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089B1 - 변위정지수단과 스프링 클립으로 구성된 철도레일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변위정지수단과 스프링 클립으로 구성된 철도레일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089B1
KR950010089B1 KR1019890700512A KR890700512A KR950010089B1 KR 950010089 B1 KR950010089 B1 KR 950010089B1 KR 1019890700512 A KR1019890700512 A KR 1019890700512A KR 890700512 A KR890700512 A KR 890700512A KR 950010089 B1 KR950010089 B1 KR 95001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lip
spring clip
fix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845A (ko
Inventor
뒤발 필립
Original Assignee
알르바르 엥뒤스뜨리
제 뽈 데르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르바르 엥뒤스뜨리, 제 뽈 데르보 filed Critical 알르바르 엥뒤스뜨리
Publication of KR89070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01B9/303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the clip being a shaped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변위정지수단과 스프링 클립으로 구성된 철도레일 고정클립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 제2도 및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레일클립의 스프링부의 측면도, 단부도 및 평면도이고,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앞의 것에 대칭인 이 발명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나타내는, 제1도, 제2도 및 제3도와 유사한 도면이며,
제7도 및 제8도는 스프링 클립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9도는 제3도의 X-X선 단면만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제10도는 제9도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1도는 변형된 스프링 클립과 변형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이 발명에 따른 레일클립의 평면도이며,
제12도는 이 발명에 따른 클립의 단면도이고,
제13도는 제12도에서 이용된 이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의 상부의 사시도(여기서 고정수단의 상부라 하면 지지체위로 돌출하고, 스프링 클립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고정수단 부분을 의미한다. 지지체의 고정부는 부분적으로 어떠한 형태로도 될 수 있다)이며,
제14도는 제13도의 XIV선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제15도는 제12도와 동일한 단면도로서 레일이 이 발명에 의하여 기울어지지 못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제16도는 역시 이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의 상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7도는 스프링 클립과 바닥판의 일부의 사시도로서, 이 발명을 바닥판에 설치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이 발명은 변위정지수단과 스프링 클립으로 구성되어 철도의 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키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랑스 공화국 특허 제2,256,287 및 2,330,803호에 개시된 장치들의 개량 또는 그에 관련된 철도레일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알려진 바와 같이, 레일은 침목(나무, 콘크리트 또는 금속으로 됨)위, 널판지위 또는 침목이나 널판지위에 놓이는 “바닥판”이라고 하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부분위에 놓인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지지체”라는 말이 이들 침목, 바닥판 또는 널판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레일의 하부 베이스 플랜지와 지지체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고무로 된 밑판이라는 것이 끼워져 있다. 그것의 역할은 레일이 그 지지체에 대해 약간씩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지지체가 철도차량이 일으키는 충격과 작용력때문에 파괴되지 않게 하는 탄성 충격흡수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레일에서 야기되는 여러 작용력과 그 적은 이동에도 불구하고 철도의 기하구조를 보존하기 위하여 레일을 그 지지체에 클램핑하는 수단이 분명히 제공되어야 한다. 이들 클램핑수단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플랜지의 가장자리에 접촉되고 지지체들에 고정되어 있다. 근래에는 탄성밑판의 레일에 이용할 것을 고려하여, 이들 레일 클램핑 수단 역시 레일의 작은 이동이나 지지체내의 클램핑 수단의 고정장치의 가능한 이완에도 불구하고 레일에 기하는 그들의 클램핑 작용력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탄성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클램핑 수단과 그 고정장치를 총괄적으로 레일클립이라고 한다.
몇가지 유형의 레일클립, 특히 나사식과 비나사식 클립이 있다. 비나사식 클립중에는 많은 디자인이 있다. 가장 최근에 유행되는 비나사식 디자인중에 하나는 프랑스 공화국 특허 제2,256,287호와 제2,330,803호에 설명된 것이다. 그러나, 이 디자인은 이 발명이 제거하려고 하는 비교적 주요한 단점을 나나탠다. 먼저 프랑스 공화국 특허 제2,256,287호와 제2,330,803호에 따른 레일클립의 기능을 간단히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특허 제2,256,287호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이용하려고 한다.
이러한 클립은 상기 특허의 제9도에서 클램핑된 위치로 나타나 있다. 이 클립은 스프링(제1도 내지 제3도 또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따라)과 지지체(6)에 고정된 고정수단(10)으로 구성된다. 클립을 이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부분(10)이(레일에 대해 병진 이동하면서) 고정수단(10)의 구멍(10C)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도입중에 스프링의 부분(3)은 강제로 경사(10A)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스프링은 변형되어 부분(5)에 의해 레일(8)(단지 스프링과 레일사이의 접촉을 피하게 하는 절연삽입물(9))에 클램핑 작용력을 일으킨다.
이제 레일의 행동과 우선적으로 레일이 받게되는 스트레스를 설명한다.
이 스트레스들은 주로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 -철도차량의 바퀴의 작용 - 온도변화의 작용
이 중에서 바퀴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고찰하여야 한다.
