정된 급탕온도 및 수관로(11)에 설치된 서미스터(12,13)라든지 유량센서(14)의 검지신호에 근거하여 필요 가열량을 결정하고, 그 가열량에 근거하여 버너(3)에 대한 연료공급량을 제어한다.
급탕운전은 급탕전을 개방하여 통수를 시작하고 유량센서(14)에 의하여 통수검지유량 2.6ℓ/분 이상이 된 것이 검지되면 소정의 순서에 따라 점화제어를 개시하고, 우선측 리모콘에 의하여 설정되는 급탕설정온도를 온도조절제어에 있어서의 목표온도로서 독취하며, 각 서미스터(12,13)에 의한 검지온도 및 유량센서(14)에 의한 검지유량에 근거하여 온도조절제어를 행한다.
온도조절제어에서는 상술한 목표온도, 서미스터(12)의 검지온도 및 유량센서(14)에 의한 검지유량으로부터 피이드포워드(feed forward)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서미스터(13)에 의한 검지온도가 소정조건에 달한 때에 다시 서미스터(13)의 검지온도에 근거하여 피이드백(feed back)제어를 행한다.
그후, 급탕전이 폐쇄되어 유량센서(14)의 검지유량이 동수정지유량 1.9ℓ/분 이하로 되면 통수정지로 검지하여 소정의 소화제어를 행하게 된다.
또한, 온수채움운전 및 고온온수유지운전은 목욕물리모콘(41)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행하여지며, 이들의 운전은 급탕운전이 행해지지 않는 것이 유량센서(14)에 의하여 검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행해진다.
또한, 온수채움운전 혹은 고온온수유지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바이패스밸브(15)가 개방되어지고, 이들의 운전중에 급탕이 행해지면 수류스위치(16)에 의하여 검지되어, 소정의 순서에 따라 온수채움전자밸브(17)가 폐쇄되고 온수채움운전 혹은 고온온수유지운전이 중단되어 급탕운전으로 변경되며, 급탕운전이 종료한 것이 유량센서(14)에 의하여 검지되면 각 운전이 재개된다.
또한, 제2도에 있어서 (4)는 버너(3)로의 연료공급로, (5)는 버너(3)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 (10)은 버너(3)에 의해 가열되는 열교환기, (18)은 수관로(11)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서보이다.
이하, 제어장치(30)와 각 리모콘과의 관계에 대하여 제3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각 리모콘(41,42)은 2심(芯)의 접속선(31,32)에 의하여 제어장치(30)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30)에는 상기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마이컴; 33)와 온수채움기능을 갖춘 가스급탕기(1; 제1도 참조)의 각 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34)를 중심으로 하여 각 리모콘(41,42)과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변복조회로(35)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리모콘(41,42)과의 사이에서 운전목표를 포함하는 운전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접속선(31,32)이 각 리모콘으로의 전력공급선을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선(31,32)으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회로(3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각 회로에 대하여 전력공급을 행하기 위한 전원회로(37)는 전원플러그가 도시하지 않은 콘센트에 접속되면, 각각의 회로에 대하여 소정의 전압을 공급한다.
마이컴(33)은 전원회로(37)의 작동에 맞추어 기동하면, 1.5s(초)후에 스위칭회로(36)를 제어하여 접속선(31,32)을 통하여 각 리모콘(42,42)에 대하여 전력공급을 개시한다.
여기서는 각 리모콘의 작동용 전력으로서 직류 12V가 공급된다.
이 전력공급후, 다시 1.0s후에는 변복조회로(35)에서 소정의 반송파로 변조된 통신신호 SGI이 제어장치(30)로부터 각 리모콘에 대하여 송신된다.
통신신호 제어장치(30)로부터 각 리모콘에 대하여 송신되는 경우와, 각 리모콘으로부터 제어장치(30)에 대하여 송신되는 경우의 2가지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는 어느 경우에도 신호발신원, 급탕온도, 온수채움온도, 온수채움량, 운전모드, 리모콘의 표시용 데이터, 그 외의 패리티 검사용 데이터 등을 소정의 순서로 배열해서 30ms의 시리얼 비트의 디지탈 신호로 패킷화된 통신신호가 이용되며, 접속된(31,32)에 있어서는 400KHz의 반송파에 의하여 상술한 직류 12V의 전압에 중첩되어 각각 전송된다.
