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201B1 - 원격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201B1
KR940008201B1 KR1019910010542A KR910010542A KR940008201B1 KR 940008201 B1 KR940008201 B1 KR 940008201B1 KR 1019910010542 A KR1019910010542 A KR 1019910010542A KR 910010542 A KR910010542 A KR 910010542A KR 940008201 B1 KR940008201 B1 KR 94000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t water
power supply
remo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046A (ko
Inventor
다카후미 스즈키
이쿠로 아다치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5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1/00Systems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system, e.g. tele-autographic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격조작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온수채움기능을 갖는 가스급탕기에 있어서 제어장치와 리모콘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2도는 본 실시예의 온수채움기능을 갖는 가스급탕기의 구성도.
제3도는 제어장치 및 리모콘에 의한 통신신호의 상대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도.
제4도는 제어장치의 통신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5도는 제어장치의 통신제어에 관한 작동설명을 위한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수채움기능을 갖는 가스급탕기(기기) 30 : 제어장치(제어장치 본체)
33 : 마이크로컴퓨터(신호검사수단) 41 : 목욕물 리모콘(조작기)
42 : 메인 리모콘(조작기) 41a, 42a : 마이크로컴퓨터(마이컴)
SG2 : 통신신호(정보신호) SG3 : 통신신호(정보신호)
본 발명은 기기의 운전상태를 기기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조작하는 원격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탕기 등에서는 급탕온도를 설정하거나 욕조로의 온수채움운전을 지시하기 위한 리모콘(조작기)으로서 급탕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마이컴을 탑재한 것이 있다.
이런 기기에서는 리모콘으로 설정되는 정보가 제어장치에 보내짐과 더불어 제어장치의 제어에 수반하는 운전상태와 설정온도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신호가 제어장치로부터 리모콘에 보내진다.
이들의 제어장치와 리모콘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는 신호로서는, 마이컴을 탑재하고 있는 관계상, 소정의 반송파에 의하여 AM 변조된 시리얼 비트의 디지탈 신호가 이용되며, 예를 들어 제어장치로부터 리모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을 통하여 통신된다.
그런데, AM 변조된 디지탈 신호에 의하여 통신하는 경우에 수신된 디지탈 신호에 외부잡음이 겹쳐지므로, 송신된 디지탈 신호와는 서로 다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리모콘의 마이컴이 외부잡음에 의하여 일단 오동작을 한 경우에는 이것을 리세트할 수 없으며, 예를 들어 반복해서 의미가 없는 정보 신호를 송신하거나 하면 제어장치에서는 올바른 제어목표치를 결정할 수 없거나 또는 온수채움운전 등의 각 지시를 부여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에 지장이 생기거나, 또는 리모콘이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해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모콘 등의 조작기에 탑재된 마이컴에 이상이 발생한 때에 마이컴을 신속하게 정상동작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본체와 상기 제어장치 본체에 접속된 조작기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기에 의하여 설정된 운전목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장치 본체가 조작기에 의해 일정 기간마다 반복해서 상기 송신되는 운전정보에 호응하여 각 조작기에 순차적으로 운전목표를 송신하는 원격조작장치에 있어서 ; 상기 조작기에는 상기 제어장치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마이컴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컴은 전력공급후에 변복조회로에서 변조ㆍ복조에 의해 상기 운전목표를 소정의 정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장치 본체로 반복 송신하고 ; 상기 제어장치 본체는 상기 정보신호가 바른 상태로 수신할 수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신호검사수단을 구비하고서, 상기 신호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정보신호가 순차적으로 운전 목표를 수신할 수 없는 회수가 소정회수를 넘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기로의 전력공급을 일단 정지하고, 그후 소정시간이 결과한 다음에 전력공급을 재개함과 더불어 계시타이머에 의해 정보신호의 송수신을 반복하여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수단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조작기로 설정된 운전목표는 소정의 정보신호로 변환되어 제어장치 본체에 송신되며, 제어장치 본체에서는 정보신호가 바르게 수신된 경우에는 그 운전목표에 근거하여 기기를 제어하고, 정보신호를 바르게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신호에 근거한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정보신호를 바르게 수신할 수 없는 경우의 하나로서는, 조작기의 마이컴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어도 외부잡음이 정보신호에 혼입되어 정보신호를 바르게 수신할 수 없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정보신호가 반복하여 송신되기 때문에 바르게 수신할 수 없게 되어도 정보신호가 그후 몇회 송신되어 오는 동안에 바르게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바르게 수신된 정보신호에 근거하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정보신호를 바르게 수신할 수 없는 그밖의 경우로서 조작기의 마이컴이 오동작하여 정상동작으로 복귀할 수 없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조작기의 마이컴으로부터 바른 정보신호가 송신되지 않거나 전혀 정보신호가 송신되지 않거나 한다.