통과중에 바퀴는 레일헤드에 비스듬한 작용력을 가하는데, 이 작용력은 아래쪽으로 레일에 수직한 방향의 수직작용력과 트랙의 바깥쪽으로 향하고 레일에 수직인 평면에 포함된 측방작용력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레일은 자신의 길이방향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려고 한다. 따라서, 차축의 통과중에, 특히 커어브에서 같은 철도트랙의 두 레일선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자전하여 트랙넓이의 국부적인 확장을 일으킨다. 이러한 넓이의 확장은 커어브의 반경이 작을때나 굽은 트랙에 주어진 캔트(cant)가 차량의 속도에 상당하는 이론적 캔트와 상당히 다를때 위험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이 현상은 차량의 커어브 주행의 작용력을 다른 것들보다 더 크게 나타내는 어떤 디자인의 철도차량에 의해 두드러지게 된다. 반경 200 내지 300미터의 커어브에서는 바퀴에 의해 레일헤드에 가해지는 작용력의 측방성분은 20 내지 22톤의 차축에 대해 쉽게 4 내지 5톤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같은 레일의 양쪽에 위치된 2개의 클립이 같은 작용력을 갖는 일은 없다. 트랙의 바깥쪽에서는 레일헤드의 가장자리가 먼저 지지체를 향하여 이동하려고 하고, 트랙의 안쪽에서는 헤드의 가장자리가 상승하려고 한다. 따라서, 트랙의 바깥쪽에서는 스프링(프랑스 공화국 특허 제2,256,287호에 따라)의 부분(5)이 헤드 가장자리의 이동을 따라 먼저 하강하려고 하고 그렇게 하면서 보다 약한 클램핑 작용력을 발휘하는 한편, 트랙의 안쪽에서는 스프링의 부분(5)이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이 스프링은 다른 여느 스프링과 같은 어떤 작용 가능한 범위를 가지고 있으므로 부분(5)이 상승력을 받으면 받을수록 스프링은 더욱 변형된다. 어떤 임계치를 지나면 이 변형은 부분적으로 회복 불가능하게 되어 “탄성”범위는 “소성”범위로 넘어가게 된다. 레일이 그 정상위치로 복귀하면, 스프링은 더이상 그 정상위치로 완전히 복귀하지 않던지 복귀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변형될 때와 같은 힘으로 복귀하지 않는다. 부분(5)은 절연삽입물(9)에 더이상 닿지도 못하게 될 수 있다. 즉, 레일은 더이상 전혀 클램핑되지 않는다. 이 현상이 몇개의 연속적인 지지체에 영향을 주면 탈선이 일어날 수 있다.
다른 심각한 양상은 이 현상은 간단히 눈으로 검사해서는 찾아낼 수 없고(스프링을 교환하지 않으면) 교정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는 것인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나사식 클립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프랑스 공화국 특허 제2,256,287호나 제2,330,803호에 따른 클립이 이러한 작용을 받아서 그 클램핑 작용력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실하였을때 레일의 자전이동, 일반적으로 말해서 “경사”는 증폭될 것이다. 클립들의 파괴현상 역시 증폭되고 자동적으로 계속된다. 이러한 레일경사의 이동이 확대되면 될수록 클립들과 레일간에는 더 많은 상호마찰이 존재한다. 이러한 클립들의 마모역시 레일에서의 클램핑 작용력에 감소를 가져온다. 이 레일의 경사현상을 피하기 위해서 레일을 더욱 클램핑하는 클립을 설계하면 될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클립을 상당히 강화해야할 것이므로 그 탄성의 일부를 상실하게 되어 깨지기 쉽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문제는 프랑스 공화국 제2,256,287호 또는 제2,330,803호에 따라 만들어진 이들 비나사식 클립은 레일의 경사에 대응하여 경도의 상당한 증가를 나타내지 못하므로 이용되는 스프링들은 그 곡선 : 클립의 동작점 근처, 즉 레일에 클램핑된 위치에서의 작용력/변형에 있어서 준(準) 직선방식으로 행동한다는 사실에서 나온다. 그것들이 비난받는 주요단점으로서, 대량교통망에서 레일에 들어가는 매우 유연한 밑판들과 함께 이러한 유형의 클립을 사용할 수 없게 하는 이유이다.