각 리모콘에는 급탕운전을 행하기 위한 운전스위치와, 급탕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스위치, 운전상태, 설정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가 설치되며, 게다가 목욕물리모콘(41)에는 온수채움운전 혹은 고온 온수유지운전을 행하기 위한 운전스위치와, 온수채움온도, 온수채움수량, 온수채움시간 등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스위치 및 메인리모콘(42)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우선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리모콘에는 각각 마이크로컴퓨터(41a, 42a)가 탑재되고, 상기의 각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운전정보를 통신신호 SG2, SG3으로 변환하여 제어장치(30)에 송신함과 동시에 운전정보의 표시제어를 행한다.
제어장치(30) 및 각 리모콘에 의한 통신신호 SG2, SG3 송신은 제어장치(30)로부터의 통신신호 SG1의 송신이 있으면, 그것에 호응하는 형태로 목욕물리모콘(41) 및 메인리모콘(42)의 순으로 각각 소정시간후에 각각의 통신신호 SG2, SG3가 송신된다.
여기서는, 제어장치(30) 및 각 리모콘이 정상동작을 하고 있는 경우이면, 제4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30)에 의한 통신신호 SG1의 송신이 개시되고 나사 40ms 후에는 목욕물리모콘(41)에 의한 통신신호 SG2가, 마찬가지로 80ms 후에는 메인리모콘(42)에 의한 통신신호 SG3가 각각 송신된다.
즉, 목욕물리모콘(41)에서는 제어장치(30)로부터의 통신신호 SG1이 수신되면 통신신호 SG1이 각 데이터를 바른상태로 전송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바른상태로 전송되고 있다고 판별되면 통신신호 SG1의 각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를 나타냄과 동시에, 통신신호 SG1의 송신이 개시되고 나사 40ms 후에 각 조작 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른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신호 SG2를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메인리모콘(42)에 있어서도 통신신호 SG1이 바른상태로 전송된 것이 판별된 경우에 그 표시를 나타냄과 동시에, 통신신호 SG1의 송신이 개시되고 나서 80ms 후에 각 조작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른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신호 SG3을 송신한다. 각 리모콘(41,42)에 있어서, 통신신호 SG1이 바른상태로 전송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때 수신된 통신신호 SG1의 각 데이터를 무시하여 전회(前回)수신된 각 데이터에 근거한 표시만을 계속하게 될 뿐이고 통신신호 SG2, SG3는 송신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장치(30)의 통신신호 SG1에는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이 결과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선(31,32)에는 통신신호 SG1만이 중첩되고 40ms후 혹은 80ms후의 통신신호 SG2, SG3은 중첩되지 않는다.
또한, 각 통신신호 SG1, SG2, SG3의 계속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30ms이고, 제어장치(30)에 의한 통신신호 SG1의 반복주기 T는 0.2s로 설정되어, 통신신호 SG2, SG3의 유무에 관계없이 접속선(31,32)으로의 전력공급시에는 항상 송신된다.
제어장치(30)는 통신신호 SG1에 응답하여 각 리모콘(41,42)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신신호 SG2, SG3을 수신하면 각 리모콘과 마찬가지로 각 통신신호 SG2, SG3가 모두 바른상태로 전송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은, 데이터로서 조합된 패리티(parity)가 정상인지, 아닌지, 조작상태 혹은 운전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에 관계없이 연속으로 고정된 디지탈 신호로서의 「1」,「0」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통신신호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되는지 아닌지, 제어장치(30)로부터의 통신신호 SG1이 송신되고 나서 제한시간내에 각 통신신호 SG2, SG3가 수신되었는지 아닌지 등에 근거하여 행하여진다.
따라서, 각 리모콘으로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제어장치(30)가 각 리모콘으로부터의 통신신호 SG2, SG3를 수신하고 나서 제어장치(30)에서 제어목표치라든지 운전상태의 변경이 이루어지고, 변경후의 데이터가 다시 각 리모콘에 전송되어 새로운 설정치 등의 제어목표치 및 운전상태가 표시되지만, 이 처리가 종료하기 까지에 걸리는 시간은 제어장치(30)의 경우 통신신호 SG1의 반복주기로서 설정된 200ms로서 매우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각 리모콘으로 설정 변경등의 조작을 하면 그에 따라서 즉시 각 리모콘의 표시내용이 변경되어 새로운 운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판별에 근거하여 행해지는 제어장치(30)에 의한 제어목표치의 처리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제1도를 참조하여 목욕물리모콘(41)에 대하여 설명하고, 메인리모콘(42)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의 판별의 결과, 통신신호 SG2가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1에 있어서 아니오) 통신이상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리세트하고, 목욕물리모콘(41)의 우선 스위치가 조작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우선스위치가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2에 있어서 예) 목욕물리모콘(41)의 통신신호 SG2에 의한 각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어목표치를 갱신하여 기억하고(스텝 3), 결정된 제어목표치를 각 리모콘의 표시용 데이터로서 기록하며 다음의 통신신호 SG1을 송신한다. 우선스위치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2에 있어서 아니오) 목욕물리모콘(41)에 관한 처리제어를 종료하고, 메인리모콘(42)에 관한 제어목표치의 처리제어를 행한다(스텝 10).