이런 때, 제어장치 본체에서는 반복하여 송싱되어 오는 정보신호를 연속하여 바르게 수신할 수 없게 되며, 그 회수가 소정회수를 넘으면 제어장치 본체로부터 조작기로의 전력공급을 일단 정지하고, 그후 전력공급을 재개한다.
이 결과, 조작기의 마이컴은 전력공급의 정지에 수반하여 일단 작동을 정지하고, 전력공급이 재개되면 리셋트되어 다시 동작한다.
따라서, 조작기는 기동시에 정상적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커지고 오동작상태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원격조작장치를 제2도에 나타낸 온수채움기능을 갖는 가스급탕기(1)에 있어서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온수채움기능을 갖는 가스급탕기(1)는, 도시하지 않은 급탕전(給湯栓 ; 급탕개폐장치)을 구비한 몇개의 급탕구(給湯口)로의 급탕과 욕조(B)로의 자동온수채움을 행하는 것으로 제어장치(30)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제어장치(30)는 목욕물 리모콘(41)과 메인 리모콘(42)과의 사이에서 서로 통신하여, 각 리모콘의 조작에 따라서 급탕운전, 온수채움운전 및 고온상태를 유지하는 온수운전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30)는 각각의 운전에 있어서 각 리모콘(41,42)에 의하여 설정된 급탕온도 및 수관로(11)에 설치된 서미스터(12,13)와 유량센서(14)의 검지신호에 근거하여 필요한 가열량을 결정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버너(3)로의 연료공급량을 제어한다.
또, 온수채움운전 및 고온의 온수운전은 목욕물 리모콘(41)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행하여지며, 이들의 운전은 급탕운전이 행하여지지 않는 것이 유량센서(14)에 의하여 검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행해진다.
또한, 온수채움운전 또는 고온의 온수운전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에는 바이패스밸브(15)가 개방되어 있어 이들의 운전중에 급탕이 행해지면 수류(水流)스위치(16)에 의하여 검지되며, 소정의 순서로 온수채움전자밸브(17)가 폐쇄되어 온수채움운전 또는 고온의 온수운전이 중단되고 급탕운전으로 전환된다. 급탕운전이 종료한 것이 유량센서(14)에 의하여 검지되면 각 운전이 재개된다.
또, 제2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4는 버너(3)로의 연료공급로이고, 5는 버너(3)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이며, 10은 버너(3)에 의하여 가열되는 열교환기이고, 18은 수관로(11)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서보이다.
이하, 제어장치(30)은 각 리모콘(41,42)과의 관계에 대하여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리모콘(41,42)은 2개의 접속선(31,32)에 의하여 제어장치(30)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장치(30)에는 상기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마이컴 ; 33)와, 온수채움기능을 갖는 가스급탕기(1)의 각 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34)를 중심으로 하여 각 리모콘(41,42)과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변복조회로(35)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리모콘(41,42)과의 사이에서 운전목표를 포함하는 운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접속선(31,32)이 각 리모콘(41,42)으로의 전력공급선을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선(31,32)으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회로(3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각 회로에 대하여 전력공급을 행하기 위한 전원회로(37)는 전원플러그가 도시하지 않은 콘센트에 접속되면 각각의 회로에 대하여 소정의 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마이컴(33)은 전원회로(37)의 동작개시에 수반하여 기둥하면 1.5sec(초)후에 스위칭회로(36)을 제어하여 접속선(31,32)을 통하여 각 리모콘(41,42)에 대하여 전력공급을 개시한다.
여기서는 각 리모콘(41,42)의 작동용 전력으로서 직류 12V가 공급된다.
이러한 전력공급후 1.0sec후에는 변복조회로(35)에서 소정의 반송파(즉, 400KHz의 반송파)로 변조된 통신신호SG1이 제어장치(30)로 부터 각 리모콘(41,42)에 대하여 송신된다.