그런데, 철도차량의 공격(바퀴나 레일의 불균일한 표면에 기인한 바퀴/레일 충격)으로부터 지지체를 최대한 보호하기 위해서, 그리고 특히 이 지지체가 콘크리트로 된 침목일 때 레일아래에 매우 유연한 밑판을 이용하는 것은 항상 유리하다. 그러나, 매우 유연한(압축 가능한) 밑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측방작용력의 영향하에 있는 레일의 금지적 경사를 그 기초에서 방지하는 클립장치가 필요하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레일의 경사 이동이 일정치를 초과하면 레일의 경사에 대해 확실한 정지를 나타내는, 레일 지지체에 레일을 고정시키는 클립을 제공하는데 있어서의 새로운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 새로운 기술적 문제는 이 발명에 따라 디자인이 극히 간단하고 값이 싸며 산업적 규모로 이용되기에 적합한 해결책으로 최초로 해결된다. 즉, 이 발명은 레일의 경사가 일정치를 초과하면 레일의 경사에 대해 확실한 정지를 나타내는 클립을 제공함으로써 프랑스 공화국 특허 제2,256,287호 및 제2,330,803호에 따라 만들어진 클립의 단점들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정지능력은, 비나사식 클립의 경우에, 고정장치가 지지체안에 제거될 수 없게 미리 설치되는 클립 장치에서는 이러한 가능성을 연역적으로 상상하기 어렵기 때문에, 레일을 그 지지체위에 위치시키고 클립의 스프링을 위치시킨 후에 나사머리나 너트가 조정되어 클립의 상향 동작을 방지, 즉 레일의 그 제제체에 대한 상승을 방지하는 확실한 정지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나사식 클립과는 대조적으로 상당히 개선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은,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로부터 연속으로 이어지는 제2단부와 실질적으로 직선인 아암을 형성하는 제1부분, 실질적으로 180°의 굴곡부를 형성하는 제2부분, 제3부분, 상기 제3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2부분과 같은쪽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180°의 굴곡부를 형성하는 제4부분, 및 상기 레일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레일의 베이스 플랜지에 클램핑 작용력을 가하는 제5부분으로된 탄성금속 클립으로 구성되어 레일을 레일지지체에 고정 또는 클램핑하는 수단을 형성하기 위한 스프링클립과, 상기 스프링클립을 수용하며 상기 레일지지체에 파묻히거나 고정된 고정장치로 구성되는 철도레일 고정클립에 있어서 : 상기 스프링클립이 상기 제5부분에 대해 가로방향을 상기 제1부분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6부분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스프링클립이 상기 고정장치에 설치될때 상기 스프링클립이 그의 제5부분에 의하여 레일의 베이스 플랜지를 클램핑하고, 가로방향의 제6부분이 상기 고정장치에 고정된 스프링클립의 변위를 정지시키는 수단과 협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고정클립을 제공한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변위정지수단이 스프링클립의 설치위치 또는 클램핑 위치에서 상기 제5부분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위정지수단은 상기 제5부분에 평행하게 고정장치상에 배치되는 어깨를 포함하되, 그의 하부에는 상기 제6부분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고정클립은, 상기 제6부분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5부분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이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은, 상기 변위정지수단은 상기 제5부분의 들뜸 뿐만아니라, 레일의 들뜸현상을 방지하는 변위정지 수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이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스프링클립의 제1부분이 병진이동으로 삽입되는 길이방향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는 고정장치내에 상기 스프링 클립을 삽입하기 위한 측방 멈추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발명의 원리는, 프랑스 공화국 특허 제2,256,287호 또는 제2,330,803호의 제1도 내지 제3도 또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난 스프링의 모양과 상기 스프링의 정착수단의 모양을, 스프링이 이미 고정되어 레일을 클램핑할 때 스프링의 부분(5)이 레일의 베이스 플랜지의 상승때문에 위로 변위되는 경우 상기 부분(5)이 고정수단(10)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받히게끔 변경시키는 것이다.
이 멈추개는 분명히 트랙이 놓일때 레일을 그 지지체에 배치하는 것을 막지않게 되어있다. 이 발명은, 더 자세히는 상기 스프링의 부분(5)의 일부를 굽히고 고정수단(10)에 노치나 어깨를 만들어 부분(5)의 굴곡부(6)가 스프링의 위치결정의 끝에서 가능한한 늦게 삽입물(10)의 어깨 아래나 노치안에 놓이게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이 발명의 최선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명의 최선 실시형태]
도면에서 제1도 내지 제3도는 제1단부(A)와 제2단부(B)가 있고 몇개의 굴곡부를 나타내도록 단편 금속봉으로 형성된 이 발명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나타낸다.
제1단부(A)로부터 이 스프링 클립은 연속해서 다음으로 구성된다 : -나중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수평이면서 실질적으로 레일에 나란한 직선으로 유리하게 형성되는 직선아암을 형성하는 제1부분(1), -어떤 평면에 내접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실질적인 180°굴곡부를 형성하는 제2부분(2), -유리하게 다소 안으로 굽혀진 제3부분(3), -제3부분(3)에 대해 제2부분(2)과 같은 쪽으로 배치된 실질적인 180°굴곡부를 형성하는 제4부분(4) 및 -레일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레일의 베이스 플랜지에 클램핑 작용력을 가하도록 된 제5부분(5).
이 발명에 따른 스프링 클립은 제5부분(5)에 대하여 횡으로 배치된 제6부분(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6부분(6)은 제1부분을 향하게 되어있어 스프링 클립이 제11도 내지 제17도를 참조로 이후에 설명되는 고정장치에 설치될때 이 발명에 따른 스프링 클립이 그 제5부분에 의해 레일의 베이스 플랜지를 클램핑하게 된다.
이 횡단 제6부분(6)은 고정장치에 고정된 스프링 클립의 변위정지수단과 협동한다.
이들 수단은 제11도 내지 제17도를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4부분(4)이 굴곡부는 제2부분의 굴곡부보다 곡률반경이 유리하게 더 커서 제5부분(5)은 제3부분(3)에 대해 제1부분(1) 너머로 배치된다.