스텝 1의 판별에 있어서, 통신이상인 경우에는(예), 목욕물리모콘(41)에 관하여 통신이상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트하고, 통신이상이 연속 16회 이상이 되면(스텝 4에 있어서 예) 목욕물리모콘(41)이 우선사용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우선사용하여 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스텝5에 있어서 아니오) 메인리모콘(42)의 조작에 따라 운전되고 있는 경우이므로 목욕물리모콘(41)에 관한 처리제어를 종료하고 스텝 10으로 이행한다.
스텝 5에 있어서, 목욕물리모콘(41)이 우선사용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 운전중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운전중인 경우에는(스텝 6에서 예) 욕실내에서 급탕을 행하고 있어 버너(3)는 연소중이다.
이때, 목욕물리모콘(41)의 우선사용이 해제되고 메인리모콘(42)의 우선사용으로 변경되지만, 예를 들어 온도조절제어에 있어서의 목표온도가 고온측으로 변화하면 매우 위험하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메인리모콘(42)의 통신제어에 있어서의 제어목표치를 기억되어 있는 제어목표치로 변경한다(스텝 7).
스텝 6에 있어서, 운전중이 아니면(아니오), 리모콘의 우선권을 메인리모콘(42)으로 변경해서(스텝 8) 메인리모콘(42)에 관한 처리제어로 이행하다(스텝 10).
스텝 10에 있어서의 메인리모콘(42)에 관한 제어목표치의 처리제어에 대해서도 목욕물리모콘(41)과 거의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각 통신신호 SG2, SG3이 함께 바른상태로 전송되지 않고, 동시에 통신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의 통신이상 제어처리에 대해서 제5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목욕물리모콘(41) 및 메인리모콘(42)의 각 통신제어에 있어서, 통신이상을 나타내는 플래그중 어느 한쪽만이 세트된 반면 다른쪽은 리세트된 경우 혹은 양쪽의 플래그가 모두 리세트된 경우는(스텝 11에서 아니오)우선 사용되고 있는 리모콘의 각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어목표치의 갱신을 행하고(스텝 12) 후술하는 10분 타이머를 클리어한다(스텝 13).
역으로, 통신이상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모두 세트된 경우에는(스텝 11에서 예) 각 리모콘으로부터의 통신신호의 데이터가 제어장치(30)에 전송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후술하는 전력공급재개 후의 경과시간을 계시(計時)하는 10분 타이머가 작동중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10분 타이머가 작동중인 경우에는(스텝 14에서 예) 후술하는 스텝(16)에 있어서의 전력공급정지를 일단 행한 후에 전력공급을 재개하고 나서 10분 이내인 것을 나타내고, 이 전력공급재개 후의 10분간에는 통신이상이 반복판별되어도 전력공급정지를 행하지 않도록 한다.
10분 타이머가 계시를 개시하고 있지 않아 부작동인 경우에는 (스텝 14에서 아니오) 스텝 11에 있어서의 통신이상의 판별결과가 외부잡음 등과 같은 어떠한 영향에 의해 가끔 바른상태로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라고 판단되기 때문에 그때의 통신신호를 무시하고 제어목표치의 변경 등은 행해지지 않으며, 통신이상의 회수가 연속 16회에 달하지 않은 경우이면(스텝 15에 있어서 아니오) 스텝 11로 이행하여 반복주기에 따라 송신되는 다음의 통신신호 SG1에 호응하는 통신신호의 수신을 기다린다.
이때, 외부잡음 등에 의한 통신이상의 경우이면 통신이상이 16회에 달하기전의 수회의 수신동안에 정상적인 수신이 가능하다.
스텝 14에 있어서, 10분 타이머가 타임업하여 부작동인 경우에는 상기의 전력공급정지의 급지가 해제된 상태이므로 스텝 15로 이행한다.
한편, 리모콘으로부터의 통신신호가 몇회에 걸쳐서도 통신이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리모콘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든지 리모콘이 오동작하고 있어 정상동작으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라고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때, 예를 들어 한쪽의 리모콘이 실제로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은 리모콘에 관한 통신신호는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그 리모콘에 관해서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여 접속되어 있는 다른쪽의 리모콘의 통신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를 행한다.