상기 통신신호는 제어장치(30)로부터 각 리모콘(41,42)에 대하여 송신되는 경우(SG1)와 각 리모콘(41,42)으로부터 제어장치(30)에 대하여 송신되는 경우(SG2,SG3)의 2가지 경우가 있지만, 여기서는 어느 경우에도 신호발신원, 급탕온도, 온수채움온도, 온수채움량, 운전모드, 리모콘의 표시용 데이터, 그외의 패리티(Parity) 검사용 데이터 등을 소정의 순서로 배열하여 30ms의 시리얼비트의 디지탈 신호로서 패킷화된 통신신호가 이용되며, 상기 접속선(31,32)에 있어서는 40KHz의 반송파에 의하여 전술한 직류 12V의 전압에 중첩되어 각각 반송된다.
각 리모콘(41,42)에는 급탕운전을 행하기 위한 운전스위치와, 급탕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스위치, 운전상태 및 설정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가 설치되며, 또한 목욕물 리모콘(41)에는 온수채움운전 또는 고온의 온수운전을 행하기 위한 운전스위치와 온수채움온도, 온수채움수량, 온수채움시간 등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스위치 및, 메인 리모콘(42)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우선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각 리모콘(41,42)에는 각각 마이컴(41a,42a)이 탑재되어, 상기의 각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운전정보를 통신신호 SG2 및 SG3으로 변환하여 제어장치(30)의 변복조회로(35)를 매개로 마이컴(33)으로 송신함과 더불어 운전정보의 표시제어를 행한다.
상기 제어장치(30) 및 각 리모콘(41,42)에 의한 통신신호 SG2 및 SG3의 송신은 제어장치(30)로부터의 통신신호 SG1의 송신이 있으면, 그에 호응하는 형태로 목욕물 리모콘(41) 및 리모콘(42)의 순으로 각각 소정시간후에 각각의 통신신호 SG2 및 SG3이 송신된다.
여기서는 상기 제어장치(30) 및 각 리모콘(41,42)이 정상동작을 하고 있는 경우이면, 제3도 (a)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어장치(30)에 의한 통신신호 SG1의 송신이 개시되고 나서 40ms후에 목욕물 리모콘(41)에 의한 통신신호 SG2가, 80ms후에 메인 리모콘(42)에 의한 통신신호 SG3이 송신된다. 여기서, 상기 패킷화된 통신신호 S1~S3의 배열은 제3도 (c)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고, 각 통신신호 S1~S3는 예컨대 제3도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42비트의 디지탈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즉, 목욕물 리모콘(41)에서는 제어장치(30)로부터의 통신신호 SG1이 수신되면 통신신호 SG1이 각 데이터를 바른 상태로 전송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마이컴(41a)에 의해 판별하고, 바른 상태로 전송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통신신호 SG1의 각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통신신호 SG1의 송신이 개시되고나서 40ms후에 각 조작 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른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신호 SG2를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메인 리모콘(42)에 있어서도 통신신호 SG1이 바른 상태로 전송된 것이 마이컴(41b)에 의해 판단된 경우에 그 표시를 행함과 더불어 통신신호 SG1의 송신이 개시되고 나서 80ms후에 각 조작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른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신호 SG3을 송신한다.
각 리모콘(41,42)에 있어서는, 통신신호 SG1이 바른 상태로 전송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41a,42a)의 제어에 의해 그때 수신된 통신신호 SG1의 각 데이터를 무시하고 전회 수신된 각 데이터에 근거한 표시를 계속할 뿐이고 통신신호 SG2 및 SG3은 송신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장치(30)의 통신신호 SG1 에는 응답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제3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선(31,32)에는 통신신호 SG1만이 중첩되어 40ms후 또는 80ms후의 통신신호 SG2 및 SG3은 중첩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각 통신신호 SG1,SG2,SG3의 계속시간은 전술한 대로 30ms이고, 제어장치(30)에 의한 통신신호 SG1의 반복주기 T는 0.2S이며 통신신호 SG2 및 SG3의 유무에 관계없이 접속선(31,32)으로의 전력공급시에는 항상 송신된다.
이하, 제어장치(30)에 의한 각 리모콘에 관한 통신제어에 대하여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장치(30)는 통신신호 SG1에 응답하여 각 리모콘(41,42)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신신호 SG2 및 SG3을 수신하면 각 리모콘과 마찬가지로 각 통신신호 SG2 및 SG3이 함께 바른 상태로 전송되었는가 아닌가를 마이컴(33)에 의해 판별한다.