이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의 제2요소는 제11도 내지 제17도에서 부호 10 또는 16으로 나타낸 고정장치인 데, 이 장치는 상기 스프링 클립을 수용하도록 되고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레일 지지체에 묻히거나 고정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제6부분(6)이 유리하게 제5부분(5)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것을 나타낸다.
제5부분(5)의 밑부분 그리고 유리하게는 제6부분(6)이 밑부분은 부호 5A로 나타낸 편평부로 될 수 있다. 유사하게, 고정장치와 협동하는 제6부분(6)의 상부에 편평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도 내지 제3도에 보인 이 발명에 따른 스프링 클립은 앞뒤가 바뀐“ e”로 볼 수 있다.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기 제1도, 제2도 및 제3도와 유사하고 반대모양을 나타내면서 “e”를 닮은 이 발명에 따른 스프링 클립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두가지 간단한 변형은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예를들어 부분(1)은 제1, 2 및 3도보다 길어서 제4굴곡부 아래로 지나간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제6부분은 편평부가 없고 단면이 실질적으로 둥글게 남아있다.
제7도는 제4도의 다른 변형이다. 제2굴곡부(2)는 앞의 실시예에서보다 더 발달되어 있고, 제3부분(3)은 상당한 볼록꼴(3A), (3B)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제5 및 제6부분에는 편평부나 우그러진 부분이 없다.
제8도는 제6도의 변형인데, 여기서 제4부분(4), 제5부분(5) 및 제6부분은 동일한 나선형 경사부분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나타내기도 한다.
제9도는 제3도의 X-X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부분(1)의 축이 수평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제9도에 보인 직선(D1)은 부분(1)의 축에 수직인 수평직선이고 상기 부분(1)의 중심(C1)을 통과한다. 직선(D3) 및 (D5)는 D1에 나란한 선들이고 부분(3)과 (5)의 각각의 단면의 중심(C3) 및 (C5)를 통과한다. 이 도면에서 D3은 D1과 D5사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D5가 D1과 D3사이에 들어가거나 D1이 D3과 D5사이에 들어갈 수도 있다.
제9도는 두각 α와 β를 형성한다. 각 β(∠C3 C1 C5)는 스프링 클립이 고정수단내에 위치될 때 감소된다.
각 α는 부분(5)의 우그러진 단면의 주축과 직선(D5)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이 각도는 스프링 클립의 배치중에 전개되어 레일의 베이스 플랜지 또는 있을 수 있는 절연용 삽입물의 경사를 따라가게 한다. 이러한 각도전개로 부분(6)이 부분(5)의 축과 실질적으로 합병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0도는 단지 제9도의 변형으로서, 3개의 직선(D1), (D3) 및 (D5)중 어느 2개가 합병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각 α는 0, 양수 또는 음수로 될 수 있다. 각 β는 180°보다 작거나 갖거나 클 수 있다. 이와같은 스프링 클립은 종래의 형태로 된 경우 서로 다른 가능한 횡단면 X-X가 각 β에 대하여 전개적 경향을 갖는 모양으로 된다.
제11도는 이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의 평면도로서, 클리핑 위치에서 본 이 발명에 따른 스프링 클립과 고정장치가 필요한 변경을 나타내면서 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스프링 클립은 고정장치안에 설치된다. 즉, 부분(1)이 병진 이동하여 고정수단(10)의 길이방향 원통형 구멍(10C)에 끼워진다.
앞서 설명한대로 스프링 클립은 제6부분(6)을 나타내는데, 이 부분은 조립중에 변위정지수단을 구성하는 고정장치(10)에 만들어진 홈(12) 또는 노치에 들어간다. 이 홈은 벽(12A)도 나타내는데, 이 벽은 필요에 따라 제6부분(6)을 위한 멈추개로 작용하므로 스프링 클립을 삽입할 때 제2부분(2)으로 고정수단(10)에 받치게 할 필요없이 스프링 클립을 항상 같은 식으로 때려 넣을 수 있다. 사실상 부분(2)은 상당한 비틀림 응력의 중심부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고정수단(10)과의 접촉으로 손상되거나 마찰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이 홈(12)은 설치 또는 클램핑 위치에서 제5부분(5)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이 발명은 스프링 클립을 고정수단에 때려박는 타격을 더 잘 제어할 수 있다는 것과 스프링이 제2굴곡부(2)에서 파괴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예기치 않은 장점도 나타낸다.
제11도에서, 부호 8은 레일(위에서 본것)을 지칭하고 R은 상기 레일의 베이스 플랜지의 가장자리를 지칭한다. 이 도면을 필요없이 복잡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비절연 설치상태로, 즉 제12도에서 부호 9로 나타낼 중간절연판없이 도시하였다.
제12도는 클램핑 위치에 있고, 이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레일(8)은 지지체(11)에 놓여있는 탄성밑판(7)위에 놓인다. 레일(8)의 베이스 플랜지와 스프링 클립의 제5부분(5) 사이에 전기절연판(9)이 삽입되어 있다. 고정수단(10)에 대해서는 그 상부만 나타나 있고 지지체(11)에 들어있는 고정수단의 고정부는 나타내지 않았다.