각 리모콘의 접속불량 혹은 각 리모콘의 오동작에 의하여 각 리모콘으로부터의 통신신호를 모두 완전히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는 제어장치(30)에서는 연속하여 통신이사응로 판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때, 리모콘이 접속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신이상이면 리모콘의 마이크로컴퓨터가 오동작으로부터 이탈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통신이상의 회수가 연속 16회에 달한 경우에는(스텝 15에 있어서 예) 각 리모콘의 마이크로컴퓨터를 정상동작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일단 스위칭회로(36)를 개방하여 각 리모콘에 대하여 15초간의 전력공급정지를 행한다(스텝 16).
이 15초간은 각 리모콘에 설치된 백업용의 콘덴서가 충분히 방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으로서, 백업용의 콘덴서의 용량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또한, 이 스텝 16에 있어서의 전력공급정지중에는 제어장치(30)로부터의 통신신호 SG1의 송신도 정지된다.
전력공급정지가 15초간 행해진 후에는 전력공급을 재개하고(스텝 17), 일단 전력공급정지가 행해진 후의 전력공급재개 후 10분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개시하고(스텝 18) 스텝 11로 이행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온수채움기능을 갖춘 급탕기(1)에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플러그가 꽂혀 제어장치(30)의 전원회로(37)가 작동개시되고 마이크로컴퓨터(33)가 기동하면 1.5초 후에 스위칭회로(36)에 의하여 접속선(31,32)을 매개로 각 리모콘에 전력공급이 개시되고, 그 1.0초 후에 제어장치(30)로부터는 200ms간격으로 통신신호 SG1의 송신이 개시된다.
각 리모콘이 정상동작을 하고 있으면 통신신호 SG1의 송신이 개시되고 나서 40ms후와 80ms후에 목욕물리모콘(41) 및 메인리모콘(42)으로부터 통신신호 SG1에 호응한 통신신호 SG2, SG3가 각각 송신된다.
각 리모콘이 어떠한 이유로 정상동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장치(30)에서는 통신신호 SG2, SG3을 바른상태로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통신이상이라고 판별하고, 통신신호 SG2와 통신신호 SG3에 관해서 동시에 통신이상상태가 16회 반복하여 판별되면 최초에 통신신호 SG1이 송신되고 나서 3.2초 후에 각 리모콘으로의 전력공급이 정지함과 동시에 통신신호 SG1도 송신되지 않게 된다.
15초간의 전력공급정지 후에 전력공급을 재개하면 장치의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각 리모콘의 마이컴은 리셋트되어 정상동작으로 복귀한다.
이 결과, 통신신호 SG1에 호응하여 통신신호 SG2, SG3가 각각 송신되며, 제어장치(30)에서는 각 통신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를 행한다.
한편, 설치공사를 행한 때에 각 리모콘이 접속불량이면 통신이상이 16회 이상 반복하여 판별되어 버리기 때문에 각 리모콘으로의 전력공급이 정지된다.
전력공급정지는 15초간이기 때문에 곧 전력공급이 재개되지만 접속불량의 경우에는 이 시간내에 접속불량을 회복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다시 통신이상이 반복판별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 전력공급정지를 행한 후에는 10분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전력공급정지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공사(工事)의 경우에 접속실수가 있어도 접속실수가 해소되는 즉시 정상동작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설치공사의 담당자는 접속체크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각 리모콘중에서의 한쪽이 통신이상이 된 경우에는 그 리모콘이 우선사용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면 다른쪽의 리모콘에 의한 제어목표치에 의하여 급탕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우선상태로 되어 있어도 급탕운전중으로 하지 않으면 우선사용의 권리를 다른쪽의 리모콘에 이행하게 되어 다른쪽의 리모콘에 근거하여 운전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통신이상이 발생한때 그 리모콘에 의한 급탕운전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우선사용의 권리를 다른쪽의 리모콘에 이행함과 동시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목표치에 근거하여 운전이 행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메인리모콘(42)에 대하여 우선 사용할 수 있는 목욕물리모콘(41)에 있어서, 설정한 목표온도로서 운전중에 어떤 원인으로 통신이상이 됐을 경우에는 기억된 설정온도(목표치)가 설정되며, 다른 설정온도로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출탕온도가 변화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리모콘에 탑재된 마이컴이 오동작하여도 제어장치로부터의 전력공급정지 및 전력공급재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정상동작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외부잡음 등에 의해 동작에 일시적인 영향을 받아도 신속하게 그 영향을 배제하여 정상동작을 행할 수 있어 급탕기의 운전에 지장이 없다. 또한, 급탕운전중에 통신이상이 되었어도 설정온도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샤워 등에서의 사용에 있어서 안전성이 확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수채움기능을 갖춘 가스급탕기에서의 실시예를 나타냈지만, 온수채움기능을 갖추지 않은 급탕기라든지 재가열용의 가열기를 구비한 급탕기라도 좋고, 연료로는 가스외에 석유라든지 전기를 이용하는 것도 좋다.