이 판별은 데이터로서 넣어둔 패리티가 정상인가 아닌가, 조작상태 또는 운전상태에 따라서 변화하는 데이터에 관계없이 고정된 디지탈 신호로서의 「1」,「0」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각 통신신호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검출되는가 아닌가, 제어장치(30)로부터의 통신신호 SG1이 송신되고 나서 제한시간내에 각 통신신호 SG2 및 SG3이 수신되었는가 아닌가 등에 근거하여 행하여진다.
상기의 판단결과, 각 통신신호 SG2 및 SG3이 함께 이상없는 경우에는(스텝 S1에서 "아니오") 제어장치(30)의 마이컴(33)에서는 통신신호 SG2 및 SG3의 각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리고 목욕물 리모콘(41)의 우선스위치가 조작되고 있는 경우에는 목욕물 리모콘(41)의 각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리고 우선스위치가 조작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메인 리모콘(42)의 각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어목표치를 갱신한 다음에 상기 제어 목표치를 가스급탕기(1)의 각 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34)로 출력하고(스텝 S2), 또한 상기 갱신된 제어목표치를 각 리모콘(41,42)의 표시용 데이터로서 넣어 다음의 통신신호 SG1을 상기 리모콘(41,42)으로 송신한다.
따라서, 각 리모콘(41,42)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제어장치(30)가 각 리모콘(41,42)으로부터의 통신신호 SG2 및 SG3을 수신하고 나서 제어장치(30)에서 제어목표치와 운전상태를 변경하게 되고, 그 변경된 데이터가 다시 각 리모콘(41,42)에 전송되어 새로운 설정치등의 제어목표치 및 운전상태가 표시되지만, 이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제어장치(30)에 있어서 통신신호 SG1의 반복주기로 설정된 200ms로서 대단히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각 리모콘(41,42)으로 설정변경 등의 조작을 행하면 그것에 따라 즉시 각 리모콘(41,42)의 표시내용이 변경되어 새로운 운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텝 S2에서 제어목표치를 갱신한 후에는 후술하는 10분 타이머를 클리어한다.(스텝 S3)
한편, 상기 스텝 S1에서 각 통신신호 SG2 및 SG3이 바른 상태로 전송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 결과, 바른 상태가 아니고 통신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S1에서 "예")후술하는 전력공급 재개후의 경과시간을 계측하는 10분 타이머가 작동중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10분 타이머가 작동중인 경우에는(스텝 S4에서 "예") 후술하는 스텝 S6에 있어서 전력공급정지를 일단 행하고 그후의 전력공급을 재개하고 나서 10분이내인 것을 나타내고, 이 전력공급 재개후의 10분간에는 통신이상이 반복해서 판별되어도 전력공급정지를 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하의 스텝을 생략한다.
상기 10분 타이머가 시간계측을 개시하지 않아 부작동인 경우에는(스텝 S4에 있어서 "아니오") 스탭 S1에 있어서의 통신이상의 판별결과가 외부잡음 등의 어떤 영향으로 가끔 바른 상태로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그때의 통신신호를 무시하여 제어목표치의 변경 등은 행하여지지 않고 스탭 S5로 이행한다.
상기 스탭 S5에서 통신이상 회수가 연속 16회에 달하지 않은 경우이면(스탭 S5에 있어서 "아니오") 스탭 S1로 이행하여 반복주기에 따라서 송신되는 다음의 통신신호 SG1에 호응한 통신신호의 수신을 기다린다.
이때 외부잡음 등에 의한 통신이상의 경우라면 통신이상이 연속해서 16회에 달하기 전의 수회의 수신동안에 정상적인 수신을 할 수 있다.
상기 스탭 S4에 있어서, 10분 타이머가 타임업하여 부작동의 경우에는 상기의전원공급정지의 금지가 해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탭 S5에 이행한다.
한편, 리모콘(41,42)으로부터의 통신신호가 수회(즉, 16회이상)에 걸쳐서도 통신이상이라고 판별되는 경우에는 리모콘(41,42)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던지 리모콘(41,42)이 오동작을 하고 있어 정상동작으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한쪽의 리모콘(41 또는 42)이 실제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은 리모콘(41 또는 42)에 관한 통신신호는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그 리모콘(41 또는 42)의 통신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한다.