스프링의 제6부분(6)과 고정수단(10)에 만들어진 홈의 면(12C) 사이에는 0과 10mm사이, 바람직하게는 0과 4mm사이에 포함된 간격(J)이 제공된다. 레일이, 예를들어 레일헤드에 가해지는 측방작용력때문에 기울어지면서 들리려고 할때 레일(8)의 베이스 플랜지의 가장자리(R)는 그 자신에 나란하게 위로 움직이려고 하여 스프링 클립의 부분(5)과 (6)이 위로 변위되게 한다. 그러나, 부분(6)은 고정수단에 만들어진 노치의 상면(12C)에 즉각 받히게 되는데, 이 고정수단은 제5부분(5)뿐만 아니라, 레일이 들리지 않게 작용하는 변위정지수단을 구성하여 레일의 유동을 빈틈없이 정지시킨다.
제12도는 고정수단(10)에 만들어진 노치의 면(12C)과 스프링 클립의 말단(6) 사이의 대략적인 평행을 나타낸다. 스프링 클립의 말단(6)이 레일(8)의 베이스 플랜지의 가장자리(R)의 초기상승에 의해서 위로 변위될 때 상기 말단(6)은 면(12C)의 일부와 접촉하므로 이 평행상태는 이상적인 것이다. 실제로는 면(12C)과 말단(6)은 강제적으로 평행하지는 않은데, 이것은 다양한 공차때문만은 아니다. 따라서, 스프링 클립의 제6부분(6)은 처음에 면(12C)의 일단부에 접하게 되나 이것은 이 발명에 대한 장애물은 아니다. 그 목적은 여전히 레일의 이동을 정지하게 하는 것인데, 레일을 들어올리려고 하거나 그것이 기울어지게 하는 작용력이 몇십톤에 이른다면 부분(6)이 비틀리거나 전단되든지 고정수단이 파괴될 것이므로 레일이동의 정지는 완전하지 않을 것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철도의 관례에 따르면, 20 내지 35톤의 차축들에 의해서도 레일의 상승작용력이나 레일의 경사작용력이 10 내지 15톤을 초과하지는 않는다.
이 발명의 기능에 있어서, 제6부분(60)이 면(12C)과 접촉할 때 제5부분(5)이 약간 뒤틀릴 수 있게 제5및 제6부분(5), (6)의 길이 및 두께를 조정하는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대적 탄성때문에, 제6부분(6)이 간격(J)을 통과할 때의 스프링 클립의 경도와 부분(6)이 면(12C)과 절연삽입물(9)(또는 삽입물없이 그대로 놓인 레일(8)사이에 끼어 이 장치의 준(準) 무한의 경도로 완전히 정지된 상태사이에 중간단계의 경도를 얻을 수 있다.
제13도는 고정수단(10)의 상부에 있는 노치(12)의 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노치는 면(12A), (12B) 및 (12C)에 의해 제한된다.
면(12C)은 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스프링 클립의 부분(6)의 상향변위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면(12A)은 스프링 클립이 고정수단에 삽입되는 도중에 타격 종료 멈추개로 유용하게 작용하는데, 제6부분(6)은 스프링 클립의 위치조정이 끝났을 때 면(12A)에 닿는다. 이로써 스프링 클립의 굴곡부(2) 내면이 고정수단(10)의 측면에 우연히 받히는 일이 없어진다(부설시 또는 차후에).
면(12B)은 스프링 클립의 부분(5) 및 (6)의 하향기능을 방해하지 않게, 즉 부분(6)이 절대로 그것에 닿을 수 없게 되어있다. 결과적으로 실제로는 이 면(12B)의 모든점은 레일(8)의 베이스 플랜지의 가장자리(R)를 통과하는 수평면 아래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2mm보다 멀리 위치하여야 한다.
제14도는 제13도의 XIV선을 따른 도면으로서, 고정수단(10)에 만들어진 보어(10C)의 축에 대하여 완전히 직각인 면(12A)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수직상태는 절대적으로 불가결한 것은 아닌데, 면(12A)은 스프링 클립의 부분(5) 및 (6)사이의 연결부의 반경과 일치하도록 구부러질 수도 있다.
면(12A)은 고정수단(10)의 지지면(10D)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면서도 보어(10C)의 축에 대해 약간 경사지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약간의 경사는 약 ±15°에 이를 수 있다. 그 경우에는 부분(5)의 축과 부분(6)의 축사이의 각이 면(12A)의 이러한 경사에 맞는 스프링 클립이 사용되어 부분(6)의 측면과 면(12A)간에 항상 양호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제15도는 제12도와 조립체를 차단위치로 나타내는데, 레일의 경사는 각(
Figure kpo00001
)으로 표현되었다. 레일(8)의 베이스 플랜지의 가장자리(R)의 상승은 부분(6)을 고정수단(10)의 면(12C)과 접촉한 상태로 놓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따라서, 레일(8)의 경사이동은 고정수단(10)이 단단하고 지지체(11)에 완전히 파묻혀있기 때문에 정지되거나 상당한 작용력이 든다.