Claims (1)

  1.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되는 열교환기(10)를 포함하는 수회로(11)로부터 유출되는 탕수의 목표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설정기를 각각 갖춘 복수의 리모콘(41,42)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리모콘(41,42)중 어느 하나에 온도설정의 우선절환스위치를 갖추며, 상기 복수의 리모콘(41,42)으로부터 각각 송신되는 온도설정신호중에서 우선측 리모콘의 온도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의 목표가열량을 결정하는 가열량결정수단(33)과, 상기 열교환기(10)를 포함하는 상기 수회로(11)내의 통수를 검지하는 통수검지수단(14)을 갖추고서, 상기 통수검지수단(14)에 의해 통수가 검지되면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을 개시하고, 통수정지가 검지되면 가열을 정지하는 급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모콘(41,42)은 송신된 상기 온도설정신호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신호를 상기 온도설정신호에 병합하여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가열량결정수단(33)의 결정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량결정수단(33)은 상기 복수의 리모콘(41,42)으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각각 바르게 전송되었는지 아닌지를 상기 판별신호에 근거하여 판별하는 전송판별수단과, 상기 전송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따라 상기 우선측 리모콘에서 송신하는 상기 온도설정신호가 바르게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설정신호를 기억하고, 바르게 전송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비작동시에는 우선측이 아닌 리모콘에서 송신하는 온도설정신호를 기억하며,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시에는 이전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우선측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온도설정신호를 계속해서 기억하는 온도기억수단과, 상기 우선측 리모콘으로부터의 온도설정신호가 바르게 전송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복수의 리모콘(41,42)에 송신하는 신호송신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우선측 리모콘에서 온도설정신호가 바르게 송신되지 않으면 상기 우선측이 아닌 리모콘에서 송신하는 온도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목표가열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기의 제어장치.
KR1019910010662A 1990-08-28 1991-06-26 급탕기의 제어장치 KR950012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27626 1990-08-28
JP2227626A JPH04110563A (ja) 1990-08-28 1990-08-28 給湯器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791A KR920004791A (ko) 1992-03-28
KR950012157B1 true KR950012157B1 (ko) 1995-10-14

Family

ID=1686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662A KR950012157B1 (ko) 1990-08-28 1991-06-26 급탕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110563A (ko)
KR (1) KR950012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9166A (ja) * 2007-11-01 2009-05-21 Panasonic Corp 給湯機のリモコン制御装置
JP4874302B2 (ja) * 2008-07-14 2012-02-15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0132A (en) * 1980-09-30 1982-04-10 Yamatake Honeywell Co Ltd Controlling system for air conditioning
JPS62761A (ja) * 1985-06-25 1987-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湯装置
JPS62200129A (ja) * 1986-02-28 1987-09-03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791A (ko) 1992-03-28
JPH04110563A (ja) 199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137B2 (en) Combustion control device
US7020543B1 (en) Controller for fuel fired heating appliance
KR950012157B1 (ko) 급탕기의 제어장치
JP3911496B2 (ja) 燃焼装置の制御装置
KR940008201B1 (ko) 원격조작장치
JPH04341096A (ja) 機器の遠隔操作装置
JPH0456212B2 (ko)
JPH1089770A (ja) ガス給湯器
JP2773641B2 (ja) 給湯装置
JP6825266B2 (ja) 湯水混合装置
KR100411559B1 (ko) 개별 난방 제어 시스템
KR950012571B1 (ko) 연소제어장치
KR100357027B1 (ko) 보일러의 보조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551496B2 (ja) 貯湯式給湯装置
JPH085158A (ja) リモコン付き給湯装置
JPH11108441A (ja) 燃焼機器の異常診断装置
JP2001289502A (ja) 給湯装置
JPH11101508A (ja) 給湯装置の設定沸上げ処理装置
JPH08226707A (ja) 給湯装置
JPH0425460B2 (ko)
JPS63210553A (ja) 遠隔操作型給湯機の制御方法
JP2007218440A (ja) 電気温水器
JP2001012734A (ja) 燃焼機器または給湯加熱機器の制御装置
JP2001041567A (ja) ふろ釜付き給湯装置
JPH04302942A (ja) 浴槽用湯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