각 리모콘(41,42)의 접속불량 또는 각 리모콘(41,42)의 오동작에 의하여 각 리모콘(41,42)으로부터의 통신신호가 동시에 완전히 정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제어장치(30)에서는 연속하여 통신이상으로 판별된다.
이때, 리모콘(41,42)이 접속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통신이상이면 리모콘(41,42)의 마이컴(41a,42a)이 오동작하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이상의 회수가 연속하여 16회에 달한 경우에는(스탭 S5에 있어서 "예")각 리모콘(41,42)의 마이컴(41a,42a)을 정상동작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일단 스위칭회로(36)를 개방하여 각 리모콘(41,42)에 대하여 15초간의 전력공급정지를 행한다(스탭 S6).
이 15초간은 각 리모콘(41,42)에 설치된 백업용 콘덴서가 충분히 방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이며, 백업용 콘덴서의 용량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스탭 S6에 있어서의 전력공급정지시간 동안은 제어장치(30)로부터의 통신신호 SG1의 송신도 정지된다.
그후, 전력공급정지가 15초간 행하여진 후에는 전력공급을 재개하고(스탭 S7), 일단 전력공급정지가 행해진 후의 전력공급 재개후의 경과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에 의한 시간계측을 개시하고 (스탭 S8) 스탭 S1로 이행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온수채움기능을 갖는 가스급탕기(1)에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플러그가 꽂혀 제어장치(30)의 전원회로(37)가 동작을 개시하여 마이컴(33)이 기동하면 1.5초후에 스위칭회로(36)에 의하여 접속선(31,32)을 통하여 각 리모콘(41,42)으로의 전력공급이 개시되며, 그 1.0초후에 제어장치(30)부터는 200ms 간격으로 통신신호 SG1의 송신이 개시된다.
각 리모콘(41,42)이 정상동작을 하고 있으면 통신신호 SG1의 송신이 개시되고 나서 40ms후와 80ms후에 목욕물 리모콘(41) 및 메인 리모콘(42)으로부터 통신신호 SG1에 호응하는 통신신호 SG2 및 SG3이 각각 송신된다.
각 리모콘(41,42)이 어떠한 이유로 정상동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장치(30)에서는 통신신호 SG2 및 SG3이 바른 상태로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통신이상으로 판별하고, 통신신호 SG2와 통신신호 SG3에 관하여 동시에 통신이상 상태가 연속 16회 반복하여 판별되면 최초로 통신신호 SG1이 송신되고 나서 3.2초 후에 각 리모콘(41,42)으로의 전력공급이 정지함과 동시에 통신신호 SG1도 송신되지 않게 된다.
1.5초간의 전력공급정지후에 전력공급을 재개하면 하드웨어의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각 리모콘(41,42)의 마이컴(41a,42a)은 리셋트되어 정상동작으로 복귀한다.
이 결과, 통신신호 SG1에 호응하여 통신신호 SG2 및 SG3이 각각 송신되어 제어장치(30)에서는 각 통신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를 행하게 된다.
한편, 설치공사를 행한 때에 각 리모콘이 접속 불량이면 통신이상이 16회 이상 반복하여 판별되기 때문에 각 리모콘으로의 전력공급이 정지한다. 전력공급정지는 15초간이기 때문에 곧 전력공급이 개재되지만 접속불량의 경우에는 이 시간내에 접속불량을 회복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다시 통신이상이 반복하여 판별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 전력공급정지를 행한 후는 10분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전력공급정지가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공사에 있어서 접속미스가 있어도 접속미스가 해소되고 곧 정상동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공사의 담당자는 접속체크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중에 각 리모콘이 단독으로 통신이상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이상으로 판별된 리모콘이 아닌 다른 리모콘에 우선권을 이동시켜 그 리모콘의 조작에 따른 운전을 행한다.
단, 목욕물 리모콘(41)이 우선사용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미리 목욕물 리모콘(41)의 설정온도를 목표온도로서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으므로 욕실내에서의 온수가 사용될 가능성이 커지고, 불의에 유출온도가 변화하면 위험하기 때문에 목표온도에 관해서는 우선 목욕물 리모콘(41)에 의하여 설정된 급탕온도를 그대로 목표온도로서 메인 리모콘(42)에 이동하고 제어를 계속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리모콘에 탑재된 마이컴이 오동작하여도 제어장치로부터의 전력공급정지 및 전력공급재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정상동작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외부잡음 등에 의해 동작에 일시적인 영향을 받아도 신속하게 그 영향을 배제하여 정상동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급탕기의 운전에 지장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수채움기능을 갖는 가스급탕기에 있어서의 실시예를 나타냈지만 온수채움기능을 갖지 않는 급탕기의 재가열용의 가열기를 구비한 급탕기라도 좋고, 연료로서는 가스에 한정되지 않고 석유를 이용하는 것도 좋다.