제16도는 고정장치(10)의 상부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스프링 클립과 협동하도록 한 것이다. 어깨(13)는 제12도 내지 제15도의 면(12C)과 같은 역할을 한다. 고정수단(10)의 측면(10E)은 그 자체가 제11, 13 및 14도의 면(12A)과 같은 역할, 즉 스프링 클립이 그 고정수단에 들어가는 도중에 멈추개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 클립의 부분(6)은 어깨(13) 아래에 받히게 되어 있고 레일이 그 지지체에 대해 들리거나 기울어지면 거기에 대해 민다. 어깨(13)의 모양은 여기에서 아주 간략하게 되어 있는데, 당업자라면 이 바렴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특히, 그것을 보강하기 위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제17도는 특히 이 발명에 따른 나무 또는 금속 침목에 바닥판을 소위 “간접”부설하는 것에 관련된다. 바닥판(14)의 사용은 사실 지지체가 금속 침목일 때 요즈음의 추세에 따르는 것이고 지지체가 나무 침목일 때에는 더욱 필요하다(콘크리트 지지체에 부설하는 것만을 설명하는 것이긴 하지만 프랑스 공화국 특허 제2,256,287호나 2,330,803호에 설명된 스프링 클립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때부터). 이 경우에는 이 발명으로부터 이득을 얻기 위하여 면(15A), (15B) 및 (15C)에 의해 제한된 노치(15)가 바닥판(14)에 만들어져 있다. 이 바닥판(14)에는 2개의 굴곡부(16)도 마련되어 있는데, 이들 사이에 레일과 그 밑판이 수용된다. 굴곡부(16)의 노치(15)는 각기 앞의 도면에서 설명된 고정수단(10)의 역할과 노치(12)의 역할을 한다.
스프링 클립은 굴곡부(16)에 의해 만들어진 길이방향홈에 부분(1)을 꽂아서 제자리에 배치한다.
배치가 끝나면, 즉 스프링 클립의 제5부분(5)이 레일의 베이스 플랜지의 가장자리나 가능한 절연삽입물에 지지되면 부분(6)은 면(15A)에 받혀서 노치(15)에 수용된다. 이 장치의 기능은 엄격히 이전에 설명한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바닥판의 부설방법에도 노치(15)보다는 제16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어깨가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명을 복잡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제11도 내지 제16도는 모두 동일한 유형의 스프링 클립, 즉 제1도 내지 제3도에 설명된 것이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이 제4도 내지 제8도에 따른 스프링 클립과 협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경사(10A)는 물론 노치들(12)이나 멈추개들(13)을 고정수단(10)의 반대쪽(즉, 제14도에서 면 10E가 아니라 10F)에 만들기만 하면 된다. 같은 말이 제17도에도 적용된다.
이 발명은 또한 신규의 산업제품으로서 위에 설명되고 이 발명의 불가결한 요소가 되는 제1도 내지 제17도에 도시된 스프링 클립을 포함한다.

Claims (9)

  1.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로부터 연속으로 이어지는 제2단부와 실질적으로 직선인 아암을 형성하는 제1부분, 실질적으로 180°의 굴곡부를 형성하는 제2부분, 제3부분, 상기 제3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2부분과 같은쪽에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180°의 굴곡부를 형성하는 제4부분, 및 상기 레일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레일의 베이스 플랜지에 클램핑 작용력을 가하는 제5부분으로된 탄성금속 클립으로 구성되어 레일을 레일지지체에 고정 또는 클램핑하는 수단을 형성하기 위한 스프링클립과, 상기 스프링클립을 수용하며 상기 레일지지체에 파묻히거나 고정된 고정장치로 구성되는 철도레일 고정클립에 있어서 : 상기 스프링클립이 상기 제5부분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상기 제1부분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6부분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스프링클립이 상기 고정장치에 설치될때 상기 스프링클립이 그의 제5부분에 의하여 레일의 베이스 플랜지를 클램핑하고, 가로방향의 제6부분이 상기 고정장치에 고정된 스프링클립의 변위를 정지시키는 수단과 협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고정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정지수단은 스프링클립의 설치위치 또는 클램핑 위치에서 상기 제5부분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고정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정지수단은 상기 제5부분에 평행하게 고정장치상에 배치되는 어깨를 포함하되, 그의 하부에는 상기 제6부분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고정클립.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6부분은 상기 제5부분에 수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고정클립.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정지수단은 상기 제5부분의 들뜸 뿐만아니라, 레일의 들뜸현상을 방지하는 변위정지 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고정클립.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스프링클립의 제1부분이 병진이동으로 삽입되는 길이방향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는 고정장치내에 상기 스프링 클립을 삽입하기 위한 측방 멈추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고정클립.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제5 및 제6부분은 동일한 나선형 램프를 형성하고, 이들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고정클립.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립이 상기 고정장치에 설치된 위치에 있을때, 상기 제6부분이 상기 고정장치와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하고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6부분이 상기 고정장치에 완전히 걸려서 정지하기전에는 상기 간격내에서 유동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고정클립.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및 제6부분은, 상기 제6부분이 상기 변위정지수단에 접촉할 때 상기 제5부분이 약간 뒤틀릴 수 있을 정도의 길이와 두께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고정클립.