또한, 기기로서는 급탕기에 한정되지 않고 난방기와 냉방장치 등의 공조장치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조작기의 마이컴의 오동작에 의하여 바른 정보신호가 송신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제어장치 본체로부터 조작기로의 전력공급정지를 행함으로써 조작기의 마이컴을 정상동작으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작기의 마이컴이 오동작하여도 기기의 오동작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기기(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본체(30)와 상기 제어장치 본체(30)에 접속된 조작기(41 ; 42)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기(41 ; 42)에 의하여 설정된 운전목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장치 본체(30)가 조작기(41 ; 42)에 의해 일정 기간마다 반복해서 상기 송신되는 운전정보에 호응하여 각 조작기(41 ; 42)에 순차적으로 운전목표를 송신하는 원격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41 ; 42)에는 상기 제어장치 본체(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마이컴(41a ; 42a)이 탑재되고, 상기 마이컴(41a ; 42a)은 전력공급후에 변복조회로(35)에서 변조ㆍ복조에 의해 상기 운전목표를 소정의 정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장치 본체(30)로 반복 송신하고, 상기 제어장치 본체(30)는 상기 정보신호가 바른 상태로 수신할 수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신호 검사수단(33)을 구비하고서, 상기 신호검출수단(33)에 의해 상기 정보신호가 순차적으로 운전목표를 수신할 수 없는 회수가 소정회수를 넘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기(41 ; 42)로의 전력공급을 일단 정지하고, 그후 소정시간이 결과한 다음에 전력공급을 재개함과 더불어 계시타이머에 의해 정보신호의 송수신을 반복하여 제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작장치.
KR1019910010542A 1990-08-28 1991-06-25 원격조작장치 KR940008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27625 1990-08-28
JP2227625A JPH0777467B2 (ja) 1990-08-28 1990-08-28 遠隔操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046A KR920005046A (ko) 1992-03-28
KR940008201B1 true KR940008201B1 (ko) 1994-09-08

Family

ID=1686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542A KR940008201B1 (ko) 1990-08-28 1991-06-25 원격조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77467B2 (ko)
KR (1) KR9400082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1487U (ko) * 1986-11-12 1988-05-28
JPH02278989A (ja) * 1989-04-19 1990-11-15 Noritz Corp 遠隔制御装置のリセッ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08298A (ja) 1992-04-09
KR920005046A (ko) 1992-03-28
JPH0777467B2 (ja) 1995-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137B2 (en) Combustion control device
JP3758519B2 (ja) 給湯装置
JP4780181B2 (ja) 給湯装置の故障診断支援装置
KR940008201B1 (ko) 원격조작장치
CN111735199A (zh) 热水供应装置
KR950012157B1 (ko) 급탕기의 제어장치
JP3911496B2 (ja) 燃焼装置の制御装置
JP2916346B2 (ja) 全自動式風呂装置における故障診断表示方法
JPH04341096A (ja) 機器の遠隔操作装置
JP4253983B2 (ja) 給湯装置の故障診断支援装置
JP2011106773A (ja) 給湯システム
JP4182700B2 (ja) 車両用システム制御装置
JPH0456212B2 (ko)
KR100357027B1 (ko) 보일러의 보조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248274Y1 (ko) 원격 자동 온도 조절장치
JPH0599440A (ja) 給湯装置
KR100907616B1 (ko) 대기전력 저감을 위한 보일러 리모컨의 통신 제어장치 및그 방법
JPH06189373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KR950012571B1 (ko) 연소제어장치
KR100411559B1 (ko) 개별 난방 제어 시스템
KR20030035612A (ko) 각방 제어용 밸브의 오동작 검출에 의한 보일러 제어장치및 그 방법
JP2001165453A (ja) 温水暖房機の通信異常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0133851Y1 (ko) 전기보온밥솥의 불량 점검장치
JPH11101508A (ja) 給湯装置の設定沸上げ処理装置
JP2009115453A (ja) 給湯器の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