KR1019890700512A 1987-10-07 1988-10-06 변위정지수단과 스프링 클립으로 구성된 철도레일 고정클립 KR950010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13860 1987-10-07
FR8713860A FR2621619B1 (fr) 1987-10-07 1987-10-07 Attache de fixation de rail de chemin de fer comportant des moyens d'arret de deplacement et ressort d'attache
PCT/FR1988/000495 WO1989003452A1 (fr) 1987-10-07 1988-10-06 Attache de fixation de rail de chemin de fer et ressort d'attach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845A KR890701845A (ko) 1989-12-21
KR950010089B1 true KR950010089B1 (ko) 1995-09-06

Family

ID=935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512A KR950010089B1 (ko) 1987-10-07 1988-10-06 변위정지수단과 스프링 클립으로 구성된 철도레일 고정클립

Country Status (32)

Country Link
US (1) US5069386A (ko)
JP (1) JPH0826521B2 (ko)
KR (1) KR950010089B1 (ko)
CN (1) CN1014251B (ko)
AP (1) AP70A (ko)
AT (1) AT401397B (ko)
AU (1) AU624090B2 (ko)
BE (1) BE1004317A3 (ko)
BR (1) BR8807729A (ko)
CA (1) CA1334662C (ko)
DE (2) DE3890855T1 (ko)
DK (1) DK163008C (ko)
DZ (1) DZ1254A1 (ko)
ES (1) ES2011132A6 (ko)
FI (1) FI88815C (ko)
FR (1) FR2621619B1 (ko)
GB (1) GB2218445B (ko)
GR (1) GR1000935B (ko)
IT (1) IT1227274B (ko)
LT (1) LT3484B (ko)
LV (1) LV10731B (ko)
MX (1) MX172714B (ko)
NL (1) NL8820829A (ko)
NO (1) NO169907C (ko)
OA (1) OA09183A (ko)
PT (1) PT88678B (ko)
RU (1) RU1838492C (ko)
SE (1) SE501208C2 (ko)
TN (1) TNSN88101A1 (ko)
UA (1) UA26425A (ko)
WO (1) WO1989003452A1 (ko)
ZA (1) ZA8874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67323A1 (en) * 1991-05-02 1992-11-03 Barry Marshall Railway rail - fastening clip
FR2678004B1 (fr) * 1991-06-21 1993-10-22 Allevard Industries Outil pour la mise en place d'une attache elastique de rail.
GB2261005B (en) * 1991-09-20 1996-04-24 Yellapragada Sambasiva Rao Rail fastening assembly
FR2701276B1 (fr) * 1993-02-05 1995-04-28 Allevard Ind Sa Insert de fixation pour une attache de rail.
GB2298442B (en) * 1995-03-03 1999-01-13 Pandrol Ltd Railway rail-fastening clip and assembly
AU1896501A (en) * 1999-11-18 2001-05-30 Young Gil Jang Rail fixing clip
GB2388141B (en) * 2002-04-30 2005-05-25 Pandrol Ltd Railway rail fastening clip
DE102005058444B3 (de) * 2005-12-07 2007-04-26 Db Netz Ag Befestigungsmittel für Bahnschienen
US20090057435A1 (en) * 2007-08-27 2009-03-05 Jude Igwemezie P-clip clip for retaining rails
KR101050490B1 (ko) * 2010-09-20 2011-07-20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클립 및 이의 설치방법
DE202010016149U1 (de) * 2010-11-04 2011-02-17 Vossloh-Werke Gmbh Spannklemme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mit einer solchen Spannklemme ausgestattetes System
DE102010050199A1 (de) * 2010-11-04 2012-05-10 Vossloh-Werke Gmbh Spannklemme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mit einer solchen Spannklemme ausgestattetes System
EP3601135B1 (de) * 2017-03-28 2021-05-12 Inventio AG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einer aufzugsanlage in einem aufzugsschacht
CN108296337B (zh) * 2018-01-26 2019-05-21 北京铁科首钢轨道技术股份有限公司 e型弹条及其制备方法
RU184715U1 (ru) * 2018-06-25 2018-11-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агнитого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Г.И. Носова" Пружинная клемм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CN108755291B (zh) * 2018-07-06 2023-09-22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非对称式钢轨扣件系统
EP4332300A1 (de) * 2022-08-29 2024-03-06 voestalpine Turnout Technology Zeltweg GmbH Spannfeder zum niederhalten eines gleiskörperelements
CN116397468B (zh) * 2023-06-08 2023-08-04 申合信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减震用减震总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4716A (en) * 1956-08-03 1961-10-17 Lockspike Ltd Railway rail securing means
GB968659A (en) * 1963-07-16 1964-09-02 Lockspike Ltd A railway rail and fastening arrangement
GB1132205A (en) * 1965-03-13 1968-10-30 Mills James Ltd A new or improved clip for securing railway rails
GB1449890A (en) * 1973-12-28 1976-09-15 Pandrol Ltd Fastening railway rails
NL7503503A (nl) * 1975-03-24 1976-09-28 Ir Lodewijk Goderbauer Bevestigingsinrichting voor een spoorstaaf op een ligger.
GB1510224A (en) * 1975-11-07 1978-05-10 Pandrol Ltd Railway rail fastening clip and a railway rail-and-fastening assembly employing it
US4150792A (en) * 1977-02-25 1979-04-24 Portec, Inc. Rail fastener
DE2732250B1 (de) * 1977-07-16 1978-07-06 Muhr & Bender Befestigungsvorrichtung fuer die Befestigung von Eisenbahnschienen auf Eisenbahnschwellen
US4190200A (en) * 1978-03-17 1980-02-26 Scotco, Inc. Rail clip assembly
NL7906455A (nl) * 1979-08-28 1981-03-03 Everts & Van Der Weyden Nv Railklem.
DE3003881A1 (de) * 1980-02-02 1981-08-13 Karl Richtberg Kg, 6530 Bingen Spannbuegel fuer kraftschluessige und elastisch nachgiebige schienenbefestigungen mit formschluessigem seitenhalt von gleisanlagen
DE3021039A1 (de) * 1980-06-03 1981-12-10 Kufner Textilwerke KG, 8000 München Einlagen fuer kleidungsstueck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IN156984B (ko) * 1980-09-29 1985-12-21 Pandrol Ltd
GB8515471D0 (en) * 1985-06-19 1985-07-24 Pandrol Ltd Holding railway down on support member
GB8602277D0 (en) * 1986-01-30 1986-03-05 Pandrol Ltd Electrically insul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LV10731B (en) 1995-12-20
DK163008B (da) 1992-01-06
ES2011132A6 (es) 1989-12-16
LT3484B (en) 1995-11-27
MX172714B (es) 1994-01-10
JPH0826521B2 (ja) 1996-03-13
NO901523L (no) 1990-04-04
BR8807729A (pt) 1990-08-07
SE9001250D0 (sv) 1990-04-05
GB2218445A (en) 1989-11-15
RU1838492C (ru) 1993-08-30
DE3890855T1 (de) 1990-07-19
JPH04502042A (ja) 1992-04-09
GR1000935B (el) 1993-03-16
OA09183A (fr) 1992-03-31
NO169907C (no) 1992-08-19
CN1033853A (zh) 1989-07-12
WO1989003452A1 (fr) 1989-04-20
AP8800104A0 (en) 1990-02-18
FR2621619B1 (fr) 1990-03-02
UA26425A (uk) 1999-08-30
ATA902788A (de) 1996-01-15
SE501208C2 (sv) 1994-12-12
AT401397B (de) 1996-08-26
DK87990D0 (da) 1990-04-06
FI88815C (fi) 1993-07-12
FI901750A0 (fi) 1990-04-06
PT88678B (pt) 1993-10-29
PT88678A (pt) 1989-07-31
GB8905484D0 (en) 1989-08-02
DK163008C (da) 1992-06-01
GB2218445B (en) 1992-04-29
BE1004317A3 (fr) 1992-11-03
ZA887494B (en) 1989-07-26
CN1014251B (zh) 1991-10-09
IT1227274B (it) 1991-03-28
NL8820829A (nl) 1990-07-02
DZ1254A1 (fr) 2004-09-13
FR2621619A1 (fr) 1989-04-14
IT8822171A0 (it) 1988-10-04
FI88815B (fi) 1993-03-31
NO169907B (no) 1992-05-11
CA1334662C (en) 1995-03-07
AP70A (en) 1990-02-18
AU624090B2 (en) 1992-06-04
DE3890855C2 (de) 1997-11-06
AU2559588A (en) 1989-05-02
LTIP666A (en) 1995-01-31
SE9001250L (sv) 1990-04-05
US5069386A (en) 1991-12-03
KR890701845A (ko) 1989-12-21
DK87990A (da) 1990-04-06
TNSN88101A1 (fr) 1990-07-10
LV10731A (lv) 1995-06-20
NO901523D0 (no) 1990-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0089B1 (ko) 변위정지수단과 스프링 클립으로 구성된 철도레일 고정클립
US5346131A (en) Device for supporting rails
US3688984A (en) Elastically yieldable insulating rail fastening device
GB2085057A (en) A rail clip and an assembly on a railway track which includes the clip
JPH0362841B2 (ko)
US4463898A (en) Rail fasteners
US4119271A (en) Rail bracing system
CN102575436B (zh) 用于铁轨紧固夹及其相关产品的绝缘体
US3428253A (en) Rail attachment
US4365744A (en) Anchor lock fastening assembly
US4413777A (en) Rail clip and an assembly on a railway track which includes the clip
US4339077A (en) Rail mounting system
US6758406B2 (en) Rail switch brace
EP3894631B1 (en) A rail fastening system and associated rail track
US49780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rail using plastically deformable metal spikes and metal spikes per se
JP3845475B2 (ja) レール締結装置、及びレール締結方法
US3065914A (en) Supporting of railway and like rails
US4210281A (en) Spring type anchors
US3386657A (en) Resilient rail hold- down
CA1250264A (en) Rail insulation pads
US4484706A (en) Resilient rail fastener
US4469278A (en) Rail fastening system for use with shoulder fitted concrete ties
GB2214545A (en) Rail fastening assembly
KR100453985B1 (ko)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KR200281054Y1 (ko)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